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110B1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110B1
KR101829110B1 KR1020157002665A KR20157002665A KR101829110B1 KR 101829110 B1 KR101829110 B1 KR 101829110B1 KR 1020157002665 A KR1020157002665 A KR 1020157002665A KR 20157002665 A KR20157002665 A KR 20157002665A KR 101829110 B1 KR101829110 B1 KR 10182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ation film
display element
film
polarizing plate
crimp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308A (ko
Inventor
히로노리 야기누마
겐타로우 다케다
다카시 시미즈
가즈키 우와다
나오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01L51/528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51/5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디자인성 및 양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 원편광판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 EL 패널 및 그러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원편광판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갖는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하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형성된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은, 하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한다:
Re (450) < Re (550) … (1)
θ1 ≤ 70° … (2)
여기서, Re (450) 및 Re (550) 은, 각각,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및 550 ㎚ 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또 디지털 사이니지나 윈도우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가 강한 외광 아래에서 사용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표시 장치 자체 또는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부나 유리 기판, 금속 배선 등의 반사체에 의한 외광 반사나 배경의 비침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실용화되어 오고 있는 유기 EL 패널은, 반사성이 높은 금속층을 갖기 때문에 외광 반사나 배경의 비침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그래서, 위상차 필름 (대표적으로는, λ/4 판) 을 갖는 원편광판을 시인측에 형성함으로써, 이들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표시 장치의 표시 소자 (예를 들어, 유기 EL 패널) 를 구동 회로 기판과 접속시킬 때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고온·고압 하에서 표시 소자에 압착한 후, 그을음 및/또는 먼지를 용매에 의해 닦아내기·세정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압착부는 표시 소자의 비표시부에 형성되고, 표시부에 대한 열 및 용매의 영향이 작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기술의 향상 및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비표시부를 좁게 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어, 압착부와 표시부의 거리 (클리어런스)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그 결과, 표시부에 첩부된 원편광판이 열 및/또는 용매의 영향을 받아 위상차 필름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편광판에 사용하는 점착제의 물성을 변경하여, 위상차판이나 편광자의 신축에 의한 응력을 완화하는 것과 같은 수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수법으로는 편광판 단부에 대한 집중적인 열 및/또는 용매에 의한 영향을, 반드시 완충할 수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6867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디자인성 및 양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제조 공정에 있어서 원편광판의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와 같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표시 소자와 그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원편광판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갖고, 그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하고, 그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그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형성된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은, 하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한다:
Re (450) < Re (550) … (1)
θ1 ≤ 70° … (2)
여기서, Re (450) 및 Re (550) 은, 각각,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및 550 ㎚ 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θ2 는, 하기 식 (3) 을 만족한다:
38°≤ θ2 ≤ 52° … (3)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선 압착부와 상기 원편광판의 클리어런스는 7 ㎜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표시 소자는 유기 EL 패널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제조 방법은,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배선 압착부를 확보하여,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갖는 원편광판을 그 표시 소자에 첩합 (貼合) 하는 것, 그 배선 압착부에 있어서 그 표시 소자와 배선을 가열 하에서 압착하여 접속하는 것, 그 배선 압착부 및 그 원편광판의 배선 압착부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용매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상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하고, 그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그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은, 상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압착 및 용매에 의한 세정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형성된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 이하로 제어하고, 및 당해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선의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의 크랙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 압착부와 원편광판의 클리어런스가 작은 경우에도 이와 같은 효과를 실현 가능하므로, 디자인 상의 요청 등에 의해 비표시부를 작게 해도,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조작도 번잡한 조작도 불필요해지므로, 표시 장치의 제조 효율도 유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배선 압착부의 대표적인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EL 패널의 일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편광판의 일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 굴절률 (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고,「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 (즉, 진상축 방향) 의 굴절률이며,「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 (Re)
「Re (550)」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Re (550) 은, 필름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식:Re = (nx - ny) × d 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Re (450)」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면내 위상차이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Rth (550)」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 (550) 는, 필름의 두께를 d (㎚) 로 했을 때, 식:Rth = (nx - nz) × d 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Rth (450)」는,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의 광으로 측정한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4) Nz 계수
Nz 계수는, Nz = Rth/Re 에 의해 구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또, 세로, 가로 및 두께 방향의 축척은 실제와는 상이하다.
A.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 는,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배선 압착부의 대표적인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 표시 장치 (100) 는, 유기 EL 패널 (10) 과 유기 EL 패널 (10) 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 (20) 을 구비한다. 표시 장치 (100) 에는 배선 압착부 (30) 가 형성되고, 배선 압착부 (30) 에 압착된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 (40) 에 의해 구동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 압착부 (30) 는, 비표시부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선 압착부 (30) 는, 유기 EL 패널 (100) 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배선 압착부 (30) 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의 주연부의 어느 한 변을 따라 형성되어도 되고;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2 변을 따라 형성되어도 되고;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 변을 따라 형성되어도 되고;도 2(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 변을 따라 형성되어도 되고;도 2(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연부 전체 (4 변) 를 따라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 는, 표시 소자가 유기 EL 패널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표시 소자는 유기 EL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는 (대표적으로는, 제조에 있어서 배선의 압착 공정이 포함되는) 임의의 적절한 표시 소자 (예를 들어, 액정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를 채용할 수 있다.
원편광판 (20) 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갖는다 (원편광판의 상세한 구성 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C 항에서 설명한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는,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한다.
Re (450) < Re (550) … (1)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하는 것에 의해, 유기 EL 패널의 정면 방향에 있어서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관계를 갖는 위상차 필름은, 후술하는 각도 θ1 을 규정하는 것에 의한 크랙 억제의 효과가 현저하다.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은, 하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한다.
θ1 ≤ 70° … (2)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배선의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의 크랙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배선 압착부가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어느 한 변 또는 대향하는 2 변에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우), 각도 θ1 은, 바람직하게는 50°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즉, 지상축의 방향과 화살표 A 의 방향이 실질적으로 평행) 이다. 배선 압착부가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어느 인접하는 2 변, 혹은 3 변 이상에 형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2(c) ∼ 도 2(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우), 각도 θ1 은, 바람직하게는 30°∼ 60°보다 바람직하게는 40°∼ 50°더욱 바람직하게는 42°∼ 48°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 각도 θ1 을 이와 같이 설정하면,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압착부 및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압착부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각도 θ1 을 상기 원하는 범위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압착부에 있어서의 배선의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대해서도,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 압착부에 있어서의 배선의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대해서도,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2(c) ∼ 도 2(e) 에 있어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θ1 은 화살표 A 의 방향에 대한 지상축의 각도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화살표 B 의 방향에 대한 각도로서 나타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도로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당해 각도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의 방향의 각도를 포함한다.
배선 압착부 (30) 와 원편광판 (20) 의 클리어런스 (도 1 에 있어서의 배선 압착부의 원편광판측의 단부와 원편광판의 배선 압착부측의 단부의 거리 C) 는, 바람직하게는 7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디자인 상의 요청 등에 의해 비표시부가 작아지고, 클리어런스가 이와 같이 작아져도,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의 크랙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B. 유기 EL 패널
유기 EL 패널 (10) 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유기 EL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 EL 패널의 일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유기 EL 패널 (10) 은, 대표적으로는, 기판 (11) 과, 제 1 전극 (12) 과, 유기 EL 층 (13) 과, 제 2 전극 (14) 과, 이들을 덮는 봉지층 (15) 을 갖는다. 유기 EL 패널 (10) 은,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층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 상에 평탄화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해도 되고,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층 (도시 생략) 을 형성해도 된다.
기판 (11) 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 (11) 은, 대표적으로는,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판은, 유기 EL 층 (13) 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배리어성을 갖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유리, 합금, 금속을 들 수 있다.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36 알로이, 42 알로이를 들 수 있다.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구리, 니켈, 철, 알루미늄, 티탄을 들 수 있다. 기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200 ㎛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300 ㎛ 이다.
제 1 전극 (12) 은, 대표적으로는 양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정공 주입성을 용이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일 함수가 큰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료의 구체예로는, 인듐주석 산화물 (ITO), 인듐아연 산화물 (IZO), 산화규소를 첨가한 인듐주석 산화물 (ITSO),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 (IWO),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아연 산화물 (IWZO),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듐 산화물 (ITiO),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듐주석 산화물 (ITTiO), 몰리브텐을 포함하는 산화인듐주석 (ITMO) 등의 투명 도전성 재료;그리고, 금, 은, 백금 등의 금속 및 그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유기 EL 층 (13) 은, 여러 가지의 유기 박막을 포함하는 적층체이다. 도 시예에서는, 유기 EL 층 (13) 은, 정공 주입성 유기 재료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로 이루어지고, 양극으로부터의 정공 주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정공 주입층 (13a) 과, 예를 들어 구리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수송층 (13b) 과, 발광성 유기 물질 (예를 들어, 안트라센, 비스[N-(1-나프틸)-N-페닐]벤지딘, N,N′-디페닐-N-N-비스(1-나프틸)-1,1′-(비페닐)-4,4′-디아민 (NPB)) 로 이루어지는 발광층 (13c) 과, 예를 들어 8-퀴놀리놀알루미늄 착물로 이루어지는 전자 수송층 (13d) 과, 전자 주입성 재료 (예를 들어, 페릴렌 유도체, 불화리튬) 로 이루어지고,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전자 주입층 (13e) 을 갖는다. 유기 EL 층 (13) 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층 (13c) 에 있어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발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이 채용될 수 있다. 유기 EL 층 (13) 의 두께는,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한 광을 가능한 한 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유기 EL 층 (13) 은, 예를 들어 5 ㎚ ∼ 200 ㎚, 바람직하게는 10 ㎚ 정도의 극히 얇은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전극 (14) 은, 대표적으로는 음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전극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일 함수가 작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료의 구체예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봉지층 (15) 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된다. 봉지층 (15) 은, 바람직하게는, 배리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다. 봉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대표예로는,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아를 들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지층 (15) 은, 에폭시 수지 (대표적으로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 를 도공하고, 그 위에 배리어성 시트를 첩부하여 형성해도 된다.
유기 EL 패널 (10) 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C. 원편광판
원편광판 (20) 으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원편광판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원편광판의 일 형태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원편광판 (20) 은, 편광자 (21) 와, 편광자 (21) 의 편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 (22) 과, 편광자 (21) 의 다른 편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 (23) 을 구비한다. 보호 필름 (22) 은, 목적에 따라 생략되어도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편광자 (21) 와 위상차 필름 (23) 사이에, 다른 보호 필름 (이하, 내측 보호 필름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도시 생략) 을 배치해도 된다.
위상차 필름 (23) 은, 상기와 같이, 그 면내 위상차가, Re (450) < Re (550) 의 관계를 만족한다. 즉, 위상차 필름은,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위상차 필름 (23) 은, 굴절률 특성이 nx > ny 의 관계를 나타내고, 지상축을 갖는다. 편광자 (21) 와 위상차 필름 (23) 은, 편광자 (21) 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 (23) 의 지상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편광자 (21) 의 흡수축과 위상차 필름 (23) 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θ2 는, 하기 식 (3) 을 만족한다:
38°≤ θ2 ≤ 52° … (3)
각도 θ2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9°∼ 5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48°이다.
원편광판의 전체 두께는, 그 구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표적으로는 40 ㎛ ∼ 300 ㎛ 정도이다. 원편광판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원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C-1. 편광자
상기 편광자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 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사용된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실시된다. 상기 1 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 ∼ 7 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실시해도 된다. 또, 연신하고 나서 염색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어,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불균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 ㎛ ∼ 80 ㎛ 정도이다.
C-2. 위상차 필름
상기 위상차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굴절률 특성이 nx > ny 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100 ㎚ ∼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 ∼ 155 ㎚ 이다.
위상차 필름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그 면내 위상차는, Re (450) < Re (550) 의 관계를 만족한다. Re (450)/Re (550) 은,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0.95 이다.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선의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있어서의 크랙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nx > ny 의 관계를 갖는 한, 임의의 적절한 굴절률 타원체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 타원체는, nx > ny ≥ nz 의 관계를 나타낸다. 위상차 필름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1 ∼ 2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3 이다.
위상차 필름은, 상기와 같은 광학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로 형성된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이다. 크랙 발생의 억제 효과가 현저하기 때문이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원하는 특성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플루오렌계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내열성 혹은 기계 강도, 광학 특성 또는 중합 반응성의 관점에서 9,9-디페닐플루오렌의 구조를 갖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1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탄소수 20 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각각의 벤젠 고리에 4 개 있는 치환기의 각각으로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기가 배치되어 있다. X 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2 ∼ 탄소수 10 의 알킬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아릴렌기를 나타낸다.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5 의 정수이다.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무치환 혹은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산, 아미드기, 할로겐이 치환된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6 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X 는 무치환 혹은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산, 아미드기, 할로겐이 치환된 탄소수 2 ∼ 탄소수 10 의 알킬렌기, 무치환 혹은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산, 아미드기, 할로겐이 치환된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무치환 혹은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산, 아미드기, 할로겐이 치환된 탄소수 6 ∼ 탄소수 20 의 아릴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2 ∼ 6 의 알킬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2 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 또는 1 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2-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 (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프로폭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tert-부틸-6-메틸페닐]플루오렌 및 9,9-비스[4-(3-하이드록시-2,2-디메틸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광학적 성능의 발현, 핸들링성, 입수의 용이함 등으로부터,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이 바람직하고, 내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의 인성 (靭性) 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원료 모노머로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갖는 플루오렌계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전체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 대해 10 몰% 이상 이용하여 얻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몰%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이다. 그 구조 단위를 갖는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원하는 광학적 성능을 나타내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지나치게 많으면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융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생산성 또는 성형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원하는 광학 물성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의 플루오렌계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이외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그 밖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 밖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직사슬 지방족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직사슬 분기 지방족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지환식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방향족 비스페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직사슬 지방족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1,5-헵탄디올, 1,6-헥산디올, 1,10-데칸디올 및 1,12-도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헵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의 탄소수 3 ∼ 6 으로 양 말단에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직사슬 지방족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사슬 분기 지방족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네오펜틸글리콜이나 2-에틸헥실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1,2-시클로헥산디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펜타시클로펜타데칸디메탄올, 2,6-데카린디메탄올, 1,5-데카린디메탄올, 2,3-데카린디메탄올, 2,3-노르보르난디메탄올, 2,5-노르보르난디메탄올, 1,3-아다만탄디메탄올 및 리모넨 등의 테르펜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또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시클로헥산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이다.
상기 방향족 비스페놀류로는, 예를 들어,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에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탄, 2,4'-디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하이드록시-5-니트로 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폰, 2,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파이드,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및 4,4'-디하이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입수의 용이함이나 내열성 부여의 관점에서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 비스페놀 A) 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 밖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에 적당한 복굴절 혹은 저광탄성 계수 등의 광학 특성, 인성, 기계 강도, 접착성 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구조의 일부에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부위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적어도 1 종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2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옥시알킬렌글리콜류, 주사슬에 방향족기에 결합한 에테르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시알킬렌글리콜류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수평균 분자량 150 ∼ 20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사슬에 방향족기에 결합한 에테르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 1,3-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벤젠, 4,4'-비스(2-하이드록시에톡시)비페닐 및 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3) ∼ (5) 로 나타내어지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고리형 에테르 구조」란, 고리형 구조 중에 에테르기를 갖고, 고리형 사슬을 구성하는 탄소가 지방족 탄소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5
상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입체 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및 이소이디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중에서는, 내열성 부여의 관점에서, 상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또는 하기 식 (4) 로 나타내는 스피로 글리콜 등의 고리형 에테르 구조를 2 개 갖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료 모노머로서 상기 식 (3), (4) 및/또는 (5) 로 나타내어지는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에 대해 10 몰% 이상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몰% 이상이다. 또, 그 상한으로는,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하이다. 그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적거나 지나치게 많거나 하면,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원하는 광학적 성능을 나타내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밖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은,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요구 성능 에 따라,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한 다음에 상기 플루오렌계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원하는 광학적 성능을 발현시키고, 또한 생산을 안정시켜, 위상차 필름에 알맞는 것과 같은 특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플루오렌계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이외에 2 종 이상의 그 밖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루오렌계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알칼리 용액과 염화메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용액에 포스겐을 불어 넣어 올리고머를 얻은 후, 필요에 따라 트리에틸아민 등의 촉매,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 등의 말단 정지제를 사용하여 소정의 분자량으로 높인 후, 염화메틸렌상에 용해되어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단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 그 밖의 방법으로는, 상기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탄산디에스테르를 원료로 하여,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중축합시켜 얻을 수 있다.
사용되는 탄산디에스테르로는, 통상적으로, 하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탄산디에스테르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화학식 6]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6
상기 식 (6) 에 있어서, A1 및 A2 는, 각각 치환 혹은 무치환의 탄소수 1 ∼ 18 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A1 과 A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A1 및 A2 의 바람직한 것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다.
상기 식 (6) 으로 나타내는 탄산디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디페닐카보네이트 (DPC), 디톨릴카보네이트 등의 치환 디페닐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및 디-t-부틸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치환 디페닐카보네이트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페닐카보네이트이다.
또한, 탄산디에스테르는, 염화물 이온 등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경우가 있고, 중합 반응을 저해하거나,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색상을 악화시키거나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증류 등에 의해 정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탄산디에스테르의 일부를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이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이라고 칭한다) 로 치환해도 된다. 이와 같은 디카르복실산 화합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옥살산, 숙신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메틸에스테르체, 페닐에스테르체 등이 사용된다. 탄산디에스테르의 일부를 디카르복실산 화합물로 치환한 경우, 당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있어서,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 비율은, 전체 디하이드록시 화합물과 전체 카르복실산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중, 4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40 몰% 이하가 바람직하다.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의 함유 비율이 45 몰% 보다 많아지면, 중합성이 저하되어, 원하는 분자량까지 중합이 진행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일본 특허공보 제3325560호에 기재된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140 ℃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또, 얻어지는 유기 EL 패널의 화상 품질을 낮추는 경우가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 필름의 투명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 (1987) 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환원 점도로 나타낼 수 있다. 환원 점도는, 용매로서 염화메틸렌을 사용하고, 폴리카보네이트 농도를 0.6 g/dL 로 정밀하게 조제하고, 온도 20.0 ℃ ± 0.1 ℃ 에서 우베로데 점도관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환원 점도의 하한은, 통상적으로 0.30 dL/g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dL/g 이상이다. 환원 점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1.20 dL/g 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dL/g 이다. 환원 점도가 상기 하한치보다 작으면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작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환원 점도가 상기 상한치보다 크면 성형할 때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이나 성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적어도 2 종류의 알데히드 화합물 및/또는 케톤 화합물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축합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구체예 및 상세한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61994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위상차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압출법 (예를 들어, T 다이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 (예를 들어, 유연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공압출법, 공용융법, 다층 압출,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T 다이 성형법, 유연법 및 인플레이션 성형법이 이용된다.
수지 필름 (미연신 필름) 의 두께는, 원하는 광학 특성, 후술하는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 ∼ 3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 250 ㎛ 이다.
상기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 연신 조건 (예를 들어, 연신 온도, 연신 배율, 연신 방향) 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여러 가지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동시 혹은 순서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두께 방향, 대각 방향 등, 여러 가지 방향이나 차원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연신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 20 ℃ 의 범위이다.
상기 연신 방법,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광학 특성 (예를 들어, 굴절률 타원체, 면내 위상차, Nz 계수) 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수지 필름을 1 축 연신 혹은 고정단 1 축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1 축 연신의 구체예로는, 수지 필름을 장척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길이 방향 (세로 방향) 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0 % ∼ 500 % 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장척 방향에 대해 각도 θ 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경사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장척 방향에 대해 각도 θ 의 배향각을 갖는 장척상의 연신 필름이 얻어지고, 예를 들어, 편광자와의 적층에 있어서 롤 투 롤이 가능해져,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경사 연신에 사용하는 연신기로는, 예를 들어, 가로 및/또는 세로 방향으로, 좌우 상이한 속도의 이송력 혹은 인장력 또는 인수력을 부가할 수 있는 텐터식 연신기를 들 수 있다. 텐터식 연신기에는, 가로 1 축 연신기, 동시 2 축 연신기 등이 있는데,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연신기가 사용될 수 있다.
경사 연신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0-834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139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827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99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655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944호 등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 (연신 필름)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80 ㎛ 이다.
위상차 필름은, 시판되는 필름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시판되는 필름을 목적에 따라 2 차 가공 (예를 들어, 연신 처리, 표면 처리) 하여 사용해도 된다. 시판 필름의 구체예로는, 테이진사 제조의 상품명「퓨어 에이스 WR」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 (23) 의 편광자 (21) 측의 표면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를 들 수 있다. 코로나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기에 의해 상압 공기 중에서 방전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는, 예를 들어, 플라즈마 방전기에 의해 상압 공기 중에서 방전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프레임 처리는, 예를 들어, 필름 표면에 직접 화염을 접촉 시키는 방식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 도포 처리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등을 용매로 희석하고, 당해 희석액을 얇게 도포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비누화 처리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이다.
C-3. 보호 필름
보호 필름 (22) 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당해 필름의 주성분이 되는 재료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르보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 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등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사슬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 (50 ∼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 중량%) 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의 아크리펫트 VH 나 아크리펫트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0296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 Tg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에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질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 500000 이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Tg (유리 전이 온도) 가, 바람직하게는 11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다.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메트)아크릴계」란, 아크릴계 및/또는 메타크릴 계를 말한다.
보호 필름 (22) 의 편광자와 반대측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 150 ㎛ 이다.
내측 보호 필름 (도시 생략)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내측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란, 면내 위상차 Re (550) 가 0 ㎚ ∼ 10 ㎚ 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550) 가 -10 ㎚ ∼ +10 ㎚ 인 것을 말한다.
내측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 95 ㎛ 이다.
C-4. 접착 용이층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 (23) 의 편광자 (21) 측의 표면에 접착 용이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도 된다.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은, 상기 서술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실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필름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접착 용이층과 표면 처리를 조합함으로써, 편광자 (21) 와 위상차 필름 (23) 사이의 원하는 접착력의 실현이 촉진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은,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접착 용이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 (21) 와 위상차 필름 (23) 사이의 원하는 접착력의 실현이 촉진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의 자세한 것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71707호에 기재되어 있다.
C-5. 기타
원편광판 (20) 을 구성하는 각 층의 적층에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 사용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광 확산층이 광 확산 점착제 또는 광 확산 접착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는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은 생략될 수 있다.
D.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당해 제조 방법은,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배선 압착부를 확보하고, 원편광판을 그 표시 소자에 첩합하는 것 (공정 1), 그 배선 압착부에 있어서 그 표시 소자와 배선을 가열 하에서 압착하여 접속하는 것 (공정 2), 그 배선 압착부 및 그 원편광판의 배선 압착부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용매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 (공정 3) 을 포함한다.
D-1. 공정 1
먼저, 표시 소자 (예를 들어, 유기 EL 패널) 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배선 압착부를 확보한다. 상기 A 항에서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 압착부는, 주연부의 어느 한 변에 확보되어도 되고, 대향하는 2 변에 확보되어도 되고, 인접하는 2 변에 확보되어도 되고, 3 변에 확보되어도 되며, 주연부 전체 (4 변) 에 확보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배선 압착부 (의 영역) 를 확보한 후, 원편광판을 표시 소자에 첩합한다. 원편광판의 첩합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를 개재하여) 실시된다. 원편광판의 첩합시에 형성되는 원편광판과 배선 압착부의 클리어런스는, 상기 A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원편광판은,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이 θ1 ≤ 70°가 되도록 하여 표시 소자에 첩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첩합함으로써, 이하의 공정 2 및 3 에 있어서의 위상차 필름의 크랙의 발생이 양호하게 억제된다 (대표적으로는, 크랙은, 실질적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A 항 및 C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은, Re (450) < Re (550) 의 관계를 갖고,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위상차 필름은, 크랙 억제 효과가 현저하다.
D-2. 공정 2
다음으로, 배선 압착부에 있어서 표시 소자와 배선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 을 가열 하에서 압착하고, 당해 배선을 개재하여 표시 소자와 구동 회로 기판을 접속한다. 압착은, 임의의 적절한 열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시의 가열 온도는 130 ℃ ∼ 230 ℃ 이고, 압착 시간은 5 초 ∼ 25 초이며, 압착시의 압력은 1 ㎫ ∼ 5 ㎫ 이다.
D-3. 공정 3
다음으로, 배선 압착부 및 원편광판의 배선 압착부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용매를 사용하여 세정하고, 먼지 및/또는 가열 압착시의 그을음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은, 용매를 포함시킨 웨이스트로 해당 영역을 닦아냄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용매로는, 휘발성이 높고, 세정 효과를 갖고, 또한 표시 소자 및 원편광판에 대한 영향이 적은 것이면,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구체예로는,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 (MEK),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아세톤,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D-4. 그 밖의 공정
본 발명의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그 밖의 공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채용되고 있는 방법, 조작 및 수단이 채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부」및「%」는 중량 기준이다.
(1) 두께
다이얼 게이지 (PEACOCK 사 제조, 제품명「DG-205 typepds-2」)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위상차
Axometrics 사 제조의 Axoscan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450 ㎚, 550 ㎚, 측정 온도는 23 ℃ 였다. 또한, 위상차 필름으로부터 50 ㎜ × 50 ㎜ 의 필름편을 잘라, 측정 샘플로 하였다.
(3) 크랙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유기 EL 패널의 배선부에, 이방성 도전막을 개재하여 플렉시블 기판을 가열 압착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함유시킨 웨이스트를 사용하여, 배선 압착부 및 원편광판의 배선 압착부측의 단부를 닦아내었다. 이 조작에 의한 위상차 필름의 크랙의 발생의 유무를 육안 또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가열 압착은, 열 프레스기 (어드반셀사 제조, AD-50S5C-A) 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가열 온도는 200 ℃, 압착 시간은 10 초간이었다.
[실시예 1]
(편광자의 제조)
장척상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상이한 롤간에서 6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방향에 흡수축을 갖는 장척상의 편광자를 얻었다. 이 장척상의 편광자는 연신 후, 권취하여 권회체로 하였다.
(보호 필름)
보호 필름으로서, 장척상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두께 40 ㎛,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상품명:KC4UYW) 을 사용하였다. 이 보호 필름은 권회체로서 준비하였다. 또한, 이 보호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5 ㎚ 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550) 는 45 ㎚ 였다.
(위상차 필름)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내는 시판되는 위상차 필름 (테이진사 제조, 상품명「퓨어 에이스 WR」) 을 사용하였다. 이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147 ㎚ 이고, Re (450)/Re (550) 은 0.89 였다.
(원편광판의 제조)
상기의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을, 각각 50 ㎜ × 50 ㎜ 로 잘라내었다. 편광자와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첩합하였다. 또한, 편광자/보호 필름의 적층체와 위상차 필름을,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인접하도록 하여 첩합하고, 보호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의 구성을 갖는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첩합시에, 그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45°각도를 이루도록 잘라내었다.
(유기 EL 패널의 제조)
유기 EL 디스플레이 (LG 사 제조, 제품명「15EL9500」) 로부터 유기 EL 패널을 꺼내고, 이 유기 EL 패널에 첩부되어 있는 편광판을 벗겨내고, 대신에, 얻어진 원편광판을 첩합하여 유기 EL 패널을 얻었다. 원편광판은,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유기 EL 패널의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70°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첩합하였다. 또, 이 때의 배선 압착부와 원편광판의 단면의 클리어런스는 1.7 ㎜ 였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을 상기 (3) 의 크랙 평가에 제공한 결과, 크랙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제조)
이소소르비드 (ISB) 37.5 질량부, 9,9-[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BHEPF) 91.5 질량부, 평균 분자량 400 의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8.4 질량부, 디페닐카보네이트 (DPC) 105.7 질량부, 및 촉매로서 탄산세슘 (0.2 질량% 수용액) 0.594 질량부를 각각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의 제 1 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의 열매 온도를 150 ℃ 로 하고, 필요에 따라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시켰다 (약 15 분).
이어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13.3 ㎪ 로 하고, 반응 용기의 열매 온도를 190 ℃ 까지 1 시간 동안 상승시키면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밖으로 뽑아내었다. 반응 용기 내 온도를 190 ℃ 에서 15 분 유지한 후, 제 2 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6.67 ㎪ 로 하고, 반응 용기의 열매 온도를 230 ℃ 까지, 15 분 동안 상승시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밖으로 뽑아내었다. 교반기의 교반 토크가 상승되어 오므로, 8 분 동안 250 ℃ 까지 승온하고, 추가로 발생하는 페놀을 없애기 위해,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0.200 ㎪ 이하로 감압하였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 후, 반응을 종료하고, 생성된 반응물을 수중에 압출 후에, 펠릿화를 실시하여, BHEPF/ISB/PEG = 42.9 몰%/52.8 몰%/4.3 몰%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 의 유리 전이 온도는 126 ℃ 이고, 환원 점도는 0.372 dL/g 이었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A 를 80 ℃ 에서 5 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 (이스즈 화공기사 제조, 스크루 직경 25 ㎜, 실린더 설정 온도:220 ℃), T 다이 (폭 300 ㎜, 설정 온도:220 ℃), 틸롤 (설정 온도:120 ∼ 130 ℃)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길이 3 m, 폭 300 ㎜, 두께 120 ㎛ 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위상차 필름의 제조)
얻어진 수지 필름을, 길이 300 ㎜, 폭 300 ㎜ 로 잘라, 라보스트레쳐 KARO IV (Bruckner 사 제조) 를 사용하고, 온도 136 ℃, 배율 2 배로 종연신을 실시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 (550) 은 141 ㎚, Rth (550) 는 141 ㎚, Re (450)/Re (550) 은 0.89 였다.
(유기 EL 패널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의 구성을 갖는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원편광판을 사용한 것, 및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유기 EL 패널의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원편광판을 첩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패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을 상기 (3) 의 크랙 평가에 제공한 결과, 크랙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유기 EL 패널의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0°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원편광판을 첩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패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을 상기 (3) 의 크랙 평가에 제공한 결과, 크랙의 발생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유기 EL 패널의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75°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원편광판을 첩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패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을 상기 (3) 의 크랙 평가에 제공한 결과, 위상차 필름에 몇 개의 크랙이 발생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오프테스사 제조, 제오노아필름 ZF-14, 두께 100 ㎛) 을, 라보스트레쳐 (Bruckner 사 제조, KARO IV) 를 사용하여 연신 온도 135 ℃, 연신 배율 2 배로 세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550) 은 147 ㎚ 이며, Re (450)/Re (550) 은 1.00 이었다. 이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보호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의 구성을 갖는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원편광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패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을 상기 (3) 의 크랙 평가에 제공한 결과, 위상차 필름에 크랙이 다수 발생하였다.
Figure 112015010356331-pct00007
[평가]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고, 또한 원편광판의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유기 EL 패널의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을 소정의 각도 이하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열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있어서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었다. 각도 θ1 이 소정의 각도보다 큰 비교예 1, 및 이른바 플랫 분산의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비교예 2 는 모두, 가열 압착 및 그 후의 용매 세정에 있어서 크랙이 발생하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 디지털 사이니지, 윈도우 디스플레이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 표시 소자
20 : 원편광판
21 : 편광자
22 : 보호 필름
23 : 위상차 필름
30 : 배선 압착부
100 : 표시 장치

Claims (6)

  1. 표시 소자와 그 표시 소자의 시인측에 배치된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로서,
    그 원편광판이,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갖고,
    그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하고,
    그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배선 압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배선 압착부가, 그 표시 소자의 그 원편광판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그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이, 하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
    Re (450) < Re (550) … (1)
    -70°≤ θ1 ≤ 70° … (2)
    여기서, Re (450) 및 Re (550) 은, 각각,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및 550 ㎚ 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 θ2 가, 하기 식 (3) 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38°≤ θ2 ≤ 52° …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압착부와 상기 원편광판의 클리어런스가 0 mm 이상 7 ㎜ 이하인,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가 유기 EL 패널인, 표시 장치.
  5. 표시 소자의 주연부의 적어도 한 변을 따라 배선 압착부를 확보하고,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갖는 원편광판을 그 표시 소자에 첩합하는 것,
    그 배선 압착부에 있어서 그 표시 소자와 배선을 가열 하에서 압착하여 접속하는 것,
    그 배선 압착부 및 그 원편광판의 배선 압착부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용매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 배선 압착부가, 그 표시 소자의 그 원편광판이 배치되는 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하고,
    그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그 배선 압착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 이, 하기 식 (2) 의 관계를 만족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Re (450) < Re (550) … (1)
    -70°≤ θ1 ≤ 70° … (2)
    여기서, Re (450) 및 Re (550) 은, 각각, 23 ℃ 에 있어서의 파장 450 ㎚ 및 550 ㎚ 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및 용매에 의한 세정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7002665A 2012-07-31 2013-07-0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9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9763 2012-07-31
JP2012169763A JP6192153B2 (ja) 2012-07-31 2012-07-31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3/068325 WO2014021048A1 (ja) 2012-07-31 2013-07-04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308A KR20150036308A (ko) 2015-04-07
KR101829110B1 true KR101829110B1 (ko) 2018-02-13

Family

ID=5002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665A KR101829110B1 (ko) 2012-07-31 2013-07-0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7655B2 (ko)
JP (1) JP6192153B2 (ko)
KR (1) KR101829110B1 (ko)
CN (1) CN104509207B (ko)
TW (1) TWI521245B (ko)
WO (1) WO2014021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5099B2 (en) * 2014-07-31 2016-12-0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wire having reinforced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20160079687A (ko) *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JP6797537B2 (ja) 2016-03-11 2020-12-0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2018194632A (ja)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666621B1 (ko) * 2017-12-15 2024-05-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기능성 재료의 제형
WO2021030971A1 (zh) * 2019-08-16 2021-0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备方法、电子设备
KR102290379B1 (ko) * 2019-11-29 2021-08-18 에이치비솔루션(주) 초박형 유리 적층시스템
CN116047645A (zh) * 2021-10-21 2023-05-02 四川龙华光电薄膜股份有限公司 抗反射膜结构及具逆波长分散特性的补偿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085A (ja) * 2002-07-24 2004-02-26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3373A (ja) * 2006-01-31 2007-09-13 Nec Corp 表示装置、端末装置及び表示パネル
JP2007290342A (ja) * 2005-09-12 2007-11-08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070012A (ja) * 2009-09-25 2011-04-07 Sumitomo Chemical Co Ltd 表示装置
JP2012068674A (ja) * 2006-12-04 2012-04-05 Sumitomo Chemical Co Ltd 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885A (ja) * 1995-10-30 1997-05-16 Sony Corp 表示素子
ATE408172T1 (de) * 2002-03-18 2008-09-15 Fujifilm Corp Flüssigkristallanzeige mit elliptischem polarisator basierend auf diskotischen flüssigkristallen
US20030215582A1 (en) * 2002-05-20 2003-11-20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films prepared by coating methods
JP2007016102A (ja) 2005-07-06 2007-01-25 Nippon Zeon Co Ltd 環状オレフィ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成形材料
CN101247938B (zh) * 2005-09-12 2010-09-08 富士胶片株式会社 纤维素酰化物薄膜的制备方法、偏振片以及液晶显示器
US7973749B2 (en) * 2006-01-31 2011-07-05 Nec Lcd Technologies, Ltd.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and display panel
JP4886540B2 (ja) * 2006-03-01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パネル
JP2008078038A (ja) * 2006-09-22 2008-04-0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12728A1 (en) * 2007-11-20 2010-08-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Optical compensation film
EP2251736A4 (en) * 2008-03-13 2011-10-26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301013A (ja) * 2008-05-16 2009-12-24 Canon Inc 表示装置
JP2011128584A (ja) * 2009-10-16 2011-06-30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380387B2 (ja) 2010-07-22 2014-01-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59670B2 (ja) * 2010-12-10 2014-07-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時分割2眼立体視の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11238279A (ja) * 2011-07-25 2011-11-24 Seiko Epson Corp 光学読取装置、認識処理装置、文字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磁気インク文字読取装置、及びpos端末装置
KR101630101B1 (ko) * 2011-10-31 2016-06-1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층 부착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용 원편광판, 그것을 구비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085A (ja) * 2002-07-24 2004-02-26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0342A (ja) * 2005-09-12 2007-11-08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233373A (ja) * 2006-01-31 2007-09-13 Nec Corp 表示装置、端末装置及び表示パネル
JP2012068674A (ja) * 2006-12-04 2012-04-05 Sumitomo Chemical Co Ltd 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070012A (ja) * 2009-09-25 2011-04-07 Sumitomo Chemical Co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9095A (zh) 2014-03-01
CN104509207A (zh) 2015-04-08
US20150249231A1 (en) 2015-09-03
KR20150036308A (ko) 2015-04-07
US9627655B2 (en) 2017-04-18
JP2014029787A (ja) 2014-02-13
WO2014021048A1 (ja) 2014-02-06
TWI521245B (zh) 2016-02-11
JP6192153B2 (ja) 2017-09-06
CN104509207B (zh)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11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72532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KR102112427B1 (ko) 유기 el 표시 장치용 원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KR102563679B1 (ko) 원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한 화상 표시 장치
KR20150104175A (ko) 원 편광판 및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
TWI596386B (zh) Polarizer and organic EL panel
JP7044468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201407209A (zh) 偏光板及有機el面板
KR102560037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KR101633203B1 (ko)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CN112840245A (zh) 带相位差层的偏光板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JP2019091091A (ja)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WO2017135239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2840251B (zh) 带相位差层的偏光板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KR20220144876A (ko)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 및 해당 반사 방지층 부착 원편광판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30071066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해당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23162732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40081356A (ko)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72184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92589A (ko)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11672A (ko) 원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40008297A (ko) 편광판 및 유기 el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