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610B1 -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610B1
KR100976610B1 KR1020090058069A KR20090058069A KR100976610B1 KR 100976610 B1 KR100976610 B1 KR 100976610B1 KR 1020090058069 A KR1020090058069 A KR 1020090058069A KR 20090058069 A KR20090058069 A KR 20090058069A KR 100976610 B1 KR100976610 B1 KR 100976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ystem
led lighting
manager
device contro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현
김용
김관연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주)오로라 디자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로라 디자인랩 filed Critical (주)오로라 디자인랩
Priority to KR102009005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시스템을 통해 엘이디 조명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엘이디 조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조명 기기;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책이 저장되며, 저장된 상기 제어 정책을 통해, 대응되는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적응형 미들웨어 기반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정책을 원격으로 가변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제어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MODIFIABLE LED LIGHTING SYSTEM USING A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이디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환경 또는 연동 서비스에 따라 엘이디 조명을 가변 제어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조명 소자로는 형광등이나 백열등 등이 있다.
형광등은 발광효율이 높고, 원하는 광색을 얻기 쉬운 장점이 있는 반면, 점등 과정에서 큰 에너지가 소모되고, 설비비가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깜박임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한편, 백열등은 가격이 저렴하고, 점등 시간이 짧은 것에 반해, 수명이 짧고, 발광효율이 낮으며, 대형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조명 소자들의 단점에 비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 조명 소자는 휘도가 높고, 전력 소모가 적을 뿐만 아니라, 관리가 용이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수명이 긴 장점으로 인해, 차세대 조명 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LED 조명 소자도 일반 조명 소자들의 구동 방식과 동일하게, 일괄적으로 점등 및 소등이 제어되는 경우, 형광등이나 백열등에 비해서는 효율이 향상되기는 하지만, LED 조명 소자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이 극대화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도 감지 센서 또는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센서값에 따라 LED 조명 소자의 점등, 소등, 밝기 등을 제어함으로써, LED 조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감지값이나 움직임 감지값의 범위에 따라, 고정되어있는 제어 정책을 통해 LED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에 불과하다.
아울러, 종래에는 LED 조명 제어에 다중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LED 조명의 제어를 위한 센서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제어 정책 등이 전자회로 또는 MCU 기반의 펌웨어 형태로 개발되기 때문에 가변이 불가능하고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처음 설계된 기능 또는 제어 범위를 제외하고는 주위의 상황이나 환경 등에 따른 LED 조명의 가변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제어 시스템을 통해 LED 조명을 설치된 상태에서 가변적으로 내부의 제어 정책 및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 및 제어함으로써, LED 조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다양한 홈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는 LED 조명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 조명 기기;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책이 저장되며, 저장된 상기 제어 정책을 통해, 대응되는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적응형 미들웨어 기반의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정책을 원격으로 가변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엘이디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엘이디 조명 기기;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에 따른 조명 제어 정책이 저장되는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정책을 원격으로 가변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저장된 상기 제어 정책을 통해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들 중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이 내부에 배치된 엘이디 조명 기기, 및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들 중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이 내부에 배치된 엘이디 조명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내부에 포함하지 않는 엘이디 조명기기를 제어한다.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제어 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적응형 미들웨어 기반의 매니저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매니저 그룹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센서부는 조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의 매니저 그룹에 탑재되는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 - 상기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는 상기 조도 감지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의 룰 테이블에 저장함 - 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업데이트를 통해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의 매니저 그룹에 탑재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매니저 -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 매니저는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의 룰 테이블에 저장함 - 를 포함한다.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 및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매니저 그룹은 상기 제어 정책을 이용하여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매니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매니저 그룹에 포함되는 매니저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응형 미들웨어에 기반한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제어를 통해 LED 조명의 구동을 위한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정책 및 제어 프로그램을 유동적으로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LED 조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의 설치 장소, 실내로의 유입 조도, 이벤트 등의 적용 환경에 따라 각각 다른 제어 정책으로 LED 조명을 제어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LED 조명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홈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동 및 확장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 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 기기(100),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200), 적어도 하나의 기기 제어 시스템(300), 및 원격 제어 시스템(400)을 포함한다.
먼저, LED 조명 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 소자를 포함하여, 조명을 발생한다. 즉, LED 조명 기기(100)는 점등, 소등, 밝기 등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기본 단위로서, 하나의 실내 공간 내부에도 다수개의 LED 조명 기기(100)가 배치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한편, LED 조명 기기(100)의 근방 또는 내부에는 각 LED 조명 기기(100)에 대응하여 센서부(200)가 설치되며,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LED 조명 기기(100) 각각에 1:1로 연결되어, 센서부(200)의 감지값에 따라 해당 LED 조명 기기(100)를 제어하게 된다.
센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로는 조도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 가능하다.
즉,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센서부(200)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 또는 움직임값 등에 따라, 담당하는 LED 조명 기기(100)의 밝기 및 색온도 등을 직접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센서 감지값의 범위에 따라 설정된 제어 정책을 통해, LED 조명 기기(100)의 밝기 및 색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조도 감지 센서를 통해 조도값이 설정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조도값에 대응하여 조명의 밝기를 소정 밝기로 제어하라는 제어 정책에 따라, 햇빛이 강한 경우에는 조명의 밝기를 4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조명을 점등하거나, 조명의 밝기를 소정 밝기 이상으로 제어하고,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명을 소등하거나, 조명의 밝기를 소정 밝기 이하로 제어하라는 제어 정책에 따라, LED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센서부(200)가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어떠한 센서를 우선 순위로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제어 정책을 통해, 선택된 우선 순위의 센서 감지값에 따라 LED 조명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조도 감지 센서와 움직임 감지 센서가 함께 구비된 경우, 낮 시간대에는 조도 감지 센서를 우선 순위로 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조도값이 높기 때문에 조명을 소등 상태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200)와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LED 조명 기기(100)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LED 조명 기기(100)별로 각기 다른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각 LED 조명 기기(10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즉, LED 조명 기기(100)와 기기 제어 시스템(300)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구성의 단순화와 제어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기 제어 시스템(700)이 센서부(600)에 의한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LED 조명 기기(510)를 제어하고, 원격 제어 시스템(800)이 기기 제어 시스템(700)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구성은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다.
하지만, 도 2에서는 다수개의 LED 조명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LED 조명 기기(510) 내부에만 기기 제어 시스템(700)이 배치되고, 기기 제어 시스템(700) 이 배치되지 않은 LED 조명 기기(520)들 중 기기 제어 시스템(700)을 포함하는 LED 조명 기기(510)의 주변에 위치하는 LED 조명 기기(520)들을 하나의 기기 제어 시스템(700)이 함께 제어한다.
여기서, 주변에 위치하는 LED 조명 기기(520)들을 제어하는 이유는, 센서부(600)에 의한 감지 정보의 효용성이 유효한 범위의 LED 조명 기기(520)들을 함께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도 2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LED 조명 기기마다 기기 제어 시스템(700)을 마련할 필요없이, 소정 개수의 LED 조명 기기마다 하나의 기기 제어 시스템(700)을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제어 구성이 단순해지고, 시스템 구축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계속해서 도 1에 도시된 LED 조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여기서, 도 1의 실시 예를 기반으로 설명하는 이유는 도면 부호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설명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원격 제어 시스템(400)은 기기 제어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통해 센서 감지값의 범위에 따른 제어 정책 및 센서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제어 정책 등을 원격으로 가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 초기 고정된 제어 정책으로만 LED 조명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조명 기기가 한번 설치된 이후에도 원격 제어 시스템(400)을 통해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변동되는 값에 대한 정보를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실시간으로 변동되어 전달되는 정보 에 따라, 기기 제어 시스템(300)을 통해 LED 조명을 제어하기 때문에 LED 조명의 효율적인 가변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때, 기기 제어 시스템(300)과 원격 제어 시스템(400)은 적응형 미들웨어 구성을 통해 조명 제어 정책을 공유하게 된다.
여기서, 적응형 미들웨어 기술이란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미들웨어 구성을 부분적으로 추가, 삭제, 수정하는 등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기술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적응형 미들웨어 기반의 기기 제어 시스템(300)과 원격 제어 시스템(4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기기 제어 시스템(300)은 제어 모듈 그룹(310), 적응형 미들웨어부(320), 및 테이블 그룹(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 그룹(310)은 해당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 연결되는 LED 조명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매니저 모듈(Manager Module)(311), 네트워크 모듈(Network Module)(312), 및 PWM 모듈(PWM Module)(313)을 포함한다.
매니저 모듈(311)은 적응형 미들웨어부(320)와의 연동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적응형 미들웨어부(320)에서 전달하는 제어 관련 명령을 내부 제어 및 통신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달 내용의 충돌이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모듈(312)은 원격 제어 시스템(400) 및 제어 스위치와의 통신을 담당하여, 통신을 위한 인터럽트 구문 및 통신 내용을 처리한다.
여기서, 통신 방식으로는 유무선 통신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컨대 RF(WPAN) 또는 RS485 시리얼 통신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모듈(312)은 다른 LED 조명 기기에 연결된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LED 조명 기기 간의 연동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의 위치 또는 이동에 따라 LED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사람이 A 위치에서 B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A 위치에 배치되어 사람의 움직임을 먼저 감지한 기기 제어 시스템이,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며 현재 B 위치로 이동 중이라는 정보를 B 위치에 배치된 기기 제어 시스템에 전달하면, B 위치의 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람이 도착하기 전에 미리 조명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다.
PWM 모듈(313)은 적응형 미들웨어부(32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테이블 그룹(330)으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 PWM)를 통해 LED 조명 소자(11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발생함과 아울러, 발생된 신호를 안정화함으로써, LED 조명 소자(110)를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적응형 미들웨어부(320)는 매니저 그룹(321) 및 코어 미들웨 어(322)를 포함한다.
매니저 그룹(321)은 LED 조명의 제어 관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매니저를 포함하며, 매니저 그룹(321)에 속하는 매니저들은 원격 제어 시스템(400)에 의해 추가 또는 삭제 등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적응형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매니저 그룹(321)은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Illumination Sensor Manager)(321a), 시간 동기화 매니저(Time Sync Manager)(321b), 및 움직임 감지 센서 매니저(Motion Detection Manager)(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200)는 조도 감지 센서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321a)는 센서부(200)의 조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값을 다른 기기 제어 시스템이나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 전송, 또는 감지된 조도값을 이용한 제어용 룰을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하여 테이블 그룹(330) 내의 룰 테이블(331)에 저장하거나, 파라미터 테이블(334)에 기록되는 조도값을 관리한다. 여기서 룰이란, LED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책을 의미하며,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부터의 제어용 룰은 웹 크롤링(Crawling)을 통해 자동 갱신되거나, 사용자의 수동 입력을 통해 작성될 수 있다.
시간 동기화 매니저(321b)는 시간에 기반하여 LED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 정확한 시간 정보를 얻기 위해, 원격 제어 시스템(400)과의 시간 동기화를 담당하며, 시간 기반 조명 제어에 필요한 적절한 룰을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하 여 룰 테이블(331)에 저장하거나, 공유 테이블(334)에 동기화된 시간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시간 기반 조명 제어란, 시간대에 따라 LED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컨대 조도값의 변화나 사람의 부재 여부 등을 시간대별로 분류하여, 해당 시간대에 적합한 밝기로 LED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움직임 감지 센서 매니저(321c)는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321a)와 마찬가지의 역할을 수행하여, 움직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다른 기기 제어 시스템이나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 전송, 또는 감지된 움직임값을 이용한 제어용 룰을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하여 룰 테이블(331)에 저장하거나, 파라미터 테이블(334)에 기록되는 움직임값을 관리한다. 여기서, 움직임 감지를 통한 제어용 룰 또한 상술한 조도 감지를 통한 제어용 룰과 마찬가지로 자동 또는 수동 작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니저는 LED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의 역할을 한다.
코어 미들웨어(322)는 매니저 그룹(321) 내의 각 매니저들을 관리하고, 매니저들간의 스케쥴링, 매니저들의 테이블 그룹(330)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적응형 미들웨어부(320)의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된 매니저를 등록하여 매니저 그룹(321)에 삽입함으로써, 구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원격 제어 시스템(400)으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매니저 그룹(321)에 존재하는 기존의 매니저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코어 미들웨어(322)는 기기 제어 시스템(300)의 자원 한도 내에서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 저장되는 매니저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초기에 LED 조명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정한 매니저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매니저의 확장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종래에 흔히 사용되는 펌웨어 업데이트 방식의 경우에는, 펌웨어 전체를 수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업데이트 중에 프로그램의 사용이 불가능하고, 네트워크 품질이 안정적으로 보장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적응형 미들웨어 구성을 통해 부분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원하는 매니저만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의 추가 및 삭제가 간편하고, 타 서비스와의 연동성이 향상되며, 네트워크 품질에도 구애받지 않아 펌웨어 업데이트 방식에 비해 업데이트가 안정적이다.
아울러, 코어 미들웨어(322)는 원격 제어 시스템(400)과의 통신에 있어서 인증 및 전송 제어 등을 담당한다.
테이블 그룹(330)은 제어 모듈 그룹(310)과 적응형 미들웨어부(320)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테이블들을 포함하여, 기기 제어 시스템(300)의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룰 테이블(Rule Table)(331), 공유 테이블(Share Table)(332), 변수 테이블(Variable Table)(333), 및 파라미터 테이블(Parameter Table)(334)을 포함할 수 있다.
룰 테이블(331)은 LED 조명의 제어를 위한 통합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룰 테이블(33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도 감지 센서 기반의 룰, 움직임 감지 센서 기반의 룰, 시간 기반의 룰 등 다양한 제어 정책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룰 테이블(331)에 저장되는 정보는 PWM 모듈(313)로 직접 제공되어, LED 조명 소자(110)들을 실질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된다.
이때, 룰 테이블(331)에 저장되는 각 룰들은 적응형 미들웨어부(320)의 각 매니저들을 통해 저장되고, 매니저들은 원격 제어 시스템(4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한번 설정되어 고정된 제어 정책으로 LED 조명이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원격 제어 시스템(400)에 의한 실시간 가변 제어 정책으로 LED 조명이 제어되는 것이다.
공유 테이블(332)은 제어 모듈 그룹(310)과 적응형 미들웨어부(320) 간에 공유할 정보가 저장되며, 시간 정보, 실시간 센서 정보, 원격 제어 시스템(400)과의 연동시 필요한 ID 등의 공유 정보가 공유 테이블(332)에 저장될 수 있다.
변수 테이블(333)에는 제어 모듈 그룹(310)과 적응형 미들웨어부(320) 간의 정보 전달을 위한 변수값이 저장되어, 광역 변수 전송에 사용된다.
파라미터 테이블(334)은 제어 모듈 그룹(310)과 적응형 미들웨어부(320)에 사용되는 테이블로서, 파라미터 테이블(334)에는 활용 가능한 네트워크 주소, 전송 스케쥴, 전송 버퍼 등 제어 상태나 네트워크 상태 등의 파라미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의 원격 제어 시스템(400)은 서비스 계층(410), 서비스 계층(410)의 하부에 탑재되는 적응형 미들웨어 계층(420), 및 적응형 미들웨어 계층(420)의 하부에 탑재되는 OS 계층(4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서비스 계층(420)은 일반적인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디바이스 제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Device Control API)(411), 디바이스 리포트 API(Device Report API)(412), 및 서버 관리 UI(Server Managerment User Interface)(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바이스 제어 API(411)는 제어 대상인 LED 조명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조명을 LED 조명 기기(100)를 점등 또는 소등하거나, 밝기를 조절함과 아울러, 센서부(200) 내의 센서들을 함께 제어한다.
디바이스 리포트 API(412)는 LED 조명 및 센서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으로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 또는 LED 조명의 구동 상태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리포팅함으로써, 사용자가 디바이스 제어 API(411)를 통해 직접적으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컨대, 센서부(200)가 전력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 리포트 API(412)가 제공하는 전력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도록 조명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서버 관리 UI(413)는 서비스 계층(420) 자체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제어상 의 문제점 등을 리포팅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다. 서버 관리 UI(413)는 웹을 기반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이면 어느 곳에서나 사용자가 조명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의 용이성이 뛰어나다.
적응형 미들웨어 계층(420)은 원격 매니저 그룹(421), 매니저 관리 코어(Manager Management Core)(422), 지식 코어(Knowledge Core)(423), 룰 코어(Rule Core)(424), 데이터베이스 코어(Database Core)(425), 서버 코어(Server Core)(426), 및 디바이스 관리 코어(Device Management Core)(427)로 구성될 수 있다.
원격 매니저 그룹(421)에는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매니저들이 마련되며, 매니저 관리 코어(422)는 원격 매니저 그룹(421)에 포함된 매니저들 중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서 사용 가능한 매니저들을 미들웨어 기반으로 연동하여 기기 제어 시스템(300)에 제공한다. 즉, 매니저 관리 코어(422)는 기기 제어 시스템(300) 내부의 코어 미들웨어(322)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기기 제어 시스템(300)으로 특정 신규 매니저를 전송하거나, 이미 추가되어 있는 매니저에 대한 삭제 또는 업데이트 명령을 전송하며, 기기 제어 시스템(300) 내부의 적응형 미들웨어부(320) 상태에 대한 리포팅을 담당한다.
도 4에는 원격 매니저 그룹(421)이 기기 제어 시스템(300)의 매니저 그룹(321)과 마찬가지로,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Illumination Sensor Manager)(421a), 시간 동기화 매니저(Time Sync Manager)(421b), 및 움직임 감지 센서 매니저(Motion Detection Manager)(421c)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원격 매니저 그룹(421)은 조명 제어에 사용 가능한 더욱 다양한 매니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기 제어 시스템(300)의 매니저 그룹(321)에는 원격 매니저 그룹(421)과의 연동을 통해 원격 매니저 그룹(421)의 매니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탑재될 수 있다.
지식 코어(423)는 온톨로지 기반의 지식 정보를 조명 제어에 활용하고, 인터넷 기반의 여러 정보들을 크롤링(Crawling)하여, 이를 LED 조명 제어에 반영 가능한 지식 형태로 재생성한다. 예컨대, 인터넷상의 날씨 정보를 LED 조명 제어를 위한 색온도에 맵핑하여, 날씨 변화에 따른 조명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룰 코어(424)는 제어를 위한 여러 룰들의 충돌을 방지하는 룰 엔진이며, 데이터베이스 코어(425)는 본 발명의 LED 조명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에 대한 데이터 및 시스템 자체의 데이터를 보관한다.
서버 코어(426)는 서버의 기능을 담당하여, 네트워크 응답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서버 프로그램이며, 디바이스 관리 코어(427)는 서비스 계층(410)으로부터 지시된 LED 조명 또는 센서에 대한 제어, 리포팅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OS 계층(430)에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서버 구동 시스템(Server Operating System)(431)이 배치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 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기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및
도 4는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510, 520 : LED 조명 기기 200, 600 : 센서부
300, 700 : 기기 제어 시스템 310 : 제어 모듈 그룹
311 : 매니저 모듈 312 : 네트워크 모듈
313 : PWM 모듈 320 : 적응형 미들웨어
321 : 매니저 그룹 322 : 코어 미들웨어
330 : 테이블 그룹 331 : 룰 테이블
332 : 공유 테이블 333 : 변수 테이블
334 : 파라미터 테이블 400, 800 : 원격 제어 시스템
410 : 서비스 계층 411 : 디바이스 제어 API
412 : 디바이스 리포트 API 413 : 서버 관리 UI
420 : 적응형 미들웨어 계층 421 : 원격 매니저 그룹
422 : 매니저 관리 코어 423 : 지식 코어
424 : 룰 코어 425 : 데이터베이스 코어
426 : 서버 코어 427 : 디바이스 관리 코어
430 : OS 계층 431 : 서버 구동 시스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엘이디 조명 기기;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에 따른 조명 제어 정책이 저장되는 기기 제어 시스템; 및
    서버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계층, 및 적응형 미들웨어 계층을 포함하여,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 정책을 원격으로 가변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저장된 상기 제어 정책을 통해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들 중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이 내부에 배치된 엘이디 조명 기기, 및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들 중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이 내부에 배치된 엘이디 조명 기기의 주변에 위치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을 내부에 포함하지 않는 엘이디 조명기기를 제어하며,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제어 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하고,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제어 정책을 이용하여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인 매니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적응형 미들웨어 기반의 매니저 그룹, 및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과의 통신 및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서비스 계층은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인 디바이스 제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상기 엘이디 조명 기기 및 상기 센서부의 정보를 리포팅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인 디바이스 리포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상기 서비스 계층을 제어하는 서버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적응형 미들웨어 계층은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매니저들이 저장되는 원격 매니저 그룹, 및 상기 기기 제어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원격 매니저 그룹에 저장된 매니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매니저 그룹에 추가하고, 상기 매니저 그룹에 포함된 매니저를 삭제 또는 수정하여 상기 매니저 그룹을 업데이트하는 매니저 관리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 매니저 그룹은 조도 감지 센서 매니저 및 움직임 감지 센서 매니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58069A 2009-06-29 2009-06-29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0976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069A KR100976610B1 (ko) 2009-06-29 2009-06-29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069A KR100976610B1 (ko) 2009-06-29 2009-06-29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610B1 true KR100976610B1 (ko) 2010-08-18

Family

ID=42759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069A KR100976610B1 (ko) 2009-06-29 2009-06-29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6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671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655B1 (ko) * 2015-12-23 2017-04-06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조명 장치들의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119B1 (ko) * 2017-11-02 2018-06-26 주식회사 가보테크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537A (ko) * 2004-09-21 2006-03-24 김동완 마이컴 제어를 이용한 디지털 조명제어시스템
KR100810585B1 (ko) * 2006-08-04 2008-03-06 (주)지오넷 가로등 시스템
KR20080060603A (ko) * 2006-12-27 2008-07-02 정강화 유/무선 겸용 건축물 조명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537A (ko) * 2004-09-21 2006-03-24 김동완 마이컴 제어를 이용한 디지털 조명제어시스템
KR100810585B1 (ko) * 2006-08-04 2008-03-06 (주)지오넷 가로등 시스템
KR20080060603A (ko) * 2006-12-27 2008-07-02 정강화 유/무선 겸용 건축물 조명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671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73040B1 (ko) * 2011-12-30 2016-11-0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655B1 (ko) * 2015-12-23 2017-04-06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조명 장치들의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119B1 (ko) * 2017-11-02 2018-06-26 주식회사 가보테크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4145A (zh) 具有连接分组的照明系统
US201102213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US954497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intelligent lighting networks
US201202121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based on dali communication
US20120013257A1 (en) Illumination control network
CN109219987A (zh) 连接的照明系统
US20100204847A1 (en) Wireless infrastructure mesh network system using a lighting node
KR101190063B1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405404B1 (en) Lighting controls data synchronization
JP2017123319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コントローラ
US9215785B2 (en) Network connection device based on light source
KR2013001299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디밍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방법
CN102625530A (zh) 基于ieee802.15.4的led灯光遥控系统
KR100976610B1 (ko)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JP2017022058A (ja) Led照明システム
CN110856313A (zh) 一种智能夜灯控制方法及系统
KR20140064359A (ko) 조명장치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1417245A (zh) 物联网照明管理系统
CN104854401A (zh) 用于照明器材模块的主/从布置
CN204287781U (zh) Led照明装置、智能家庭控制服务器、智能家庭终端及智能家庭控制系统
KR102043196B1 (ko)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371297B (zh) 一种双路独立控制与计量的智能灯具控制器及控制方法
CN105764197A (zh) 基于WIFI‐ZigBee融合通信的智能照明系统
US10725140B2 (en) Operating of a transmission device of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illumination device
Chau et al. IP-enabled LED lighting supporting indoor mobile and wireless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