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251B1 -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 Google Patents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251B1
KR101831251B1 KR1020160037760A KR20160037760A KR101831251B1 KR 101831251 B1 KR101831251 B1 KR 101831251B1 KR 1020160037760 A KR1020160037760 A KR 1020160037760A KR 20160037760 A KR20160037760 A KR 20160037760A KR 101831251 B1 KR101831251 B1 KR 10183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user
mouth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747A (ko
Inventor
백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이에스
백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이에스, 백재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6003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251B1/ko
Priority to PCT/KR2017/002183 priority patent/WO2017171246A1/ko
Priority to US16/090,273 priority patent/US10780316B2/en
Publication of KR2017011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5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입술 하부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입에 삽입 배치되며, 저면에는 제1전극이 형성된 상부판, 아랫입술 상부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입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는 제2전극이 형성된 하부판, 사용자의 입술 외측에 밀착 배치되며, 상부판 선단 및 하부판 선단을 각각 연결상태로 지지하면서 상부판과 하부판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외측지지판,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윗입술과 아랫입술로 상부판과 하부판을 눌러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접촉시,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가압인지부를 포함하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는, 사용자 입의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 상부판 및 하부판을 배치한 후, 사용자가 입을 다물어 윗입술과 아랫입술로 상부판 및 하부판을 밀 경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접촉시켜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면서 입술근육의 운동효과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킨다.

Description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Apparatus for strengthening lip muscles to prevent malocclusion and mouth breathing}
본 발명은 입술을 다문 상태에서 코를 통한 호흡 습관을 가지게 하여, 부정교합이 발생 방지와 더불어 비염 및 상악동염 개선, 편도 및 아데노이드 부종 개선을 위한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을 통한 구호흡은 비상악복합체의 저발육으로 인한 전치부 반대교합과 상하 구치부 폭경 부조화는 물론 협근기구 교란으로 상하 치열궁의 'V'형으로의 변형과 개방교합을 야기한다.
또한, 비강에서 시작되는 전체 호흡기계의 혼란을 야기하여, 아데노이드 및 편도 비대를 초래하는 경우도 흔하다. 구강 내에서는 타액 건조로 인한 전반적 치열의 탈회와 좁아진 비상악복합체로 인한 상악 제1대구치와 제2유구치의 간섭을 초래하고, 이때문에 편측 혹은 양측의 상악 제2유구치의 비정상적 흡수를 야기한다. 상악동 내의 점막 변형으로 점액낭종 또한 흔히 일어나는 부작용 중 하나이다.
이러한, 구호흡은 최근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근육 저활성과 경추 자세 변화로 인한 좁아진 기도, 그리고 문자 전송 등의 수단에 의한 구순 활동량의 감소 등이 주요한 원인이며, 관련하여 손가락빨기 혹은 손톱물어뜯기 습관 등이 부가적인 원인이 되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비상악복합체가 완성되기 이전에 구호흡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경우, 고정성 혹은 가철성 교정장치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사용하지 않고도 조기에 부정교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호흡을 차단하고 코를 통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55658호(2006.03.02)에 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출원된 구호흡 차단장치는, 단순히 사용자의 입술이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게 하여 입술이 벌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입술근육에 힘을 주어 다물지 않아 입술근육의 운동효과가 적음과 더불어 입술을 다문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에 어려움이 있다. 더불어, 상기 사용자의 입술 부분에 돌기부가 계속적으로 접촉을 유지해야 함으로써, 돌기부와의 마찰 또는 충돌로 인해 입술 부분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입술근육을 움직여 다물게 함으로써 입술근육의 운동효과를 증대시킴과 더불어 코를 통한 호흡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윗입술 하부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입에 삽입 배치되며, 저면에는 제1전극이 형성된 상부판, 아랫입술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는 제2전극이 형성된 하부판, 상기 사용자의 입술 외측에 밀착 배치되며, 상기 상부판 선단 및 상기 하부판 선단을 각각 연결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외측지지판,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윗입술과 상기 아랫입술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눌러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접촉시, 상기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가압인지부를 포함하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외측지지판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판은, 상기 상부판의 두께 또는 상기 하부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판의 후면부는,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판의 후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 외측에 밀착되도록 전방으로 오목한 곡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판의 상기 상부판 일단 및 상기 하부판 일단이 연결된 부분 사이에는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관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인지부는, 일단이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제1케이블, 일단이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제2케이블, 상기 제1케이블의 타단 및 상기 제2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진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인지부에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알람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는, 사용자 입의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 상부판 및 하부판을 배치한 후, 사용자가 입을 다물어 윗입술과 아랫입술로 상부판 및 하부판을 밀 경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접촉시켜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면서 입술근육의 운동효과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는, 상부판(100), 하부판(200), 외측지지판(300), 가압인지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사용자 입(10)의 윗입술(11)과 아랫입술(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10)에 삽입되는 판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100)은 상기 윗입술(11)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10)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어, 사용자가 입(10)을 다물 경우, 상기 윗입술(11)에 의해 하방으로 밀림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00)의 저면, 즉 하부판(200)의 상면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제1전극(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전극(11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입이 다물어 질 경우, 즉 상기 윗입술(11)과 아랫입술(12)이 맞닿도록 할 경우 하부판(200)에 형성된 제2전극(120)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판(200)은 상기 아랫입술(12)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10)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입을 다물 경우, 상기 아랫입술(12)에 의해 상방으로 밀림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 즉 상부판(100)의 저면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제2전극(2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전극(210)은 상기 제1전극(110)에 대칭되는 상기 하부판(200)의 상면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입(10)을 다물 경우, 상기 제1전극(110)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상기 사용자가 힘을 주어 입(10)을 다물지 않을 경우, 상기 상부판(100)의 선단 및 상기 하부판(200)의 선단을 상하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각각 외측지지판(300)의 후면부에 연결 결합한다. 이때, 상기 상부판(100)의 선단 및 상기 하부판(200)의 선단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상부판(100의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하부판(200)의 테두리 부분, 즉 상기 상부판(100)의 양측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는 대칭되게 배치되는 상기 하부판(200)의 양측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와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부판(100)의 양측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는 대칭되게 배치되는 상기 하부판(200)의 양측단 테두리와 후단 테두리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이 맞닿도록 상기 사용자가 입을 다물 경우,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120)이 접촉되면서 가압인지부(400)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입을 다문 상태에서 코 호흡이 이루어짐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외측지지판(300)에 연결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입(10) 내측에 삽입 배치시, 상기 사용자의 입(10)을 다물 경우, 상기 윗입술(11)과 상기 아랫입술(12)에 의해 하방 및 상방으로 각각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100)과 상기 하부판(200)은 상기 사용자의 입(10)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지지판(300)은 상기 사용자의 입(10)을 다물지 않을 경우,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이 상기 입(1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도록 연결 지지하는 판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지지판(300)의 후면부에는 상기 상부판(100)의 선단 및 상기 하부판(200)의 선단이 각각 연결 결합되며,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입(10) 내측으로 삽입시, 상기 사용자의 입(10) 외측에 밀착 배치된다. 이때, 상기 외측지지판(300)의 후면부, 즉 상기 사용자의 입(10) 외측에 대향되는 면부는 평면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와 같이 상기 외측지지판(300)의 후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10) 외측에 배치시 상기 입(10) 외측에 밀착되는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전방으로 오목한 곡면 구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지지판(300)은 상기 사용자의 입(10) 외측에 배치시,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지지판(300)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외측지지판(300)은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외측지지판(300)의 두께는 상기 상부판(100)의 두께 또는 상기 하부판(2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한다. 이같이, 상기 외측지지판(300)의 두께는 상기 상부판(100)의 두께 또는 상기 하부판(2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입(10)을 다물 경우 쉽게 다물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윗입술(11)과 아랫입술(12)의 근육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인지부(400)는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210)의 접촉시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가압인지부(400)는 상기 사용자의 입(10) 내측, 즉, 상기 사용자의 윗입술(11)과 아랫입술(12) 사이에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삽입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윗입술(11)과 아랫입술(12)로 각각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눌러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210)이 접촉될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인지부(400)는 제1케이블(410), 제2케이블(420), 출력수단(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블(410)은 상기 제1전극(110)과 출력수단(43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즉, 상기 제1케이블(4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1전극(1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케이블(4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출력수단(430)에 연결된다.
상기 제2케이블(420)은 상기 제2전극(120)과 출력수단(430)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즉, 상기 제2케이블(4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제2전극(120)에 연결되며, 상기 제2케이블(4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출력수단(430)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수단(430)은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120)의 접촉시, 작동하게 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상태임을 디스플레이로 출력시킨다. 이러한, 상기 출력수단(430)에는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120)의 접촉시 전원을 인가시켜, 디스플레이를 통한 출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전원공급수단(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수단(430)은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120)의 접촉에 따른 전원인가시,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정도를 시간으로 표시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상태여부를 'O' 또는 'X'로 표시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압인지부(400)에는,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210)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알람수단(44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알람수단(440)은 상기 출력수단(430)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상태를 표시한 후,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210)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10)의 윗입술(11)과 아랫입술(12) 사이에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배치한 후, 상기 사용자가 입(10)을 다물어 상기 윗입술(11)과 상기 아랫입술(12)로 상기 상부판(100) 및 상기 하부판(200)을 밀 경우, 상기 제1전극(110)과 상기 제2전극(210)을 접촉시켜 상기 사용자의 입(10)이 다물어진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하면서 입술근육의 운동효과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상부판 110: 제1전극
200: 하부판 210: 제2전극
300: 외측지지판 310: 연결구
400: 가압인지부 410: 제1케이블
420: 제2케이블 430: 출력수단
440: 알람수단

Claims (8)

  1. 윗입술 하부에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입에 삽입 배치되며, 저면에는 제1전극이 형성된 상부판과;
    아랫입술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입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는 제2전극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사용자의 입술 외측에 밀착 배치되며, 상기 상부판 선단 및 상기 하부판 선단을 각각 연결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이 상호 이격되게 하는 외측지지판;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윗입술과 상기 아랫입술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눌러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이 접촉될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이 자발적인 힘에 의해 다물어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게 신호를 출력하는 가압인지부를 포함하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및 상기 외측지지판은,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판은, 상기 상부판의 두께 또는 상기 하부판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판의 후면부는, 평면 구조를 가지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판의 후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 외측에 밀착되도록 전방으로 오목한 곡면 구조를 가지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판의 상기 상부판 일단 및 상기 하부판 일단이 연결된 부분 사이에는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관통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인지부는,
    일단이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제1케이블과,
    일단이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제2케이블, 및
    상기 제1케이블의 타단 및 상기 제2케이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입이 다물어진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압인지부에는,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의 접촉이 해제될 경우에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하는 알람수단을 더 구비하는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KR1020160037760A 2016-03-29 2016-03-29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KR10183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60A KR101831251B1 (ko) 2016-03-29 2016-03-29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PCT/KR2017/002183 WO2017171246A1 (ko) 2016-03-29 2017-02-28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US16/090,273 US10780316B2 (en) 2016-03-29 2017-02-28 Lip muscle strengthening device for preventing malocclusion and improving mouth brea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60A KR101831251B1 (ko) 2016-03-29 2016-03-29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47A KR20170111747A (ko) 2017-10-12
KR101831251B1 true KR101831251B1 (ko) 2018-02-23

Family

ID=5996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760A KR101831251B1 (ko) 2016-03-29 2016-03-29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80316B2 (ko)
KR (1) KR101831251B1 (ko)
WO (1) WO2017171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2954B (zh) * 2020-02-17 2021-03-23 郑州幼儿师范高等专科学校 一种声乐呼吸训练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873A (ja) * 2000-07-05 2002-01-22 Yoshiaki Akihiro 治療器具
KR101394316B1 (ko) * 2012-05-31 2014-09-23 (주)더힘스 정전용량 방식의 압력 센서가 구비된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4029A (en) * 1927-07-18 1929-05-21 Kuhn Karl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gums
US1851865A (en) * 1931-04-10 1932-03-29 Ptacek Peter George Exercising device
US6524262B1 (en) * 2000-10-30 2003-02-25 Actwell Technology, Inc. Oral lip and chin muscle rehabilitating device
US6514176B1 (en) * 2001-04-12 2003-02-04 Jewellita F. Norton Apparatus for enhancing isometric exerci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30088158A1 (en) * 2001-11-05 2003-05-08 Kuo-Feng Chien Expander for the oral cavity's rehabilitation
JP3118109U (ja) 2005-07-08 2006-01-26 明徳 笹倉 口唇くわえ形呼吸改善マウスピース
JP2006055658A (ja) 2005-10-17 2006-03-02 Kiyoshi Ozawa 口呼吸防止具
US7476180B1 (en) * 2006-04-28 2009-01-13 Tyrone Cobb Exercise apparatus for the jaw and facial muscles
US20130260963A1 (en) * 2012-03-29 2013-10-03 Shu-Chen TSAI Oral rehabilitation device
JP5240882B1 (ja) 2012-08-20 2013-07-17 宏昭 相澤 口呼吸防止具
US10820965B2 (en) * 2016-09-19 2020-11-03 Dror Ortho Design Ltd Orthodontic system with tooth movement and position measuring, monitoring, and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873A (ja) * 2000-07-05 2002-01-22 Yoshiaki Akihiro 治療器具
KR101394316B1 (ko) * 2012-05-31 2014-09-23 (주)더힘스 정전용량 방식의 압력 센서가 구비된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1311A1 (en) 2019-04-18
KR20170111747A (ko) 2017-10-12
US10780316B2 (en) 2020-09-22
WO2017171246A1 (ko)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JP7437316B2 (ja) 離隔した電気部品のセットを有する下顎前方固定装置
WO2019047291A1 (zh) 用于监控口面肌训练的装置及方法
US20220273486A1 (en) Oral appliance
AU2020202046A1 (en) Oral appliance
CA3001615C (en) Oral appliance
KR101831251B1 (ko) 부정교합방지 및 구호흡 개선용 입술근육 강화장치
US9492310B2 (en) Adjustable tongue retaining oral appliance
IT201800003076A1 (it) Dispositivo orale per rieducazione miofunzionale
KR102125147B1 (ko) 구강 재활 치료 도구
KR101608871B1 (ko) 수면중 코호흡을 유도하기 위한 입벌림 방지구
JP2018126265A (ja) 嚥下機能訓練器
JP6996054B2 (ja) バイトブロック
JP6682358B2 (ja) 口輪筋トレーニング器具
JP2015147025A (ja) 睡眠時無呼吸改善器具
US8545231B2 (en) Obstructive sleep apnea demonstration model device
KR102551910B1 (ko) 응급처치용 기도 확보기구
KR102257890B1 (ko) 치아 교합력 전달장치
TW202211874A (zh) 口部訓練裝置及其訓練方法
JP3193717U (ja) Tch防止具
TWM485707U (zh) 全口義齒之取模牙托結構
JP5008781B1 (ja) 顎関節用ストレッチ器具
JP2017042205A (ja) 鼾防止具
JP2016150088A (ja) バイトブロック
JP2014180530A (ja) 気道口径拡大維持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