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834B1 -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834B1
KR101834834B1 KR1020160148402A KR20160148402A KR101834834B1 KR 101834834 B1 KR101834834 B1 KR 101834834B1 KR 1020160148402 A KR1020160148402 A KR 1020160148402A KR 20160148402 A KR20160148402 A KR 20160148402A KR 101834834 B1 KR101834834 B1 KR 10183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paprika
pepper
weight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용
장길수
전수경
권오훈
김일두
권오흔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4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4Dyes; Pi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고추 천연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를 이용한 천연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추 또는 파프리카 세척 및 추출하는 제 1단계,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비누 에센스(비누 베이스 8020),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천연 향료, 오소리 기름 , 천연 색소 계면 활성제를 각각 혼합기를 이용하여 1~2시간 배합하는 제 2단계, 배합물을 2회 갈음 및 모양 만들기를 하는 제 3단계, 제조된 비누를 숙성하는 제 4단계, 선별 ,포장, 제품화 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기능성 비누 제조 외에 샴푸, 물비누 등의 다른 형태의 세제 류에도 안전성과 경제성 및 소비자의 높은 기호도가 고려된 고(高) 부가가치화로 소비자 및 생산자에게 경제적 일익을 담당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unctional soap containing pepper or paprika extract}
본 발명은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이 향상된 고추 기능성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에서 추출물을 얻어 그 추출물에 비누 베이스,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천연 향료, 오소리 기름, 천연 색소 계면 활성제 등을 최적의 배합비로 배합하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고추 천연 비누 제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추는 가지과 고추속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에서 애호하는 향신료로 우리나라에는 1614년 임진왜란 때 처음 전래되었다고 추측한다.
고추의 식품학적 가치로는 매운맛은 캡사이신으로 0.3%정도 함유하며 마른 고추는 일반 성분으로 단백질이 약 9%, 당질이 약 32%, 지방이 약 14%,비타민 C가 200mg%이상 함유되어 있다.
한편, 가공과 조리에서는 고추장 ,김치,실고추, 육류와 핫소스,카레, 채소요리등에 사용되고 있다. 파프리카는 가지과,고추속,고추종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이며, 1990년대 중반 항공기 기내식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제주도 유리온실에서 처음 재배하기 시작했다. 국내 색상별 빨간색이 약 62%, 노란색이 약31%,오렌지색이 약 7%정도 재배되고 있는 실정이다. 파프리카는 캡산틴, 베타-크립토크산틴 등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매운맛이 별로없고 단맛이 강하며 비타민 A, B1 과 C가 풍부하다.
종래의 기능성 비누 제조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 번호 "10-0092327"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 비누 조성물", 등록 번호 "10-01163211"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인체 세정제 조성물", 등록 번호 "10-0433380"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등록 번호 "10-1228498" "잣송이 겉껍질 미분을 이용한 비누 및 그 제조 방법",출원 번호 "10-2011-0013584" "장미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10-2012-0145039"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비누의 제조 방법",출원 번호 "10-2009-0133193" "갓과 유자를 이용한 천연 식물 비누 제조방법 및 조성물"등과 같이 출원 및 등록되었지만 이들은 본 특허와 같이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과 그 사용이 지금까지 보고 된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비누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 과정중 원료의 색상과 향의 특징들이 최종 천연 비누에 함유한 천연 비누 제조에 많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에, 고추 또는 파프리카의 색상과 향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고추(파프리카) 추출물, 천연 향료, 천연 색소, 오소리 기름 등의 최적 배합비 및 최종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숙성 단계가 적용된 고추 또는 파프리카 기능성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고추 또는 파프리카를 이용한 천연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추 또는 파프리카 세척 및 추출 하는 제 1단계,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에 비누 베이스,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천연 향료, 오소리 기름, 천연 색소,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되 혼합기를 이용하여 1~2시간 배합하는 제 2단계, 배합물을 2회 갈음 및 모양 만들기를 하는 제 3단계, 제조된 비누를 숙성하는 제 4단계, 선별, 포장, 제품화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단계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를 수돗물에 3회 세척 후 0.2~0.3㎝ 슬라이스하여 50% 프레타놀A에 50% 프레타놀A : 고추 또는 파프리카의 무게비 5:1(w/w)로 조절 후 24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증류기를 사용하여 알콜을 모두 증발시켜 남은 용액을 고추 또는 파프리카로 사용하고, 상기 고추 또는 파프리카에 천연 당 1~2 중량%로 첨가하여 10℃의 황토방에서 3개월 숙성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 2단계의 배합은,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된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1~10 중량%과, 비누 베이스 67.37~78.82 중량%, 보습제 0.16 중량%, 기포제 0.30 중량% , 글리세린 0.10~2.00 중량%, 지방산 16.22~ 17.77 중량%, 천연 향료 0.5 중량%, 오소리 기름 0.1 중량%, 천연 색소 0.5 중량%, 계면 활성제 1.3 중량%로 배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제조된 비누를 창호지에 감싸고 표면을 해양심층수로 1분간 스프레이 한 후 25℃ 실내에서 24시간 숙성 후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창호지에 감싼 천연비누를 다시 탄소섬유로 감싼 후 35℃에서 24시간 숙성 처리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는 영양학적 근거에 의해 피부미용, 보습, 미백작용과 더불어 세정 및 방부효과를 나타냄에 따라서 기능성 비누 제조 외에 샴푸, 물 비누 등의 다른 형태의 세제 류에도 안전성과 경제성 및 소비자의 높은 기호도가 고려된 고(高) 부가가치화로 소비자 및 생산자에게 경제적 일익을 담당 할 수 있는 발명임과 아울러,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본 발명은 고추 또는 파프리카의 색상과 향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고추(파프리카) 추출물 제조 시 숙성처리를 적용하였고, 천연 향료는 식용 바나나향, 자몽향, 메이플향등의 최적 첨가비율, 천연 색소, 오소리 기름등의 최적 배합비 및 제조 과정중 모양 만들기 단계에서 제조된 기능성 비누를 숙성 단계에서 황토 분말 전(前) 처리 창호지와 탄소 섬유 처리하여 최종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 고추 또는 파프리카 기능성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추 또는 파프리카 세척 및 추출 단계
본 단계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 세척 및 추출 단계로 고추와 파프리카는 경북 영양산(2015년)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고추 또는 파프리카를 수돗물에 3회 세척후 0.2~0.3㎝ 정도 슬라이스하여 50% 프레타놀A에 50% 프레타놀A : 고추 또는 파프리카의 무게비 5:1(w/w)로 조절 후 24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증류기(진공 회전 증발 농축기, 한일 ,한국)를 사용하여 알콜을 모두 증발 시켜 남은 용액을 고추 또는 파프리카로 사용하였고, 상기 고추 또는 파프리카에 천연 당 1~2 중량%로 첨가하여 10℃의 황토방에서 3개월 숙성시킨 원액을 최종적으로 천연 비누용 고추 또는 파프리카로 추출물로 사용 하였다.
(2) 추출물 및 원료 배합 단계
본 단계는 (1)에서 추출된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과 비누 베이스(비누 베이스 8020),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천연 향료, 오소리 기름 , 천연 색소, 계면 활성제 등을 최적 배합비로 각각 배합하여 혼합기(한일, k-12,한국)1~2시간 배합 단계이다.
한편, 상기 배합비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1~10 중량%, 과 비누 베이스(비누 베이스 8020) 67.37~78.82 중량%, 보습제 0.16 중량%, 기포제 0.30 중량% , 글리세린 0.10~2.00 중량%, 지방산 16.22~ 17.77 중량%, 천연 향료 0.5 중량%, 오소리 기름 0.1 중량%, 천연 색소 0.5 중량%, 계면 활성제 1.3 중량%를 배합하였고, 비누를 구성하는 기본적 재료들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갈음(2회) 및 모양 만들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배합물을 갈음(2회) 및 모양 만들기로 천연 고추 비누를 제조하였다.
(4) 숙성 단계
(3)에서 제조된 천연 비누를 숙성하는 단계로, 제조된 비누를 창호지에 ` 감싸고 표면을 해양심층수로 1분간 스프레이 한 후, 25℃ 실내에서 24시간 숙성 후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창호지에 감싼 천연비누를 다시 탄소섬유로 감싼 후 35℃에서 24시간 숙성 처리하였다. 이때 창호지, 해양심층수(동해안 상품)와 탄소 섬유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탄소 섬유는 숯을 이용한 것으로 진공에 가까운 상태에서 소성하여 탄화시킨 섬유로 섬유의 형상은 필터 형상의 부직포 타입은 원단 두께 2mm, 유공면적은 일반 목탄의 4.5배정도 이다. 특징으로 탈취효과 항균,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발생, 전자파 차단효과를 지니고 있다.
(5) 포장 및 제품 단계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고추 천연 비누의 포장 및 제품 단계에 관한 단계이다.
실시 예)
아래 표 1은 고추 기능성 비누조성 배합 비(중량%, 이하 비율은 전부 중량% 비)이다.
Figure 112016109255249-pat00001
(1)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에 매끄러움 정도 평가 실시 예
Figure 112016109255249-pat00002
본 발명은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에 매끄러움 정도 평가 결과를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①매끄러움 측정
표 2를 참고하면 비누 제품에 대하여 남녀 각각 10명씩의 시험 대상자에게 20℃수돗물에서 보통 화장비누 사용 방식으로 1개월 사용한 후 평가 하였다. 판정기준을 5단계(5: 매우 매끄러움, 4: 약간 매끄러움, 3: 보통, 2: 약간 거칠음, 1:매우 거칠음)로 나누어서 판정하였다.
②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에 매끄러움 정도 평가 측정결과 표 2를 참고하면 실시 예 1~3 모두 비교 예(무처리)보다 우수하였고 특히 실시 예 2(고추 추출물 5%)이 가장 우수 하였다.
(2)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의 보습력 평가 실시 예
Figure 112016109255249-pat00003
본 발명은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의 보습력 평가 결과를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① 보습력 측정
표 3을 참고하면 남녀 각각 10명씩의 시험 대상자에게 시험 비누로 세정 한 후 2시간 경과 후 피부 표피의 수분을 수분 측정기 (Corneometer CM820)로 20℃ 상대습도 35%에서 실시하였다.
②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의 보습력 평가 측정 결과
표 3을 참고하면 실시 예 1~3 모두 비교 예(무처리)보다 우수하였고 특히 실시 예 2(고추 추출물 5%)이 가장 우수 하였다.
(3)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의 자극정도 평가 실시 예
Figure 112016109255249-pat00004
본 발명은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의 자극정도 평가 결과를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① 피부 자극 정도 측정
표 4를 참고하면 남녀 각각 10명씩에게 비누 세정 후 판정기준을 4단계 (0 : 육안으로 표시를 못 느낌, 1: 아주 약한 붉은색 띰, 2 : 약한 붉은 반점 나타남, 3 : 강한 붉은 반점이 나타남)로 나누어서 판정 하였다.
②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함유 비누의 피부의 자극정도 평가 측정 결과
표 4을 참고하면 실시 예 1~3 모두 비교 예(무처리)보다 우수하였고 특히 실시 예 2(고추 추출물 5%)이 가장 우수 하였다.

Claims (4)

  1. 고추 또는 파프리카를 이용한 천연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추 또는 파프리카 세척 및 추출 하는 제 1단계,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에 비누 베이스, 보습제, 기포제, 글리세린, 천연 향료, 오소리 기름, 천연 색소,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되 혼합기를 이용하여 1~2시간 배합하는 제 2단계,
    배합물을 2회 갈음 및 모양 만들기를 하는 제 3단계,
    제조된 비누를 숙성하는 제 4단계,
    선별, 포장, 제품화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단계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를 수돗물에 3회 세척 후 0.2~0.3㎝ 슬라이스하여 50% 프레타놀A에 50% 프레타놀A : 고추 또는 파프리카의 무게비 5:1(w/w)로 조절 후 24시간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증류기를 사용하여 알콜을 모두 증발시켜 남은 용액을 고추 또는 파프리카로 사용하고,
    상기 고추 또는 파프리카에 천연 당 1~2 중량%로 첨가하여 10℃의 황토방에서 3개월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천연 비누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의 배합은,
    상기 제 1단계에서 추출된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 1~10 중량%과, 비누 베이스 67.37~78.82 중량%, 보습제 0.16 중량%, 기포제 0.30 중량% , 글리세린 0.10~2.00 중량%, 지방산 16.22~ 17.77 중량%, 천연 향료 0.5 중량%, 오소리 기름 0.1 중량%, 천연 색소 0.5 중량%, 계면 활성제 1.3 중량%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천연 비누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제조된 비누를 창호지에 감싸고 표면을 해양심층수로 1분간 스프레이 한 후 25℃ 실내에서 24시간 숙성 후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창호지에 감싼 천연비누를 다시 탄소섬유로 감싼 후 35℃에서 24시간 숙성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천연 비누 제조방법.
KR1020160148402A 2016-11-08 2016-11-08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KR10183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02A KR101834834B1 (ko) 2016-11-08 2016-11-08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02A KR101834834B1 (ko) 2016-11-08 2016-11-08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834B1 true KR101834834B1 (ko) 2018-04-13

Family

ID=6197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402A KR101834834B1 (ko) 2016-11-08 2016-11-08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39B1 (ko) * 2021-09-08 2022-02-09 오정미 당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74B1 (ko) * 2010-08-26 2011-12-22 김백환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774B1 (ko) * 2010-08-26 2011-12-22 김백환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39B1 (ko) * 2021-09-08 2022-02-09 오정미 당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3059A (zh) 火锅底料及制作方法
CN103609638A (zh) 一种紫薯蛋挞及其制作方法
CN103271329B (zh) 一种辣椒酱及其制备方法
CN103892199B (zh) 一种香瓜味面条及其制备方法
CN106360450A (zh) 一种麻辣海带丝及其制备方法
CN105831626A (zh) 一种鱼肉馅及带馅食品
KR20150014799A (ko) 레몬밤 분말이 첨가된 떡갈비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3316A (ko) 증숙건해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증숙건해삼을 사용한 해삼성분이 함유된 건강식품 제조방법
CN102309015A (zh) 人参蜂蜜牛肉干的制作方法
CN104026485A (zh) 一种高钙壮骨保健米及其生产方法
CN103549339B (zh) 辣椒糟制即食风味食品的加工工艺
CN104757496A (zh) 一种制备卤鸭用的卤汁及卤鸭的制备方法
KR101834834B1 (ko) 고추 또는 파프리카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비누 제조 방법
CN103932117A (zh) 一种雪梨润肺薯条及其制备方法
Agustini et al. Study on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Spirulina platensis paste added into dried noodle to its quality characteristics
CN109170753A (zh) 一种人参乌鸡汤及其生产工艺
KR101395218B1 (ko) 산양삼을 포함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70920A (zh) 一种海带馅饼及其制备方法
CN108813556A (zh) 一种麻辣酱的生产工艺
KR20120006350A (ko) 발효 생강의 제조방법
KR102437881B1 (ko) 진저롤 함량이 증가된 건조 생강 절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75731A (zh) 一种葱香鸡蛋糕及其制作方法
KR20140006352A (ko)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KR101369041B1 (ko) 돼지감자와 양파껍질을 이용한 멸치 칼국수 제조방법
CN105360498A (zh) 一种水果味花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