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37B1 - 현수식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현수식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37B1
KR101835237B1 KR1020167004194A KR20167004194A KR101835237B1 KR 101835237 B1 KR101835237 B1 KR 101835237B1 KR 1020167004194 A KR1020167004194 A KR 1020167004194A KR 20167004194 A KR20167004194 A KR 20167004194A KR 101835237 B1 KR101835237 B1 KR 10183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ing
suspending sheave
elevator car
sheave assembl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356A (ko
Inventor
나오유키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66B11/0273Passive systems acting between car and suppor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엘리베이터 칸 실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높이를 억제하면서, 서스펜딩 쉬브 빔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현수식 엘리베이터를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칸 실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면에 직접 고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과, 이간하여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서스펜딩 쉬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부에 배치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방진 고무를 구비하며, 상기 서스펜딩 쉬브는,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에 지지되고, 상기 방진 고무는, 상기 서스펜딩 쉬브의 각각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서스펜딩 쉬브의 축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연직 상부로부터 보아, 상기 서스펜딩 쉬브의 각각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현수식 엘리베이터{UNDERSLUNG ELEVATOR}
본 발명은, 서스펜딩 쉬브가 엘리베이터 칸 실(室)의 하부에 배치된 현수식 엘리베이터(underslung elevator)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 조립체의 엘리베이터 칸 실의 하부로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서스펜딩 쉬브가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beam)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축 지지되어 구성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를, 엘리베이터 칸 실의 하면에 방진(防振) 부재를 매개로 하여 설치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제2009/154611호 팜플렛
종래의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는, 방진 부재는,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를 방진하면서 높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서스펜딩 쉬브의 상부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중심(中心)측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래서, 서스펜딩 하중이 서스펜딩 쉬브의 축을 매개로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에 작용하는 위치와, 서스펜딩 쉬브 빔을 엘리베이터 칸 실의 하면에 지지하는 위치가 달라, 서스펜딩 쉬브 빔에 굽힘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서스펜딩 쉬브 빔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혹은 높이를 높게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의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고비용화 및 중량화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엘리베이터 칸 실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높이를 억제하면서, 서스펜딩 쉬브 빔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의 발생을 억제하여,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현수식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칸 실(室)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면에 직접 고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beam)과, 이간하여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 빔, 및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부에 배치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방진(防振) 고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는,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에 지지되고, 상기 방진 고무는,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의 각각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서스펜딩 쉬브의 축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연직 상부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의 각각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진 고무가, 서스펜딩 쉬브의 축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 축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로프에 의한 서스펜딩 하중이 서스펜딩 쉬브의 축을 매개로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에 작용하는 위치와, 서스펜딩 쉬브 빔을 엘리베이터 칸 바닥 또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에 지지하는 위치, 즉 방진 고무의 위치가 일치한다. 그래서, 서스펜딩 하중이 연직 하부로부터 방진 고무에 작용하고, 서스펜딩 하중에 기인하는 굽힘 모멘트가 서스펜딩 쉬브 빔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 쉬브 빔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높이를 높게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의 강성을 과도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서스펜딩 쉬브가 그 일부를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에 지지되고, 방진 고무가 연직 상부로부터 보아 서스펜딩 쉬브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실 하부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실 하부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실 하부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공장 출하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내적재량(內積載量)이 과부하가 된 상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 주위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서스펜딩 쉬브 주위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서스펜딩 쉬브 주위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실 하부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실 하부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실 하부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장착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공장 출하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 내적재량(內積載量)이 과부하가 된 상태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 주위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칸(1)은, 엘리베이터 칸 실(室)(2)과, 엘리베이터 칸 실(2)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과, 엘리베이터 칸 실(2)의 하부에 배치된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 조립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은, 적재 하중을 싣는 바닥판(3a)과, 바닥판(3a)의 하면에 배치되어 바닥판(3a)의 휨을 보강하는 바닥 빔(beam)(3b)과, 바닥 빔(3b)을 사이에 두고 바닥판(3a)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하판(3c)을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은, 엘리베이터 칸 실(2)의 바로 아래에 정면 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칸 바닥(3)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 빔(5)과, 하부 빔(5)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칸 실(2)의 양측에 직립하는 한 쌍의 세로 기둥(6)과, 한 쌍의 세로 기둥(6)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빔(7)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하부 빔(5)은, コ자 모양의 베이스부(5a)와, 베이스부(5a)의 コ자 모양의 양 개구 단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b)를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실(2)이,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판(3c)을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에 직접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에 지지되어 있다.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는,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의 하면에 방진(防振) 고무(14)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부(5a)에 근접하고, 또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프(9)가, 엘리베이터 칸(1)의 정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부를 통과하여 정면 방향의 타측에 도달하도록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12)에 걸어 걸쳐져, 엘리베이터 칸(1)을 매달고 있다.
다음으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구성을 도 2 내지 도 6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는, 각각, 강판을 구부려 성형하여 베이스부(11a)와, 플랜지부(11b)로 이루어지는 L자 모양으로 제작되며, 플랜지부(11b)를 외측을 향해서 베이스부(11a)를 대향시켜서 배치되는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과, 각각, 축(12a)을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베이스부(11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길이 방향의 외측, 및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12)를 구비한다. 또, 서스펜딩 쉬브(12)의 축(12a)은 하부 빔(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수평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은, 플랜지부(11b)를 외측을 향해서 베이스부(11a)를 대향시켜서 배치되며, 플랜지부(11b)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상면(上面) 사이의 각각에 걸쳐진 연결판(13)을 플랜지부(11b)에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연결판(13)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개구하고 있고, 서스펜딩 쉬브(12)의 일부가 그 개구부(13a)를 통과하여 상부로 돌출하고 있다. 방진 고무(14)는, 서스펜딩 쉬브(12)의 개구부(13a)로부터의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판(13)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판(3c)에 고정된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의 하면에 방진 고무(14)를 매개로 하여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실(2)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에 방진 지지된다.
볼트(15)는, 플랜지부(11b)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하부로부터 나사 장착되고, 락 너트(16)를 하면측으로부터 조여 장착하여, 플랜지부(11b)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15)는, 연결판(13),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판(3c)을 유동되게 끼운 상태로 관통하여 하판(3c)의 상부로 돌출하고 있다. 또, 하판(3c)에 형성된 구멍은, 후술하는 상부 스토퍼(17)를 통과하는 구멍 형상을 가지며, 연결판(13) 및 플랜지부(5b)에 형성된 구멍은, 볼트(15)의 축부를 통과하고, 후술하는 상부 스토퍼(17) 및 하부 스토퍼(18)를 통과하지 않는 구멍 형상을 가진다.
더블 너트로 구성된 상부 스토퍼(17)가 볼트(15)의 하판(3c)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스토퍼(17)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공장 출하시에, 방진 고무(14)가 자유 길이일 때에 플랜지부(5b)의 상면에 접하도록, 더블 너트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더블 너트로 구성된 하부 스토퍼(18)가 볼트(15)의 플랜지부(5b)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스토퍼(18)는,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방진 고무(14)가 허용 최대 압축되었을 때에 플랜지부(5b)의 하면에 접하도록, 더블 너트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시에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부 스토퍼(17)는 플랜지부(5b)로부터 상부로 이간하고, 하부 스토퍼(18)는 플랜지부(5b)로부터 하부로 이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적재량의 증감에 따라, 방진 고무(14)에 작용하는 압축 하중이 변화하여, 방진 고무(14)가 신축한다.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베이스부(11a) 사이의 서스펜딩 쉬브(12)의 사이에는, 트랙션(traction) 대책용 추(20)가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에는, 동(動)감쇠기(21)가 장착되어 있다. 동감쇠기(21)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대략 L자 모양의 2매의 판 스프링(22)과, 감쇠용 추(錘)(23)로 구성된다. 2매의 판 스프링(22)은 겹쳐지며, 그 단변측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에 조립되어진다. 그리고, 감쇠용 추(23)가, 겹쳐진 2매의 판 스프링(22)의 장변측의 상측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감쇠기(21)는, 겹쳐진 2매의 판 스프링(22)끼리의 마찰 감쇠에 의해 진동을 감쇠하는 것이며, 감쇠용 추(23)의 장착 위치를 바꾸어 용수철 정수(正數)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감쇠하는 진동의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프 스트랜드(strand)에 기인하는 로프 코깅(cogging) 진동을 감쇠하도록, 감쇠용 추(23)의 장착 위치를 조정한다.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길이 방향의 중앙 하부에는, 수평 방향 스토퍼(25)가 배치되어 있다. 수평 방향 스토퍼(25)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부 빔(5)의 하면으로부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하부에 이르도록 돌출된 장착 암(26)과, 장착 암(26)의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장착된 링 모양의 탄성 부재(27)와,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로부터 연직 하부로 연장되며 탄성 부재(27)의 내주 벽면과 이간하여, 탄성 부재(27) 내를 관통하는 원기둥 부재(28)를 구비한다.
이 수평 방향 스토퍼(25)는,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로부터 연직 하부로 연장하는 원기둥 부재(28)가 링 모양의 탄성 부재(27) 내를 접촉하지 않고 관통하고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1) 내의 적재량이 증감하여,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하부 빔(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해도, 원기둥 부재(28)는 탄성 부재(27)에 접촉하지 않고 상하 이동하여, 항력(抗力)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지진 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관성 하중이 엘리베이터 칸(1)에 작용하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중심(重心)이 방진 고무(14)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기울려고 한다. 그리고,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기울면, 원기둥 부재(28)가 탄성 부재(27)에 맞닿아,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그것 이상 기우는 것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수평 방향 스토퍼(25)는,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작용하여,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기울기가 설정된 기울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방진 고무(14)가, 서스펜딩 쉬브(12)의 축(12a)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 축(12a)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로프(9)에 의한 서스펜딩 하중이 서스펜딩 쉬브(12)의 축(12a)을 매개로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11)에 작용하는 위치와, 서스펜딩 쉬브 빔(11)을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면에 지지하는 위치(방진 고무(14)의 위치)가 일치한다. 그래서, 서스펜딩 하중이 연직 하부로부터 방진 고무(14)에 작용하고, 서스펜딩 하중에 기인하는 굽힘 모멘트가 서스펜딩 쉬브 빔(11)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높이를 높게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강성을 과도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서스펜딩 쉬브(12)가 그 일부를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에 장착되고, 방진 고무(14)가 연직 상부로부터 보아 서스펜딩 쉬브(12)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하부 빔(5)측의 최하단보다 하부로 돌출하지 않아, 피트(pit)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어,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볼트(15)가, 플랜지부(11b)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하부로부터 나사 장착되고, 락 너트(16)를 하면측으로부터 조여 장착하여, 플랜지부(11b)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15)는, 연결판(13),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판(3c)을 유동되게 끼운 상태로 관통하여 하판(3c)의 상부로 돌출하고 있다. 게다가, 더블 너트로 구성된 하부 스토퍼(18)가 볼트(15)의 플랜지부(5b)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스토퍼(18)는,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방진 고무(14)가 허용 최대 압축량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플랜지부(5b)의 하면에 접하도록, 더블 너트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상시에, 엘리베이터 칸(1)이 밀어 올려져, 일단 로프 장력이 없어진 후, 다시 엘리베이터 칸(1)의 자중으로 충격 하중이 작용하면, 엘리베이터 칸 실(2)이 하부로 이동하여, 방진 고무(14)를 압축한다. 이 충격 하중은 커서, 방진 고무(14)가 허용 최대 압축량을 초과하여 압축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바닥(3)과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연결판(13)(플랜지부(11b))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면, 하부 스토퍼(18)가 플랜지부(5b)에 맞닿아, 엘리베이터 칸 실(2)의 그 이상의 하부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방진 고무(14)가 허용 최대 압축량을 초과하여 압축되어, 파손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더블 너트로 구성된 상부 스토퍼(17)가 볼트(15)의 하판(3c)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부 스토퍼(17)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방진 고무(14)가 자유 길이일 때에 플랜지부(5b)의 상면에 접하도록, 더블 너트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래서, 설치시나 유지시, 로프를 교환할 때에 로프 장력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부 스토퍼(17)가 플랜지부(5b)에 맞닿아, 인장 하중이 방진 고무(14)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방진 고무(14)가 과도하게 신장하여 파손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방진 고무(14)가 자유 길이일 때에 상부 스토퍼(17)가 플랜지부(5b)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부 스토퍼(17)가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부 빔(5)에 일체로 조립되어진다. 그래서, 공장 출하시에, 방진 고무(14)가 자유 길이일 때에 상부 스토퍼(17)가 플랜지부(5b)의 상면에 접하도록, 상부 스토퍼(17)를 위치 결정하면, 공장으로부터 현장까지의 반송시에, 방진 고무(14)가 과도하게 신장하여 파손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현장에서, 상부 스토퍼(17)를 하판(3c)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통과시켜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을 하부 빔(5)에 얹고, 플랜지부(5b)를 하판(3c)에 볼트등에 의해 고착하는 것만으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를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성을 높힐 수 있다. 게다가, 현장에서의, 상부 스토퍼(17)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해져,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성을 더 높힐 수 있다.
상부 스토퍼(17)와 하부 스토퍼(18)가 동축(同軸) 상에 구성되어 있다, 즉 단일의 볼트(15)에 의해 나사 결합된 더블 너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스토퍼(17)와 하부 스토퍼(18)를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이 이간하여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빈 스페이스가 서스펜딩 쉬브(12) 사이에 형성된다. 그래서, 필요에 따라, 트랙션 대책용 추(錘)(20)를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 사이의 빈 스페이스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적재량이 큰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이 가볍고, 무부하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권상기의 쉬브에 작용하는 로프 장력이 작아, 로프(9)와 쉬브와의 사이에서 트랙션이 부족하므로, 엘리베이터 칸(1)과 균형추의 언밸런스 하중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의 하부 빔(5)과 균형추에 추가 추를 적재하여, 트랙션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엘리베이터 칸(1)의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의 하부 빔(5) 안에 추가 추를 쌓는 경우에는, 방진 고무(14)에 작용하는 압축 하중이 추가 추만큼 증가하게 되어, 방진 고무(14)의 허용 압축 하중을 초과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방진 고무(14)의 허용 압축 하중을 크게 하거나, 혹은 방진 고무(14)의 개수를 늘리는 대책이 필요하여, 고비용화를 가져온다.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추(20)가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추(20)의 하중은 방진 고무(14)에 압축 하중으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방진 고무(14)의 허용 압축 하중을 크게 하거나, 혹은 방진 고무(14)의 개수를 늘리는 등의 대책이 불필요해져, 고비용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동감쇠기(21)가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로프 스트랜드에 기인하는 로프 코깅 진동 등의 특정의 진동을 감쇠할 수 있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수평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는 수평 방향 스토퍼(2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진 등이 발생해도,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기움이 억제되어, 높은 안전성이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방진 고무(14)가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와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방진 고무(14)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판(3c)과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하판(3c)에 형성되는 볼트(15)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은, 볼트(15)의 축부보다 대경(大徑)이고, 상부 스토퍼(17)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서스펜딩 쉬브 주위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현수식 엘리베이터에서의 서스펜딩 쉬브 주위를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이다. 또, 도 8에서는, 편의상, 서스펜딩 쉬브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은, 적재 하중을 싣는 바닥판(3a)과, 바닥판(3a)의 하면에 배치되어 바닥판(3a)의 휨을 보강하는 바닥 빔(3b)과, 바닥판(3a)의 정면 방향의 양측부의 하면에 장착된 바닥 프레임측 빔(3d)을 구비한다. 또, 바닥판(3a)의 정면 방향의 측부는, 바닥판(3a)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면(面)하는 측부이다.
바닥 프레임측 빔(3d)은, コ자 모양의 단면 형상으로 제작되며, コ자 모양의 개구를 엘리베이터 칸 실(2)의 중심(中心)측을 향하여 바닥판(3a)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30)가, 바닥 프레임측 빔(3d)의 コ자 모양의 반대 개구측에 위치하는 주부(主部)의 하부측 및 하측부의 일부를 노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중 지지 부재(32)는, 바닥 프레임측 빔(3d)과 동일한 コ자 모양의 단면 형상으로 제작되며, 노치부(33)가, 하중 지지 부재(32)의 コ자 모양의 주부의 하부측 및 하측부의 일부를 노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중 지지 부재(32)는, 바닥 프레임측 빔(3d)에 형성된 노치(31)에 노치부(33)를 맞추어, コ자 모양의 주부를 엘리베이터 칸 실(2)의 중심측을 향하여 바닥 프레임측 빔(3d)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된다. 바닥 프레임측 빔(3d) 및 하중 지지 부재(32)는, 상측부끼리 및 하측부끼리가 각각 접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게다가, コ자 모양의 보강 부재(34)가, コ자 모양의 개구를 하부를 향하게 하여 노치부(33)로부터 삽입되어, 바닥 프레임측 빔(3d) 및 하중 지지 부재(32)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30)의 상부는, 바닥 프레임측 빔(3d), 하중 지지 부재(32) 및 보강 부재(34)에 의해, 단면이 네모지게 닫혀진, 이른바 폐단면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2)은,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바닥 프레임측 빔(3d)의 하측부가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에 직접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4)에 지지되어 있다.
방진 고무(14)는, 서스펜딩 쉬브(12)의 개구부(13a)로부터의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판(13)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가,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바닥 프레임측 빔(3d)에 고정된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의 하면에 방진 고무(14)를 매개로 하여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실(2)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에 방진 지지된다.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는,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의 하면에 방진 고무(14)를 매개로 하여, 베이스부(5a)에 근접하고, 또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서스펜딩 쉬브(12)의 개구부(13a)로부터의 돌출부는,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30)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로프(9)가, 엘리베이터 칸(1)의 정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하부를 통과하여 정면 방향의 타측에 도달하도록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12)에 걸어 걸쳐져, 엘리베이터 칸(1)을 매달고 있다.
볼트(15)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플랜지부(11b)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하부로부터 나사 장착되고, 락 너트(16)를 하면측으로부터 조여 장착하여, 플랜지부(11b)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15)는, 연결판(13),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바닥 프레임측 빔(3d)의 하측부를 유동되게 끼운 상태로 관통하여 바닥 프레임측 빔(3d) 내로 돌출하고 있다. 상부 스토퍼(17)가 볼트(15)의 바닥 프레임측 빔(3d)의 하측부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스토퍼(18)가 볼트(15)의 플랜지부(5b)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방진 고무(14)가, 서스펜딩 쉬브(12)의 축(12a)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 축(12a)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로프(9)에 의한 서스펜딩 하중이 서스펜딩 쉬브(12)의 축(12a)을 매개로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11)에 작용하는 위치와, 서스펜딩 쉬브 빔(11)을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하면에 지지하는 위치(방진 고무(14)의 위치)가 일치한다. 그래서, 서스펜딩 하중에 기인하는 굽힘 모멘트가 서스펜딩 쉬브 빔(11)에 작용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높이를 높게 하여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강성을 과도하게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의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서스펜딩 쉬브(12)의 일부가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고,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에 형성된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30)에 수납되며, 방진 고무(14)가 연직 상부로부터 보아 서스펜딩 쉬브(12)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서스펜딩 쉬브(12)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하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트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어,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바닥 프레임측 빔(3d)의 일부를 노치하여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30)를 형성하고 있지만,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30)의 상부가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노치(31)를 바닥 프레임측 빔(3d)에 형성하는 것에 기인하는 강성, 강도의 저하를 보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방진 고무(14)가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와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방진 고무(14)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3A)의 바닥 프레임측 빔(3d)과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괜찮다. 이 경우, 바닥 프레임측 빔(3d)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볼트(15)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은, 볼트(15)의 축부보다 대경(大徑)이고, 상부 스토퍼(17)보다 소경(小徑)으로 형성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 2에서는,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이, 플랜지부(11b)를 연결판(13)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연결판(13)을 생략해도 괜찮다. 이 경우, 방진 고무(14)를 서스펜딩 쉬브(12)의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11)의 플랜지부(11b) 상에 배치하고,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10)를 엘리베이터 칸 바닥(3)의 하판(3c)에 고정된 하부 빔(5)의 플랜지부(5b)의 하면에 방진 고무(14)를 매개로 하여 배치하게 된다.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칸 실(室)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면에 직접 고착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beam)과,
    이간하여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suspending sheave) 빔, 및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를 가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하부에 배치된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방진(防振) 고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는,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도록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에 지지되고,
    상기 방진 고무는,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의 각각의 축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서스펜딩 쉬브의 축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고, 또한 연직 상부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의 각각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은, 적재물이 실리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판의 휨을 보강하는 바닥 빔과, 상기 바닥판의 정면 방향의 양측부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이 고착되는 바닥 프레임측 빔을 구비하며,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가, 상기 바닥 프레임측 빔의 하부측의 일부를 노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가,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의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는 부분을 상기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 내에 수납시켜, 상기 바닥 프레임측 빔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측 빔의 상기 서스펜딩 쉬브 수납부의 상부가, 폐단면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트랙션(traction) 대책용 추(錘)가,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빔 사이의 상기 한 쌍의 서스펜딩 쉬브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동(動)감쇠기가,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1 설정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측으로의 접근을 저지하는, 상기 방진 고무의 압축에 의한 파손 방지용 하부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2 설정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로부터의 이간을 저지하는, 상기 방진 고무의 신장에 의한 파손 방지용 상부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토퍼, 상기 방진 고무 및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의 거리가 제1 설정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측으로의 접근을 저지하는, 상기 방진 고무의 압축에 의한 파손 방지용 하부 스토퍼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과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설정값 보다 긴 제2 설정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로부터의 이간을 저지하는, 상기 방진 고무의 신장에 의한 파손 방지용 상부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토퍼, 상기 방진 고무 및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토퍼와 상기 상부 스토퍼가 동축 상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토퍼, 상기 방진 고무 및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는 수평 방향 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방향 스토퍼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 하부 빔 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바닥으로부터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하부에 도달하도록 배치된 장착 암과, 상기 장착 암의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장착된 링 모양의 탄성 부재와, 상기 서스펜딩 쉬브 조립체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내주 벽면과 이간하여 상기 탄성 부재 내를 통과하여 연직 하부로 연장하는 원기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엘리베이터.
KR1020167004194A 2013-08-02 2013-08-02 현수식 엘리베이터 KR101835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1013 WO2015015637A1 (ja) 2013-08-02 2013-08-02 せり上げ式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356A KR20160034356A (ko) 2016-03-29
KR101835237B1 true KR101835237B1 (ko) 2018-03-06

Family

ID=5243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194A KR101835237B1 (ko) 2013-08-02 2013-08-02 현수식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1979B2 (ko)
JP (1) JP5976223B2 (ko)
KR (1) KR101835237B1 (ko)
CN (1) CN105452143B (ko)
DE (1) DE112013007291T5 (ko)
WO (1) WO20150156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64B1 (ko) 2022-02-18 2022-09-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Mrl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8644B2 (en) * 2013-04-26 2017-08-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ar
WO2016135855A1 (ja) * 2015-02-24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EP3085656A1 (de) * 2015-04-20 2016-10-26 Inventio AG Trägereinheit für eine aufzuganlage
WO2017064123A1 (de) * 2015-10-12 2017-04-20 Inventio Ag Fahrkorb für einen aufzug in einem aufzugsschacht
CN105692388A (zh) * 2016-04-07 2016-06-2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反绳轮装置
CN109335930A (zh) * 2016-12-30 2019-02-15 吴碧玉 一种实时配重调整的电梯用平衡装置
CN106829700A (zh) * 2017-04-07 2017-06-13 海宁市红狮电梯装饰有限公司 一种无喷涂环保轿厢
CN107235408A (zh) * 2017-08-09 2017-10-10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家用电梯及其轿架
CN110395644B (zh) * 2018-04-25 2020-1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轿厢和电梯装置
WO2020105120A1 (ja) * 2018-11-20 2020-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組立方法
CN109626182B (zh) * 2018-12-24 2023-10-27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一种轿顶轮架和高速梯轿架
CN110104528A (zh) * 2019-04-23 2019-08-09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一体式双支撑电梯轿架下梁组件
CN110980479A (zh) * 2019-11-27 2020-04-10 沃克斯电梯(中国)有限公司 减少空间占用的电梯轿底结构
CN110950215A (zh) * 2019-11-27 2020-04-03 沃克斯电梯(中国)有限公司 平衡支撑的电梯轿底结构
CN117794841A (zh) * 2021-08-19 2024-03-2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轿厢及电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983A (ja) * 2002-03-27 2003-10-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3095570A (ja) * 2011-11-02 2013-05-20 Hitachi Ltd 制振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130A (en) * 1960-10-12 1963-08-20 Silopark S A Elevator system in which drive mechanism is mounted upon the counterweight
JPS5293162U (ko) * 1976-01-09 1977-07-12
JPS5293162A (en) 1976-01-12 1977-08-05 Ebara Infilco Co Lt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JPS6296291A (ja) * 1985-10-21 1987-05-02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かご上シ−ブ支持装置
JP4131764B2 (ja) * 1998-09-01 2008-08-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1247278A (ja) 2000-03-06 2001-09-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枠
HU226605B1 (en) * 2000-05-01 2009-04-28 Inventio Ag Load-carrying means for cable-operated elevators with an integrated load measurement device
US6722475B2 (en) * 2002-05-22 2004-04-20 Inventio Ag Elevator safety plank assembly
JP4657612B2 (ja) * 2003-03-06 2011-03-23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
WO2004078628A2 (de) * 2003-03-06 2004-09-16 Inventio Ag Aufzug mit 2:1 zahnriemenführung
JP4351471B2 (ja) 2003-06-03 2009-10-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せり上げ式エレベータ
JP4220312B2 (ja) * 2003-06-09 2009-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吸振装置
JP5085325B2 (ja) * 2004-09-09 2012-11-28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モジュールエレベータケージ
SG123668A1 (en) * 2004-12-10 2006-07-26 Inventio Ag Pulley arrangement for elevators
JP5103898B2 (ja) * 2006-12-27 2012-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かご吊車取付装置
JP5105512B2 (ja) * 2007-05-21 2012-12-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シーブ支持装置
WO2009154611A1 (en) 2008-06-17 2009-12-23 Otis Elevator Company Underslung elevator car configuration
EP2334583B1 (en) * 2008-08-01 2015-10-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embly comprising a vibration damper
CN203079487U (zh) * 2013-02-05 2013-07-24 浙江飞亚电梯有限公司 一种大吨位电梯轿厢底
US9718644B2 (en) * 2013-04-26 2017-08-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983A (ja) * 2002-03-27 2003-10-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13095570A (ja) * 2011-11-02 2013-05-20 Hitachi Ltd 制振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64B1 (ko) 2022-02-18 2022-09-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Mrl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2143B (zh) 2017-06-30
WO2015015637A1 (ja) 2015-02-05
CN105452143A (zh) 2016-03-30
DE112013007291T5 (de) 2016-04-21
US9511979B2 (en) 2016-12-06
JPWO2015015637A1 (ja) 2017-03-02
JP5976223B2 (ja) 2016-08-23
US20160159615A1 (en) 2016-06-09
KR20160034356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237B1 (ko) 현수식 엘리베이터
US20130048438A1 (en) Elevator system with rope sway mitigation
EP1727764B1 (en) Balancing apparatus for elevator
JP201315133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714954B1 (ko) 엘리베이터용 엘리베이터 칸
KR100374660B1 (ko) 엘리베이터
JP2010047410A (ja) エレベータ
JP60160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42465B2 (ja) エレベータのためのプーリ装置
JP660025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97100B2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EP3176121B1 (en) An elevator car arrangement and method for dampening vibrations
KR1006413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1155109A1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2016125636A (ja) 減震装置
JP6345374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221177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装置
JPH06239570A (ja) エレベーターの振動防止装置
JP2018177494A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並びに巻上機の防振機構部と転倒防止機構部の組立方法
CN110759208B (zh) 一种用于抑制曳引机振动的电梯装置及电梯
JP2012041174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WO2023021644A1 (ja) 乗りかご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H0388689A (ja) 釣り合い錘
JP4528017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いロープの制振装置
JP6794212B2 (ja) ダンパ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