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379A - 디지털 안내 표지판 - Google Patents

디지털 안내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379A
KR20190064379A KR1020180051232A KR20180051232A KR20190064379A KR 20190064379 A KR20190064379 A KR 20190064379A KR 1020180051232 A KR1020180051232 A KR 1020180051232A KR 20180051232 A KR20180051232 A KR 20180051232A KR 20190064379 A KR20190064379 A KR 20190064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display
display device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택준
Original Assignee
오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택준 filed Critical 오택준
Priority to KR102018005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379A/ko
Publication of KR20190064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원장치의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잉크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안내 표지판{Digital Guide Board}
본 발명은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에너지로 작동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경제적인 디지털 안내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통행인이나 운전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안내 표지판이 사용되고 있다.
안내 표지판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각종 공사현장이나 행사진행 현장 안내, 도로변의 주정차 금지 안내, 주차 안내, 도심 안내, 등산로 등 관광 안내, 상업용 광고 등 각종 안내를 위한 안내 표지판과, 운전자에게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제한속도 등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도로의 중앙 또는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교통 표시판 등이 있다.
안내 표지판은 대부분 안내 표지판 본체에 안내 표지 내용이 일체로 인쇄 또는 부착 설치된 일체식 안내 표지판으로서, 안내 표지판 본체의 효율적인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안내 표지 문구마다 해당되는 각각의 안내 표지판 본체가 필요하게 되어 제작비용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내 표지판은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여, 목적과 용도에 맞게 매번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 및 보관에 많은 애로가 있다.
아울러, 종래의 안내 표지판은 안내 표지판 본체의 표면에 문자, 도형이 인쇄 등의 방법으로 표시된 것으로, 맑은 날씨나 주간에는 충분한 식별이 가능하지만 야간, 우천시, 안개가 낀 경우와 같이 기상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식별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안내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나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LED/LCD 안내판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LED/LCD 안내판의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안내판 내부에 일체로 포함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안내판으로부터 이격된 장소에서는 안내판의 표시 내용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가 없다.
또한, LED/LCD 안내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은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이 필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풍력 또는 태양광 발전 등 자연에너지로부터 전원을 생성하여 이용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시 비용이 절감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전력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원장치의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잉크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원장치는 일반 전원과 비상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일반 전원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비상 전원의 전력을 상기 일반 전원으로 공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전원의 전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표시가 변경되는 신속표시부와, 상기 전원장치의 전력에 따라 표시가 변경되는 일반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원장치에 저장된 전략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일반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일반표시부에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신속표시부와 상기 일반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통전원과, 상기 신속표시부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신속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주변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비상호출버튼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비상호출버튼이 작동하면, 상기 센서와 상기 통신모듈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일정 영역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모듈은 상기 비상호출버튼이 작동하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장치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며, 자연에너지로부터 전원을 생성하여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망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든 설치 및 관리가 가능하며 경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은, 무선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전원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전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전원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10)은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장치(300) 및 전원장치(300)의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공급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1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체(100)의 형상은 육면체 블록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0)의 내부에는 전원장치(300) 및 전원공급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0)의 전면에는 외부에서 디스플레이(300)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개구부의 일측에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체(100)의 하부에 수직하게 지지대를 설치하거나, 본체(100)를 별도의 지지대 없이 육면체 패널 형태로 형성하거나, 원형 또는 타원형 블록으로 형성하는 등, 본체(100)의 전체적인 외관 형태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100)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자잉크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통상의 인쇄물에 가까운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표시는 전원이 없어도 사라지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는 동작신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동작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수도 있고, 시스템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동작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것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 본체(100)를 조작하여 본체(100)에서 동작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원격으로 동작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원격으로 발생시킨 동작신호를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에 송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은 동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신호가 시스템에 따라 자동으로 발생되는 것인 경우, 특정조건에 따라 동작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은 특정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동작신호가 발생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600)는 주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신호가 발생하기 위한 조건이 기온이 1도 변화하는 것인 경우, 센서는 주변의 기온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일 수 있다.
또는 동작신호가 발생하기 위한 조건이 주차장 출입구를 차량이 통과하는 것인 경우, 센서는 주차장 출원구를 차량이 통과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또는 동작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전원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장치(300)는 본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원장치(300)는 본체와 별도로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10)의 다른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원장치(300)는 본체(100)가 설치된 지면의 내부에 매설될 수도 있다.
전원장치(300)에는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장치(500)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장치(300)는 발전장치(500)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전원장치(300)는 저장된 전력을 전원공급장치(400)에 공급할 수 있다.
발전장치(500)는 전원장치(300)에 연결될 수 있다. 발전장치(500)는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발전장치(500)의 종류에 따라 본체(100)에 설치되지 않고, 본체(100)와 별개로 설치되고, 전원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발전장치(500)는 풍력 발전 장치 또는 태양광 발전 장치일 수 있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상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풍력 발전 장치 또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력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은 충분히 동작할 수 있다.
풍력 발전 장치 또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환경조건과 필요에 따라 세부적인 부품 구성이나 배치를 달리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장치(300)의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공급제어부(SPM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서 전원장치(300)에 저장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장치(300)의 전력을 분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10)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400)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4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400)는 후술할 센서(600), 비상호출버튼(700) 또는 통신모듈(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원공급장치(400)의 전력공급 제어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원장치(300)는 일반전원(310)과 비상전원(320)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전원(320)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량이 일정 수치 이하인 경우에 사용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이며, 일반전원(320)은 비상전원(320)에 저장된 전력이 사용되기 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에 사용된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만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각 구성에 분배하여 공급한다. 이때 비상전원(320)에 저장된 전력은 사용하지 않는다.
발전장치(500)에서 발전된 전력은 일반전원(310)과 비상전원(320)에 같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량이 일정 수치 이하인 경우, 전원공급장치(400)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각 구성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이 사용되는 것을 차단하고, 발전장치(500)에서 생성된 전력이 일반전원(310)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이 사용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비상전원(320)에 저장된 전력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각 구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원공급장치(400)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비상전원(320)의 전력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각 구성에 공급하면서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량이 다시 충분한 양까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량이 다시 충분한 양에 도달하는 경우, 비상전원(320)에 저장된 전력을 다른 구성에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일반전원(310)에 다시 충전되는 전력량은 일반전원(310)에 저장된 전력을 차단할 때의 전력량보다 높은 값일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일반표시부(210)와 신속표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속표시부(220)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변경되어야 하는 표시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또는 신속표시부(220)에 표시된 표시는 표시가 나타내는 정보가 자주 변경되는 것이어서 그 즉시 표시가 변경되어야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는 차량의 출입에 따라 즉시 그 값이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변경되어야 하며, 표시가 나타내는 정보가 자주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를 나타내는 부분은 신속표시부(220)가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체(100)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터치하여 원하는 선택지를 선택하는 부분, 및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지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부분은 즉시 그 표시가 변경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해당 부분은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변경되어야 하며, 표시가 나타내는 정보가 자주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지를 선택하는 부분 및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지에 따라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부분은 신속표시부(220)가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버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은 버스의 이동에 따라 즉시 그 값이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버스의 현재 위치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변경되어야 한다. 나아가 버스의 현재 위치는 버스의 위치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버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은 신속표시부(220)가 된다.
반면, 일반표시부(210)는 동작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그 값이 변경되지 않아도 무방한 부분이다. 즉, 그 표시가 나타내는 정보가 즉시성이 없는 것이다. 나아가 일반표시부(210)에 나타내는 정보는 자주 변경되지 않는 것이어서 즉시 변경되지 않아도 정보전달에 큰 무리가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일반표시부(210)에 표시된 표시는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특히, 일반표시부(210)에 표시된 표시는 전원장치(300)의 전력에 따라 표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 신속표시부(220) 외의 부분이 일반표시부(210)가 된다. 특히 도 5에서 주차 위치 근처에 있는 관광명소를 소개하는 부분은 그 표시가 자주 변경되지 않고 고정된 표시이다. 이와 같은 표시는 거의 변경되지 않으나, 디자인의 변경 등으로 인해 가끔 변경될 뿐이다. 해당 부분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즉시 변경되지 않아도 무방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분은 일반표시부(210)가 된다.
도 7에서 버스 위치를 표시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한 표시는 광고 표시로서 역시 그 표시가 자주 변경되지 않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광고 표시는 광고 효과를 위해 1일 또는 1달 또는 그보다 긴 기간 동안 동일한 광도 대상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긴 주기를 가지고 변경되는 표시는 일반표시부(210)에 해당한다.
반면 해당 광고를 표시하는 부분이 광고 대상을 1분 내지 30초마다 지속적으로 광고대상을 변경하는 것이면, 해당 부분은 신속표시부(220)로 구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장치(300)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보다 초과된 양을 가진 경우,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일반표시부(210)인지 신속표시부(220)인지 구분하지 않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장치(300)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일반표시부(210)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일반표시부(21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때 전원공급장치(400)는 신속표시부(220)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신속표시부(220)의 표시를 변경한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전원장치(300)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동작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신속표시부(220)의 표시만을 변경하여 전원장치(300)에 저장된 전력량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원장치(300)는 신속표시부(220)와 일반표시부(210)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통전원(301)과, 신속표시부(220)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신속전원(302)을 포함할 수 있다. 신속표시부(220)는 자주 변경되는 부분으로 전력 역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공통전원(301)과 신속전원(302)으로 2개의 채널로 전원을 마련하여, 신속표시부(220)에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공통전원(301)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일반표시부(210)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일반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다. 전원공급장치(400)는 신속표시부(220)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면, 공통전원(301)과 신속전원(302)에 저장된 전력을 모두 사용하여 신속표시부(220)의 표시를 변경한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400)는 공통전원(301)이 완전히 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공통전원(301)이 완전 방전되는 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신속표시부(220)는 신속전원(302)에 의해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공통전원(301)과 신속전원(302)은 일반전원(31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원공급장치(400)는 공통전원(301)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1차적으로 일반표시부(210)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일반표시부(210)가 변경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전원공급장치(400)는 신속표시부(220)의 표시가 변경될 때만 전력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공급한다. 이때, 전원공급장치(400)는 공통전원(301)과 신속전원(302)의 전력을 모두 사용하게 된다.
전원공급장치(400)는 공통전원(301)과 신속전원(302)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일반전원(310), 즉 공통전원(301)과 신속전원(302)에 저장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비상전원(310)에 저장된 전력만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10)은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600)와,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비상호출버튼(700)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호출버튼(700)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비상시에 조작하여 비상상황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것이다.
통신모듈(800)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송신한 동작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비상호출버튼(700)이 작동되면 비상상황을 외부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400)는 비상호출버튼(700)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면 다른 구성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센서(600) 및 통신모듈(800)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비상상황(구조신호)이 전원장치(300)의 전력 상황에 따라 외부에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10)은 일정 영역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모듈을 일정 영역 내에서 위치한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중계모듈에 의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통신영역이라고 정의한다.
중계모듈은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공유기(AP; access poin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계모듈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통신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장치로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비상호출버튼(700)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하면 통신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장치로 알람을 전달하게 된다.
알람은 소리, 글자 또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은 사용자의 비상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사용자가 작동한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위치정보), 주변 온도, 체온, 기상 상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휴대폰, 노트북,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는 통신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단말장치는 통신영역 내에 위차한 다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으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은 다른 디지털 안내 표지판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구동신호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디지털 안내 표지판
100 : 본체
200 : 디스플레이 장치
300 : 전원장치
400 : 전원공급장치
500 : 발전장치
600 : 센서
700 : 비상호출버튼
800 : 통신모듈
300,300' : 디스플레이
400 : 전원공급장치
410 : 태양전지 패널
500 : 컨트롤러
600 : 스마트 센서
700 : 통신모듈
800 : 비상호출 버튼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에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원장치의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잉크를 포함하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일반 전원과 비상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일반 전원에 저장된 전력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비상 전원의 전력을 상기 일반 전원으로 공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전원의 전력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표시가 변경되는 신속표시부와, 상기 전원장치의 전력에 따라 표시가 변경되는 일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원장치에 저장된 전략이 미리 저장된 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일반표시부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상기 일반표시부에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상기 신속표시부와 상기 일반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통전원과, 상기 신속표시부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신속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6. 제1항에 있어서,
    주변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비상호출버튼 및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비상호출버튼이 작동하면, 상기 센서와 상기 통신모듈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7. 제6항에 있어서,
    일정 영역 내에서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중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모듈은 상기 비상호출버튼이 작동하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장치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 표지판.
KR1020180051232A 2018-05-03 2018-05-03 디지털 안내 표지판 KR20190064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32A KR20190064379A (ko) 2018-05-03 2018-05-03 디지털 안내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32A KR20190064379A (ko) 2018-05-03 2018-05-03 디지털 안내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379A true KR20190064379A (ko) 2019-06-10

Family

ID=6684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32A KR20190064379A (ko) 2018-05-03 2018-05-03 디지털 안내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3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74B1 (ko) * 2019-07-11 2020-02-19 오택준 전자잉크 사이니지
KR102274695B1 (ko) * 2020-08-26 2021-07-08 (주) 선일일렉콤 정보 전달 기능이 구비된 교통표지판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74B1 (ko) * 2019-07-11 2020-02-19 오택준 전자잉크 사이니지
KR102274695B1 (ko) * 2020-08-26 2021-07-08 (주) 선일일렉콤 정보 전달 기능이 구비된 교통표지판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46020Y (zh) 用于显示电子讯息的显示系统
CN101194299B (zh) 用于行人和交通控制的多用途led信号系统
US20110102165A1 (en) Taxi-roof sign
KR101672259B1 (ko) 가변형 교통표지판
JP2016057719A (ja) 路面用サイン
US20190172411A1 (en) Visual display system and method
KR20190064379A (ko) 디지털 안내 표지판
TW202231515A (zh) 車輛的後視安全警示裝置
KR101449662B1 (ko)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20190015678A (ko)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 장치
KR100591477B1 (ko) 조명장치가 마련된 도로표지판
KR200338581Y1 (ko) 엘이디 백라이트 장치를 갖는 도로표지판
JP2011012391A (ja) 道路或いは橋の凍結危険警告標示装置
JP2015184928A (ja) 車両情報表示装置を備えたカーブミラー
KR102079474B1 (ko) 전자잉크 사이니지
KR20210095602A (ko) 야간 및 시야가 좋지 않은 날씨에도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행유도선 진출로 표시장치
JP5354210B2 (ja) 車載用電子機器
JP6356932B1 (ja) 予告看板
JP5651898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5577A (ko) 오엘이디의 면광원을 마련한 도로표지판
KR20160012595A (ko) 도로용 표지판
JP2009217224A (ja) モバイルパネル版付バス停留所案内板
US20230278424A1 (en) Information device for vehicle
KR20040003387A (ko)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KR102595829B1 (ko) 차량용 가상 안전표지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