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270B1 -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270B1
KR101822270B1 KR1020160041602A KR20160041602A KR101822270B1 KR 101822270 B1 KR101822270 B1 KR 101822270B1 KR 1020160041602 A KR1020160041602 A KR 1020160041602A KR 20160041602 A KR20160041602 A KR 20160041602A KR 101822270 B1 KR101822270 B1 KR 10182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lap
port plate
engine
intak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169A (ko
Inventor
추동호
이양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270B1/ko
Priority to US15/230,553 priority patent/US10190532B2/en
Priority to CN201610773389.2A priority patent/CN107288740B/zh
Publication of KR2017011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02F1/42Shape or arrangement of intake or exhaust channels in cylinder heads
    • F02F1/4235Shape or arrangement of intake or exhaust channels in cylinder heads of intake channels
    • F02F1/425Shape or arrangement of intake or exhaust channels in cylinder heads of intake channels with a separate deviation element inside the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02D2009/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5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means for controlling swirl or tumble flow, e.g. by using swir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흡기유로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가변플랩; 상기 가변플랩의 하류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변플랩과 연동하여 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포트플레이트;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변위 형성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ENGIN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기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여 연소실내 텀블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는 주행연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료의 분사방식, 흡기의 제어방식 및 흡기포트의 구조 등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기술들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기술 중에는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와 흡기의 혼합성능 향상시켜 혼합기의 연료성분이 균일농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엔진의 연소효율을 상승시키는 기술이 있으며, 특히 연료와 공기의 혼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흡기포트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흡기포트 내부에 베플 등을 마련하여 흡기의 유동을 조절하고 연소실 내부로 유입된 흡기의 텀블현상을 유도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텀블현상이란,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기가 연소실의 상단측에서 하단측을 향해 말려들어가는 와류를 형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텀블현상에 따라 소용돌이치는 흡기에 의해 연소실 내부에서 흡기와 연료와의 혼합성능이 향상되어 연소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7-0001923 A1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흡기 유동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텀블현상을 유도하거나 흡기의 유동부하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연소효율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는 흡기유로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가변플랩; 상기 가변플랩의 하류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변플랩과 연동하여 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포트플레이트;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변위 형성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플랩은 상기 가변플랩의 상류측을 바라보는 전단부가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부의 하류측에 위치된 후단부가 상기 전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연소실을 바라보는 후단부가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플랩을 마주하는 전단부가 상기 후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상기 가변플랩을 마주하는 상기 전단부가 상기 가변플랩의 상기 후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에 의해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상기 후단부가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 변화에 의해 흡기유로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흡기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상기 가변플랩을 마주하는 상기 전단부가 상기 가변플랩의 상기 후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플레이트에서 상기 가변플랩을 바라보는 전단부가 상기 가변플랩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를 바라보는 후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변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를 상기 흡기유로 내벽에 밀착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변플랩을 지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이 더 작아지도록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엔진 운전영역의 구간별 회동각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엔진의 운전영역이 해당되는 구간의 회동각으로 상기 가변플랩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조건에 따라 흡기 유동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텀블현상을 유도하거나 흡기의 유동부하를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연소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가변플랩 및 포트플레이트가 변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제어부에 의해 엔진 운전영역에 따라 변위가 조절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현재의 엔진 운전영역에 따른 최적의 연소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포트플레이트는 가변플랩과 함께 회동하거나 직선이동함으로써 가변플랩에 의해 제한된 유동경로를 통해 유동하는 흡기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켜 텀블현상을 유도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가변플랩 및 포트플레이트는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어부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가변플랩 및 포트플레이트를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시켜 흡기 유동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연소효율을 극대화시킨다.
이에 더해, 포트플레이트의 전단부가 가변플랩의 후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가변플랩의 회동시 그 변위를 제공받아 별도의 구동부 없이도 변위를 형성할 수 있어 설계적으로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포트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가변플랩 및 포트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포트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4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는, 흡기유로(20)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가변플랩(150); 상기 가변플랩(150)의 하류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변플랩(150)과 연동하여 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포트플레이트(250); 상기 가변플랩(150)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250)의 변위 형성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구동부(310); 및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310)를 구동시켜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변플랩(150)은 흡기유로(20)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도 1 내지 4에는 흡기유로(20)상에 가변플랩(150)이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흡기유로(20)는 흡기포트 또는 인매니폴드에 해당된다.
가변플랩(150)은 흡기유로(20)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축은 다양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흡기의 유동방향과 수직하되 흡기유로(20)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엔진은 연소실(30)내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성능이 향상될수록 연소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변플랩(150)을 이용하여 연소실(30)내의 텀블현상을 유도한다.
텀블현상이란, 연소실(30)로 유입되는 흡기가 연소실(30)의 상단측에서 하단측을 향해 말려들어가는 와류를 형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텀블현상에 따라 소용돌이치는 흡기에 의해 연소실(30) 내부에서 흡기와 연료와의 혼합성능이 향상되어 연소효율이 증가되는 것이다.
즉, 가변플랩(150)은 회동되어 흡기유로(20)상의 흡기 유동단면적을 제한하고, 제한된 유동단면적을 지나는 흡기는 유속이 증가되어 연소실(30)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유동하면서 텀블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4에는 흡기유동을 흡기유로(20)의 상부측으로 집중시키도록 마련된 가변플랩(150)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포트플레이트(250)는 상기 가변플랩(150)의 하류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변플랩(150)과 연동하여 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포트플레이트(250)는 그 폭이 흡기유로(20)의 폭과 동일하고 흡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가변플랩(150)에 의해 밀집에 흡기는 가변플랩(150)을 지난 뒤에는 재차 확산될 것인데, 이러한 흡기의 확산이 연소실(30)의 흡입구보다 지나치게 앞선 위치에서 일어나게 되면 가변플랩(150)의 기능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
따라서, 포트플레이트(250)는 가변플랩(150)의 하류측에 장착되어 가변플랩(150)과 함께 연동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가변플랩(150)에 의해 밀집된 흡기의 유동면적을 일정수준 유지시켜 연소실(30)내로 흡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흡기의 텀블현상이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기할 내용과 같이 포트플레이트(250) 변위 형성 수준은 가변플랩(150)의 회동수준에 대응되는 바,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그 변위를 달리 형성하여 연소효율 상승을 위해 요구되는 변위수준을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4에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된 포트플레이트(250)가 흡기유로(20)상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구동부(310)는 상기 가변플랩(150)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250)의 변위 형성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구동부(310)는 유압식, 모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변플랩(150) 및 포트플레이트(25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모터가 구비되거나 단일객체로 마련되어 링크구조를 통해 양자를 모두 구동시키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구동부(310)가 모터로 구비되어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됨과 동시에 흡기유로(20)의 외벽에 구비되어 가변플랩(150) 또는 포트플레이트(25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310)를 구동시켜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엔진의 운전영역은 엔진RPM, 차량의 주행속도 또는 흡기량 등 다양한 인자를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의해 엔진이 고속운전 상황인지 저속운전 상황인지에 따라 엔진의 운전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은 바람직하게는 흡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회동된 가변플랩(150)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회동각이 클수록 흡기의 유동단면적은 감소한다.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가변플랩(150)에 의해 요구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 제한수준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가변플랩(150)을 회동시켜 현재 요구되는 흡기의 유동면적을 충족시키도록 한다.
예컨대,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에 해당되면, 연료소비량이 적어 흡기량보다는 연소실(30)내에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수준 향상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할 것이므로,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크게 하여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흡기의 밀집수준 및 속도를 증가시켜 연소실(30)내에서의 텀블현상을 강하게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크게 할 수록 흡기가 밀집되는 수준이 증가되어 연소실(30)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의 속도도 증가되고 텀블의 강도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반면,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피스톤의 고속 왕복운동에 의해 연소실(30)내에 난기류가 충분히 발생하고, 연료소비량이 증가하는 만큼 공기흡입량이 대폭 상승되는 바,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작게 하여 텀블현상 유도 기능을 줄이고 흡기의 유동저항을 줄여 흡기량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엔진의 운전영역에 대한 흡기의 유동면적 결정방식은 엔진 설계적인 측면과 차량의 운영 전략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요구되는 연소실(30)내의 텀블현상 유도 수준과 흡기의 흡입량을 고려하여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결정하고, 구동부(310)를 구동하여 가변플랩(150)을 회동시킴으로써,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최적의 연소효율을 이루도록 가변플랩(150)을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4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가변플랩(150)은 상기 가변플랩(150)의 상류측을 바라보는 전단부(152)가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부(152)의 하류측에 위치된 후단부(154)가 상기 전단부(152)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변플랩(150)의 상류측을 바라보는 전단부(152)는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되되, 바람직하게는 흡기유로(2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전단부(152)는 가변플랩(150)의 회동축을 이루도록 흡기유로(20)에 힌지결합되며, 포트플레이트(250)를 바라보는 후단부(154)가 상기 전단부(152)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이 증가되면 흡기는 가변플랩(150)의 전단부(152)가 위치된 흡기유로(20) 내벽의 반대측으로 밀집되어 유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변플랩(150)의 전단부(152)가 흡기유로(20)의 바닥면에 밀착됨에 따라, 가변플랩(150) 회동시 흡기가 흡기유로(20)의 상부측에 밀집되어 연소실(30)내로 유입되면서 텀블현상이 유도되게 된다.
또한, 흡기유량을 최대로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가변플랩(150)을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어 흡기 유동의 저항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연소실(30)을 바라보는 후단부(254)가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플랩(150)을 마주하는 전단부(252)가 상기 후단부(254)를 중심으로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포트플레이트(250)는 가변플랩(150)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후단부(254)가 연소실(30)을 바라보며, 후단부(254)는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되 바람직하게는 흡기유로(20)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모습은 도 2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다.
포트플레이트(250)의 후단부(254)가 흡기유로(20)의 내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바, 가변플랩(150)을 마주하는 전단부(252)는 후단부(254)를 중심으로 흡기유로(20)의 상부측을 향해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포트플레이트(250)의 회동수준은 가변플랩(150)의 회동수준에 대응되도록 결정됨으로써 가변플랩(150)에 의해 밀집된 흡기가 포트플레이트(250)를 따라 유동하여 연소실(30)내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트플레이트(250)의 회동은 별도의 모터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가변플랩(15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부터 링크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루어지거나, 가변플랩(150)으로부터 직접 전달받아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변플랩(150)의 회동에 의해 밀집된 흡기가 연소실(30)의 흡입구를 향해 유동하면서 밀집된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포트플레이트(250)를 회동시킴으로써, 연소실(30)내의 텀블현상 유도 수준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상기 가변플랩(150)을 마주하는 상기 전단부(252)가 상기 가변플랩(150)의 상기 후단부(154)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에 의해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호 마주하는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와 포트플레이트(250)의 전단부(252)는 힌지결합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가변플랩(150)의 회동시 그 회전변위가 포트플레이트(250)로 전달되어 포트플레이트(25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가변플랩(150)의 회동수준에 맞추어 포트플레이트(250)의 회동이 일어나므로 별도의 제어없이 최적화된 텀블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포트플레이트(25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설계적으로도 유리한 것이다. 도 3에는 특히 가변플랩(150)과 포트플레이트(250)가 결합되어 흡기유로(20)상에 위치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상기 후단부(254)가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각 변화에 의해 흡기유로(2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트플레이트(250)의 후단부(254)는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흡기유로(20)의 내벽에 힌지결합되는데, 더 바람직하게는 후단부(254)의 양측부에 회동축이 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흡기유로(20) 내벽에 삽입고정됨으로써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포트플레이트(250)의 전단부(252)가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와 결합관계를 형성하여 가변플랩(150)의 회동과 함께 연동하여 포트플레이트(250)가 회동하게 되면,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와 포트플레이트(250)의 회동축이 되는 후단부(254)간의 거리는 가변하게 된다.
이러한 거리변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포트플레이트(250)의 전단부(252) 또는 후단부(254)의 위치가 가변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포트플레이트(250)의 후단부(254)가 흡기유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포트플레이트(250)의 전단부(252) 또는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로서 양자간의 결합지점이 가변되도록 슬라이딩 형식을 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가변플랩(150)의 회동시 가변플랩(150) 또는 포트플레이트(250)가 결합지점으로부터 일부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될 수 있어 흡기 유동에 불리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트플레이트(250)의 후단부(254)를 슬라이딩되도록 마련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흡기유로(20)의 내벽에 슬라이딩홈(260)이 형성되고, 포트플레이트(250) 후단부(254)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홈(260)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홈(26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변플랩(150)과 포트플레이트(250)가 상호 결합관계를 형성하되, 포트플레이트(250)의 회동축이 되는 후단부(254)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함으로써, 가변플랩(150)의 회동시 발생하는 포트플레이트(250) 후단부(254) 및 가변플랩(150) 후단부(154)간의 거리 변화를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흡기 유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포트플레이트(250)는 전단부(252)와 후단부(254)가 평행하게 직선이동하도록 마련되어 가변플랩(150)의 회동에 따라 직선변위를 형성한다. 이 때, 포트플레이트(250)의 변위 형성 수준은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가 상승하는 수준에 대응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트플레이트(250)의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포트플레이트(250)가 직선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부(310)는 가변플랩(150) 및 포트플레이트(250)를 별도로 작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가변플랩(150)을 구동하는 모터와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포트플레이트(250)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포트플레이트(250) 전체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가변플랩(150)에 의해 흡기의 유동면적이 감소된 경우, 상기 유동면적을 포트플레이트(250) 전체에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소실(30)내로 유입되는 흡기를 밀집시키는데 유리하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상기 가변플랩(150)을 마주하는 상기 전단부(252)가 상기 가변플랩(150)의 상기 후단부(154)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에 의해 직선이동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가 가변플랩(150)의 전단부(15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승하면,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와 결합된 포트플레이트(250)는 가변플랩(150)으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함께 상승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흡기유로(20) 내부에는 포트플레이트(250)를 직선이동을 위한 탄성부가 마련될 수도 있고, 포트플레이트(250)의 이동궤적을 따라 흡기유로(20)상에 슬라이딩홈(260)이 마련되어 상기 포트플레이트(250)가 상기 슬라이딩홈(260)을 따라 직선이동되도록 마련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포트플레이트(250)의 직선이동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히 포트플레이트(250)가 그 길이방향이 흡기의 유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유지된 상태로 상승 및 하강하되,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와 결합을 이루어 그 높이가 제어됨으로써, 별도의 제어없이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 상승과 부합하도록 포트플레이트(25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어, 흡기의 유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밀집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포트플레이트(250)에서 상기 가변플랩(150)을 바라보는 전단부(252)가 상기 가변플랩(150)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를 바라보는 후단부(254)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포트플레이트(250)의 변위를 제어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가변플랩(150)에 의해 밀집된 흡기의 유동을 유지시키기 위해, 특히 그 전단부(252)가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변위를 형성하여 흡기의 안정적인 유동을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결정하여 가변플랩(150)을 회동시키되, 포트플레이트(250)의 전단부(252)는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포트플레이트(250)의 변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포트플레이트(25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그 변위 형성 수준을 조절하거나,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제어하고 포트플레이트(250)는 물리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단부(252)의 높이가 가변플랩(150)의 후단부(154) 높이에 대응되도록 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가변플랩(150)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는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상기 구동부(310)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플랩(150)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250)를 상기 흡기유로(20) 내벽에 밀착시키도록 마련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차량이 고속주행 상태로서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엔진에서 요구되는 흡기량이 대폭 증가하게 되고, 이 경우 연소실(30)내의 텀블효과를 강화하는 것보다 흡기량이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소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다만, 본 발명의 가변플랩(150) 및 포트플레이트(250)는 흡기유로(20)상에 위치되는 바, 흡기가 유동하는데 있어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변플랩(150) 및 포트플레이트(250)가 제어상태에 따라 흡기유로(2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부(310)를 구동시켜 상기 가변플랩(150) 및 포트플레이트(250)를 흡기유로(20) 내벽에 밀착시키도록 함으로써, 흡기가 연소실(30)측으로 유동함에 있어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흡기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 및 4의 (1)상태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어 가변플랩(150) 및 포트플레이트(250)가 흡기유로(20)의 내벽(특히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제어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엔진의 저속영역 또는 고속영역은 차량의 주행속도 또는 엔진RPM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값은 제어전략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변플랩(150)을 지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이 더 작아지도록 상기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결정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에 해당되면 연소실(30)내 텀블현상을 유도하는 것이 연소효율 향상에 유리하고,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흡기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 연소효율 향상에 유리하다.
따라서, 제어부(320)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에 가까울수록 흡기의 유동면적을 감소시켜 텀블현상 유도를 강화하고, 고속영역에 가까울수록 흡기의 유동면적을 증가시켜 흡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현재 엔진의 운전영역을 판단하고, 현재 운전영역에 대해 이론적 또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연속적으로 결정하여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연속제어할 수 있다.
또는, 엔진RPM 등에 따라 엔진의 운전영역을 저속영역에서 고속영역까지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해당 구간별로 가변플랩(150)의 회동각을 결정하여 가변플랩(15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예시 외에도, 엔진의 운전영역과 가변플랩(150)의 회동각 결정관계는 통상의 기술자 수준을 고려하여 엔진의 설계적인 관점과 제어전략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 및 4에는 이러한 가변플랩(150)의 회동각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4의 (4)상태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인 상태로서 흡기 유동면적을 최소화시켜 텀블현상 유도를 강화한 것이고, (1)상태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인 상태로서 흡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켜 연소실(30)내로 유입되는 흡기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2) 및 (3)상태는 저속영역과 고속영역을 구간화한 중속영역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저속영역에 가까운 구간에 해당될수록 흡기의 유동면적이 작아지도록 제어됨을 알 수 있다.
엔진 운전영역을 구간화하는 경우, 각 구간에 대한 구분기준은 제어설계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에서 상기 제어부(320)에는 엔진 운전영역의 구간별 회동각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320)는 현재 엔진의 운전영역이 해당되는 구간의 회동각으로 상기 가변플랩(150)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엔진 운전영역을 구간화하여 각 구간별 회동각이 제어부(320)에 미리 저장되고, 제어부(320)는 현재 엔진의 운전영역이 해당하는 구간의 회동각으로 가변플랩(15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른 회동각 결정을 수시로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가변플랩(150) 제어의 응답성이 낮아질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소효율 또는 엔진 출력성능 중 제어전략적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미리 반영한 회동각 결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본 발명에 있어 유리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50 : 가변플랩 250 : 포트플레이트
310 : 구동부 320 : 제어부

Claims (11)

  1. 흡기유로상에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가변플랩;
    상기 가변플랩의 하류측에 장착되고, 상기 가변플랩과 연동하여 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포트플레이트;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변위 형성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구동부; 및
    엔진의 운전영역에 따라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결정하고,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연소실을 바라보는 후단부가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플랩을 마주하는 포트플레이트의 전단부가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후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후단부가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 변화에 의해 흡기유로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플랩은 상기 가변플랩의 상류측을 바라보는 전단부가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되어 회동축을 형성하고, 상기 전단부의 하류측에 위치된 후단부가 상기 전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상기 가변플랩을 마주하는 상기 전단부가 상기 가변플랩의 상기 후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에 의해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플레이트에서 상기 가변플랩을 바라보는 전단부가 상기 가변플랩에서 상기 포트플레이트를 바라보는 후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변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는 흡기유로의 내벽에 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고속영역에 해당되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가변플랩 및 상기 포트플레이트를 상기 흡기유로 내벽에 밀착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운전영역이 저속영역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변플랩을 지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이 더 작아지도록 상기 가변플랩의 회동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엔진 운전영역의 구간별 회동각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엔진의 운전영역이 해당되는 구간의 회동각으로 상기 가변플랩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KR1020160041602A 2016-04-05 2016-04-05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KR10182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02A KR101822270B1 (ko) 2016-04-05 2016-04-05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US15/230,553 US10190532B2 (en) 2016-04-05 2016-08-08 Air intake structure for vehicle engine
CN201610773389.2A CN107288740B (zh) 2016-04-05 2016-08-30 用于车辆发动机的进气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602A KR101822270B1 (ko) 2016-04-05 2016-04-05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169A KR20170115169A (ko) 2017-10-17
KR101822270B1 true KR101822270B1 (ko) 2018-01-26

Family

ID=5995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602A KR101822270B1 (ko) 2016-04-05 2016-04-05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90532B2 (ko)
KR (1) KR101822270B1 (ko)
CN (1) CN1072887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016B1 (ko) * 2017-10-17 2022-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위치이동방식 흡기유동강화시스템 및 엔진
CN109159902B (zh) * 2018-08-23 2020-08-21 金湖县农副产品营销协会 一种无人机发动机进气口引流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7648A (ja) * 2004-09-08 2006-03-2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0071190A (ja) * 2008-09-18 2010-04-02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egr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3429A1 (de) 1987-04-22 1988-11-03 Thomson Brandt Gmbh Recorder mit einer rotierenden kopftrommel
JPH07119472A (ja) * 1993-10-19 1995-05-09 Fuji Heavy Ind Ltd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8296535A (ja) * 1995-04-26 1996-11-12 Unisia Jecs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10184370A (ja) * 1996-12-26 1998-07-14 Yamaha Motor Co Ltd 4サイクルエンジン
JP4045915B2 (ja) * 2002-10-03 2008-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4412118B2 (ja) * 2004-09-06 2010-02-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7322333B2 (en) * 2004-09-06 2008-01-29 Nissan Motor Co., Ltd. Internal combustion engine air intake structure
US7128050B1 (en) * 2005-06-16 2006-10-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7113482A (ja) * 2005-10-20 2007-05-10 Toyota Motor Corp 樹脂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5206604B2 (ja) 2009-07-03 2013-06-1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KR20110121073A (ko) 2010-04-30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의 가변 차지 모션 밸브 장치
KR101393571B1 (ko) * 2012-12-17 2014-05-12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밸브가변타이밍기구와 가변텀블기구를 갖는 엔진
KR101382312B1 (ko) * 2012-12-17 2014-04-10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내연기관용 가변흡기매니폴드 및 이를 이용한 가변흡기장치
JP5802229B2 (ja) * 2013-03-12 2015-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
CN103883443A (zh) * 2014-03-25 2014-06-25 日立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发动机的可变进气歧管及其控制方法
CN204572185U (zh) * 2015-04-19 2015-08-19 王恒 推拉式控制系统
CN205172722U (zh) * 2015-08-07 2016-04-20 盖斯特动力总成技术(苏州)有限责任公司 一款新型可变截面及滚流进气系统
CN105649785A (zh) * 2015-12-31 2016-06-08 上海交通大学 旋转式滚流比调节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7648A (ja) * 2004-09-08 2006-03-23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0071190A (ja) * 2008-09-18 2010-04-02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egr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90532B2 (en) 2019-01-29
US20170284332A1 (en) 2017-10-05
KR20170115169A (ko) 2017-10-17
CN107288740B (zh) 2021-02-23
CN107288740A (zh)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333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ir intake structure
KR101822270B1 (ko)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JP5012245B2 (ja) 内燃機関の吸気構造
JP536904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6077760A (ja) 内燃機関の吸気方法および吸気構造
KR101878057B1 (ko) 차량의 흡기 조절 장치
JP2014101774A (ja) 吸気システム
EP1403483A1 (en) Air intake system for multi-cylinder engine, an engine equipped therewith and rotary-type throttle valve therefor
JP4971242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0031856A (ja) 自動二輪車の騒音低減装置
KR20180053444A (ko) 차량의 흡기 조절 장치
JP2012102623A (ja) 可変吸気システム
BR0107472B1 (pt) motor à combustão interna de injeção direta com válvulas comandadas.
KR100259626B1 (ko) 가변 와류형성 흡기 포트
KR101942278B1 (ko) 흡기 매니폴더 구조
JP2004011442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H0988616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0320415A (ja) 原動機の燃料供給装置及び原動機吸気系の吸気管内断面積連続可変機構
JP4447593B2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KR20190107939A (ko) 가변흡기매니폴드
KR20180004456A (ko)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KR102273467B1 (ko) 차량의 흡기조절장치
KR20070022786A (ko) 가변 러너 영역을 구비한 흡기 매니폴드
KR20050052455A (ko) 가변 단면적을 가지는 흡기 매니폴드
JP2009019613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