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387A -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387A
KR20040003387A KR1020020038063A KR20020038063A KR20040003387A KR 20040003387 A KR20040003387 A KR 20040003387A KR 1020020038063 A KR1020020038063 A KR 1020020038063A KR 20020038063 A KR20020038063 A KR 20020038063A KR 20040003387 A KR20040003387 A KR 2004000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ehicle
sign
road sig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용
조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래도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3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387A/ko
Publication of KR2004000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3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가 전광판을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차량검지기와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을 도로전광표지와 연계하여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검출시에만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통행이 원활한 산악도로 및 국도의 도로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문자, 기호 및 도형의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시시각각 변화되는 전방의 교통상황정보, 돌발상황(교통사고, 도로차단 및 안개지점의 통과 등)정보, 통행시간정보 및 감속정도의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를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을 통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검지기; 차량검지기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 도로전광표지의 일측에 설치되어 RF 모듈로부터 전송된 차량 검출신호에 따라 도로전광표지를 온/오프(on/off)시켜 교통관련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Intelligent variable message sign apparatus}
본 발명은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가 전광판을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에 차량감지기를 설치하여 차량이 통행시에만 전광판을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한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매체를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 및 화상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전광판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전광판장치의 응용범위는 점차 확대되어 운동장의 대형 안내판, 도로의 교통정보 안내판, 옥외용 광고판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라 함은 전방의 도로 및 교통상황이나 교통사고, 전방도로의 공사정보 및 기상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향상시킴은 물론, 교통의 분산을 통하여 교통혼잡을 완화할 수 있도록 주의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함이다. 이러한 도로전광표지는 사고발생 빈도를 줄이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하는 시설로 지능형 교통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의 첨단교통관리체계(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ATMS)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로전광표지는 주행 중의 운전자에게 시시각각 변화되는 전방의 교통상황정보, 돌발상황(교통사고, 도로차단 및 안개지점의 통과 등)정보,통행시간정보 및 감속정도 등의 교통관련정보와 도로 및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도로전광표지는 상습정체, 상습안개지역, 위험지역 및 사고다발지역 등과 같이 안전성확보가 요구되는 구간 등의 지역에 전략적으로 설치하여 교통흐름을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관리함은 물론, 사고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도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3 은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를 보인 제 3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한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로는 문자식, 도형식 및 차로 제어식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문자식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것으로, 국내에 설치된 도로전광표지의 주된 형식으로 표출되는 정보의 형태가 문자 또는 문자와 가호가 사용되는 형태이며, 현재까지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형식의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것으로, 문자식으로 표현하는 경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형으로 표현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도형식은 표시면에 필요한 부분(도형 표현부분)에만 LED를 배치하여 교통상황을 표현하는 형태와 LED 풀 메트릭스 형식을 사용하여 문자식과 도형식을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하는 형태가 있다.
차로 제어식의 경우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차로 제어용 전광판은 주로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태로 차로별 통행 제한속도나 현재 통행속도 및 차로폐쇠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형태이다. 대부분의 차로 제어식은 일반적인 표지처럼 단일 시설방식으로 주로 운영된다. 또한, 차로 제어식은 공사중 차로별 통제가 필요할 때, 위험지역이나 안개다발지역의 제한속도표시 및 위험표시 등에 사용되며, 긴 터널이나 연속된 터널 구간에서 터널관리시스템의 일부로써 설치 운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나 목적에 따라 그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 일로에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되어 제작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전술한 도로전광표지 설치의 주요 목적이 운전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각에 적합한 광도나 설치위치도 고려되어야 하고, 운전자에게 필요한 시각에 그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는 항상 24시간 온(on)된 상태로 설치 장소에서 운전자의 시선에 상관없이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일을 반복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이 적은 국도나 산악지대 등의 도로에서는 도로전광표지의 활용도에 비해 에너지(전력)의 낭비가 상당히 심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는 상시 24시간 온(on)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주위의 생태계(동식물 및 곤충류)에 생리적인 영향을 미쳐 자연환경을 해치는 문제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는 상시 24시간 온(on)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점멸하는 것에 비해 시각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가 전광판을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차량검지기와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을 도로전광표지와 연계하여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검출시에만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검출시에만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전광표지 주위의 생태계(동식물 및 곤충류)에 미치는 생리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검출시에만 운전자의 인지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교통정보의 전달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검출시에만 운전자의 인지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전광표지의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를 보인 제 1 실시예의 구성도.
도 2 는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를 보인 제 2 실시예의 구성도.
도 3 은 일반적인 도로전광표지의 형태를 보인 제 3 실시예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서 차량의 인지시점 계산방법을 보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로전광표지 110. 차량검지기
120. RF 모듈 130. 제어부
140. 안개센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안개다발지역, 낙석지역, 굽은도로지역, 낭떨어지지역, 기타 도로 위험지역, 산악도로 및 국도의 도로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문자, 기호 및 도형의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시시각각 변화되는 전방의 교통상황정보, 돌발상황(교통사고, 도로차단 및 안개지점의 통과 등)정보, 통행시간정보 및 감속정도의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를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을 통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검지기; 차량검지기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 도로전광표지의 일측에 설치되어 RF 모듈로부터 전송된 차량 검출신호에 따라 도로전광표지를 온/오프(on/off)시켜 교통관련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차량검지기가 설치되는 도로전광표지의 인지시점은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를 인식하고 반응하는데 소요되는 반응거리와 도로전광표지에 표출되는 교통관련정보를 필독이 가능한 판독시점으로부터 판독이 불가능한 판독종점까지의 판독소요거리 및 판독종점으로부터 도로전광표지의 설치지점까지의 소실거리를 합산한 지점의 거리임이 양호하다.
전술한 차량검지기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로전광표지 설치도로의 제한속도에 따라 그 설치 위치가 변경됨이 양호하다.
전술한 차량검지기는 차량의 전륜축과 후륜축의 축 수, 거리 및 차륜 폭을 검지하여 차량의 형태(소형, 중형 및 대형차량)를 검지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가되어 구성됨이 양호하다.
한편, 전술한 도로전광표지가 설치된 도로의 노면 일측에는 RF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안개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안개센서가 더 설치되어 안개발생시 이를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표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서 차량의 인지시점 계산방법을 보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문자, 기호 및 도형 등으로 교통관련정보를 표출시키는 도로전광표지(100), 도로전광표지(100)로부터 일정거리의 도로 노면상에 설치되어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검지기(110), 차량검지기(110)에 의한 차량검출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120) 및 RF 모듈(120)에 의해 전송된 차량검출신호에 따라 도로전광표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100)를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서 차량검지기(110)를 통해 현재의 도로를 통행 중인 차량을 검지하고, 차량검지기(110)에 의해 검지된 차량검출신호를 RF 모듈(120)을 통해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제어부(130)를 통해 도로전광표지(100)를 온(on)시킴으로써 전방의 도로관련 교통정보를 표출시키게 된다. 특히, 제어부(130)는 이 도로전광표지(100) 구간을 차량이지나간 후 일정 시간이 흐르면 도로전광표지(100)를 오프(off)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도로변 어느 곳이라도 설치가 가능하나 본 발명의 목적이 차량의 통행 중에만 도로전광표지(100)가 온(on)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오프(off)되도록 하여 에너지(소비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교통량이 적어 원활한 교통소통이 있는 국도나 지방도로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보다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교통량이 많아 상습 정체구간이라 하더라도 야간이나 심야에만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전광표지(100)는 도로에 관련한 제반 교통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이 도로전광표지(100)는 통상 안개다발지역, 낙석지역, 굽은도로지역, 낭떨어지지역, 기타 도로 위험지역, 산악도로 및 국도의 도로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문자, 기호 및 도형의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시시각각 변화되는 전방의 교통상황정보, 돌발상황(교통사고, 도로차단 및 안개지점의 통과 등)정보, 통행시간정보 및 감속정도의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된다.
차량검지기(110)는 차량을 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차량검지기(110)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100)를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을 통행하는 차량을 검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검지기(110)는 통행하는 차량의 검지 뿐만 아니라 지역내 통행차량의 차종을 산출하여 전체적인 교통통제시스템의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차량의 전륜축과 후륜축의 축 수, 거리 및 차륜 폭을 검지하여 차량의 형태(소형, 중형 및 대형차량)를 검지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가된다.
통상, 차량은 그 형태(소형, 중형 및 대형차량 등)에 따라 전륜축과 후륜축의 축 수와 축과 축간 거리 및 차륜 폭이 달라 이를 검지하게 되면 그 지역내 통행차량의 형태를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검지기(110)는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100)를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즉, 인지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설치되는데, 이 인지시점을 통한 차량검지기(110)의 설치위치에 대한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검지기(1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계산법은 인지거리(VD) = 반응거리(PD) + 판독소요거리((LTD) + 소실거리(LLD), 최소판독거리(MLD) = 판독거리(LTD) + 소실거리(LLD), 반응거리(PD) = 평균주행속도 또는 설계속도(m/sec) × 운전자 반응시간(보통 2초), 판독소요거리(LTD) = 평균주행속도 또는 설계속도(m/sec) × 정보단위수(단위) × 정보단위량 판독시간(보통 1초), 소실거리(LLD) = 도로전광표지 중심높이 / tanø(ø=표시면 설치각, 보통 6°)로 계산된다.
도 4 에서와 같은 소실거리는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출정보를 볼 수 없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말함이고, 판독소요거리는 표출문자가 판독이 가능한지점부터 판독이 송출된 지점(판독종점)까지의 거리를 말함이며, 반응거리는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100)를 인식하고 반응하는데 소요되는 거리를 말함이다.
이때, 최소판독거리는 도로전광표지(100)에 표출되는 정보를 판독하는데 필요한 최소거리로 표출된 문자가 보인다는 가정 하에 산정되는 거리이다. 즉,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시면에 표출되는 문자의 높이가 충분히 보이는 범위내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판독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거리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계산법을 적용하여 설계속도가 70 km/h, 표출되는 정보량이 7단위,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지 중심높이가 7m 그리고 설치각이 6°일 때의 인지거리를 계산하면, 먼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지거리(VD)는 반응거리(PD), 판독소요거리((LTD) 및 소실거리(LLD)를 합산한 값이다. 따라서, 인지거리(VD)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반응거리(PD), 판독소요거리((LTD) 및 소실거리(LLD)를 계산하여야 한다.
먼저, 반응거리(PD)를 계산하면 평균주행속도 또는 설계속도(m/sec)가 약 19.5 m/sec, 운전자의 반응시간이 보통 2초이므로 이를 반응거리(PD)의 계산법{반응거리(PD) = 평균주행속도 또는 설계속도(m/sec) × 운전자 반응시간(보통 2초)}에 대입하여 반응거리를 계산하면 약 39m 가 계산된다.
판독소요거리(LTD)를 계산하면 평균주행속도 또는 설계속도(m/sec)가 약 19.5 m/sec, 정보단위수(단위)가 7단위 및 정보단위량 판독시간이 보통 1초이므로 이를 판독소요거리(LTD)의 계산법{판독소요거리(LTD) = 평균주행속도 또는 설계속도(m/sec) × 정보단위수(단위) × 정보단위량 판독시간(보통 1초)}에 대입하면 약136.5m 가 계산된다.
소실거리(LLD)를 계산하면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지 중심높이가 7m, 설치각이 6°이므로 이를 소실거리(LLD)의 계산법{소실거리(LLD) = 도로전광표지 중심높이 / tanø(ø=표시면 설치각, 보통 6°)}에 대입하면 약 66.6m 가 계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반응거리(PD) 39m, 판독소요거리((LTD) 136.5m, 소실거리(LLD) 66.6m를 인지거리(VD)의 계산법{인지거리(VD) = 반응거리(PD) + 판독소요거리((LTD) + 소실거리(LLD)}에 대입하면 인지거리(VD)는 약 242.1m 가 계산된다.
이때, 최소판독거리(MLD)는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시면에 표출되는 문자를 판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최소판독거리(MLD)에서 판독 가능한 문자높이를 산출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속도가 70 km/h, 표출되는 정보량이 7단위,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지 중심높이가 7m 그리고 설치각이 6°일 때의 차량검지기(110)는 도로전광표지(100)로부터 약 242.1m 떨어진 지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설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서 차량검지기(110)의 설치위치는 앞서의 계산법에서와 같이 도로전광표지(100) 설치도로의 제한속도에 따라 그 설치 위치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
RF 모듈(120)은 차량검지기(110)에 의해 차량의 이동에 대한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도로전광표지(100)측의 수신모듈에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 RF 모듈(120)은 차량검지기(110) 및 도로전광표지(100)측의 수신모듈과 연계하여 도로변에 설치된다.
제어부(130)는 RF 모듈(12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이동에 따른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도로전광표지(100)를 온(on)시켜 차량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출시키는 것으로, 이 제어부(130)는 도로전광표지(100)의 일측 또는 그 내부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30)는 그 지역내 이동하는 차량의 검지를 통해 도로전광표지(100)를 제어하여 이동하는 차량이 그 지역내에 들어서면 도로전광표지(100)로 교통관련정보를 표출하고, 이동 차량이 그 지역내를 벗어나 일정시간이 흐르면 도로전광표지(100)를 오프(off)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에는 도로 노면의 습도를 감지하여 안개의 여부를 감지하는 안개센서(14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안개센서(140)에 의해 검출된 신호 역시 RF 모듈(120)을 통해 제어부(130)에 전송되어 도로전광표지(100)의 표시면을 통해 안개 여부에 대한 정보가 표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차량검지기(110), RF 모듈(120), 제어부(130), 안개센서(140)의 구성을 통해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지역내에 들어선 차량의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도로전광표지(100)에 필요한 시점에만 표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차량의 검출시에만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100)를 통해 교통관련정보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는 도로전광표지(100)에 소요되는 소비전력의 80∼90%까지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전자가 전광판을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차량검지기와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을 도로전광표지와 연계하여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검출시에만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차량의 검출시에만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전광표지 주위의 생태계(동식물 및 곤충류)에 미치는 생리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차량의 검출시에만 운전자의 인지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시각적인 효과를 주어 교통정보의 전달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의 검출시에만 운전자의 인지시점부터 일정 시간동안 도로전광표지를 표출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로전광표지의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5)

  1. 안개다발지역, 낙석지역, 굽은도로지역, 낭떨어지지역, 기타 도로 위험지역, 산악도로 및 국도의 도로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문자, 기호 및 도형의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시시각각 변화되는 전방의 교통상황정보, 돌발상황(교통사고, 도로차단 및 안개지점의 통과 등)정보, 통행시간정보 및 감속정도의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도로전광표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도로전광표지를 인지할 수 있는 시점 이전의 도로상 노면에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을 통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검지기;
    상기 차량검지기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전송하는 RF 모듈;
    상기 도로전광표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RF 모듈로부터 전송된 차량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도로전광표지를 온/오프(on/off)시켜 교통관련정보를 일정 시간동안 표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검지기가 설치되는 상기 도로전광표지의 인지시점은 운전자가 도로전광표지를 인식하고 반응하는데 소요되는 반응거리와 상기 도로전광표지에 표출되는 교통관련정보를 필독이 가능한 판독시점으로부터 판독이 불가능한 판독종점까지의 판독소요거리 및 상기 판독종점으로부터 상기 도로전광표지의 설치지점까지의 소실거리를 합산한 지점의 거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검지기는 차량의 전륜축과 후륜축의 축 수, 거리 및 차륜 폭을 검지하여 차량의 형태(소형, 중형 및 대형차량)를 검지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검지기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도로전광표지 설치도로의 제한속도에 따라 그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노면 일측에는 상기 RF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안개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안개센서가 더 설치되어 안개발생시 이를 상기 도로전광표지를 통해 표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KR1020020038063A 2002-07-02 2002-07-02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KR20040003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063A KR20040003387A (ko) 2002-07-02 2002-07-02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063A KR20040003387A (ko) 2002-07-02 2002-07-02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826U Division KR200292860Y1 (ko) 2002-07-02 2002-07-02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387A true KR20040003387A (ko) 2004-01-13

Family

ID=3731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063A KR20040003387A (ko) 2002-07-02 2002-07-02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3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25B1 (ko) * 2005-07-25 2007-03-14 남상설 독립형 도로정보 제공장치
KR100805684B1 (ko) * 2007-11-09 2008-02-21 (주)한일디스플레이 기상에 따라 휘도 및 색상이 가변되는 엘이디 전광판
KR101048650B1 (ko) * 2009-04-21 2011-07-12 (주)에스디시스템 교통사고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교통정보 시스템
KR20170073312A (ko) * 2015-12-18 2017-06-28 (주)이에스브이 도로의 교통 정보제공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CN115387259A (zh) * 2022-08-26 2022-11-25 重庆交通大学 一种用于突发事件的车流管控系统、方法及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825B1 (ko) * 2005-07-25 2007-03-14 남상설 독립형 도로정보 제공장치
KR100805684B1 (ko) * 2007-11-09 2008-02-21 (주)한일디스플레이 기상에 따라 휘도 및 색상이 가변되는 엘이디 전광판
KR101048650B1 (ko) * 2009-04-21 2011-07-12 (주)에스디시스템 교통사고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교통정보 시스템
KR20170073312A (ko) * 2015-12-18 2017-06-28 (주)이에스브이 도로의 교통 정보제공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1878985B1 (ko) * 2015-12-18 2018-07-16 (주)이에스브이 도로의 교통 정보제공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CN115387259A (zh) * 2022-08-26 2022-11-25 重庆交通大学 一种用于突发事件的车流管控系统、方法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8210B2 (en) Crossing located alert system using fog and generated light
US20030191577A1 (en) Road safety street furniture
US20130113618A1 (en) Multipath transport data and control signaling
KR101454127B1 (ko) 보행자 및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고 제공 시스템
CN209729042U (zh) 一种道路预警装置
CA3071498A1 (en)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CN109887311A (zh) 一种根据人数智能调节交通红绿灯的系统以及应用方法
US20060180712A1 (en) Advance warning system for railroad crossing
KR20190015678A (ko)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 장치
KR20040003387A (ko)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US201900881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vehicles of excessive speed
CN111583720B (zh) 基于物联网lora无线技术的农村公路安全预警系统
CN210983756U (zh) 新型智慧斑马线系统
KR200292860Y1 (ko) 지능형 도로전광표지 장치
KR101498385B1 (ko) 어린이 보호 구역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223292A (zh) 一种新型车辆及行人安全过街交通辅助提示系统
EP1313078A2 (en) Vehicle information system
WO2019196854A1 (en) A display panel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KR20190064379A (ko) 디지털 안내 표지판
KR2012003997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CN218996168U (zh) 非灯控路口智慧斑马线系统
KR200400256Y1 (ko) 교통상황 정보 표시 시설물
KR102528312B1 (ko) 아나모픽 기법을 이용한 안전운전 유도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230278424A1 (en) Information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