KR20110094549A -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549A
KR20110094549A KR1020100014011A KR20100014011A KR20110094549A KR 20110094549 A KR20110094549 A KR 20110094549A KR 1020100014011 A KR1020100014011 A KR 1020100014011A KR 20100014011 A KR20100014011 A KR 20100014011A KR 20110094549 A KR20110094549 A KR 2011009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reet
signal
detected
stre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명
Original Assignee
엘티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오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549A/ko
Publication of KR2011009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차량 감지 센서가 부착된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가로등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조도를 높이고 인접가로등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접 가로등에 미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차량을 감지한 후 적어도 2개의 연속한 이후 가로등에서 상기 차량을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을 추적하여 추적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이고, 상기 차량이 감지된 경우 상기 미감지신호를 에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각 가로등에서 차량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인접한 가로등에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사실 및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의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여서 차량의 안전운행 및 다른 차량과의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Dimming Method of Multiple Streetlights}
본 발명은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가로등에서 차량을 감지하여 시스템적으로 복수의 가로등을 조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도로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야간에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것으로, 다수의 가로등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 구간마다 마련된 배전반에서 정해진 시간에 스위치를 작동시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킨다.
이렇게 정해진 시간에 가로등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방법은 자동 프로그램에 이루어지거나 관리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통신 및 운송의 발달로 인해 많은 도로가 생겨남에 따라 설치 가로등의 개수도 어마어마하고 앞으로도 더 많이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차량의 왕래가 거의 없는 곳에서도 야간 내내 가로등을 켜두는 경우에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 중 하나로 차량이나 사람을 감지하여 가로등의 조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의 가로등 시스템은 다수의 가로등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 구간마다 마련된 배전반에서 점등과 소등을 제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전반에 차량감지센서를 달고, 차량감지센서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일정 구간에 있는 다수의 가로등을 한꺼번에 켜거나 끄는 형태로 조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하나의 배전반에서 다수의 가로등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만약 센서가 차량을 감지하는 성능이 떨어지거나 제어모듈에 이상이 생긴 경우, 일정 구간의 가로등 전체가 점등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갓길에 정지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사고로 인해 정지된 경우, 센서에 의해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야간에 더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로등에서 차량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인접한 가로등에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사실 및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의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여서 다른 차량과의 사고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가로등 간의 감지정보 전송을 통해 감지 에러를 쉽게 검출하고 더 나아가 에러 발생률이 높은 가로등의 센서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유지보수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중앙 서버에서 영상분석을 통해 사고유무 등을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각각 차량 감지 센서가 부착된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에 있어서, (a) 가로등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조도를 높이고 인접가로등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접 가로등에 미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차량을 감지한 후 적어도 2개의 연속한 이후 가로등에서 상기 차량을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을 추적하여 추적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이고, 상기 차량이 감지된 경우 상기 미감지신호를 에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미감지신호가 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미감지한 가로등의 조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은, (c) 상기 에러가 발생하는 비율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로등의 차량감지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교체요청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은, (d) 상기 추적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에서 주변 영상을 획득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사고 유무 등을 판단하여 응급기관 서버로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상기 차량이 정지된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가로등들을 점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로등은 다음 인접가로등에 상기 감지신호 또는 미감지신호를 전송할 때, 적어도 이전 인접 가로등 2개의 감지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을 추적하는 단계는 최초 미감지신호를 전송한 가로등의 위치를 기준으로 감지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연속하여 3개의 가로등에서 상기 차량을 미감지한 경우 상기 연속한 3개의 가로등 중에서 세번째로 미감지한 가로등에서 응급상황임을 이전 가로등들에 알리는 단계; 첫번째로 미감지한 가로등에서 상기 응급상황임을 통보받으면 상기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설정된 거리에 있는 가로등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가로등들에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점등신호를 수신한 가로등들이 조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로등에서 차량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인접한 가로등에 전송함으로써 차량의 정지사실 및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의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여서 차량의 안전운행 및 다른 차량과의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가로등 간의 감지정보 전송을 통해 감지 에러를 쉽게 검출하고, 더 나아가 에러 발생률이 높은 가로등의 센서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가로등의 유지보수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위치의 영상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여, 중앙 서버에서 영상분석을 통해 사고유무 등을 확인하여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시스템이 도로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등에 설치된 가로등 디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처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시스템이 도로에 설치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로등에 설치된 가로등 디밍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시스템은 도로(1)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가로등(100) 각각에 차량감지센서(30)를 부착하여 차량감지여부에 따라 가로등(100)의 조도를 조절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가로등(100)은 LED 램프(10), LED 구동부(20), 차량감지센서(30), 통신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 램프(10)는 복수의 서브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의 서브램프 중 일부를 점등하거나 소등하여 조도를 조절하게 된다. 일반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조절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LED 램프(10)를 사용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온오프 함으로써 자동으로 조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LED 구동부(20)는 LED 램프(10)는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LED 램프(10)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감지센서(30)는 차량(2)의 이동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플러효과를 이용한 차량감지센서(30)를 적용한 것을 일 예로 한다. 도플러효과를 이용한 차량감지센서(30)의 경우 차량(2)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 차량(2)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주로 도로(1)에 매설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센서를 도로(1)에 설치하는 경우 비가 오면 수막현상에 의해 측정오차율이 75%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센서를 가로등(100)에 설치함으로써 수막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훨씬 성능이 우수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감지센서(30)는 안테나, 발진기, 혼합기, 저역통과필터, 및 주파수검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주파수는 2.4GHz 또는 5GHz 대역의 신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감지성능을 높이기 위해, 안테나를 지면으로부터 1.5~2.5미터, 바람직하게는 2미터 높이의 가로등(100) 등주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안테나는 차량(2)이 진입하는 방향의 800미터~1.5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의 전방의 범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직선도로를 가정하면 이때의 각도는 대략 0~45°각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본 차량감지센서(30)의 감지거리는 전방 800미터~1.5킬로미터이므로, 대략 700미터 범위가 된다.
발진기는 위와 같이 미리 약속된 주파수신호를 발진하며, 이러한 발진신호(fT)는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차량(2)에 의한 반사신호(fR)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며, 혼합기는 발진신호와 반사신호를 혼합하고, 저역통과필터는 도플러 천이 주파수(fD=|fR -fT|)를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후단에 연결된 주파수 검출기에 의해 도플러 천이 주파수(fD)를 검출한다.
제어부(50)는 차량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차량(2)의 이동속도를 산출하고, 차량(2)이 감지되면(즉, 차량(2)이 다가오는 것으로 판단되면) LED 구동부(20)에 조도제어신호를 인가하여, LED 램프(10)의 조도를 높인다.
제어부(5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차량(2)의 속도를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θ는 차량(2)의 진행방향과 송신신호와의 입사각 즉, 안테나의 빔(beam) 각도를 나타내고, v는 차량(2)의 속도, c는 광속도를 나타낸다.
위 식을 속도의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제어부(50)는 위 식을 통해 차량감지센서(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2)의 속도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LED 램프(10)의 점등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2)이 감지되면 일정 시간 동안 LED 램프(10)의 조도를 높이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차량(2)의 안전운행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전방의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차량(2)이 감지되면 바로 LED 램프(10)의 조도를 높여서 일정시간 동안 유지한 후 조도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높은 조도를 유지하는 시간은 야간 차량(2)의 평균 시속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야간에 차량(2)이 드문 도로에서는 차량(2)이 감지된 경우에만 조도를 높이고 차량(2)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도를 낮춤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발명에 따른 가로등 디밍 시스템은 각 가로등(100) 간의 통신을 통해 감지 및 미감지사실을 인접 가로등(100)에 통보하여 에러를 검출하거나 차량(2)정지 등의 응급상황을 판별하여 가로등(100)의 조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각 가로등(100)은 타 가로등(100) 및/또는 중앙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40)를 포함하며, 이에 다양한 무선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시스템에서는 가로등이 차량(2)을 감지하면 감지사실을 인접하는 가로등에 알린다. 더 나아가, 자신의 감지사실뿐만 아니라, 이전 가로등들의 감지, 미감지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이를 통해, 이전 가로등들의 (미)감지정보를 전달받은 현재 가로등에서 에러 여부 및 응급상황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전 가로등에서는 차량(2) 감지사실이 있었으나, 이후 연속한 가로등들에서 차량(2)이 미감지된 경우에는 차량(2)이 어디에선가 정지해 있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차량(2)의 정지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위치로부터 일정범위 내에 있는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여서 다른 차량(2)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거나 사고발생시라면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차량(2)이 도로(1)의 갓길에 정차한 경우, 가로등(100)의 차량감지센서(30)에서는 차량(2)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조도를 낮추게 된다. 이 경우, 이후에 해당 구간을 진입하는 차량(2)이 갓길에 정차한 차량(2)을 늦게 식별하게 되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2)이 정지한 경우에도 이의 위치를 추적하여 조도를 높임으로써,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전 가로등에서 차량(2)을 감지하고, 다음 가로등(들)에서 차량(2)을 감지하지 못했지만, 그 다음 가로등에서 차량(2)을 감지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중간에 차량(2)을 감지하지 못한 것이 에러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에러발생시에는 에러를 신속히 정정하여 가로등(100)의 조도를 높여서 차량(2)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위 경우들에서, 연속하여 몇 개의 가로등(100)에서 차량(2)을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처리할 것인지, 다르게 에러로 처리할 것인지는 가로등(100)의 설치 간격 및 도로(1)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설계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 1,2의 가로등 디밍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그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2) 감지 후 연속하여 2개의 가로등에서 차량(2)을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별하고, 중간의 하나의 가로등에서 미감지한 경우에만 에러로 처리한다.
도 3의 CASE #1을 참조하면, 가로등1(100a)에서 차량(2)을 감지한 경우, 차량감지신호를 다음 인접 가로등인 가로등2(100b)에 전송하는 한편, 조도를 높여서 차량(2)의 안전운행을 도모한다.
가로등2(100b)에서는 가로등1(100a)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였지만 본인은 차량(2)을 미감지하였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 차량(2)이 감지되지 않으면 가로등3(100c)에 가로등1(100a)의 감지신호와 함께 본인의 미감지신호를 가로등3(100c)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가로등3(100c)에서는 이전 가로등들, 즉 가로등1(100a),2(100b)의 (미)감지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이전 가로등의 감지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가로등3(100c)에서, 차량(2)이 감지된 경우, 감지사실을 알리는 감지신호를 인접가로등들, 즉 가로등2(100b)와 가로등4(100d)에 전송한다.
가로등2(100b)는 가로등3(100c)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본인이 미감지한 것이 에러임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에러를 정정하여 차량(2)의 시야확보를 위해 조도를 높인다.
여기서, 가로등(100)에서 감지에러가 자주 일어난다면, 차량감지센서(30)가 고장 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에러율이 일정 값 이상 되는 가로등(100)의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조속히 센서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3의 CASE #2를 보면, 가로등1(100a)에서는 차량(2)을 감지하였지만, 가로등2(100b)와 가로등3(100c)에서 연속하여 차량(2)을 미감지한 경우의 처리방법이다.
가로등1(100a)은 차량감지사실을 가로등2(100b)에 전달하고, 가로등의 조도를 높인다. 가로등2(100b)에서 차량(2)을 감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가로등1(100a)의 감지신호와 함께 본인의 미감지신호를 가로등3(100c)에 전달한다.
가로등3(100c)에서도 차량(2)을 감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연속하여 2개의 가로등에서 동일하게 차량(2)을 미감지한 것이기 때문에, 가로등3(100c)은 현 상황을 응급상황으로 판단하고 응급신호를 가로등2(100b)에 전송한다.
가로등2(100b)는 응급신호를 수신한 후, 차량정지지점을 추적하여 해당 위치의 가로등에 점등명령을 전송한다.
차량정지지점은 가로등2(100b)의 감지거리를 고려하여 추적할 수 있는데, 예컨대, 차량감지센서(30)의 감지거리, 가로등(100) 설치 위치, 및 안테나 설치 방향을 고려할 때, 1킬로미터 정도가 감지거리라고 한다면, 현재 차량(2)이 정지된 위치는 1킬로미터 정도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가로등2(100b)에는 응급상황 시 자동차 정지위치로 예측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의 가로등들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점등명령을 전송한다.
이 점등명령을 전송받은 가로등들은 조도를 높여서 정지한 차량(2)이 쉽게 노출될 수 있게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디밍 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그림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2) 감지 후 연속하여 3개의 가로등에서 차량(2)을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별하고, 중간의 하나의 가로등에서 미감지한 경우에만 에러로 처리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CASE #1을 보면, 가로등1(100a)은 차량(2)을 감지하였고, 가로등2(100b)와 가로등3(100c)는 차량(2)을 미감지하였다. 가로등4(100d)에는 가로등1(100a),2(100b),3(100c)의 (미)감지정보가 전달된다.
한편, 가로등4(100d)는 차량(2)을 감지하였으므로, 차량감지사실을 인접가로등인 가로등3(100c)와 가로등5(100e)에 전달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가로등3(100c)는 본인이 감지하지 못한 것이 에러인 것으로 판단한 후 조도를 높이는 한편, 가로등2(100b)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동일하게, 가로등2(100b)는 감지신호를 수신한 후 본인이 감지하지 못한 것을 에러로 처리하여 조도를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연속하여 2개의 가로등에서 차량(2)을 미감지하였지만 다음 가로등에서 차량(2)을 감지한 경우 신속하여 에러를 판별하여 조도를 높여준다. 하나의 가로등에서만 차량(2)을 미감지한 경우에도 역시 에러로 처리될 것이다.
도 4의 CASE #2를 보면, 가로등1(100a)은 차량(2)을 감지하였고, 가로등2(100b),3(100c),4(100d)에서 차량(2)을 미감지한 경우이다. 가로등4(100d)는 가로등3(100c)으로부터 전송된 감지정보를 통해 이전 가로등들의 차량감지 여부를 알고 있고, 본인도 차량(2)을 미감지하였기 때문에 현 상황을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응급신호를 가로등3(100c)에 전송한다.
가로등3(100c)은 가로등4(100d)로부터 응급신호를 수신하여 동일하게 가로등2(100b)에 전송한다. 가로등2(100b)는 차량정지지점을 추적하여 해당 위치에서 일정범위의 가로등들에 점등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점등명령을 수신한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여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차량(2) 감지 후, 연속하여 2개 또는 3개의 가로등에서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였지만, 미감지 가로등의 개수는 가로등(100)의 감지거리, 가로등(100) 간의 간격, 도로(1) 환경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처리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각 가로등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가로등(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 예컨대 도로를 관리하는 도로공사 등의 중앙서버와 연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2)이 정지된 위치로 예측되는 위치에 있는 가로등들이 점등신호를 수신하면(S10), 조도를 높인다(S11). 다른 예로, 조도를 높이는 대신, 점멸함으로써 타 차량(2)에 경고신호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주변 영상을 촬영한 후(S12), 이 영상을 중앙서버로 전송한다(S13).
중앙서버는 전송받은 영상을 분석하여(S14) 차량(2)이 정지된 위치와 사고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S15).
예컨대, 차량(2)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그 주변 인접 가로등들에 영상정보요청명령을 보내, 다른 주변 영상을 확보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경우는 최초 차량 정지위치 추적이 잘못된 경우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차량(2)이 정지된 위치를 확인하였다면 해당 위치의 가로등들에 점등신호를 보내서 조도를 높인다. 또한, 다르게는 차량(2)의 위치를 확인한 경우 해당 위치에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가로등들에 점멸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획득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2)이 사고가 난 경우라면 관련응급기관, 예컨대, 119, 병원, 또는 차량정비센터 등에 연락을 취해 조속히 응급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S16).
전술한 실시예들은 도 2와 같이 모든 구성이 가로등(100) 각각에 설치되고, 감지신호와 미감지신호를 인접 가로등에 전송하여, 이를 기초로 가로등 각각에서 에러 여부 및 응급상황여부를 판단하여 대처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등(100) 각각에 센서가 부착되지만, 조도의 조절, 에러판단, 응급상황판단 및 대처를 복수의 가로등을 그룹핑하여 하나의 제어부(50)에서 처리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LED 램프 20: LED 구동부
30: 차량감지센서 40: 통신부
50: 제어부 100: 가로등

Claims (7)

  1. 각각 차량 감지 센서가 부착된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에 있어서,
    (a) 가로등에서 차량이 감지되면 조도를 높이고 인접가로등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인접 가로등에 미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b) 상기 차량을 감지한 후 적어도 2개의 연속한 이후 가로등에서 상기 차량을 미감지한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을 추적하여 추적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의 조도를 높이고, 상기 차량이 감지된 경우 상기 미감지신호를 에러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미감지신호가 에러로 판단되면 상기 미감지한 가로등의 조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은,
    (c) 상기 에러가 발생하는 비율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로등의 차량감지센서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교체요청을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은,
    (d) 상기 추적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에서 주변 영상을 획득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앙 서버에서 상기 주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사고 유무 등을 판단하여 응급기관 서버로 해당 사실을 통보하고, 상기 차량이 정지된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안에 위치한 가로등들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가로등들을 점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로등은 다음 인접가로등에 상기 감지신호 또는 미감지신호를 전송할 때, 적어도 이전 인접 가로등 2개의 감지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을 추적하는 단계는 최초 미감지신호를 전송한 가로등의 위치를 기준으로 감지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된 지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연속하여 3개의 가로등에서 상기 차량을 미감지한 경우 상기 연속한 3개의 가로등 중에서 세번째로 미감지한 가로등에서 응급상황임을 이전 가로등들에 알리는 단계;
    첫번째로 미감지한 가로등에서 상기 응급상황임을 통보받으면 상기 차량이 정지된 것으로 추정되는 기설정된 거리에 있는 가로등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가로등들에 점등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점등신호를 수신한 가로등들이 조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KR1020100014011A 2010-02-17 2010-02-17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KR20110094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011A KR20110094549A (ko) 2010-02-17 2010-02-17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011A KR20110094549A (ko) 2010-02-17 2010-02-17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549A true KR20110094549A (ko) 2011-08-24

Family

ID=4493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011A KR20110094549A (ko) 2010-02-17 2010-02-17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5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895B1 (ko) * 2016-05-10 2016-07-19 주식회사 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KR101692217B1 (ko) * 2016-08-26 2017-01-03 주식회사 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WO2017195986A1 (ko) * 2016-05-10 2017-11-16 (주)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장치
KR20170126771A (ko) *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KR20190097965A (ko) * 2018-02-13 2019-08-21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가로등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895B1 (ko) * 2016-05-10 2016-07-19 주식회사 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WO2017195986A1 (ko) * 2016-05-10 2017-11-16 (주)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장치
KR20170126771A (ko) *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US10849208B2 (en) 2016-05-10 2020-11-24 Neobby Method for controlling streetlight, and control apparatus using same
KR101692217B1 (ko) * 2016-08-26 2017-01-03 주식회사 네오비 가로등의 제어방법
KR20190097965A (ko) * 2018-02-13 2019-08-21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가로등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4550A (ko) 가로등 디밍 시스템
US201500847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pedestrian at crosswalk
KR101044224B1 (ko) 차량감응 하이브리드가로등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EP3127403B1 (en) System and methods to support autonomous vehicles via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senso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KR101997430B1 (ko) 차량의 scc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0836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101145955B1 (ko)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4549A (ko)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KR20090049587A (ko) 공공 조명을 위한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GB2470926A (en) Lighting system with sensor controlled illumination groups
US11694552B2 (en) Traffic warning and data capture devices and methods
KR2012011459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CN110933824A (zh) 基于交通态势感知的隧道智能照明节能控制系统与方法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2099463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40078094A (ko)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1026683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를 이용한 횡단보도 보행자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80088186A (ko) 다채널 거리센서가 부설된 횡단보도 보행자 검지 장치 및 그 방법
JP6352247B2 (ja) 道路照明制御装置
EP2982901A1 (en) Road lighting device
KR20110019539A (ko) Y자형 교차로에서의 지능형 신호등제어방법
KR20200086784A (ko) 지능형 조명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067334A (ja) 交通誘導システム及び交通誘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