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165B1 - 선형 도금체 건조대 - Google Patents

선형 도금체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165B1
KR101833165B1 KR1020170008550A KR20170008550A KR101833165B1 KR 101833165 B1 KR101833165 B1 KR 101833165B1 KR 1020170008550 A KR1020170008550 A KR 1020170008550A KR 20170008550 A KR20170008550 A KR 20170008550A KR 101833165 B1 KR101833165 B1 KR 101833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unit
drying rack
linear plating
p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김재호
김병근
Original Assignee
김재용
김재호
김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김재호, 김병근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1020170008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조(2)에서 도금되어 임시거치대(5)에 수평거치된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를 수직하게 세워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대(10)로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회전축(25)과, 일측 수직회전축(25)을 회전시키는 모터(27)가 구비된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회전축(25)들에 감겨서 모터(2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벨트(30); 및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며 배면이 상기 이송벨트(30)에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거치부(41)와, 이 각 수직거치부(4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워진 상태로 수직거치부(41)에 지지된 선형 도금체(1)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42)와, 상기 각 수직거치부(41)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형 도금체(1)의 측방 이탈을 막는 측방지지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위건조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이다.

Description

선형 도금체 건조대{A dryer for a linear plating articles}
본 발명은 선형 도금체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형 도금체를 세워서 건조시키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는 부식이나 나사산의 손상 등을 방지하도록 아연과 같은 도금물질을 이용하여 표면에 도금을 하고 일정시간 건조시키게 된다. 즉, 나사가공된 복수개의 전산볼트를 전후진 및 승강되는 지그에 장착된 상태로 도금조에서 도금하고(도금공정), 도금이 완료되면 세정조에서 세척하며(세정공정), 세척이 끝나면 건조시킨다(건조공정). 이때, 세척이 끝난 전산볼트는 세정조 밖에 위치된 임시거치대에 수평상태로 거치시킨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임시거치대에 수평상태로 거치된 복수개의 전산볼트를 들어서 인출한 후 수직하게 세워서 상단이 도금조 및 세정조 주변의 벽면에 기댄 상태로 건조시키게 되므로, 작업자가 도금조 및 세정조 주변의 벽면까지 이동해야 하며 주변 벽면에 빈 자리가 없게 되면 복수개의 전산볼트를 들고 더 멀리까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자의 피곤함이 증가되며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전산볼트 뿐 아니라 선형 도금체 전체에서 발생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748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금조에서 도금된 선형 도금체를 작업자가 멀리 이동하지 않고 근거리에서 세워서 건조시킬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자의 피곤함도 덜 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선형 도금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로 건조되며 도금되어 임시로 거치되는 시간에 맞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생산성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한 선형 도금체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금조(2)에서 도금되어 임시거치대(5)에 수평거치된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를 수직하게 세워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대(10)로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회전축(25)과, 일측 수직회전축(25)을 회전시키는 모터(27)가 구비된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회전축(25)들에 감겨서 모터(2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벨트(30); 및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며 배면이 상기 이송벨트(30)에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거치부(41)와, 이 각 수직거치부(4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워진 상태로 수직거치부(41)에 지지된 선형 도금체(1)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42)와, 상기 각 수직거치부(41)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형 도금체(1)의 측방 이탈을 막는 측방지지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위건조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위건조대(40)의 수직거치부(41)의 상측부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경사부(4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단위건조대(40)의 받침부(42)의 하측에 위치되게 상기 이송벨트(30)를 감싸도록 연장된 롤러지지체(51)와, 이 롤러지지체(51)에 장착되어 건조대(40)의 받침부(42)를 받쳐주며 이송벨트(30)의 회전에 의한 단위건조대(40)의 수평이동을 안내해주는 복수개의 롤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롤러유닛(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20)에는 단위건조대(4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더 구비되고, 이 감지센서(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 도금체(1)를 이송벨트(30)에 의해 자동으로 수평이동되는 복수개의 단위건조대(40)에 각각 세워서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작업자가 선형 도금체를 들고 도금조에서 멀리까지 이동하여 벽면에 거치시키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이동거리가 단축되어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자의 피곤함을 덜어주며 작업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때, 단위건조대(40)에 측방지지부(43)가 구비되어, 단위건조대(40)가 측방으로 수평이동될 때 길이가 긴 선형 도금체(1)가 관성력이나 원심력에 의해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단위건조대(40)의 상측에 상부경사부(41a)가 형성되어 선형 도금체(1)가 단위건조대(40)에 경사지게 거치되므로, 선형 도금체(1)가 단위건조대(40)에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한편, 단위건조대(40)의 받침부(42)의 직하방에 지지롤러유닛(50)이 구비되어, 단위건조대(40)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단위건조대(4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 및 이 감지센서(60)의 신호를 통해 단위건조대(4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구비되므로, 단위건조대(40)의 이동을 선형 도금체(1)가 도금조(2) 및 세정조(3)를 거쳐 임시거치대(5)에 거치되는 시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들을 비어있는 각 단위건조대(40)를 건너뛰지 않고 순차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단위건조대(40)를 이송시키는 이송벨트(30)의 계속적인 구동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작업자가 계속 이동되는 단위건조대(40) 중 비어있는 단위건조대(40)를 찾아서 선형 도금체(1)를 거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되어 생상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도금체 건조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도금체 건조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도금체 건조대(10)는 메인프레임(20), 이송벨트(30), 단위건조대(40), 지지롤러유닛(50), 감지센서(60) 및 제어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대(10)는 도 1과 같이 전후진 및 승강되는 지그(4)에 장착된 상태로 도금조(2) 및 세정조(3)에서 도금 및 세정이 이루어진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가 Y자 형상의 임시거치대(5)에 거치되면 작업자 또는 로봇암이 거치된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를 세워서 건조시키는 장치이며, 임시거치대(5)와 근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20a)과, 이 베이스프레임(20a)의 상측에 베이스프레임(20a)보다 축소된 형태로 구비된 하단프레임(21)과, 이 베이스프레임(20a)에서 서로 이격되게 직립되며 하단프레임(21)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포스트(22)와, 이 포스트(22)의 중간부 및 상단에 결합된 중간 및 상단프레임(23,2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0a)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간 및 상단프레임(23,24)을 관통하는 수직회전축(2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수직회전축(25)의 하단 및 중간부에는 스프로켓(26)이 설치되며, 일측 수직회전축(25)은 모터(27)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하단, 중간 및 상단프레임(20a,21,23,24)은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직회전축(25)은 원의 테두리를 따라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송벨트(30)는 메인프레임(20)의 수직회전축(25)들에 감겨져서 모터(2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송벨트(20)는 수직회전축(25)의 하단 및 중간 2곳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1곳 또는 3곳 이상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송벨트(30)에는 상기 단위건조대(40)를 볼트(32)로 결합시킬 수 있는 볼트공(31)이 형성된다.
상기 단위건조대(40)는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수용되어 건조되는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배면이 이송벨트(30)에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거치부(41)와, 이 각 수직거치부(4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형 도금체(1)를 지지하는 받침부(42)와, 상기 각 수직거치부(41)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선형 도금체(1)의 측방으로의 이탈을 막는 측방지지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 수직거치부(41)는 단면 디귿자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며, 채널 형상인 수직거치부(41)의 측면판이 전방으로 좀 더 돌출되어 측방지지부(43)를 구성하며 수직거치부(41)와 별체로 이루어진 측방지지부(43)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지지부(43)가 수직거치부(41)와는 별도로 전방으로 연장된 띠부재로 이루어지되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수직거치부(41)의 상단, 중간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수직거치부(41)의 상측부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된 경사부(41a)가 형성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의 수직회전축(25)에는 단위건조대(40)가 회전될 때 수직거치부(41)의 경사부(41a)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회전원판(28)이 구비된다. 한편, 받침부(42)의 선단에는 세워진 선형 도금체(1)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방지턱(44)이 상향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받침부(42) 자체가 바스켓으로 이루어지는 등 세워진 선형 도금체(1)의 이탈을 막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그리고 한편, 수직거치부(41)의 하단부에 좌우로 위치된 측방지지부(43)를 연결하는 지지바(45)가 구비되어, 상단이 수직거치부(41)의 경사부(41a)에 경사지게 세워진 선형 도금체(1)의 하단부가 지지바(45)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단위건조대(40)는 이송벨트(30)가 모터(2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위치이동된다.
상기 지지롤러유닛(50)은 단위건조대(40)의 받침부(42)을 받쳐주면서 받침부(42)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롤러지지체(51) 및 롤러(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지지체(51)는 단위건조대(40)의 받침부(42)의 하측에 위치되게 이송벨트(30)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메인프레임(20)의 베이스프레임(20a)에 일체로 결합된다. 도 와 같이, 롤러지지체(51)는 2개의 띠부재가 폭방향이 상하로 배치되게 세워져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트랙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롤러(52)는 상기 롤러지지체(51)의 2개의 띠부재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60)는 메인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단위건조대(40)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유닛(70)으로 송출한다. 이러한 감지센서(60)는 단위건조대(40)가 일정거리로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70)은 감지센서(6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모터(27)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유닛(70)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모터(27)의 작동을 일정시간동안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임시거치대(5)와 근접 위치되며 비어있는 단위건조대(40)가 선형 도금체(1)가 도금조(2) 및 세정조(3)를 거쳐 임시거치대(5)에 거치되는 시간동안 위치 고정되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임시거치대(5)에 거치된 선형 도금체(1)를 상기 비어있는 단위건조대(40)에 용이하게 세워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단위건조대(40)의 이동시간 및 임시거치대(5)에서 선형 도금체(1)를 인출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모터(27)의 작동정지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도금체 건조대에 선형 도금체(1)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금조(2) 및 세정조(3)를 거쳐 도금된 선형 도금체(1)가 임시거치대(5)에 수평상태로 거치되는데 대략 2분 40초가 걸린다. 임시거치대(5)에 거치된 선형 도금체(1)를 작업자 또는 로봇암이 인출한 후 도 2 및 도 4와 같이 모터(27)의 작동정지로 임시거치대(5)와 근접되게 위치고정된 단위건조대(40)에 수직하게 세워서 거치시킨다. 그리고 다시 선형 도금체(1)가 도금되어 임시거치대(5)에 거치기 전 즉, 도금시작 2분 30초 후에 제어유닛(70)에 의해 모터(27)가 구동되어 다음 단위건조대(40)가 이송벨트(30)의 이송에 의해 임시거치대(5)와 근접된 위치로 이송된다. 이때, 단위건조대(40)의 이동시간은 30초가량이어서 선형 도금체(1)가 임시거치대(5)에 거치되는 2분 40초와 맞게 된다. 작업자나 로봇암이 임시거치대(5)의 선형 도금체(1)를 인출하여 이동된 단위건조대(40)에 수직하게 세워서 거치시키며, 이러한 작동 및 작업이 반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선형 도금체 2 : 도금조
10 : 건조대 20 : 메인프레임
25 : 수직회전축 30 : 이송벨트
40 : 단위건조대 41 : 수직거치부
42 : 받침부 43 : 측방지지부
44 : 방지턱 50 : 지지롤러유닛
60 : 감지센서 70 : 제어유닛

Claims (4)

  1. 도금조(2)에서 도금되어 임시거치대(5)에 수평거치된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를 수직하게 세워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대(10)로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수직회전축(25)과, 일측 수직회전축(25)을 회전시키는 모터(27)가 구비된 메인프레임(20);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직회전축(25)들에 감겨서 모터(27)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벨트(30); 및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며 배면이 상기 이송벨트(30)에 이격되게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거치부(41)와, 이 각 수직거치부(4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세워진 상태로 수직거치부(41)에 지지된 선형 도금체(1)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부(42)와, 상기 각 수직거치부(41)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선형 도금체(1)의 측방 이탈을 막는 측방지지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위건조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건조대(40)의 수직거치부(41)의 상측부에는 상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경사부(4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건조대(40)의 받침부(42)의 하측에 위치되게 상기 이송벨트(30)를 감싸도록 연장된 롤러지지체(51)와, 이 롤러지지체(51)에 장착되어 단위건조대(40)의 받침부(42)을 받쳐주며 이송벨트(30)의 회전에 의한 단위건조대(40)의 수평이동을 안내해주는 복수개의 롤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롤러유닛(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일측에는 단위건조대(4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가 더 구비되고, 이 감지센서(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2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건조대.
KR1020170008550A 2017-01-18 2017-01-18 선형 도금체 건조대 KR101833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50A KR101833165B1 (ko) 2017-01-18 2017-01-18 선형 도금체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50A KR101833165B1 (ko) 2017-01-18 2017-01-18 선형 도금체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165B1 true KR101833165B1 (ko) 2018-02-27

Family

ID=6139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550A KR101833165B1 (ko) 2017-01-18 2017-01-18 선형 도금체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521Y1 (ko) * 1993-09-22 1996-07-29 김진해 경량형강(씨형광, 채널)의 도장건조장치
KR20100026794A (ko) * 2008-09-01 2010-03-10 현진전자(주) 인쇄회로기판 무전해도금용 랙
KR20160035134A (ko) * 2014-09-22 2016-03-31 (주)코리아테크 플로어 헤드 스핀들 컨베이어형 도장장치
KR101629173B1 (ko) * 2015-03-06 2016-06-13 김영진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521Y1 (ko) * 1993-09-22 1996-07-29 김진해 경량형강(씨형광, 채널)의 도장건조장치
KR20100026794A (ko) * 2008-09-01 2010-03-10 현진전자(주) 인쇄회로기판 무전해도금용 랙
KR20160035134A (ko) * 2014-09-22 2016-03-31 (주)코리아테크 플로어 헤드 스핀들 컨베이어형 도장장치
KR101629173B1 (ko) * 2015-03-06 2016-06-13 김영진 자동차의 축전지 샐커버용 아노다이징 도금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9175B2 (en) Dish washing apparatus and dish drying apparatus
KR101785584B1 (ko) 누드 컨베이어
KR101833165B1 (ko) 선형 도금체 건조대
JP6578088B2 (ja) ワゴン洗浄機
JP5590411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2286532B1 (ko) 식기 및 식판의 회전 세척시스템
KR100879069B1 (ko) 차량용 타이어 공급장치
US3980204A (en) Tray dispenser apparatus
CN112059859A (zh) 一种具有上料功能的磁芯加工用磨削装置
US6152154A (en) Conveyor system for dishwashing
KR101962036B1 (ko) 선형 도금체의 이송 및 거치장치
JPH08322532A (ja) 食品洗浄機
JPH08113355A (ja) 洗浄篭受け渡し装置
CN108861479A (zh) 生物膜培养专用托盘的倒料及回收的方法
JP7356300B2 (ja) 洗浄システム
JP3081344B2 (ja) 食器・トレー仕分け装置
JPH0524617U (ja) ラツク移送装置
JPH08324744A (ja) ベルトコンベア
CN113619998B (zh) 待喷涂件自动上挂装置
JP2945856B2 (ja) 昇降式食器篭送り出し装置
KR20220099379A (ko) 드럼통용 세척장치
KR200440798Y1 (ko) 차량용 백미러 운반용 캐리어
CN108946120B (zh) 一种托盘翻转上线机
JPH06156735A (ja) 苗箱自動供給装置
JPS58104823A (ja) 自動洗浄装置の被洗浄物横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