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27B1 - 박유리 장척체 - Google Patents

박유리 장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27B1
KR101828227B1 KR1020177007061A KR20177007061A KR101828227B1 KR 101828227 B1 KR101828227 B1 KR 101828227B1 KR 1020177007061 A KR1020177007061 A KR 1020177007061A KR 20177007061 A KR20177007061 A KR 20177007061A KR 101828227 B1 KR101828227 B1 KR 10182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lass
tough
tough film
fla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491A (ko
Inventor
다케시 무라시게
준이치 이나가키
성진 류
히로유키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57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positioned between the surface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703/00 - B29K2707/00,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9/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28Wound package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25/0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during their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03B25/04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 C03B25/06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16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roller convey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8Longitudinally sectional layer of three or more se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한 가공 또는 처리시에,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박유리 장척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장척상의 박유리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그 박유리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결된 인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핸들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복수의 상기 본체부와 복수의 핸들링부를 구비하고, 그 본체부와 그 핸들링부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박유리 장척체{THIN GLASS ELONGATED BODY}
본 발명은 박유리 장척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송성, 수납성 및 디자인성 등의 관점에서, 표시 장치, 조명 장치 및 태양 전지의 경량,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 이들의 장치에 사용되는 필름 상의 부재를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해 연속 생산하는 일도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해 가공 또는 처리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서 박유리의 사용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박유리는 매우 깨지기 쉬워 핸들링성이 열등하다.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박유리 표면에 수지 필름을 첩부하여 보강하고, 핸들링성을 향상시킨 가요성 기판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그러나, 이와 같은 부재를 제조하기까지의 공정에 있어서, 재료로서의 박유리를 단체로 파손시키지 않고 취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박유리 단체를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해 가공 또는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개시 단계에서 장치에 세팅할 때에 박유리가 파손되기 쉬워 핸들링성이 나쁘고, 종료 단계에서 박유리가 파손되기 쉬우며, 권취부에서 절단하여 분할할 때에 박유리가 파손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또, 박유리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그 박유리를 장척화 및/또는 광폭화하여 가공하거나 하는 것이 어려워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 1-500990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283041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1083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한 가공 또는 처리시에,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박유리 장척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장척상의 박유리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결된 인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핸들링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복수의 상기 본체부와 복수의 상기 핸들링부를 구비하고, 그 본체부와 그 핸들링부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의 간격이 50 ㎝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유리의 두께가 10 ㎛ ~ 150 ㎛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유리의 폭이 300 ㎜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유리와 상기 인성 필름의 연결부에 있어서, 그 박유리와 그 인성 필름이 중첩되고, 그 중첩 부분의 길이 x 와 그 박유리의 폭 y 와의 관계가 0.01 y ≤ x ≤ y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인성 필름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이 상기 박유리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보다 작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인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금속 또는 수지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인성 필름의 파괴 인성치가 2 ㎫·m1/2 ~ 20 ㎫·m1/2 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인성 필름의 폭방향의 선팽창 계수가 상기 박유리의 선팽창 계수에 대해 1 배 ~ 10 배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롤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척상의 박유리의 길이 방향 양단에 인성 필름을 구비함으로써, 연속적으로 가공 또는 처리할 때에 박유리가 파손되기 어려운 박유리 장척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박유리 장척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박유리 장척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에 있어서 박유리와 인성 필름을 겹쳐서 연결하는 경우의 그 연결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박유리 장척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 박유리 장척체 (100) 는 장척상의 박유리 (10) 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그 박유리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결된 인성 필름 (20, 20') 으로 구성되는 핸들링부를 구비한다.
실용적으로는, 박유리 장척체는 롤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롤상의 박유리 장척체는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한 가공 또는 처리에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감겨진 박유리 장척체를 가공·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가공 롤 (예를 들어, 반송 롤, 가열 롤) 과 구별하여 간단히 롤이라고 칭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박유리 장척체의 박유리를 롤투롤 프로세스의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2 (a) 는 박유리 (10) 의 처리 (예를 들어, 도공, 스퍼터링, 열처리) 가 정상 상태로 되기 전의 단계 (개시 단계) 를 나타낸다. 개시 단계에 있어서는, 조출측 (1) 의 롤로부터 박유리 장척체 (100) 를 조출하는 작업, 조출된 그 장척체를 처리 장치에 통지 (通紙) 하는 작업, 권취측 (2) 에서 그 장척체를 감는 작업 등의 작업을 거쳐, 박유리 장척체 (100) 가 처리 장치에 세팅된다.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 (100) 를 이용하면 처리 개시 단계에 있어서, 작업자가 박유리 (10) 가 아닌 핸들링부 (인성 필름 (20)) 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박유리 (10)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인성 필름 (20) 에 의해 얼라이먼트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그 조정에 의한 박유리 (10) 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공·처리가 정상 상태로 옮겨질 때에 가공 조건 (예를 들어, 가공 속도) 이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박유리 (10) 에 변화로 인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박유리 (10) 의 처리를 실시한다 (도 2 (b)). 박유리 (10) 의 처리가 종료된 후, 권취측 (2) 에서 장척체를 절단하여 롤을 분리한다 (도 2 (c)).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를 이용하면, 이 때, 박유리 (10) 가 아닌 인성 필름 (20') 을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절단에 의한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절단 후, 장치 위에 남은 인성 필름 (20') 의 종단은 다음으로 처리하는 롤의 시단에 연결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통지 작업성이 좋다. 또, 인성 필름 (20') 을 절단하지 않고, 박유리 장척체 (100) 의 전부를 처리 장치에 통과시켜도 된다 (도 2 (c'), (d)).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최후방에도 인성 필름을 구비하기 때문에 그 장척체 전부를 처리 장치에 통과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제조 손실이 저감된다.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인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핸들링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 또는 처리의 개시 단계 및 종료 단계의 양방에서 박유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인성 필름을 구비하기 때문에, 하나의 공정이 종료된 후, 그 공정 종료후의 롤을 그대로 다음 공정에 제공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다음 공정에 있어서도, 가공 또는 처리의 개시 단계 및 종료 단계의 양방에서 박유리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박유리 장척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 (100') 는,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박유리 (10) 가 연결된 인성 필름 (20'')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즉,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복수의 본체부 (박유리 (10)) 를 가지고, 복수 있는 본체부 (박유리 (10)) 의 전부에 있어서, 본체부 (박유리 (10)) 의 길이 방향 양단에 핸들링부 (인성 필름) 가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박유리 장척체는 핸들링부 (인성 필름) / 본체부 (박유리) / 핸들링부 (인성 필름) / 본체부 (박유리) / 핸들링부 (인성 필름) 와 같이, 핸들링부 (인성 필름) 와 본체부 (박유리) 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고, 핸들링부 (인성 필름) 와 본체부 (박유리) 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부분, 즉 핸들링부 (인성 필름) / 본체부 (박유리) 를 반복 단위로 한 연속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연속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박유리 장척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는 핸들링부 (인성 필름) 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복수 있는 핸들링부 (인성 필름) 를 절단하여 박유리 장척체를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의 수는, 원하는 분할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의 수는, 예를 들어, 2 ~ 30 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박유리 장척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인성 필름 (20, 20') 이외의 인성 필름 (20'') 를 「중간의 인성 필름」이라고도 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링부 (인성 필름) 와 본체부 (박유리) 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경우, 본체부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박유리 장척체의 박유리를 롤투롤 프로세스의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중의 박유리 장척체에 있어서, 사선을 부여한 부분은 인성 필름을 나타내고, 사선을 부여하지 않은 부분은 박유리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링부 (인성 필름) / 본체부 (박유리) 를 반복 단위로 한 연속 부분을 포함하는 박유리 장척체를 조출측 (1) 에 세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그 연속 부분을 포함하는 박유리 장척체의 박유리를 처리하는 처리 공정과 그 처리 후에 중간의 인성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포함한다. 처리 공정과 절단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대직경으로 준비된 처리전의 박유리 장척체를 처리가 끝난 박유리 장척체로 분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로 처리에 제공되는 박유리 (제 1 박유리) 의 처리가 종료된 후, 권취측 (2) 에서 중간의 인성 필름 (20'') 을 절단하고 (도 4 (a)), 그 후, 권취측 (2) 의 롤을 장치에서 빼낸다. 이어서, 장치 위에 남은 중간의 인성 필름 (20'') 을 감아 제 2 박유리 (10) 의 처리를 실시한다 (도 4 (b)). 박유리의 장수에 따라, 도 4 (a) ~ 도 4 (b) 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대직경으로 준비된 처리전의 박유리 장척체를 처리 완료 박유리 장척체로 분할할 수 있다. 핸들링부 (인성 필름) / 본체부 (박유리) 를 반복 단위로 한 연속 부분을 포함하는 박유리 장척체는 분할할 때의 바꿔 감는 작업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 4 에서는 처리의 개시 단계 및 종료 단계의 조작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조작은 도 2 를 이용하여 설명한 조작과 동일할 수 있다.
핸들링부 (인성 필름) / 본체부 (박유리) 를 반복 단위로 한 연속 부분을 포함하는 박유리 장척체는 수지 필름의 적층, 접착 용이 처리, 도공, 스퍼터링, 열처리 등의 임의의 적절한 처리에 제공될 수 있다. 그 연속을 포함하는 박유리 장척체를 이용하면 비교적 길이가 짧은 박유리일지라도, 이것을 장척화하여 가공 또는 처리의 공정 (롤투롤 프로세스) 에 제공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가공 또는 처리 후의 롤을 분할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등, 종래의 경우라면 박유리 자체를 절단하고 있는 공정에서 상기 박유리 장척체를 이용하면 절단시의 번잡함이 경감된다. 또한 절단 후에 다음 공정으로 진행시킬 때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박유리>
상기 박유리는 판상의 것이면 임의의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박유리는 조성에 의한 분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소다라임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칼리 성분에 의한 분류에 의하면, 무알칼리 유리, 저알칼리 유리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된다. 강도 및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박유리 장척체가 복수의 박유리를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박유리는 동일한 분류의 박유리이어도 되고, 상이한 분류의 박유리이어도 된다.
상기 박유리의 성형 방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박유리는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의 주원료와 망초나 산화안티몬 등의 소포제와 카본 등의 환원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1400 ℃ ~ 1600 ℃ 의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박판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시켜 제작된다. 상기 박유리의 박판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슬롯 다운 드로법, 퓨전법, 플로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판상으로 성형된 박유리는 박판화하거나 표면과 단부의 평활성을 높이거나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불화수소산 등의 용제에 의해 화학 연마되어도 된다.
상기 박유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15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 12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이다. 박유리의 두께가 150 ㎛ 보다 두꺼운 경우, 충분한 가요성을 갖지 못하여 롤상으로 권취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 박유리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핸들링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상기 박유리 장척체가 복수의 박유리를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박유리의 사이즈 (두께, 길이)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박유리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광폭의 박유리는 비틀어진 경우의 부하 및 자중 휨에 의한 부하가 커 핸들링이 어렵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는 핸들링이 어려운 광폭의 박유리의 가공 또는 처리시에 그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된다. 상기 박유리 폭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 ㎜ 이하이다.
상기 박유리의 길이는 원하는 처리량 또는 가공량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5 m ~ 1000 m 의 박유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박유리 장척체가 박유리를 1 장 구비하는 경우, 그 박유리의 길이는 예를 들어 30 m ~ 1000 m 이다. 상기 박유리 장척체가 복수의 박유리를 구비하는 경우, 개개의 박유리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m ~ 500 m 이다.
상기 박유리는 수지 필름 등으로 표면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이 보호되어 있으므로써, 반송시에 박유리가 파단된 경우에도 박유리 장척체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장치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인성 필름>
상기 인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인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박유리보다 고인성의 재료가 사용되며 예를 들어, 수지,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구리, 철, 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복수의 인성 필름을 구비하는데, 복수의 인성 필름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인성 필름의 파괴 인성치는, 바람직하게는 2 ㎫·m1/2 ~ 20 ㎫·m1/ 2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1/2 ~ 20 ㎫·m1/ 2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m1/2 ~ 20 ㎫·m1/2 이다.
상기 인성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 500 ㎛ 이다. 상기 인성 필름이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 인성 필름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 2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 100 ㎛ 이다. 상기 인성 필름이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인성 필름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 ~ 50 ㎛ 이다.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인 인성 필름은 중량면에서 취급성이 우수하여 절단하기 쉽고, 또한 주름의 발생 및 파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의 인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복수의 인성 필름의 사이즈 (두께, 길이)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인성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박유리 장척체를 권취했을 때에 발생하는 인성 필름의 표면 (볼록측) 의 굽힘 응력이, 박유리 표면 (볼록측) 의 굽힘 응력보다 작아지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성 필름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이 박유리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인성 필름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 (㎬·㎛) 은 박유리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 (㎬·㎛)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이와 같은 인성 필름은 박유리보다 굽힘에 의한 부하가 가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이 박유리보다 구부러지기 쉬운 인성 필름을 이용하면, 박유리와 인성 필름의 연결부에서도 충분한 가요성이 발현되어 그 연결부에서의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영률이란 폭 10 ㎜ 의 단책상의 시료를 23 ℃ 에 있어서 척간 50 ㎜, 속도 300 ㎜/min 로 인장하여 얻어지는 응력-변형 (S-S) 곡선에 있어서 최대 접선의 기울기로부터 산출되는 값을 말한다.
상기 인성 필름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300 ㎜ ~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 ~ 1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 ~ 1200 ㎜ 이다. 상기 박유리의 폭과 인성 필름의 폭과의 차이의 절대치는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 ㎜ 이다. 상기 박유리의 폭과 인성 필름의 폭과의 차이의 절대치가 작을수록, 가공 또는 처리시에 얼라이먼트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상기 인성 필름의 폭방향의 선팽창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ppm ~ 30 ppm 이다. 또, 인성 필름의 폭방향의 선팽창 계수는 박유리의 선팽창 계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배 ~ 10 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배 ~ 10 배이다. 인성 필름의 폭방향의 선팽창 계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박유리 장척체를 열처리 공정에 제공한 경우에도, 상기 박유리의 폭과 인성 필름의 폭과의 차이의 절대치를 작게 유지할 수 있어 컬의 발생 및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성 필름의 길이 방향의 선팽창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50 pp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ppm ~ 30 ppm 이다. 또, 인성 필름의 길이 방향의 선팽창 계수는 박유리의 선팽창 계수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배 ~ 10 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배 ~ 10 배이다. 인성 필름의 길이 방향의 선팽창 계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박유리 장척체를 열처리 공정에 제공한 경우에도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성 필름은 150 ℃ 에서 30 분간 가열했을 때의 폭방향의 열수축률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다. 인성 필름의 열수축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박유리 장척체를 열처리 공정에 제공한 경우에도 상기 박유리의 폭과 인성 필름의 폭과의 차이의 절대치를 작게 유지할 수 있어 컬의 발생 및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성 필름은 150 ℃ 에서 30 분간 가열했을 때의 길이 방향의 열수축률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다. 인성 필름의 열수축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박유리 장척체를 열처리 공정에 제공한 경우에도 박유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팽창 계수 및/또는 열수축률이 작은 인성 필름은 예를 들어 연신 처리를 실시한 수지를 구성 재료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성 필름으로서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그 PET 필름으로서는 횡 (TD) 방향으로 2 배 ~ 20 배, 종 (MD) 방향으로 2 배 ~ 20 배로 연신된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유리 장척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인성 필름의 길이는 박유리 장척체가 제공되는 장치의 길이 (조출로부터 권취까지의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유리 장척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인성 필름의 길이가 장치의 길이 이상이면 가공 또는 처리의 개시 단계 및 종료 단계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한 박유리 장척체를 얻을 수 있다. 박유리 장척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인성 필름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m ~ 200 m 이다.
상기 중간의 인성 필름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50 ㎝ ~ 200 m 이다. 중간의 인성 필름의 길이는 처리 후의 박유리 장척체가 제공되는 후공정의 유무,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박유리와 인성 필름이란 예를 들어 임의의 적절한 점착 테이프,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박유리와 인성 필름의 연결은 예를 들어, 박유리와 인성 필름을 중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5 는 박유리 (본체부) 와 인성 필름 (핸들링부) 을 겹쳐서 연결하는 경우의 그 연결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5 에서는 일방의 단부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데, 다른 일방의 단부도 동일한 구성을 택할 수 있다. 박유리 (10) 와 인성 필름 (20) 을 중첩하여 연결하는 경우, 박유리 (10) 와 인성 필름 (20) 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 x 는 바람직하게는 20 ㎜ ~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 20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 20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 10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 ~ 1000 ㎜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박유리 (10) 와 인성 필름 (20) 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 x 는 박유리 (10) 의 폭 y 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박유리 (10) 와 인성 필름 (20) 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 x 와 박유리 (10) 의 폭 y 는 0.01 y ≤ x ≤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y ≤ x ≤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y ≤ x ≤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3 y ≤ x ≤ y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박유리 (10) 와 인성 필름 (20) 이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 x 는 박유리 (10) 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박유리 (10) 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 a 와 인성 필름 (20) 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 b 와의 교차각은 바람직하게는 5°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도시예와 같이 0°이다. 그 교차각이 5°보다 큰 경우, 박유리를 롤투롤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 또는 가공할 때에, 박유리의 주행이 직진성을 결여하여 가공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권취에 어긋남 및 주름이 발생되기 쉽고, 어긋남 또는 주름이 원인이 되어 박유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박유리 장척체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용 기판, 센서 커버, 소자 커버 등의 롤투롤 프로세스에 제공되는 박유리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 박유리
20, 20' : 인성 필름
100 : 박유리 장척체

Claims (11)

  1. 장척상의 박유리로 구성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연결된 인성 필름으로 구성되는 핸들링부를 구비하고,
    그 박유리의 폭과 그 인성 필름의 폭과의 차이의 절대치가 10 ㎜ 이하이고,
    그 인성 필름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 (㎬·㎛) 이 그 박유리에 있어서의 영률과 두께의 곱 (㎬·㎛) 에 대해 90 % 이하이고,
    그 인성 필름이 연신된 필름인, 박유리 장척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본체부와 복수의 상기 핸들링부를 구비하고,
    그 본체부와 그 핸들링부가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박유리 장척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간격이 50 ㎝ 이상인, 박유리 장척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유리의 두께가 10 ㎛ ~ 150 ㎛ 인, 박유리 장척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유리의 폭이 300 ㎜ 이상인, 박유리 장척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유리와 상기 인성 필름의 연결부에 있어서, 그 박유리와 그 인성 필름이 중첩되고, 그 중첩되는 부분의 길이 x 와 그 박유리의 폭 y 와의 관계가 0.01 y ≤ x ≤ y 인, 박유리 장척체.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성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가 수지 또는 금속인, 박유리 장척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성 필름의 파괴 인성치가 2 ㎫·m1/2 ~ 20 ㎫·m1/ 2 인, 박유리 장척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성 필름의 폭방향의 선팽창 계수가 상기 박유리의 선팽창 계수에 대해 1 배 ~ 10 배인, 박유리 장척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롤상으로 되어 있는, 박유리 장척체.
KR1020177007061A 2012-10-19 2013-10-18 박유리 장척체 KR101828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31998 2012-10-19
JP2012231998 2012-10-19
PCT/JP2013/078367 WO2014061800A1 (ja) 2012-10-19 2013-10-18 薄ガラス長尺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861A Division KR20150058398A (ko) 2012-10-19 2013-10-18 박유리 장척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491A KR20170032491A (ko) 2017-03-22
KR101828227B1 true KR101828227B1 (ko) 2018-02-09

Family

ID=504883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861A KR20150058398A (ko) 2012-10-19 2013-10-18 박유리 장척체
KR1020177007061A KR101828227B1 (ko) 2012-10-19 2013-10-18 박유리 장척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861A KR20150058398A (ko) 2012-10-19 2013-10-18 박유리 장척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83449B2 (ko)
EP (1) EP2910534B1 (ko)
JP (4) JP6214998B2 (ko)
KR (2) KR20150058398A (ko)
TW (1) TWI599478B (ko)
WO (1) WO2014061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9478B (zh) * 2012-10-19 2017-09-21 Nitto Denko Corp Thin glass long body
JP6468460B2 (ja) * 2015-04-16 2019-02-1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237334B1 (ko) 2016-10-26 2021-04-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필름-수지 복합체
KR101911621B1 (ko) 2017-02-27 2018-10-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JP7304342B2 (ja) * 2018-04-25 2023-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樹脂複合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529A1 (ja) * 2010-07-16 2012-01-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シート巻回体およびシート状連結体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5512A1 (en) 1986-05-02 1988-05-04 MSC Specialty Films, Inc. Sputter-coated thin glass sheeting in roll form and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thereof
EP0716339B1 (en) 1994-12-05 2001-09-12 Agfa-Gevaert N.V. A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and a dry imaging material comprising a glass support
DE69522647T2 (de) 1994-12-05 2002-07-04 Agfa Gevaert Nv Photographisches Silberhalogenidmaterial und trockenentwickelbares Aufzeichnungsmaterial das einen Glasträger enthält
JP4982976B2 (ja) 2005-06-29 2012-07-25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素子
WO2007069421A1 (ja) 2005-12-16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貼着テープの接続装置、貼着装置
JP5261914B2 (ja) * 2006-10-17 2013-08-14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用凸版
JP2008262955A (ja) * 2007-04-10 2008-10-30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5325005B2 (ja) 2008-04-24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基板
JP5439019B2 (ja) * 2008-04-24 2014-03-1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示素子用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91148B2 (ja) 2008-10-01 2015-04-0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532506B2 (ja)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
JP5532507B2 (ja) 2008-10-01 2014-06-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処理方法
JP5435267B2 (ja) 2008-10-01 2014-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ガラスロール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5788134B2 (ja) 2008-10-01 2015-09-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US20110244225A1 (en) 2008-11-07 2011-10-06 Nitto Denko Corporation Transparent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12001405A (ja) * 2010-06-18 2012-01-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薄膜ガラスの搬送方法、及び薄膜ガラスの搬送装置
JP5874159B2 (ja) * 2010-08-31 2016-03-0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およびそれを巻き取ったガラスロール、並びに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2088356A (ja) * 2010-10-15 2012-05-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及びそれを備えた光電気複合ケーブル
TWI551560B (zh) * 2010-11-30 2016-10-01 康寧公司 玻璃帶、接合玻璃帶之方法、以及製備用於接合之已塗佈玻璃帶之方法
WO2012090693A1 (ja) 2010-12-28 2012-07-05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5767257B2 (ja) * 2011-02-08 2015-08-19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製造用積層体、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エレクトロニクスデバイスとその製造方法
TWI599478B (zh) * 2012-10-19 2017-09-21 Nitto Denko Corp Thin glass long body
WO2015174006A1 (ja) * 2014-05-13 2015-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照明装置
JP2017180166A (ja) * 2016-03-29 2017-10-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529A1 (ja) * 2010-07-16 2012-01-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シート巻回体およびシート状連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8114B2 (ja) 2021-02-10
JP7342048B2 (ja) 2023-09-11
US20150232371A1 (en) 2015-08-20
JP2018027892A (ja) 2018-02-22
TWI599478B (zh) 2017-09-21
JP2020011898A (ja) 2020-01-23
JP6599413B2 (ja) 2019-10-30
KR20150058398A (ko) 2015-05-28
US9783449B2 (en) 2017-10-10
JP6214998B2 (ja) 2017-10-18
KR20170032491A (ko) 2017-03-22
TW201422426A (zh) 2014-06-16
EP2910534B1 (en) 2019-01-09
EP2910534A1 (en) 2015-08-26
JP2021073146A (ja) 2021-05-13
WO2014061800A1 (ja) 2014-04-24
JP2014097923A (ja) 2014-05-29
EP2910534A4 (en)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227B1 (ko) 박유리 장척체
CN102905891B (zh) 玻璃树脂层叠体、及将其卷绕的玻璃辊、以及玻璃辊的制造方法
CN109922954B (zh) 玻璃膜-树脂复合体
KR101846637B1 (ko) 박유리 장척체
KR101974693B1 (ko) 박유리 장척체
US11873179B2 (en) Method for conveying glass film composite
JP6073639B2 (ja) 薄ガラス長尺体
TWI840323B (zh) 玻璃薄膜-樹脂複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