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90B1 - 차량의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90B1
KR101825690B1 KR1020140195446A KR20140195446A KR101825690B1 KR 101825690 B1 KR101825690 B1 KR 101825690B1 KR 1020140195446 A KR1020140195446 A KR 1020140195446A KR 20140195446 A KR20140195446 A KR 20140195446A KR 101825690 B1 KR101825690 B1 KR 10182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lamp
lamp housing
elastic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513A (ko
Inventor
윤찬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69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개구된 일측이 결합되어 차폐시키는 더스트 커버와 상기 더스트 커버에 씰링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더스트 커버에 상기 램프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램프 장치{Lamp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 모듈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램프에는 야간 주행 중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램프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규칙적으로 점멸되면서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시그널램프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고 전조등과 동시에 점등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일램프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면 점등되는 브레이크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전방에는 포지션램프가 설치되므로 보행자나 반대 차로의 운전자가 차량의 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낮 시간에 점등하여 안전운전을 행하도록 하는 DRL(Daytime Running Light)램프가 설치된다.
상기 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 모듈은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벌브 등)가 구비 된 리플렉터가 램프하우징에 설치되고, 램프하우징의 전방에 렌즈가 설치되므로서 광원부가 위치한 램프하우징의 내부는 밀폐된다.
이러한, 광원부의 교체를 위하여 램프하우징의 배면, 즉, 렌즈가 설치되는 타편에 광원부의 교환을 위해서 홀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홀은 차량의 주행 중 또는 광원부의 교환시를 제외하고는 차폐되어야 하므로, 홀을 막기 위해서 더스트 커버(dust cover)가 장착되고, 램프하우징과 더스트 커버간의 밀폐력을 위하여 더스트 커버에 씰링 역할을 하도록 오링(O-Ring)이 씌워져 램프모듈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램프하우징에 더스트커버의 결합시 토크로 인한 오링(O-Ring)의 압축률이 과다하여 더스트커버에 집중되어 응력이 발생된 부분으로부터 응력 및 엔진룸 열에 의한 하우징 및 더스트커버 변형의 발생을 막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는, 램프하우징과, 상기 램프하우징에 개구된 일측이 결합되어 차폐시키는 더스트 커버와, 상기 더스트 커버에 씰링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더스트 커버에 상기 램프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일측의 개구부와, 타측의 바디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플렌지부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렌지부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부 내측으로부터 형성된 보강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램프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램프하우징과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일측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여 수직되게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램프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 차량의 램프 장치에 따르면, 램프하우징 및 더스트커버의 변형 방지하여 필드클레임(field claim)을 감소하여, 조립 후 위치 보정하여 오링 실링력 균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 차량의 램프 장치에 따르면, 램프하우징에 더스트커버의 결합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 및 탈거시 토크가 개선되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더스트 커버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순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도 4는 도 3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5는 도 3의 더스트 커버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순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램프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램프 장치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는 차량(1)의 전방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실시예에서 차량의 램프 장치는 운전자의 전방 야간시야를 확보해주는 헤드램프모듈(10), 안개등, 턴시크럴 램프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전방에 장착되는 헤드램프 모듈(10)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장치는 차량(1)의 후방에 장착되어 후미등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 헤드 램프 모듈은 차량(1) 전방의 좌우에 각각 장착된다. 또한, 운전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에서 헤드 램프 모듈(10)은 광원부, 리플렉터, 렌즈, 램프하우징(20), 커버렌즈 및 더스트커버(30)를 포함하여, 차량의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광원부(미도시)는 램프하우징(20) 내부에서 구동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광원부는 구동부에서 인가받은 전압 또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빛을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광원부는 광원으로서 할로겐 램프, 고전압방출(HID) 램프, 엘이디(LED)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력 효율성과 빛의 세기 등을 고려할 시, 전력소모가 적으면서도 밝게 발광하는 엘이디(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플렉터(미도시)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을 차량(1)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도록 램프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리플렉터는 반사율이 좋은 알루미늄(Al), 은(Ag)재질 등으로 제조되거나, 빛을 반사시키는 표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렌즈는 광원과 리플렉터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렌즈는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빛을 굴절 투과시킨다. 렌즈는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플렉터의 초점을 통과한 빛은 비구면 렌즈를 투과함으로써, 차량(1) 전방으로 직진할 수 있다. 렌즈는 투명한 유리,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램프하우징(20)은 내부에 렌즈, 광원부 및 리플렉터가 배치된다. 램프 하우징(20)은 전방측을 향해 개구된다. 램프하우징(20)의 후방측에 즉, 광원부의 빛이 리플렉터를 통해 반사되는 타측에 램프하우징(2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되어, 광원부를 교환할 수 있다.
램프하우징(20)의 개구된 부분에 광원부가 설치된 리플렉터가 장착되어,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이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전방을 향해 조사되고, 램프하우징(20)의 전방측에 설치된 커버렌즈를 통과하여 램프모듈(10)의 외부로 빛을 조사한다.
관통부에 설치되어 램프하우징(20)을 밀폐시키도록 더스트커버(30)가 설치된다. 관통부는 더스트커버(30)가 설치되도록 광통부 중심에서 더스트커버(30)가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리브(24)가 형성되어 더스트커버(30)와 면접촉하게 된다.
더스트커버(30)는 램프하우징(20)에 개구된 일측이 결합되어 밀폐시킨다. 더스트커버(30)에는 램프하우징(20)과 결합시 씰링되도록 탄성부재(50)가 설치된다. 더스트 커버(30)에 램프하우징(20)의 결합시 탄성부재(50)를 지지하도록 지지부(40)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더스트커버(3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더스트 커버(30)는 램프하우징(20)에 결합되는 일측의 개구부와, 타측의 바디부 사이에 탄성부재(50)가 배치된다.
지지부(40)는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플렌지부(48)에 형성된다. 지지부(40)는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램프하우징(20)의 리브(24)와 면접촉한다. 지지부(40)는 더스트커버(30)의 단부측에서 탄성부재(50)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가이드레일(44)이 형성된다.
지지부(40)의 가이드레일(44)로부터 탄성부재(50)를 향하여 수직되게 형성된 돌기(48)가 램프하우징(20)의 리브(24)와 면접촉한다. 또한, 더스트커버(30)를 램프하우징(20)과 결합시 탄성부재(50)에 발생하는 밀림현상을 가이드레일(44) 및 돌기(48)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돌기(48)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0)의 가이드레일(44)의 단부와 근접하여 스토퍼가 형성되어 램프하우징(20)의 리브(24)와 맞닿게 되므로서 더스트커버(30)의 과회전을 방지한다.
플렌지부(48)는 더스트커버(30)의 개구부에 복수개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플렌지부(48)는 더스트커버(30)의 지지부(40)의 응력을 높이기 위해 개구부 내측에서 연장된 보강부(32)가 형성된다. 보강부(32)는 플렌지부(48)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더스트커버(30)의 결합력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으로부터 플렌지부(48)를 지지하여 강성을 높이게 된다.
탄성부재(50)는 더스트커버(30)의 개구부와 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부재(50)는 지지부(40)와 바디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재(50)는 오링으로 구비된다. 탄성부재(50)는 더스트커버(30)와 램프하우징(20)간의 결합시 수밀성을 강화하도록 외측둘레면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더스트 커버가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순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 차량의 램프 장치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의 (a)를 참조하면, 더스트커버(30)의 지지부(40) 방향에서 탄성부재(50)를 끼워넣어 고정시킨다. 탄성부재(50)는 지지부(40)의 가이드레일(44) 및 돌기(48)에 의해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도 5의 (b)를 참조하면, 더스트커버(30)의 개구부를 램프하우징(20)의 관통부를 통과한 뒤, 램프하우징(20)의 리브(24)에 맞춰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결합방식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것으로 설명하나, 사업자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의 결합방식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더스트커버(30)가 회전하면, 도 4에서와 같이 램프하우징(20)의 일면에 면접촉하게 되는 탄성부재(50)가 압입된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램프하우징(20)의 리브(24)에 맞춰 회전시 완전체결에는 램프하우징(20)의 일단부가 더스트커버(30)의 스토퍼에 걸리면서 더스트커버(30)의 회전은 멈추게 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램프하우징(20)의 리브(24)가 더스트커버(30)의 돌기부(48)와 면접하게 되어 밀폐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더스트커버(30)의 결합시 발생된 토크(toque)로부터 탄성부재(50)가 밀리게 되는 것을 가이드레일(44)의 단부와 돌기부(48)로부터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헤드램프모듈 20: 램프하우징
30: 더스트커버 40: 지지부
50: 탄성부재

Claims (8)

  1.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에 개구된 일측이 결합되어 차폐시키는 더스트 커버;
    상기 더스트 커버에 씰링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더스트 커버에 상기 램프하우징의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결합되는 일측의 개구부와, 타측의 바디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바디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일측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차량의 램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플렌지부의 외측에 형성된 차량의 램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부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개구부 내측으로부터 형성된 보강부와 연결된 차량의 램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램프하우징을 향하여 돌출되어 면접촉하는 차량의 램프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여 수직되게 돌기가 형성된 차량의 램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차량의 램프 장치.
KR1020140195446A 2014-12-31 2014-12-31 차량의 램프 장치 KR10182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46A KR101825690B1 (ko) 2014-12-31 2014-12-31 차량의 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446A KR101825690B1 (ko) 2014-12-31 2014-12-31 차량의 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13A KR20160081513A (ko) 2016-07-08
KR101825690B1 true KR101825690B1 (ko) 2018-02-05

Family

ID=5650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446A KR101825690B1 (ko) 2014-12-31 2014-12-31 차량의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309A (ja) 2000-07-07 2002-01-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ランプ装置
JP2003123516A (ja) * 2001-08-07 2003-04-25 Denso Corp 車両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309A (ja) 2000-07-07 2002-01-25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ランプ装置
JP2003123516A (ja) * 2001-08-07 2003-04-25 Denso Corp 車両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513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6367B (zh) 跨骑式车辆
KR101460728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JP5544248B2 (ja) 車両用前照灯
EP2127947B1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EP2075500B1 (en) Vehicle headlamp
CN104279484A (zh) 车辆用灯体
KR101628290B1 (ko) 차량용 헤드램프
US20150210207A1 (en) Vehicle Fog Lamp
KR200465953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주간주행램프
KR101591727B1 (ko) 차량 후방용 램프 구조
CN112984458A (zh) 带有集成光元件的不透明外透镜
KR101825690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CN110461694B (zh) 鞍乘型车辆的前照灯装置
JP5529951B2 (ja) フロントコンビネーション型灯具
KR101416469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CN110476007B (zh) 鞍乘型车辆的前照灯装置
CN110475709B (zh) 鞍乘型车辆的前照灯装置
CN210118702U (zh) 一种车灯
JP2006264403A (ja) 車両用被認識装置
CN110462282B (zh) 鞍乘型车辆的前照灯装置
KR20100114802A (ko) 차량용 안개등
JP2018067502A (ja) 車両用灯具
JP4360571B2 (ja) 自動二輪車用前照灯
KR20180110864A (ko) 차량용 램프
KR20240008741A (ko) 차량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