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41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41B1
KR101825441B1 KR1020150129645A KR20150129645A KR101825441B1 KR 101825441 B1 KR101825441 B1 KR 101825441B1 KR 1020150129645 A KR1020150129645 A KR 1020150129645A KR 20150129645 A KR20150129645 A KR 20150129645A KR 101825441 B1 KR101825441 B1 KR 10182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itch
rolling
seedling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755A (ko
Inventor
마사루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01B59/004Length-adjusta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01B59/008Link connectors with spheric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작업 장치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분의 작업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주행차체에 승강 링크 기구를 설치하고, 승강 링크 기구에 작업 장치를 장착하는 수용 히치를 설치하고, 작업 장치에 수용 히치에 접속하는 장착 히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장착 히치에 작업 장치를 좌우 회전시키는 롤링 축을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수용 히치에 롤링 실린더(71)를 설치하고,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의 로드 엔드(74)에 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나사 구멍(74a)을 형성하고, 장착 히치에 부착 부재(72)를 설치하고, 부착 부재(72)에 기체 전후 방향의 제 2 나사 구멍(72c)을 형성하고, 제 1 나사 구멍(74a)과 제 2 나사 구멍(72c)에 나사결합하는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이식기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으로서의 모종 이식기는 주행차체의 후방부에 설치한 작업 장치가 되는 모종 식부 장치 등을 착탈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종 이식기에 대해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모종 이식기는 모종 식부 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 링크 기구의 후방부에 수용 히치를 설치하고, 모종 식부 장치 등의 작업 장치의 장착 히치를 수용 히치에 연결함으로써 작업 장치를 승강 링크 기구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수용 히치에는 작업 장치를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는 롤링 축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작업 장치에는 좌우 방향의 자세를 검출하는 수평 센서를 설치하고, 기체측에는 작업 장치를 회전시키는 롤링의 제어 모터를 설치하고 있다. 모종 이식기는 수평상태가 될 때까지 제어 모터에 의해 작업 장치가 회전되고, 작업 장치가 수평상태가 되면 제어 모터가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장면에 요철이 있어도 작업 장치를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장치의 작업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24643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모종 이식기에서는 승강 링크 기구와 작업 장치를 연결할 때, 작업자가 주행차체의 후방측으로 이동해서 록킹 조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아울러, 여분의 노동력을 허비하는 문제가 있다. 주행차체를 조종하는 작업자와는 다른 작업자가 록킹 조작을 행하면, 주행차체를 조종하는 작업자의 이동은 불필요하게 되지만, 그 만큼 일손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 장치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여분의 작업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차체(2)에 승강 링크 기구(32)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링크 기구(32)에 작업 장치(3)를 장착하는 수용 히치(61)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상기 수용 히치(61)에 접속하는 장착 히치(6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히치(62)에 상기 작업 장치(3)를 좌우 회전시키는 롤링 축(63)을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용 히치(61)에 롤링 실린더(71)를 설치하고,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와 상기 작업 장치(3)를 나사 부재(76)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로드(71b)의 로드 엔드(74)에 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나사 구멍(74a)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부착 부재(72)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 부재(72)에 기체 전후 방향의 제 2 나사 구멍(72c)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나사 구멍(74a)과 제 2 나사 구멍(72c)에 상기 나사 부재(76)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주행차체(2)에 승강 링크 기구(32)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링크 기구(32)에 작업 장치(3)를 장착하는 수용 히치(61)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상기 수용 히치(61)에 접속하는 장착 히치(6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히치(62)에 상기 작업 장치(3)를 좌우 회전시키는 롤링 축(63)을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용 히치(61)에 롤링 실린더(71)를 설치하고,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의 선단에 기체 좌우 방향의 나사 축(75)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부착 부재(72)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 부재(72)에 상기 나사 축(75)이 통과하는 장착 구멍(72a)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구멍(72a)에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실린더 케이스(71a)로부터 이간될수록 대경이 되는 제 1 테이퍼면(72b)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축(75)에 나사결합하는 고착 핸들(73)을 설치하고, 상기 고착 핸들(73)에 상기 실린더 케이스(71a)에 접근할수록 소경이 되는 제 2 테이퍼면(73c)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장착 히치(62)에 상기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하는 롤링 록킹 부재(64)를 설치하고, 상기 롤링 록킹 부재(64)는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연결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가 연결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상태로 하는 장착 록킹 부재(65)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에 접촉 캠면(65d)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연결하면 상기 접촉 캠면(65d)이 상기 롤링 록킹 부재(64)를 회전시켜서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를 회전시키는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설치하고, 상기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상기 주행차체(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조작 부재를 조작하면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작업 장치(3)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상기 작업 장치(3)의 하강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주행차체(2)를 전진시키는 제어 장치(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주행차체(2)에 조종석(22)을 설치하고, 상기 수용 히치(61)와 상기 장착 히치(62)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검출 부재(66)를 설치하고, 상기 근접 검출 부재(66)가 검출 상태가 되면 점등하는 통지 램프(19)를 설치하고, 상기 통지 램프(19)를 조종석(22)으로부터 시인가능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작업 차량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해,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와 작업 장치(3)를 나사 부재(76)로 연결함으로써, 작업 중에 롤링 실린더(71)가 빠져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차체(2)의 경사에 맞춰서 작업 장치(3)를 롤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76)를 사용함으로써, 공구가 없어도 용이하게 작업 장치(3)의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착탈 작업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제 1 나사 구멍(74a)과 제 2 나사 구멍(72c)에 나사 부재(76)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작업중에 슬라이딩 로드(71b)와 부착 부재(72)의 연결이 빠져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차체(2)의 경사에 맞춰서 작업 장치(3)를 롤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해, 장착 구멍(72a)의 제 1 테이퍼면(72b)과 고착 핸들(73)의 제 2 테이퍼면(73c)을 맞춰서 고착 핸들(73)을 나사 축(75)에 조여 넣음으로써 고착 핸들(73)이 풀어지기 어려워지므로, 작업중에 슬라이딩 로드(71b)와 부착 부재(72)의 연결이 빠져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주행차체(2)의 경사에 맞춰서 작업 장치(3)를 롤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착 핸들(73)에 의해 용이하게 작업 장치(3)의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착탈 작업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연결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롤링 록킹 부재(64)가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작업 장치(3)의 착탈 작업시에 작업 장치(3)가 좌우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장치(3)의 착탈 작업에 요하는 시간과 노동력이 경감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연결 된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를 장착 록킹 부재(65)로 록킹상태로 하면, 접촉 캠면(65d)이 롤링 록킹 부재(64)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링 록킹 부재(64)에 의한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의 규제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주행차체(2)의 경사에 맞춰서 작업 장치(3)를 롤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3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가 장착 록킹 부재(65)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작업으로 장착 록킹 부재(65)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작업 장치(3)의 착탈 작업에 요하는 시간이나 노동력이 경감됨과 아울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5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해서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을 해제하면 작업 장치(3)가 하강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주행차체(2)가 전진함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32)로부터 작업 장치(3)를 분리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 장치(3)의 착탈 작업에 요하는 일손이 삭감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의 접근을 근접 검출 부재(66)로 검출하면 통지 램프(19)가 작동함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32)와 작업 장치(3)가 연결가능한 위치에 있는 것을 통지할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통지 램프(19)를 조종석(22)으로부터 시인가능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승강 링크 기구(32)와 작업 장치(3)가 연결가능한 위치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작업 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
(b)는 작업 차량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의 (a)는 수용 히치와 장착 히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수용 히치와 장착 히치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의 (a)는 작업 차량의 롤링 기구의 평면도
(b)는 롤링 기구의 요부 단면도
(c)는 롤링 기구의 고착 핸들의 정면도
도 4의 (a)는 도 2(a)의 VIII-VIII선을 따르는 요부 단면도
(b)는 록킹핀이 록킹홈내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c)는 장착 록킹 부재를 코일스프링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회전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d)는 장착 록킹 부재가 롤링 록킹 부재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5는 작업 차량의 롤링 기구의 평면도
도 6은 작업 장치의 자동 분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인 모종 이식기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모종 이식기(1)는 주행하면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것이다.
도 1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식기(1)는 포장을 주행하는 주행차체(2)와, 주행차체(2)의 후방부에 장착하는 모종 식부 장치(3)(작업 장치에 상당)와, 착탈 기구(6)와, 롤링 기구(7)를 구비한다.
주행차체(2)는 좌우의 전륜(12a) 및 좌우의 후륜(주행륜에 상당)(12b)을 구비함과 아울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11)을 구비한다. 또한 주행차체(2)에 플로어 스텝(20)을 설치하고, 상기 플로어 스텝(20)에 상기 엔진(11)을 덮는 엔진 커버(14)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 커버(14)의 상부에 조종석(22)을 설치하고, 상기 조종석(22)의 전방에 프론트 커버(23)를 설치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23)에는 상기 전륜(12a)을 조타하는 핸들(24)을 설치하고, 상기 주행차체(2)의 주행을 조작하는 주행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부변속기를 노상 주행시의 「노상 주행 모드」와, 식부 주행시의 「작업 주행 모드」 등으로 스위칭하는 부변속 조작 레버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23)의 조종석(22)으로부터 시인가능한 위치에는 후술하는 근접 검출 부재(66)가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의 접근을 검출하면 통지하는 통지 램프(19)를 설치한다. 또, 상기 통지 램프(19) 대신에 부저 등의 통지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23)의 좌우 양측에는 예비의 모종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2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종석(22)의 후방에 비료 호퍼(27)에 저장하는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비 장치(26)를 설치한다.
상기 모종 식부 장치(3)는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식부부(30)와, 모종 식부부(30)를 승강시키는 승강 링크 기구(32)로 구성한다. 상기 승강 링크 기구(32)는 주행차체(2)의 후방부와 모종 식부부(30)를 연결시키는 상부 링크(32a)와 하부 링크(32b)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링크(32a)와 하부 링크(32b)를 주행차체(2)의 후단부단에 설치하는 링크 베이스 프레임(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승강 링크 기구(32)를 승강시키는 신축 가능한 승강 실린더(34)를 설치한다.
상기 모종 식부부(30)는 복수 조에 걸쳐서 모종을 식부하는 것이며, 도 1의 (b)에 나타내는 것은 6조식의 것이다. 상기 모종 식부부(30)는 승강 링크 기구(32)에 연결되는 식부 프레임과, 모종을 적재하는 모종 적재대(37)와, 상기 모종 적재대(37)로부터 모종을 취해서 식부하는 식부 기구(36)와, 접지하는 플로트(38)로 구성한다.
상기 식부 프레임은 착탈 기구(6)를 통해 승강 링크 기구(32)에 연결한다. 상기 모종 적재대(37)는 식부 조수분의 모종 적재면(37a)을 갖고, 각 모종 적재면(37a)에 모종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37)는 적재된 모종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모종 반송 장치(37b)를 구비한다.
상기 식부 기구(36)는 식부 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동 케이스(36a)와, 상기 전동 케이스(36a)의 좌우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 지지부(36b)와, 상기 회전 지지부(36b)에 설치하는 2개의 식부 레버(36c)로 구성한다. 상기 식부 기구(36)는 회전 지지부(36b)가 회전하고, 식부 레버(36c)가 회전 지지부(36b)의 양단부에서 회전함으로써 식부 레버(36c)가 모종 적재대(37)에 적재된 모종을 포장에 식부한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부(30)에는 전후 방향을 따르는 축심 둘레의 모종 식부 장치(3)의 자세(좌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수평 센서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엔진(11)의 구동력을 상기 주행차체(2)가 전후진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력으로서 출력하거나, 정지시키는 제동력으로서 출력하거나 하는 변속 장치(15)를 상기 엔진(11)의 전방측에 배치한다. 상기 변속 장치(15)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의 조작량에 맞춰서 사판의 각도를 변경하는 서보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서보 모터가 사판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유압펌프로부터 유압모터를 향해서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가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변속 장치(15)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미션 케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미션 케이스는 내장하는 부변속기로 변속함으로써, 상기 전륜(12a) 및 후륜(12b)으로의 주행용 동력과, 모종 식부 장치(3)로의 식부용 동력을 출력한다.
정지(整地) 장치(5)는 상기 모종 식부부(30)에 설치되어 모종을 식부하는 포장면을 정지하는 것이다. 상기 정지 장치(5)는 식부 프레임에 설치하는 행잉 프레임을 정지 모터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승강가능하게 구성한다.
착탈 기구(6)는 승강 링크 기구(32)에 모종 식부 장치(3)를 착탈하는 기구이다. 상기 착탈 기구(6)는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와, 롤링 축(63)과, 롤링 록킹 부재(64)와, 장착 록킹 부재(65)와, 근접 검출 부재(66)로 구성한다.
또, 모종 식부 장치(3)를 승강 링크 기구(32)로부터 빼내면 장착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개소에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으므로, 청소나 부품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능률 좋게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추가해서, 모종의 식부 이외의 포장에서의 작업을 행할 때는 별도의 작업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별도의 작업 장치란 예를 들면 작물의 종자를 설정량씩 포장에 뿌리는 파종 작업 장치이다. 또는 모종 옆에 나는 잡초를 제거하는 제초 작업 장치이다. 또는 모종의 측방의 포장면에 홈을 형성하고, 흙속에 고인 가스를 제거하면서 산소를 도입하기 쉽게 하는 홈 형성 작업 장치이다.
상기 수용 히치(61)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평판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수용 히치(61)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 축(67)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장착 히치(62)는 식부 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용 히치(61)에 접속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 히치(62)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수용 히치(61)의 좌우 사이에 1개 설치되고, 상하 방향의 평판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 히치(61)와 접속하는 접속 핀(68)을 부착하고 있다. 상기 접속 핀(68)은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히치(62)의 하단부로부터 좌우 양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착 히치(62)는 수용 히치(61)와 접속할 때에 상측의 연결 축(67)에 록킹되는 갈고랑이 형상의 록킹부(62a)를 상단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하측의 연결 축(67)이 통과하는 장착 오목부(62b)를 하단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와 접속할 때에 접속 핀(68)이 통과하는 수용 오목부(61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61a)는 수용 히치(61)의 하단부이며, 또한 수용 히치(61)의 후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수용 히치(61)의 일부를 측면에서 볼 때 원호상으로 노치해서 형성한다.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식부 장치(3)를 기체 전후 방향의 축심(P) 둘레로 좌우 회전시키는 상기 롤링 축(63)은 상기 식부 프레임 을 통해 장착 히치(62)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롤링 축(63)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차체(2)의 좌우 방향 중앙에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축심(P)이 전후 방향과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한다.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하는 상기 롤링 록킹 부재(64)는 장착 히치(62)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평판상의 록킹 플레이트(64a)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64a)의 상단부에 설치하는 록킹 핀(64b)으로 구성한다. 상기 록킹 플레이트(64a)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64a)의 하단부에는 캠면(64c)이 형성되고, 록킹 플레이트(64a)의 상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록킹 핀(64b)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록킹 플레이트(64a)는 상기 캠면(64c)에 접촉하는 것이 없을 때는 식부 프레임에 설치하는 록킹편(69)에 형성하는 록킹 홈(69a)내에 록킹 핀(64b)이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록킹편(69)은 모종 식부 장치(3)가 수평상태인, 즉 모종 식부 장치(3)가 좌우 방향 중 어디로나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록킹 핀(64b)이 록킹 홈(69a)에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는 롤링 록킹 부재(64)에 의해 상기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회전이 규제된다.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접속하면, 상기 장착 히치(62)를 록킹하는 장착 록킹 부재(65)는 상기 수용 히치(6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는 평판상의 록킹 부재 본체(65a)와, 상기 록킹 부재 본체(65a)의 전단부이며 또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하는 조작 레버(65b)로 구성하고, 상기 록킹 부재 본체(65a)의 후단부에는 상기 수용 히치(61)의 수용 오목부(61a)에 들어간 접속 핀(68)을 후방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에 걸쳐 록킹하는 갈고랑이 형상의 록킹 클로부(65c)를 형성한다. 상기 록킹 클로부(65c)의 후방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롤링 록킹 부재(64)의 캠면(64c)에 접촉하는 접촉 캠면(65d)을 형성한다. 상기 접촉 캠면(65d)은 상기 록킹 클로부(65c)가 접속 핀(68)에 록킹되는 상태에 있어서 기체 후방측일수록 하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 부재 본체(65a)의 전단부에는 상기 접속 핀(68)을 록킹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를 바이어싱하는 코일 스프링(70)을 설치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70)의 단부는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 부재 본체(65a)의 전단부와 수용 히치(61)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70)의 배치에 의해, 콤팩트한 구성으로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를 접속 핀(68)에 록킹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레버(65b)는 상기 록킹 부재 본체(65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는 상기 조작 레버(65b)를 조작함으로써 장착 록킹 부재(65)를 회전조작할 수 있다.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는 상기 수용 히치(61)의 수용 오목부(61a)내에 들어간 접속 핀(68)의 후방측으로부터 록킹 클로부(65c)가 록킹함으로써 상기 장착 히치(62)가 수용 히치(6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는 상기 수용 히치(61)의 수용 오목부(61a)내에 들어간 접속 핀(68)을 록킹 클로부(65c)가 록킹하면 상기 접촉 캠면(65d)이 롤링 록킹 부재(64)의 캠면(64c)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록킹 핀(64b)이 록킹 홈(69a)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롤링 록킹 부재(64)를 회전시켜 롤링 록킹 부재(64)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회전의 규제를 해제한다.
상기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의 접근을 검출하면 검출 결과를 제어 장치(8)에 출력하는 근접 검출 부재(66)를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한다. 상기 근접 검출 부재(66)는 예를 들면 근접 스위치로 구성한다.
또, 상기 근접 검출 부재(66)는 상기 수용 히치(61)의 수용 오목부(61a)내에 접속 핀(68)이 들어갈 때까지, 상기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가 접근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롤링 기구(7)는 주행차체(2)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해도 모종 식부 장치(3)를 축심(P) 둘레로 좌우 회전하지 않는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롤링 기구(7)는 상기 주행차체(2)의 승강 링크 기구(32)와 모종 식부 장치(3)의 식부 프레임의 전후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 롤링 기구(7)는 도 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링 실린더(71)와, 부착 부재(72)와, 고착 핸들(73)로 구성한다. 상기 롤링 실린더(71)는 상기 주행차체(2)와 모종 식부 장치(3)의 전후 사이이며, 또한 상측의 연결 축(67)을 통해 수용 히치(61)에 설치한다. 상기 롤링 실린더(71)는 상기 상측의 연결 축(67)에 설치하는 실린더 케이스(71a)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71a)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신축하는 슬라이딩 로드(71b)로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로드(71b)의 길이 방향 및 신축 방향은 기체 좌우 방향이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71b)의 단부에는 로드 엔드(74)를 통해 나사 축(75)을 설치한다.
상기 부착 부재(72)는 상기 모종 식부 장치(3)의 식부 프레임에 기부를 설치하고, 단부를 장착 히치(62)의 상부에 면하게 하고 있다. 상기 부착 부재(72)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를 연결할 때에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의 선단에 설치하는 나사 축(75)을 내측으로 통과시키는 장착 구멍(72a)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장착 구멍(72a)의 내면에는 상기 실린더 케이스(71a)로부터 이간할수록 장착 구멍(72a)이 대경이 되는, 즉 기체 좌우 일측으로부터 좌우 타측을 향할수록 대경이 되는 제 1 테이퍼면(72b)을 형성한다.
상기 고착 핸들(73)은 상기 장착 구멍(72a)을 통과한 나사 축(75)의 외주에 나사결합해서 롤링 실린더(71), 즉 롤링 기구(7)를 장착 히치(62), 즉 모종 식부 장치(3)에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고착 핸들(73)에는 나사 축(75)의 외주에 나사결합하는 제 1 나사부(73a)와, 상기 제 1 나사부(73a)의 외주에 설치하는 핸들부(73b)와, 상기 실린더 케이스(71a)에 접근하는, 즉 기체 좌우 타측으로부터 좌우 일측을 향할수록 소경이 되는 제 2 테이퍼면(73c)을 형성한다.
상기 핸들부(73b)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나사부(73a)의 외경보다 큰 꽃무늬 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롤렛 가공을 실시해서 작업자가 잡기 쉬운 형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테이퍼면(73c)은 제 1 나사부(73a)가 장착 구멍(72a)내를 통과한 나사 축(75)의 외주에 나사결합하면 부착 부재(72)의 제 1 테이퍼면(72b)에 겹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롤링 기구(7)는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의 선단에 설치하는 나사 축(75)이 부착 부재(72)의 장착 구멍(72a)에 통과됨과 아울러 상기 고착 핸들(73)의 제 1 나사부(73a)가 나사 축(75)의 외주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3)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롤링 기구(7)는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를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롤링 축(63)의 축심(P) 둘레로 모종 식부 장치(3)를 좌우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 장치(8)는 모종 이식기(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변속 장치(15)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승강 실린더(34)에 의한 모종 식부부(30)의 승강 제어, 엔진(11)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정지 장치(5)의 승강 제어, 롤링 실린더(71)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회전 제어 등을 실행하고 있다.
상기 제어 장치(8)는 소정값이상의 핸들(24)의 조타각도를 검출 센서가 검출하면 식부작업중에 있어서의 선회시에는 승강 실린더(34)에 의해 모종 식부부(30)를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시키고, 식부작업중에 있어서의 직선 주행시에는 모종 식부부(30)를 대지 작업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또한 식부작업중에 있어서 수평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를 신축시켜서 주행차체(2)이 좌우 방향으로 기울여도 모종 식부 장치(3)를 롤링 축(63)의 축심(P) 둘레로 좌우 회전시킴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3)의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주행차체(2)의 후방부에 모종 식부 장치(3)를 장착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차체(2)에 모종 식부 장치(3)를 장착할 때, 모종 식부 장치(3)의 장착 히치(62)에 승강 링크 기구(32)에 설치하는 수용 히치(61)를 접근시키도록 주행차체(2)를 주행시킨다. 이 때,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70)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장착 록킹 부재(65)는 접속 핀(68)을 후방측으로부터 록킹 가능한 위치에 위치부여됨과 아울러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링 록킹 부재(64)의 록킹 핀(64b)이 록킹편(69)의 록킹 홈(69a)내에 들어감으로써 롤링 록킹 부재(64)는 모종 식부 장치(3)의 축심(P) 둘레의 좌우 회전을 규제한다.
그리고, 근접 검출 부재(66)가 수용 히치(61)와 장착 히치(62)의 접근을 검출하면 제어 장치(8)로부터 신호를 받은 통지 램프(19)가 작동해서 주행차체(2)의 정지를 재촉한다. 또한 장착 히치(62)의 록킹부(62a)를 상측의 연결 축(67)의 상측에 록킹시킴과 아울러 장착 록킹 부재(65)의 조작 레버(65b)를 조작해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록킹 부재(65)를 코일 스프링(70)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회전시킨다.
그리고, 조작 레버(65b)의 조작을 중지하고, 코일 스프링(70)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장착 록킹 부재(65)를 회전시키고,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 클로부(65c)를 접속 핀(68)에 후방측으로부터 접촉시켜서 록킹시킨다. 그러면,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 클로부(65c)에 형성한 접촉 캠면(65d)이 롤링 록킹 부재(64)의 하단부에 형성한 캠면(64c)과 접촉한다. 그리고, 캠면(64c)과 접촉 캠면(65d)이 접촉함으로써 장착 록킹 부재(65)가 롤링 록킹 부재(64)를 회전시켜 록킹 핀(64b)을 록킹 홈(69a)으로부터 빠지게 한다. 또한,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 클로부(65c)가 접속 핀(68)을 후방측으로부터 록킹하면 접속 핀(68)이 수용 히치(61)의 수용 오목부(61a)의 내측까지 들어가서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가 접속된다.
또한 주행차체(2)의 후방부에 모종 식부 장치(3)를 장착하지 않을 때는 제어 장치(8)는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를 모종 식부 장치(3)가 수평상태가 되는 중립 위치보다 축소시키고,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가 접속되면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를 중립 위치까지 신장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그러면, 슬라이딩 로드(71b)의 단부에 설치하는 나사 축(75)이 장착 구멍(72a)내를 통과한다. 그리고, 장착 구멍(72a)내를 통과한 나사 축(75)에 고착 핸들(73)을 나사결합시키면 롤링 실린더(71)가 모종 식부 장치(3)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주행차체(2)에 모종 식부 장치(3)가 장착된다. 또, 주행차체(2)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를 분리할 때에는 장착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 행한다.
상기 모종 이식기(1)의 구성에 의해,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접속하지 않을 때는 롤링 록킹 부재(64)가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32)에 장착될 때까지는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모종 식부 장치(3)의 장착시에 좌우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 식부 장치(3)의 착탈 작업에 요하는 시간과 노동력이 경감된다.
또한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접속해서 장착 록킹 부재(65)로 록킹상태로 하면 장착 록킹 부재(65)가 롤링 록킹 부재(64)를 회전시켜서 모종 식부 장치(3)의 좌우 회전을 허용시킴으로써,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접속하면 모종 식부 장치(3)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에 설치하는 나사 축(75)을 통과하는 부착 부재(72)의 장착 구멍(72a)에 제 1 테이퍼면(72b)을 형성하고, 고착 핸들(73)에 제 2 테이퍼면(73c)을 형성함으로써, 롤링 실린더(71)를 모종 식부 장치(3)에 부착할 때, 제 1 테이퍼면(72b)과 제 2 테이퍼면(73c)이 서로 겹치므로, 고착 핸들(73)을 나사 축(75)에 조여 넣어서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느슨해지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모종 식부 장치(3)의 착탈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착탈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승강 링크 기구(32)와 모종 식부 장치(3)를 연결가능한 위치까지 주행차체(2)가 이동한 것을 근접 검출 부재(66)가 검출하면 통지 램프(19)가 작동함으로써, 승강 링크 기구(32)와 모종 식부 장치(3)의 간격을 감시하는 작업자가 불필요하게 되어 모종 식부 장치(3)의 착탈 작업에 요하는 일손이 삭감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링 기구(7)는 롤링 실린더(71)와, 로드 엔드(74)와,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로 구성한다. 상기 로드 엔드(74)는 롤링 실린더(71)의 단부에 설치함과 아울러 로드 엔드(74)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전후 방향의 제 1 나사 구멍(74a)을 형성한다.
상기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는 로드 엔드(74)의 제 1 나사 구멍(74a)을 통과해서 모종 식부 장치(3)에 설치된 부착 부재(72)의 제 2 나사 구멍(72c)에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부착 부재(72)의 제 2 나사 구멍(72c)은 기체 전후 방향으로 형성한다. 또한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는 제 1 나사 구멍(74a)과 제 2 나사 구멍(72c)에 나사결합하는 제 2 나사부(76a)와, 상기 제 2 나사부(76a)의 외주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그립부(76b)를 설치한다. 상기 제 2 나사부(76a)와 그립부(76b)는 동축에 배치한다. 그리고, 롤링 기구(7)의 롤링 실린더(71)는 로드 엔드(74)의 제 1 나사 구멍(74a)과 부착 부재(72)의 제 2 나사 구멍(72c)에 제 2 나사부(76a)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3)에 부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에 설치한 로드 엔드(74)에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를 통과하는 제 1 나사 구멍(74a)을 형성함으로써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를 제 1 나사 구멍(74a)과 부착 부재(72)의 제 2 나사 구멍(72c)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 로드(71b)가 모종 식부 장치(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그립이 부착된 나사 부재(76)를 돌려서 슬라이딩 로드(71b)를 부착해도 빠지기 어려워지므로, 작업중에 롤링 실린더(71)가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공구가 없어도 모종 식부 장치(3)의 착탈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착탈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록킹 부재(65)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장착 록킹 부재(65)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종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어를 구비하는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수용 히치(61)에 설치한다. 상기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는 구동 기어를 회전시켜서 장착 록킹 부재(65)를 록킹 클로부(65c)가 접속 핀(68)을 후방측으로부터 록킹하는 위치와, 록킹 클로부(65c)의 접속 핀(68)에의 록킹을 해제하는 위치에 걸쳐서 회전시키는 것이다. 또, 상기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는 전동 모터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상기 주행차체(2)의 프론트 커버(23)의 상부이며, 또한 조종석(22)으로부터 작업자가 조작가능한 위치에 설치한다. 상기 조작 부재는 장착 록킹 부재(65)를 회전시켜서 록킹 클로부(65c)가 접속 핀(68)을 후방측으로부터 록킹하는 위치와, 록킹 클로부(65c)의 록킹을 해제하는 위치를 스위칭해야할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 부재는 조작이 행해지면 신호를 제어 장치(8)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 장치(8)는 상기 조작 부재를 조작해서 장착 록킹 부재(65)를 장착 히치(62)의 록킹을 해제하는 측으로 회전시키면 승강 실린더(34)를 작동시켜서 모종 식부 장치(3)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모종 식부 장치(3)가 하강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변속 장치(15)의 서보모터가 작동해서 변속 장치(15)를 전진 방향으로 출력해서 주행차체(2)를 소정 거리 전진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라 주행차체(2)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를 분리하는 동작을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조작 부재를 조작해서 장착 록킹 부재(65)를 장착 히치(62)의 록킹을 해제하는 측으로 회전시키면 모종 식부 장치(3)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모종 식부 장치(3)의 하강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주행차체(2)를 전진시킬 수 있으므로, 승강 링크 기구(32)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3)를 분리하는 동작을 자동화할 수 있다. 따라서, 모종 식부 장치(3)를 분리할 때에 조작 부재 이외의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모종 식부 장치(3)의 착탈 작업에 요하는 일손이 삭감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을 변경하거나, 여러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8)

  1. 주행차체(2)에 승강 링크 기구(32)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링크 기구(32)에 작업 장치(3)를 장착하는 수용 히치(61)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상기 수용 히치(61)에 접속하는 장착 히치(6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히치(62)에 상기 작업 장치(3)를 좌우 회전시키는 롤링 축(63)을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용 히치(61)에 롤링 실린더(71)를 설치하고,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와 상기 작업 장치(3)를 나사 부재(76)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로드(71b)의 로드 엔드(74)에 기체 전후 방향의 제 1 나사 구멍(74a)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부착 부재(72)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 부재(72)에 기체 전후 방향의 제 2 나사 구멍(72c)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나사 구멍(74a)과 제 2 나사 구멍(72c)에 상기 나사 부재(76)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주행차체(2)에 승강 링크 기구(32)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링크 기구(32)에 작업 장치(3)를 장착하는 수용 히치(61)를 설치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상기 수용 히치(61)에 접속하는 장착 히치(6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장착 히치(62)에 상기 작업 장치(3)를 좌우 회전시키는 롤링 축(63)을 설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용 히치(61)에 롤링 실린더(71)를 설치하고,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슬라이딩 로드(71b)의 선단에 기체 좌우 방향의 나사 축(75)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 장치(3)에 부착 부재(72)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 부재(72)에 상기 나사 축(75)이 통과하는 장착 구멍(72a)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구멍(72a)에 상기 롤링 실린더(71)의 실린더 케이스(71a)부터 이간될수록 대경이 되는 제 1 테이퍼면(72b)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 축(75)에 나사결합하는 고착 핸들(73)을 설치하고,
    상기 고착 핸들(73)에 상기 실린더 케이스(71a)에 접근할수록 소경이 되는 제 2 테이퍼면(73c)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히치(62)에 상기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하는 롤링 록킹 부재(64)를 설치하고, 상기 롤링 록킹 부재(64)는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연결하고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가 연결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록킹상태로 하는 장착 록킹 부재(65)를 설치하고,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에 접촉 캠면(65d)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히치(61)에 장착 히치(62)를 연결하면 상기 접촉 캠면(65d)이 상기 롤링 록킹 부재(64)를 회전시켜서 작업 장치(3)의 좌우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를 회전시키는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설치하고, 상기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상기 주행차체(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92)를 조작하면 상기 장착 록킹 부재(65)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착탈 스위칭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작업 장치(3)를 하강시킴과 아울러, 상기 작업 장치(3)의 하강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주행차체(2)를 전진시키는 제어 장치(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2)에 조종석(22)을 설치하고,
    상기 수용 히치(61)와 상기 장착 히치(62)의 접근을 검출하는 근접 검출 부재(66)를 설치하고, 상기 근접 검출 부재(66)가 검출상태가 되면 점등하는 통지 램프(19)를 설치하고,
    상기 통지 램프(19)를 조종석(22)으로부터 시인가능한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50129645A 2014-09-29 2015-09-14 작업 차량 KR101825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9287 2014-09-29
JP2014199287A JP6287733B2 (ja) 2014-09-29 2014-09-29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755A KR20160037755A (ko) 2016-04-06
KR101825441B1 true KR101825441B1 (ko) 2018-02-05

Family

ID=55592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45A KR101825441B1 (ko) 2014-09-29 2015-09-14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87733B2 (ko)
KR (1) KR101825441B1 (ko)
CN (1) CN105453778B (ko)
TW (1) TWI6003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9388A1 (en) * 2016-12-22 2018-06-28 Polaris Industries Inc. Pto quick attachment for a utility vehicle
JP7175853B2 (ja) * 2019-06-26 2022-11-2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連結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6896B2 (ja) 1990-03-20 1998-12-14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トラクタの自動制御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538U (ja) * 1983-08-25 1985-03-16 高北農機株式会社 農作業機における警報装置
JPS611301A (ja) * 1984-06-13 1986-01-0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動農作業機のロ−リング,ピツチング装置
JPH01231811A (ja) * 1988-03-10 1989-09-18 Iseki & Co Ltd トラクタ作業機の作業機連動装置
JPH02113905U (ko) * 1989-02-28 1990-09-12
JP3284554B2 (ja) * 1991-02-27 2002-05-20 井関農機株式会社 施肥装置付き苗植機
JPH05153817A (ja) * 1991-12-05 1993-06-22 Kubota Corp 田植機
US6062319A (en) * 1998-04-16 2000-05-16 Amerequip Corporation Tractor rockshaft-assist quick-attach apparatus for backhoes and like implements
JP2002345312A (ja) * 2001-05-28 2002-12-03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のスタンド構造
JP2002360009A (ja) * 2001-06-06 2002-12-1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の線引きマーカ
JP3786030B2 (ja) * 2002-02-25 2006-06-14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作業機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2007159445A (ja) * 2005-12-12 2007-06-28 Kubota Corp 作業車の作業装置連結構造
JP5163586B2 (ja) * 2009-04-13 2013-03-13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JP2010268746A (ja) * 2009-05-22 2010-12-02 Iseki & Co Ltd 作業機
CN102090192B (zh) * 2010-12-03 2012-08-22 浙江理工大学 步行水稻插秧机前置式方向调整装置
CN102090193B (zh) * 2010-12-03 2013-05-01 浙江理工大学 步行水稻插秧机后置式方向调整装置
JP2012139113A (ja) * 2010-12-28 2012-07-26 Iseki & Co Ltd 苗植付装置
CN202941131U (zh) * 2012-12-05 2013-05-22 黑龙江水田机械化研究所 八行折叠式四轮驱动水稻插秧机
CN203594672U (zh) * 2013-12-10 2014-05-14 祝月强 一种新型装配连接螺母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6896B2 (ja) 1990-03-20 1998-12-14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トラクタの自動制御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3778B (zh) 2018-03-02
CN105453778A (zh) 2016-04-06
JP2016067265A (ja) 2016-05-09
TW201618662A (zh) 2016-06-01
KR20160037755A (ko) 2016-04-06
JP6287733B2 (ja) 2018-03-07
TWI600369B (zh) 201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441B1 (ko) 작업 차량
JP2010142185A (ja) 自律走行苗移植機
JP2011109976A (ja) 複数条植え苗植機
JP5938795B2 (ja) 播種機
JP6380599B2 (ja) 苗移植機
JP2011072232A (ja) 苗移植機
JP2007037440A (ja) 施肥装置付き乗用田植機
JP2012217360A (ja) 播種機
JP2011130670A (ja) 苗植機
JP2010172208A (ja) 苗植機
JP5526568B2 (ja) 農作業機
JP2008283941A (ja) 作業機
JP6128078B2 (ja) 苗移植機
JP5163586B2 (ja) 作業機
JP5831659B2 (ja) 苗移植機
JP5761475B2 (ja) 苗移植機
JP5565451B2 (ja) 作業機
JP5761431B2 (ja) 作業機
JP6849006B2 (ja) 苗移植機
JP2018161106A (ja) 乗用苗移植機
JP2010268746A (ja) 作業機
JP2011055765A (ja) 走行作業機の油圧ローリング制御装置
JP6459735B2 (ja) 作業車両
KR20180091087A (ko) 작업 차량
JP2013070627A (ja) 水田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