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259B1 - 가변형 교통표지판 - Google Patents

가변형 교통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259B1
KR101672259B1 KR1020160067014A KR20160067014A KR101672259B1 KR 101672259 B1 KR101672259 B1 KR 101672259B1 KR 1020160067014 A KR1020160067014 A KR 1020160067014A KR 20160067014 A KR20160067014 A KR 20160067014A KR 101672259 B1 KR101672259 B1 KR 10167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sensor
uni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충렬
양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양충렬
양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양충렬, 양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Priority to KR1020160067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05B37/0218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 상황에 따라 제한 내용이 바뀌어 표시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맑은 날씨에는 지정된 정상 속도의 숫자가 표시되고, 우천시나 안개 발생과 같이 악천후 시에는 감속된 속도의 숫자 혹은 '감속', '안개', '주위' 등의 문자가 점멸되도록 표시되거나, 정상 속도의 숫자와 감속된 속도의 숫자가 상호 교호적으로 점멸 표시되게 하여 우천시나 안개 발생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가변형 교통표지판이다.

Description

가변형 교통표지판{changeable sign board device}
본 발명은 기상 상황에 따라 제한 내용이 바뀌어 표시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맑은 날씨에는 지정된 정상 속도의 숫자가 표시되고, 우천시나 안개 발생과 같이 악천후 시에는 감속된 속도의 숫자 혹은 '감속', '안개', '주위' 등의 문자가 점멸되도록 표시되거나, 정상 속도의 숫자와 감속된 속도의 숫자가 상호 교호적으로 점멸 표시되게 하여 우천시나 안개 발생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도로, 국도, 고속도로 등의 모든 도로에는 운전자들에게 진행방향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도로표지판 및 안내표지판과 같은 교통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복잡한 시내도로의 교차로 등에 많이 설치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목적지까지 편리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교통표지판은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안내하고 또한 교통안전을 위하여 도로에 표시하는 각종 표지판으로 주의표지판, 규제표지판, 지시표지판, 보조표지판 등 법령에 의해 구체적 형태와 규격이 정해져 오고 있으며, 차량이 다니는 도로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설치되어 보행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주의 표지판은, 도로 상태가 위험하거나, 도로나 그 부근에 위험물이 있는 경우, 필요한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지판으로서, 노란색 바탕의 정삼각형 표지판에 빨간색 테두리가 둘러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붉은색을 사용해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이 특징이다.
규제 표지판은, 도로 교통의 안전을 위해 각종 제한과 금지 등을 알려주는 안내판으로서, 현재 주행 중인 도로에 적용된 규제를 도로 사용자에게 정확히 알려주기 위함이며, 흰색, 빨간색 바탕의 원형, 역삼각형, 팔각형 표지판에 빨간색 테두리와 횡선이 그려진 형태 등이 있다.
지시 표지판은, 도로의 통행 방법, 통행 구분 등 도로 교통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지시를 알려주는 안내판으로서, 도로 사용자가 통행법 등 주행 중에 따라야 할 규칙들을 준수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며, 파란색 바탕의 원형, 사각형, 오각형 표지판을 사용하고 흰색 화살 표시와 기호, 문자가 표시된 형식을 띄고 있다.
보조 표지판은, 주의 표지판과 규제 표지판 및 지시 표지판의 주기능을 보충하여 표지판의 의미를 명확히 도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흰색 바탕의 직사각형, 정사각형 표지판에 보충하는 내용의 문자나 기호가 적혀 있다.
이와 같은 표지판은 철판 등으로 형성된 판재 위에 재귀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지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자동차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 운전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하지만, 안개 발생시 대기압에 따른 표지판의 이슬 맺힘 현상시, 우천시, 야간시 등에는 반사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반사지를 이용하는 도로 표지판은 운전자에게 충분한 안전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사고 위험이 증가 된다.
나아가, 반사지의 반사 수명이 예상 수명보다 짧아져서 반사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반사지는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내구성이 저하되어 반사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도로 구간 중 급커브길과 같은 위험 지역에서 도로 표지판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사망사고에 이르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러한 경우 국가는 사고 피해자 또는 보험사에게 배상 책임을 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발광소자를 이용한 교통표지판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표지판은 운전자에 알리고 싶은 도로 표지부분에 대해서만 발광되므로 야간 주행시 운전자가 도로 표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소자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의 경우 많은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소비전력이 높아 충전용량이 큰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이는 생산 원가의 상승 및 제작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광섬유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이 최근에 선보이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는 소비전력이 적으면서도 고휘도의 발광력을 가지고 있고 자유변형이 좋은 장점이 있어 각종의 광고판이나 도로안내표시판 등 여러 가지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0-0005162호에는 '광섬유를 이용한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표시장치는 광섬유로 문자나 그림을 표현하기 위해서 표지판에 많은 구멍을 뚫어주고, 각 구멍에 광섬유를 설치하여 구성되며, 각 광섬유들은 광원과 연결된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은 표지판의 전면으로 돌출된 광섬유의 단부를 통해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표시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의해 표시되는 제한 내용이 단일의 하나만이 표시되었다. 즉, 단순히 도로 안내를 위해 한가지만을 제안할 수 있도록 표시됨으로서, 기상 악화 혹은 과속에 의한 경고 표시가 되지 못하여 운전자의 사고예방에는 별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로의 운행 가능 속도를 규정하기 위해 규정속도가 숫자로 표시된 제한속도표지판은, 그 제한속도표지판의 설치만으로도 사고발생 확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평상시에 제한 속도가 100키로인 도로에서 우천시 혹은 안개 발생시에는 가시거리가 짧고, 노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저속 운행을 해야함으로 제한 속도의 표시 숫자를 바꾸어 주는 것이 좋다. 즉, 제한 속도의 숫자 '100'이 표시되지 않고, 감속 속도의 숫자 '50' 혹은 '감속' 이라는 문자가 표시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현재에는 기상 상황에 따라 제한 내용이 바뀌어 표시될 수 있는 표지판은 전혀 없었다. 예컨대, 맑은 날씨에는 지정 속도의 숫자가 표시되고, 우천시나 안개 발생시에는 감속된 속도의 숫자가 표시되거나 혹은 정상 속도의 숫자와 감속 속도의 숫자가 상호 교호적으로 점멸되도록 표시되는 표지판은 전혀 없었음으로, 기상 악화 혹은 과속에 의한 경고 표시가 되지 못하여 운전자의 사고예방에는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고속도로는 산맥을 가로지르는 도로의 특성상 안개와 결빙, 강풍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물류수송을 위한 대형화물차의 운행이 많아 사고 발생시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즉, 도 11 내지 도 12표시와 같이 2006년에 안개로 인한 서해대교의 대형 교통사고, 및 2015년 안개로 인한 영종대교의 대형 교통사고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현재에는 안개 발생시 안전 대책이 미흡한 실정으로, 대형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0-0005162호, 광섬유를 이용한 표시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상 상황에 따라 제한 내용이 바뀌어 표시될 수 있도록, 예컨대 맑은 날씨에는 지정된 정상 속도의 숫자가 표시되고, 우천시나 안개 발생시에는 감속된 속도의 숫자 혹은 감속이라는 문자가 표시되거나, 정상 속도의 숫자와 감속된 속도의 숫자가 상호 교호적으로 점멸 표시되게 하여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게 한 가변형 교통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표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 형상의 패널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의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는 광섬유의 선단부가 삽입 고정된 광섬유 홀더부재와,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에 삽입 고정된 광섬유의 후단부가 결속되고, 결속된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제공할 수 있는 광원으로 이루어진 표지판 유닛; 상기 표지판 유닛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유닛; 및 상기 전원 유닛의 전원을 상기 광원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센서; 상기 조도 감지센서와 연동되며, 주변의 눈이나 비를 감지하는 눈비 감지센서; 상기 조도 감지센서와 연동되며, 주변의 안개를 감지하는 안개밀도 감지센서; 및 각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측정값이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상기 표지판 유닛에서 표출되는 내용이 달라지게 표출되도록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전달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눈비 감지센서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재를 구성하는 판체의 상단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발신부와 수신부가 설치되어,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된 신호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될 때, 상기 발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지장물이 감지되면 눈비 여부로 판단하고,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는: 적외선 반사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재를 구성하는 판체의 상단 어느 일측에 발수신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소정 거리를 두고 판체의 다른 일측에 반사경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된 신호가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상태에 따라 안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눈비 감지센서와 안내밀도 감지센서에 의한 측정값에 따라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지정된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와 감속된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어,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출될 수 있도록 광섬유를 통해 빛이 전달되는 제1 빛전달경로부와,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점멸될 수 있도록 광섬유를 통해 빛이 전달되는 제2 빛전달경로부 중 어느 하나의 빛전달경로부를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빛전달경로는: 상기 제어기로 입력된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내이면 맑은 날씨로 판단하여, 상기 패널부재에서 지정된 속도의 숫자가 표출되도록 빛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빛전달경로부는: 상기 제어기로 입력된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미만이면 비, 안개가 있는 날씨로 판단하여, 상기 패널부재에서 감속 속도의 숫자, 감속 문자가 점멸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고, 상기 패널부재는: 소정 면적을 갖는 판체; 상기 판체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 상기 판체의 전면 중앙에 표현하고자 하는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를 형성하여 부착된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 및 상기 판체의 전면에 지정 숫자가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부착된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홀은: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표시되는 내용이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및 감속 문자가 모두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판체에 복수의 관통홀이 문양이나 문자, 숫자 및 기호의 형태에 맞춰 형성되되, 상기 판체에 부착되는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와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내용이 표출될 때, 상기 판체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과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에 의해 야간에 차량 불빛이 반사되지 않게 하여 야간에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표출되는 숫자 혹은 문자를 운전자가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는: 맑은 날씨에 반사경을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상태를 100으로 기준 하였을 경우, 반사경을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상태가 70~80 이하일 경우 안개가 있는 날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눈비 감지센서와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는, 상기 패널부재를 구성하는 판체의 상단 양측에 돌출되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게 제1, 제2 센서고정바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1 센서고정바에는 상기 눈비 감지센서의 발신부와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의 발수신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센서고정바에는 상기 제1 센서고정바에 설치된 눈비 감지센서의 발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센서고정바에 설치된 안내밀도 감지센서의 발수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사경을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유닛은: 상원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제1 전원부; 혹은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쏠라판과, 쏠라판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로 이루어진 제2 전원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누전 차단기를 통해 공급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체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은 흑색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판체에 부착된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는 백색으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는 적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에 의하면, 기상 상황에 따라 제한 내용이 바뀌어 표시되게 함으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①안개 및 결로가 자주 발생하고, 안개가 매우 짙은 구간, ②선형이 좋지 않아 악척후 시 교통사고가 빈번한 구간, ③과속을 제한하고 감속을 유도하고자 하는 구간에 설치하게 되면,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습도감지센서는 오동작이 많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은 수발신 가능한 적외선 및 적외선 반사센서를 이용하여 눈, 비, 안개를 감지함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표지판 유닛의 패널부재에 대한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표지판 유닛에서 광섬유 홀더부재에 의해 광섬유가 페널부재에 고정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표지판 유닛에서 광섬유 홀더부재에 광섬유가 삽입 고정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광섬유 홀더부재에 광섬유가 삽입 고정되어 패널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광섬유 홀더부재에 광섬유가 삽입 고정되어 패널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제어유닛에 의해 악천후 시 일반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가변되는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가변형 교통표지판이 도로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예를 보인 사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안개로 인해 대형 교통사고의 발생 현장을 찍은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표지판 유닛의 패널부재에 대한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표지판 유닛에서 광섬유 홀더부재에 의해 광섬유가 페널부재에 고정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표지판 유닛에서 광섬유 홀더부재에 광섬유가 삽입 고정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광섬유 홀더부재에 광섬유가 삽입 고정되어 패널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광섬유 홀더부재에 광섬유가 삽입 고정되어 패널부재의 관통홀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교통표지판에 구비되는 제어유닛에 의해 악천후 시 일반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가변되는 예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가변형 교통표지판이 도로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예를 보인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은 표지판 유닛(110)과 전원 유닛(120) 및 제어 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판 유닛(110)에는 패널부재(1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부재(112)는 소정 면적을 갖는 판체(112a)의 표면에 무반사 코팅층(112b)이코팅 처리되고, 상기 판체(112a)의 전면 중앙에 표현하고자 하는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를 형성하여 부착된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가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판체(112a)의 전면에 지정 숫자가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부착된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112d)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판체(112a)는 금속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알루미늄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판체(112a)의 표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112b)은 흑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상기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는 백색, 그리고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112d)는 적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ㄷ다.
이와 같은 상기 패널부재(112)는 상기 판체(112a)에 표지판의 표시내용을 표현할 수 있게 복수의 관통홀(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관통홀(113)은 하나의 패널부재(112)에서 표시되는 내용이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및 감속 문자가 모두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판체(112a)에 복수의 관통홀(113)이 문양이나 문자, 숫자 및 기호의 형태에 맞춰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113)은 판체(112a)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은 물론, 상기 판체(112a)에 부착되는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와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112d)까지 모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3)에 설치되는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내용이 표출될 때, 상기 판체(112a)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112b)과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에 의해 야간에 차량 불빛이 반사되지 않게 하여 야간에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표출되는 숫자 혹은 문자를 운전자가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패널부재(112)는 주간에 백색으로 구성되는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를 운전자가 선명하게 인식하고, 야간에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지정 속도 이외의 다른 감속된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표출될 경우 무반사 코팅층(112b) 및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가 차량의 불빛에 반사되지 않게 됨으로서, 감소된 숫자 혹은 감속 문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주간에는 광섬유를 통한 불빛에 의해 지정된 숫자를 표시하여도 잘 보이지 않게 됨으로, 주간에는 무반사 시트지로 지정 속도를 표현하고, 야간에는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지정 속도의 숫자 혹은 감속된 숫자 혹은 감속 문자를 표출시 차량 불빛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하여 야간에 정확한 시인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 유닛(110)에는 광섬유 홀더부재(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14)는 패널부재(112)의 관통홀(113)에 광섬유(102)의 선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광섬유(102)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패널부재(112)의 관통홀(113)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14)는 광섬유(102)가 삽입 고정될 수 있게 양단이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112)의 관통홀(113)에 광섬유(102)를 삽입 고정시킬 수 있는 갖는다.
예컨대, 도 3표시와 같이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14)는 상기 패널부재(112)에 형성되는 관통홀(113)의 후단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홀더부재(112)의 선단면과 패널부재(112)의 후단면, 그리고 광섬유(102)의 외주면과 관통홀(113)의 내주면에 각각 점착제(a)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14)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4a)와, 상기 몸체(114a)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14a)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삽입부(114b)와, 상기 삽입부(114b)의 일측에 형성되고 단부로부터 진행할수록 전진적으로 외경이 작아지는 가이드부(114c)와, 상기 몸체(114a)에서 상기 가이드부(114c)까지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광섬유(102)가 삽입되는 삽입홀(114d)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14b)는 몸체(114a)의 일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되,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연장된다. 이때, 삽입부(114b)의 외경은 패널부재(112)에 형성되는 관통홀(113)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4c)는 삽입부(114b)와 접하는 부분의 외경이 삽입부(114b)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단부의 직경은 관통홀(113)의 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14c)는 관통홀(113)에 광섬유 홀더부재(114)를 삽입시 그 삽입을 용이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관통홀(113)로부터 광섬유 홀더부재(11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14)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삽입홀(114d)의 직경을 축소시키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삽입홀(114d)의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14b) 및 가이드부(114c)를 다수로 분할하는 절개 슬릿(114e)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절개 슬릿(114e)은 삽입부(114b)에서 가이드부(114c)의 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 슬릿(114e)은 삽입부(114b)에서 가이드부(114c)의 단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너비가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114)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사출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광섬유 홀더부재(114)에 의한 광섬유의 고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광섬유 홀더부재(114)의 삽입홀(114d)로 광섬유(102)를 삽입한다.
이때, 몸체(114a)에 형성된 삽입홀(114d)은 광섬유(102)의 통과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광섬유(102)의 직경 보다 약간 더 크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114b) 및 가이드부(114c)에 형성된 삽입홀(114d)은 광섬유(102)의 직경 보다 약간 더 작게 형성된다.
몸체(114a)를 통과하여 광섬유(102)가 삽입부(114b) 및 가이드부(114c)의 삽입홀(114d)로 삽입되면 절개 슬릿(114e) 구조에 의해 여러 개로 분할된 삽입부(114b) 및 가이드부(114c)는 바깥으로 벌어지면서 광섬유(102)가 충분히 통과될 수 있도록 직경을 확장시킨다.
광섬유(102)가 완전히 광섬유 홀더부재(114)를 통과하면 패널부재(112)의 관통홀(113)에 광섬유 홀더부재(114)를 삽입한다.
이때, 가이드부(114c)가 관통홀을 먼저 통과하여 삽입부(114b)가 관통홀에 결합된다.
관통홀에 삽입된 삽입부(114b)의 외주면에는 광섬유 홀더부재(114)의 중심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고,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삽입부(114b)와 가이드부(114c)는 삽입홀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오므라든다.
따라서 삽입부(114b)의 내측면이 광섬유(102)의 외주면을 강하게 밀착함으로써 광섬유(102)를 광섬유 홀더부재(114)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적용된 광섬유(102)로는 유리광섬유나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리광섬유보다 광학적 특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광섬유를 이용한다. 플라스틱 광섬유는 단면적 대비 Core의 비율이 매우 크다. 예를 들면, 1mm Out-dia규격의 광섬유 Core dia는 0.98mm, Clad dia는 0.02mm이므로 광섬유 단면적 대비 Core 비율은 98%이다. 이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빛 전달 효율이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는 저가격화가 가능하고 뛰어난 벤딩(Bending)특성으로 인해 설치가 용이하고 외부충격에도 강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광섬유는 고순도 아크릴 레진(PMMA : Polymethyl methacrylate)으로 된 코어와 특수 불소 폴리머(F-PMMA : Fluorine Polymethyl methacrylate)로 만들어진 얇은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진다. 클래드의 굴절율(refractive index)이 코어보다 낮으므로 광섬유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들어온 광은 코어와 클래드의 접속면에서 전반사(Total-Reflection)를 일으켜 코어를 통하여 타측 종단으로 전달되어 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부재(112)의 관통홀(113)에 장착된 광섬유 홀더부재(114)에 삽입 고정되는 광섬유는, 선단에서 출광되는 빛이 하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광섬유(102)의 선단이 하향 경사면(102a)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섬유(102)의 선단에 형성된 하향 경사면(102a)은 상기 광섬유(102)의 선단에서 하향으로 1~5도의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표지판은 운전자의 시야보다 높은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표지판의 표시내용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광섬유(102)의 선단에 하향 경사면(102a)을 이루게 형성하게 되면 출광되는 빛이 하향을 향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가 표지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예컨대, 표지판에 고정되는 광섬유의 선단은 광섬유 길이의 법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표지판을 아래쪽에서 바라보는 차량 운전자는 식별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바, 상기 광섬유(102)의 끝단부를 하향으로 일정한 하향 경사면(102a)을 이루게 절단하여 형성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지판 유닛(110)에는 광원(1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광원(116)은 광섬유 홀더부재(114)에 삽입 고정된 광섬유(102)의 후단부가 결속되고, 결속된 광섬유(102)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광원(116)은 발광다이오드(LED: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광섬유(102)를 통해 패널부재(112)의 전방에서 고르게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광원(116)은 전원 유닛(1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원 유닛(120)은 상원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제1 전원부(122), 혹은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쏠라판(124a)과, 상기 쏠라판(124a)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124b)로 이루어진 제2 전원부(124)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상기 전원 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누전 차단기(126)를 통해 공급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전원부(122)에 의한 교류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상기 제2 전원부(124)에 의한 태양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날씨가 좋은 날에는 제2 전원부에 의해 태양광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제1 전원부에 의한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유닛(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제어 유닛(130)에 의해 상기 광원(116)에 전달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어 유닛(130)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32)와, 상기 조도 감지센서(132)와 연동되며 주변의 눈이나 비를 감지하는 눈비 감지센서(133)와 상기 조도 감지센서(132)와 연동되며, 주변의 안개를 감지하는 안개밀도 감지센서(134)가 구비되며, 각 감지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이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상기 표지판 유닛(110)에서 표출되는 내용이 달라지게 표출되도록 광원(116)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전달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135)는 각 감지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하나의 패널부재(112)에서 지정된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와 감속된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135)는 광원(116)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광섬유(102)를 통해 전달되어 하나의 패널부재(112)에서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출될 수 있도록 광섬유(102)를 통해 빛이 전달되는 제1 빛전달경로부(136a)와, 하나의 패널부재(112)에서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점멸될 수 있도록 광섬유(102)를 통해 빛이 전달되는 제2 빛전달경로부(136b) 중 어느 하나의 빛전달경로부를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기(135)로 입력된 측정값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내이면, 즉 주변의 눈이나 비 혹은 안개가 감지되지 않으면 맑은 날씨로 판단하여, 상기 패널부재(112)에서 지정된 정상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빛전달경로부(136a)로 빛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135)로 입력된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미만이면, 즉 주변의 눈이나 비 혹은 안개가 감지되면, 비나 눈 혹은 안개가 있는 날씨로 판단하여 상기 패널부재(112)에서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및 감속이라는 문자가 상호 교호적으로 점멸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빛 전달경로부(136b)로 빛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기(1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35a, CPU), 메모리(135b, MEMORY), 서포트 회로(135c,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35a)는 본 실시예에서 각 감지센서들에서 측정된 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35b,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35a)와 연결된다. 메모리(135b)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35c,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35a)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35c)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눈비 감지센서(133)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재(112)를 구성하는 판체(112a)의 상단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발신부(133a)와 수신부(133b)가 설치되어, 상기 발신부(133a)에서 발신된 신호가 상기 수신부(133b)에서 수신될 때, 상기 발신부(133a)와 수신부(133b) 사이에 지장물이 감지되면 눈비 여부로 판단한다.
한편, 안개밀도 감지센서(134)는 적외선 반사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재(112)를 구성하는 판체(112a)의 상단 어느 일측에 발수신부(134a)가 설치됨과 아울러 소정 거리를 두고 판체(112a)의 다른 일측에 반사경(134b)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발신부에서 발신된 신호가 반사경(134b)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상태에 따라 안개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134)는 맑은 날씨에 반사경을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상태를 100으로 기준 하였을 경우, 반사경(134b)을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상태가 70~80 이하일 경우 안개가 있는 날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134)는 안개에 따른 탁도를 감지하며, 반사경을 이용함으로서 2배의 거리를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눈비 감지센서(133)와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134)는, 상기 패널부재(112)를 구성하는 판체(112a)의 상단 양측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제1, 제2 센서고정바(131a,131b)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제2 센서고정바(131a,131b)에 상기 눈비 감지센서(133)의 발신부(133a)와 수신부(133b)를 상호 마주하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134)의 발수신부(134a)는 상기 제1 센서고정바(131a)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센서고정바(131b)에는 반사경(134b)을 설치하여 상기 반사경(134b)을 통해 되돌아와 수신되는 상태를 감지함으로서 동일 거리의 2배에 해당하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개, 눈, 비 등의 악천후 시 감지센서에 의한 자동 가변시스템으로, 악천후 시 일반 모드에서 안전 모드로 자동 변경된다. 예컨대, 표지판에 표시되는 숫자가 정상적으로 맑은 날씨일 때에는 숫자 '100'이 표시되고 악천후 시에는 숫자 '50' 혹은 '점멸'이라는 문자가 점멸되도록 표출되고, 또 '안개' 혹은 '주의'라는 문자가 점멸되게 표출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구의 연출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야간에는 일반적인 발광식 교통표지판으로 운영되는데, 무사바 코팅 및 무반사지의 적용으로 인해 야간 차량의 불빛이 반사되어 발광되는 내용(숫자)를 운전자가 보다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고, 또 악천후 시에는 낮과 밤 관계없이 안전 모드로 활성화되어 운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의 가장 큰 특징은, 주변의 눈이나 비 혹은 안개를 감지하여 표시 내용이 가변되게 함으로서,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유도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즉, 맑은 날씨에는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가 발광되고, 눈이나 비 혹은 안개가 있는 날은 이를 감지하여 감속도가 발광하며, 감속문자와 교차 점멸하도록 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패널부재(112)를 구성하는 판체(112a)의 표면에 무반사 코팅층(112b)을 형성하고, 정상적인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를 무반사 시트지(112c)로 부착하여 구성함으로서, 상기 판체(112a)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112b)과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112c)에 의해 야간에 차량 불빛이 반사되지 않게 하여 야간에 광섬유(102)를 통한 빛으로 표출되는 숫자 혹은 문자를 운전자가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표지판 유닛 112 - 패널부재
114 - 광섬유 홀더부재 116 - 광원
120 - 전원 유닛 130 - 제어 유닛
132 - 조도 감지센서 133 - 눈비 감지센서
134 - 안개밀도 감지센서 135 - 제어기

Claims (5)

  1.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표출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판 형상의 패널부재와, 상기 패널부재의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는 광섬유의 선단부가 삽입 고정된 광섬유 홀더부재와, 상기 광섬유 홀더부재에 삽입 고정된 광섬유의 후단부가 결속되고, 결속된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제공할 수 있는 광원으로 이루어진 표지판 유닛;
    상기 표지판 유닛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유닛; 및
    상기 전원 유닛의 전원을 상기 광원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센서;
    상기 조도 감지센서와 연동되며, 주변의 눈이나 비를 감지하는 눈비 감지센서;
    상기 조도 감지센서와 연동되며, 주변의 안개를 감지하는 안개밀도 감지센서; 및
    각 감지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측정값이 각각 입력되고, 입력된 측정값에 따라 상기 표지판 유닛에서 표출되는 내용이 달라지게 표출되도록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전달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눈비 감지센서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재를 구성하는 판체의 상단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발신부와 수신부가 설치되어,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된 신호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될 때, 상기 발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지장물이 감지되면 눈비 여부로 판단하고,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는:
    적외선 반사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부재를 구성하는 판체의 상단 어느 일측에 발수신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소정 거리를 두고 판체의 다른 일측에 반사경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발신부에서 발신된 신호가 반사경을 통해 반사되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수신 상태에 따라 안개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눈비 감지센서와 안내밀도 감지센서에 의한 측정값에 따라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지정된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와 감속된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출되도록 제어하되,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어,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가 표출될 수 있도록 광섬유를 통해 빛이 전달되는 제1 빛전달경로부와,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혹은 감속 문자가 점멸될 수 있도록 광섬유를 통해 빛이 전달되는 제2 빛전달경로부 중 어느 하나의 빛전달경로부를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빛전달경로는:
    상기 제어기로 입력된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이내이면 맑은 날씨로 판단하여, 상기 패널부재에서 지정된 속도의 숫자가 표출되도록 빛을 전달하고,
    상기 제2 빛전달경로부는:
    상기 제어기로 입력된 측정값을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 미만이면 비, 안개가 있는 날씨로 판단하여, 상기 패널부재에서 감속 속도의 숫자, 감속 문자가 점멸될 수 있도록 빛을 전달하고,
    상기 패널부재는:
    소정 면적을 갖는 판체;
    상기 판체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
    상기 판체의 전면 중앙에 표현하고자 하는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를 형성하여 부착된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 및
    상기 판체의 전면에 지정 숫자가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부착된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홀은:
    하나의 패널부재에서 표시되는 내용이 지정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감속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 및 감속 문자가 모두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판체에 복수의 관통홀이 문양이나 문자, 숫자 및 기호의 형태에 맞춰 형성되되,
    상기 판체에 부착되는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와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내용이 표출될 때, 상기 판체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과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에 의해 야간에 차량 불빛이 반사되지 않게 하여 야간에 광섬유를 통한 빛으로 표출되는 숫자 혹은 문자를 운전자가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는:
    맑은 날씨에 반사경을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상태를 100으로 기준 하였을 경우, 반사경을 통해 되돌아오는 수신 상태가 70~80 이하일 경우 안개가 있는 날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비 감지센서와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는,
    상기 패널부재를 구성하는 판체의 상단 양측에 돌출되도록 소정 간격을 이루게 제1, 제2 센서고정바를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상기 제1 센서고정바에는 상기 눈비 감지센서의 발신부와 상기 안개밀도 감지센서의 발수신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센서고정바에는 상기 제1 센서고정바에 설치된 눈비 감지센서의 발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신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센서고정바에 설치된 안내밀도 감지센서의 발수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반사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상원 교류전원(AC 220V)이 공급되는 제1 전원부; 혹은
    태양광 및 주변광을 기전력으로 변화시키는 쏠라판과, 쏠라판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로 이루어진 제2 전원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누전 차단기를 통해 공급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의 전면에 코팅된 무반사 코팅층은 흑색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판체에 부착된 숫자 형상의 무반사 시트지는 백색으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의 반사 시트지는 적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교통표지판.
KR1020160067014A 2016-05-31 2016-05-31 가변형 교통표지판 KR10167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14A KR101672259B1 (ko) 2016-05-31 2016-05-31 가변형 교통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14A KR101672259B1 (ko) 2016-05-31 2016-05-31 가변형 교통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259B1 true KR101672259B1 (ko) 2016-11-03

Family

ID=5757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014A KR101672259B1 (ko) 2016-05-31 2016-05-31 가변형 교통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25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488B1 (ko) * 2017-03-31 2017-11-03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인공 지능형 도로표지판
KR101883769B1 (ko) * 2017-11-22 2018-08-29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인공지능 엘이디 정보표지 시스템
KR200487672Y1 (ko) * 2018-02-07 2018-10-18 강판진 도로표지판 장치
KR101916623B1 (ko) 2018-01-17 2018-11-08 주식회사 청우이디에스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20190000245A (ko) 2017-06-22 2019-01-02 (주)인프라텍 조립형 광섬유 표지판
KR101991329B1 (ko) 2018-10-16 2019-06-21 (주)인프라텍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
CN112523119A (zh) * 2020-11-30 2021-03-19 重庆交通大学 一种山区高速公路团雾段声光警示装置
KR102274695B1 (ko) * 2020-08-26 2021-07-08 (주) 선일일렉콤 정보 전달 기능이 구비된 교통표지판 및 그 제어방법
KR102364589B1 (ko) * 2021-10-06 2022-02-18 한국이미지시스템(주) 시인성이 향상된 차량속도 표지판
CN115595911A (zh) * 2022-10-25 2023-01-13 海南科力千方科技有限公司(Cn) 一种交通路况提示装置
KR102522876B1 (ko) 2022-07-22 2023-04-20 (주)탄탄도로 에너지 절감형 내부 조명을 갖는 표지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162U (ko) 1998-08-24 2000-03-15 윤홍태 광섬유를 이용한 표시장치
JP2009128236A (ja) * 2007-11-26 2009-06-11 Denso Corp 霧検知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90064926A (ko) * 2007-12-17 2009-06-22 (주)비스로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100909108B1 (ko) * 2007-09-14 2009-07-23 임병재 지능형 교통 표시장치
KR101615534B1 (ko) * 2015-07-01 2016-04-27 투인산업 주식회사 안개발생시 자동작동이 가능한 습도감응식 발광형 표지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162U (ko) 1998-08-24 2000-03-15 윤홍태 광섬유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0909108B1 (ko) * 2007-09-14 2009-07-23 임병재 지능형 교통 표시장치
JP2009128236A (ja) * 2007-11-26 2009-06-11 Denso Corp 霧検知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90064926A (ko) * 2007-12-17 2009-06-22 (주)비스로 안개 유도램프 장치
KR101615534B1 (ko) * 2015-07-01 2016-04-27 투인산업 주식회사 안개발생시 자동작동이 가능한 습도감응식 발광형 표지판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488B1 (ko) * 2017-03-31 2017-11-03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인공 지능형 도로표지판
KR20190000245A (ko) 2017-06-22 2019-01-02 (주)인프라텍 조립형 광섬유 표지판
KR101883769B1 (ko) * 2017-11-22 2018-08-29 주식회사 제이에스컴 인공지능 엘이디 정보표지 시스템
KR101916623B1 (ko) 2018-01-17 2018-11-08 주식회사 청우이디에스 도로용 회전 경광 장치
KR200487672Y1 (ko) * 2018-02-07 2018-10-18 강판진 도로표지판 장치
KR101991329B1 (ko) 2018-10-16 2019-06-21 (주)인프라텍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
KR102274695B1 (ko) * 2020-08-26 2021-07-08 (주) 선일일렉콤 정보 전달 기능이 구비된 교통표지판 및 그 제어방법
CN112523119A (zh) * 2020-11-30 2021-03-19 重庆交通大学 一种山区高速公路团雾段声光警示装置
KR102364589B1 (ko) * 2021-10-06 2022-02-18 한국이미지시스템(주) 시인성이 향상된 차량속도 표지판
KR102522876B1 (ko) 2022-07-22 2023-04-20 (주)탄탄도로 에너지 절감형 내부 조명을 갖는 표지판 장치
CN115595911A (zh) * 2022-10-25 2023-01-13 海南科力千方科技有限公司(Cn) 一种交通路况提示装置
CN115595911B (zh) * 2022-10-25 2023-11-03 海南科力千方科技有限公司 一种交通路况提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259B1 (ko) 가변형 교통표지판
KR10164534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
KR102506561B1 (ko) 차량용 표지판 식별 시스템
KR101883769B1 (ko) 인공지능 엘이디 정보표지 시스템
KR101793488B1 (ko) 인공 지능형 도로표지판
GB2528841A (en) Ground level illumination system
KR10193797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US5818640A (en) Sig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9132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
KR200208098Y1 (ko) 도로표시구
KR10197065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EP0774149B1 (en) Sign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0591477B1 (ko) 조명장치가 마련된 도로표지판
KR20210048715A (ko) 도로 상태를 감지하는 도로표시장치
US20180291572A1 (en) Reflective road device
KR102617647B1 (ko) 삼거리의 교통 상황 알림 장치
KR20190064379A (ko) 디지털 안내 표지판
JP3453725B2 (ja)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US20230278424A1 (en) Information device for vehicle
KR20170125285A (ko) 도로 표지 장치
KR102554975B1 (ko) 도로용 과속방지장치
KR101492013B1 (ko) T자 도로용 실시간 상황표지판
KR102630046B1 (ko) 볼라드를 이용한 삼거리의 교통 상황 알림 시스템
CN218147943U (zh) 一种施工预警系统
KR200353283Y1 (ko) 안전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