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983B1 -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 Google Patents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983B1
KR101822983B1 KR1020170096577A KR20170096577A KR101822983B1 KR 101822983 B1 KR101822983 B1 KR 101822983B1 KR 1020170096577 A KR1020170096577 A KR 1020170096577A KR 20170096577 A KR20170096577 A KR 20170096577A KR 101822983 B1 KR101822983 B1 KR 10182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repairing
composition
weigh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충하
Original Assignee
윤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충하 filed Critical 윤충하
Priority to KR102017009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투코(Stucco),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유화제(Emulsifier), 잔탄검((Xanthan gun), 마이크로 바인더(Microbinder), 비즈왁스(Beeswax) 등을 포함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을 제조하고, 가죽 제품을 손쉽게 보수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래 가죽의 표면 무늬 및 질감과 유사한 형태로 가죽 제품을 손쉽게 보수복원할 수 있어, 가죽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Composition for repairing and restoring of Leather, manufacturing method of leather for repairing and restoring using thereof, and method for repairing and restoring leath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투코(Stucco),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유화제(Emulsifier), 잔탄검((Xanthan gun), 마이크로 바인더(Microbinder), 비즈왁스(Beeswax) 등을 포함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을 제조하고, 가죽 제품을 손쉽게 보수복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죽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접해 있어 신발, 가방, 의복, 가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죽 제품은 물이나 기타 오염에 약하고, 내구성이 좋지 못해 변색,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가죽 신발을 신고 보행하다 보면 장애물과 부딪혀 쉽게 까짐, 찍힘,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가방, 지갑 등의 제품은 잦은 사용으로 인해 모서리 닳아짐, 접촉에 의한 흠집 등의 손상 발생하며, 소파, 의류, 카시트 등도 관리소홀 등의 문제로 표면 갈라짐, 터짐, 찢김 등의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가죽 제품은 타 물체와 접촉할 때 마찰에 의한 표피 손상도 발생하는 데, 표피 손상이 발생하면 가죽의 표면 형상(pattern)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가죽 제품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가죽수선업체에 의뢰하여 수선할 수밖에 없는데, 국내 또는 국외의 가죽수선업계의 수선방법은 찢진 가죽원단을 꿰매는 방법,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죽을 덧붙이거나, 가죽 표면을 접착하는 방법, 가죽용 안료로 흠집난 가죽의 표면을 덮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선방법은 본래 가죽과는 다른 이질감이 느껴져 고객이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죽 제품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분해하여 새로운 가죽으로 부착시켜 수선하는 방법 역시 이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본래의 제품과 차이가 나고, 수선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높은 수선비용이 발생하며, 형태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이러한 수선방법들은 모두 가죽의 색상을 맞추거나, 유사한 재질 및 패턴의 가죽을 덧붙이는 수준이어서, 본래 제품의 질감, 표면 형상 등을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17-0051857 A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된 가죽 제품을 표면의 무늬(pattern)나 질감의 변화없이 손쉽게 보수복원할 수 있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손상된 가죽 제품의 표면 무늬와 동일한 무늬의 인조 가죽을 즉석에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로 가죽 제품을 손쉽게 보수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스투코 50~70중량%,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5~10중량%, 카나우바왁스 5~10중량%, 유화제 1~5중량%, 잔탄검 5~10중량%, 마이크로 바인더 5~10중량%, 비즈왁스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죽용 광택제 5~15중량% 및 가죽용 염색제 3~10중량%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은, 패턴 복사지를 이용하여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뜨는 과정과, 상기 본뜬 패턴 복사지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메쉬 직물을 적층하는 과정과, 상기 적층된 메쉬 직물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재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 및 재도포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은,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는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은,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에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물이 충진된 가죽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가죽 표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래 가죽의 표면 무늬 및 질감과 유사한 형태로 가죽 제품을 손쉽게 보수복원할 수 있어, 가죽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과정 및 제조된 인조 가죽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보수복원 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수복원된 가죽 제품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가죽이란 천연 가죽은 물론, 인조 가죽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죽의 손상이란, 까짐, 찍힘, 스크래치, 모서리 닳아짐, 흠집, 갈라짐, 터짐, 찢김, 마찰에 의한 표피 손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종래 가죽 제품의 보수란, 단순히 가죽 원단의 손상 부위에 다른 가죽 원단을 덧대거나, 그 표면을 염색제로 염색하는 정도로서, 가죽 고유의 질감과 표면 무늬를 복원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즉, 가죽 원단은 파충류(Reptile leather), 엠보싱(Embossing), 잘잘한 무늬를 가죽 표면에 찍어서 만든 오플(Ople leather), 화학약품으로 가죽을 수축시켜 자연스럽게 주름지게 만든 슈렁큰(ShrunKen) 등 여러 형태의 무늬가 가죽 제품의 특성에 맞게 가공되어 제품화되어 있는데, 가죽 제품의 보수복원시 이러한 표면 무늬 역시 보수복원되어야 하나, 종래 어떠한 방법으로도 이러한 표면 무늬의 보수복원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손상된 가죽 원단을 보수복원하되, 가죽 고유의 질감을 갖도록 하고, 표면 무늬 역시 기존 가죽 제품과 동일한 수준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스투코(Stucco),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유화제(Emulsifier), 잔탄검(Xanthan gun), 마이크로 바인더(Microbinder), 비즈왁스(Beeswax)를 포함하는 것,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투코 50~70중량%,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5~10중량%, 카나우바왁스 5~10중량%, 유화제 1~5중량%, 잔탄검 5~10중량%, 마이크로 바인더 5~10중량%, 비즈왁스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스투코(Stucco)는 통상 소석회에 대리석분과 점토분을 섞어 만든 미장재료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죽의 손상 부위를 메워주는 충진제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상기 스투코로는 시판되는 상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바, 예시적으로 성안디엔씨의 안티코 스타코, 오메가의 아크로티크 스타코, 리퀴텍스 세라믹 스투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투코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0~70중량%로 포함되는데, 상기 스투코가 50중량% 미만이면 조성물이 가죽의 보수복원 부위에서 쉽게 이탈되고, 충진 공정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70중량%를 초과하면 거친 질감으로 인해 가죽의 손상 부위에 조성물이 부드럽고 균일하게 안착되기 어렵고, 건조 후 질감이 딱딱해지고, 신축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는 조성물의 점착성 및 질감을 개선하기 위한 성분이다. 즉, 상기 스투코는 거친 질감을 가지는바, 상기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거친 질감을 부드럽게 개선해주고,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로 포함되는데, 상기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5중량% 미만이면 이러한 신축성 부여, 질감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는 조성물의 경도와 광택을 높이기 위한 성분으로, 가죽 질감의 표현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카나우바왁스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로 포함되는데, 상기 카나우바왁스가 5중량% 미만이면 경도와 광택을 충분히 높일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오히려 가죽의 보수복원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유화제(Emulsifier)는 통상 공지된 바와 같이, 각 성분들을 균일혼합하여 안정된 조성물을 만들기 위한 성분으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디메치콘 코포리올(Dimethicone copolyol), 세틸디메치콘 코포리올(Cetyldimethicone copolyol) 등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화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5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잔탄검(Xanthan gun)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고, 유화안정성을 높여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잔탄검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로 포함되는바,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점도가 조절되지 않아 가죽의 보수복원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마이크로 바인더(Microbinder)는 입자가 마이크로 사이즈인 바인더를 의미하는 것으로, 스투코 등의 성분이 가죽 원단에 견고하게 흡착되도록 돕는 성분이다. 이는 상기 마이크로 바인더가 우수한 침투성을 갖기 때문인바, 가죽 원단의 내부로 침투하여 견고한 접착성을 확보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바인더의 입경은 10~100㎛일 수 있는데, 이 범위 내에서 사용 시 타 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 내에서의 우수한 분산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마이크로 바인더 역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데, 예시적으로 아크릴계 물질로 구성된 아크릴 마이크로 바인더는 물론, 1,3-Butanediol polymer with. alpha.-butyl-.omega.-hydroxypoly [oxy(methyl-1,2-ethanediyl)] and 1,3-diisocyanatomethylbenz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바인더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5~10중량%로 포함되는바,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침투성이 좋지 못하거나, 전체적인 물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비즈왁스(Beeswax)는 가죽의 손상 부위를 부드럽게 메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비즈왁스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5중량%로 포함되는바,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부드러운 질감 표현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가죽의 손상 부위를 효과적으로 메워주는 것은 물론, 인조 가죽의 형태로 제조되어 손상 부위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보수복원된 가죽 제품은 종래의 질감 및 표면 패턴이 그대로 복원되며, 수선 후에도 보수 부위가 딱딱하게 굳지 않고 신축성과 견고성이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가죽의 손상 부위를 메울 시, 마이크로 바인더 성분은 가죽 원단의 내부로 침투되어 부착성을 높여주고, 스투코 등의 잔여 성분은 가죽 원단의 내부로 가라앉지 않고, 표면에 흡착된 채로 남아 있어 손상된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수복원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가죽용 광택제와 가죽용 염색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죽용 광택제는 가죽 특유의 윤기나는 매끄러움과 자연스러움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가죽용 염색제는 색상 표현을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가죽용 광택제와 가죽용 염색제는 종래 공지된 다양한 제품을 적용 가능한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죽용 광택제로서 우레탄레진(Urethane resin) 35~45중량%, 증류수 25~35중량%, 분산제 5~10중량%, 폴리에테르폴리올(Polyether polyol) 20~30중량%, 코폴리머(Copolymer) 5~10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코폴리머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 역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가죽용 염색제는 수유성이며, 희석제, 바인더 등의 첨가물이 없는 순수한 염료와 안료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바, 가죽용 염료 60~80중량% 및 가죽용 안료 30~40중량%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죽용 광택제와 가죽용 염색제는, 가죽용 광택제 5~15중량%, 가죽용 염색제 3~10중량%의 범위 내에서 더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균일하게 혼합되어야 하는바, 성질과 점성이 상이한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균일하게 화합, 교반해주는 혼합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 아울러, 임펠러(impeller) 없이 회전력만으로 화합, 교반되어야 하고, 저점도와 고점도 물질까지 미세하게 분쇄되어 혼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조성비로 각 재료를 계량하고, 계량된 각 재료를 임펠러가 없으며, 공전과 자전의 원리를 이용한 혼합기에 투입한 후, 이를 충분히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때, 상기 혼합기로는 회전력만으로 최대 890G(중력가속도)가 걸리고, 점도가 1,000,000 cPs 이상인 물질도 혼합이 가능한 것을 이용한다.
만약, 본 발명에서 임펠러를 구비한 교반기를 이용할 경우, 조성물의 질감, 광택, 점착성 등이 떨어지고, 충진 후 건조과정에서 기포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혼합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드러운 크림 타입으로, 고점도 정량 충진 기계를 이용하여 끝이 뽀족하고, 몸체가 유연한 용기에 충진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용기를 이용할 경우 가죽의 손상 부위에 상기 조성물을 빈틈없이 채우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은 즉석에서 손상 제품의 가죽 표면 무늬를 그대로 본떠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가죽의 표면 무늬 동일한 가죽이 준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가죽 제품을 손쉽게 보수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 패턴이 있는 가죽 제품의 보수복원은 동일한 패턴의 가죽을 준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보수복원함으로써, 보수복원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동일한 패턴의 가죽이 준비되지 않는 경우 보수복원이 어려웠으며, 그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한 것이다.
이러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은 도 1과 같이, 패턴 복사지를 이용하여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뜨는 과정과, 상기 본뜬 패턴 복사지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메쉬 직물을 적층하는 과정과, 상기 적층된 메쉬 직물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재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 및 재도포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패턴 복사지를 이용하여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뜨는 과정.
먼저, 패턴 복사지를 이용하여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뜬다. 여기서, 상기 패턴 복사지란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뜰 수 있는 것이면 족한바, 통상 18~20㎛ 두께의 은박지 또는 동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은박지 또는 동박에 스펀지, 부직포 등의 쿠션재가 덧대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패턴 복사지 중 은박지 측을 본뜨고자 하는 가죽의 표면에 밀착시키고, 핸드롤러(hand Roller), 칫솔을 이용할 수도 있다,를 문질러 가죽의 표면 패턴이 은박지에 그대로 옮겨지도록 한다.
상기 본뜬 패턴 복사지에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
다음으로, 상기 패턴을 본뜬 패턴 복사지에 앞서 설명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의 도포는 상기 패턴 복사지의 패턴이 복사된 은박지 또는 동박 측에 도포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림 타입이므로, 붓 등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여기서, 상기 도포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바, 통상 사용되는 가죽 원단 두께의 30~70% 정도이면 족하다. 이는 후공정을 통해 조성물이 재도포 되므로, 통상의 가죽 원단 두께와 동일한 수준의 두께로 제작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메쉬 직물을 적층하는 과정.
다음으로,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메쉬 직물을 적층시킨다. 여기서, 상기 메쉬 직물은 제조된 인조 가죽의 구조적 안정성 및 견고성을 위한 것으로, 그 종류 및 메쉬의 크기를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기 메쉬 직물은 인조 가죽의 중간층에 위치되어 상층부와 하층부의 조성물이 메쉬 직물과 연결되어 견고하게 부착, 건조되어 튼튼한 구조로 형성되고, 메쉬 직물은 전체적으로 견고함을 더해주는 것이다.
상기 적층된 메쉬 직물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재도포하는 과정.
그리고 상기 적층된 메쉬 직물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재도포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앞서와 동일하며, 도포 두께는 최종 제품이 보수복원하고자 하는 가죽 제품의 손상 부위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두꺼운 정도로 한다. 이때, 상기 두께가 동일한 경우 별도의 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며, 약간 더 두꺼운 정도로 제조되었을 경우,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후면을 샌드페이퍼로 약간 제거하여 높이를 맞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포 및 재도포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과정.
최종적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도포 및 재도포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통풍이 잘되는 상온에서 4시간 이상 자연건조한 후, 패턴 복사지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인조 가죽은, 보수복원하고자 하는 가죽 제품의 표면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도록 제작되므로, 가죽 제품을 표면 패턴과 무관하게 빠르게 보수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인조 가죽을 이용하여 손상 가죽을 보수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죽 제품의 보수복원 방법은,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는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에 접착하는 단계와, 상기 인조 가죽이 접착된 가죽을 마감손질하고 재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먼저, 가죽 제품의 손상 부위 표면을 샌드페이퍼, 쪽 가위 등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다듬어 손질해준다. 그리고 깨끗한 천으로 닦아 표면의 먼지,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는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는 인조 가죽을 제조한다. 즉, 가죽 제품의 손상 되지 않은 면을 이용하여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도록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것으로, 그 방법은 앞서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이를 생략한다.
상기 제조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한다.
상기 재단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데, 투명한 트레이싱 용지 등을 손상 부위에 고정시킨 후 손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밑그림을 그려 본을 뜬다. 그리고 그 본뜬 트레이싱 용지를 상기 제조된 인조 가죽에 고정시키고, 밑그림을 그린 후 밑그림대로 오려내는 정도면 족하다.
상기 재단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에 접착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재단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이때, 가죽의 손상 부위와 재단된 인조 가죽의 형상이 일치되지 않는다면, 샌드퍼이퍼나 별도의 도구 등을 이용하여 가죽의 손상 부위 또는 재단된 인조 가죽을 갈아 서로 대응되도록 처리한 후, 상기 재단된 인조 가죽을 접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의 종류 및 사용량은 통상의 가죽 보수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인조 가죽이 접착된 가죽을 재염색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상기 인조 가죽이 접착된 가죽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본래의 가죽 표면 색상과 일치하도록 가죽복원크림, 가죽염색제 등을 재염색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인조 가죽을 제조하여 가죽의 손상 부위를 보수복원하는 것이 아닌, 홈메우기 방법을 이용하여 가죽의 손상 부위를 보수복원할 수도 있다. 즉, 보수복원 부위가 크지 않거나, 잔 스크래치 등이 넓게 발생한 경우, 그리고 표면 패턴이 없는 경우, 별도의 인조 가죽을 제조하지 않고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홈메우기 방법으로 가죽을 보수복원한다.
이러한 방법은,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에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물이 충진된 가죽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가죽 표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앞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그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먼저,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 단계는 앞선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에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
다음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에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촘촘히 충진한다. 이때, 가죽의 손상 부위의 일측부터 타측을 향해 촘촘히 충진해 주는데, 손상되지 않은 가죽 표면보다 조금 더 높게 충진시킨다. 이는 가죽 표면과 일치하게 충진시키면 손상 부위에 충진된 조성물이 가죽 섬유에 침투되면서 침투되는 만큼 내려앉는 침하 현상이 발생하므로, 매끈한 표면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너무 높게, 즉 두껍게 충진할 경우, 건조 후 샌드페이퍼 등으로 표면을 정리할 때 그 시간이 길어져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인바, 손상되지 않은 가죽 표면으로 부터 0.2~1mm만큼 올라오도록 충진시킨다.
상기 조성물이 충진된 가죽을 건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4시간 이상 자연건조한다. 상기 건조시간은 제품의 소재, 손상 부위의 면적,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가죽원단과 융합되는 점착력이 좋아지므로, 4시간 이상 충분히 건조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조시간이 짧으면 후공정인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의 잔여물이 곱게 갈아지지 않고 뜯겨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 빠른 건조를 위하여 열을 가할 경우, 조성물이 가죽 내부로 침투되는 현상이 저하되고, 건조 후 푸석한 느낌이 들며, 조성물의 점착성이 약해지므로, 열 건조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된 가죽 표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건조된 가죽 표면의 잔여물을 제거한다. 상기 잔여물이란 앞서 충진 공정 시 손상되지 않은 가죽 표면보다 조금 더 높게 충진하여 건조시킨 조성물을 의미하는바, 샌드페이퍼(#600~#800)로 가죽 표면보다 높게 형성된 조성물을 갈아주어, 그 높이를 가죽 표면과 일치되게 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가죽 크림, 광택제, 색상복원제, 가죽 염색제 등을 이용하여 색상을 맞춰주고, 최종 마감한다. 여기서, 상기 최종 마감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홈메우기 방식의 보수복원 방법과 인조 가죽을 이용한 보수복원 방법을 별도로 설명하였지만, 홈메우기 후 인조 가죽을 접착하는 등의 복합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스투코 50~70중량%,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5~10중량%, 카나우바왁스 5~10중량%, 유화제 1~5중량%, 잔탄검 5~10중량%, 마이크로 바인더 5~10중량%, 비즈왁스 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가죽용 광택제 5~15중량% 및 가죽용 염색제 3~10중량%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3. 패턴 복사지를 이용하여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뜨는 과정과,
    상기 본뜬 패턴 복사지에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메쉬 직물을 적층하는 과정과,
    상기 적층된 메쉬 직물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재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 및 재도포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복원용 인조가죽의 제조방법.
  4.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는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재단하는 단계와,
    상기 재단된 인조 가죽을 상기 가죽의 손상 부위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와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갖는 인조 가죽을 제조하는 단계는,
    패턴 복사지를 이용하여 가죽의 표면 패턴을 본뜨는 과정과,
    상기 본뜬 패턴 복사지에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메쉬 직물을 적층하는 과정과,
    상기 적층된 메쉬 직물에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재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도포 및 재도포된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건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한 가죽 보수복원 방법.
  5. 가죽의 손상 부위 표면을 손질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가죽의 손상 부위에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물이 충진된 가죽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가죽 표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은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을 이용한 가죽 보수복원 방법.
KR1020170096577A 2017-07-28 2017-07-28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KR10182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77A KR101822983B1 (ko) 2017-07-28 2017-07-28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577A KR101822983B1 (ko) 2017-07-28 2017-07-28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983B1 true KR101822983B1 (ko) 2018-03-14

Family

ID=6166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577A KR101822983B1 (ko) 2017-07-28 2017-07-28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261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글로벌테크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809A (ja) 2003-08-25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ート貼り化粧面の補修方法
KR100853546B1 (ko) * 2007-05-31 2008-08-21 (주)남청 자동차 시트용 스플릿 가죽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1409A (ko) * 2006-08-22 2009-04-28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마감처리된 가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809A (ja) 2003-08-25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ート貼り化粧面の補修方法
KR20090041409A (ko) * 2006-08-22 2009-04-28 란세스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마감처리된 가죽
KR100853546B1 (ko) * 2007-05-31 2008-08-21 (주)남청 자동차 시트용 스플릿 가죽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261A (ko)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글로벌테크 흠집 메움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26303B (en) Artificial leather shoe and artificial leather suited therefor
AU2004288868B2 (en) Substrate provided with a dressing
AU2005329313C1 (en) Methods and tool for maintenance of hard surfac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tool
KR101117666B1 (ko) 칼라층과 코팅층을 일체로 형성하는 가죽 원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가죽원단
CN103781593B (zh) 再磨光乙烯基组合物瓷砖的方法
US20100263235A1 (en) Coated leather
CN103209838B (zh) 将图像施加到表面的方法及其使用的套件
KR100726125B1 (ko) 색상 및 입체감이 표현되는 나전칠기 제작방법
KR101822983B1 (ko) 가죽 보수복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수복원용 인조 가죽의 제조방법 및 가죽의 보수복원 방법
JP4538893B2 (ja) 化粧材
CN108219656A (zh) 水性绒面革浆料、及湿法工艺加工绒面革的方法和应用
WO2015136921A1 (ja) ヌバック調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406880A (zh) 一种70%亮度家具油漆工艺方法
US9072334B2 (en) Coated leather
JP6686328B2 (ja) 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839074A (zh) 一种石材仿古表面结构及其制造方法
US2308429A (en) Flock finished fabric
CN104106875B (zh) 防滑耐磨鞋大底及其制作方法
JP6484903B2 (ja) 床材被膜構造体、床材被膜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床材被膜の再生方法
JP7377045B2 (ja) 合成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186360B (zh) 一种双色鸵鸟皮的修复及还原毛囊结构工艺
US5965234A (en) Flexible wall covering
KR100547635B1 (ko) 불상의 개금, 개채방법
JP3749530B2 (ja) 爪磨きシート
JP6207290B2 (ja) スプリットレザ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