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456A -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456A
KR20180004456A KR1020160084021A KR20160084021A KR20180004456A KR 20180004456 A KR20180004456 A KR 20180004456A KR 1020160084021 A KR1020160084021 A KR 1020160084021A KR 20160084021 A KR20160084021 A KR 20160084021A KR 20180004456 A KR20180004456 A KR 2018000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ear
valve flap
intake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456A/ko
Priority to CN201720188601.9U priority patent/CN206530400U/zh
Publication of KR2018000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02B31/06Movable mean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기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된 밸브플랩; 및 상기 밸브플랩의 회전변위를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 및 플레이트를 연동시키도록 마련된 변위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APPRATUS 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기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여 연소실내 텀블효과가 구현되도록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는 주행연비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료의 분사방식, 흡기의 제어방식 및 흡기포트의 구조 등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기술들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기술 중에는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와 흡기의 혼합성능을 향상시켜 엔진의 연소효율을 상승시키는 기술이 있으며, 특히 연료와 공기의 혼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흡기포트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흡기포트 내부에 베플 등을 마련하여 흡기의 유동을 조절하고 연소실 내부로 유입된 흡기의 텀블현상을 유도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텀블현상이란,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기가 연소실의 상단측에서 하단측을 향해 말려들어가는 와류를 형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러한 텀블현상에 따라 소용돌이치는 흡기에 의해 연소실 내부에서 흡기와 연료와의 혼합성능이 향상되어 연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7-0001923 A1
본 발명은 흡기유로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는 밸브플랩과 상기 밸브플랩에 의해 감소된 유동단면적이 연소실측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플레이트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상호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흡기 유동에 대한 유량계수 손실은 최소화하고 연비이득은 극대화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는 흡기유로상에 마련되고, 상기 흡기유로를 따라 연장된 판상으로서 상기 흡기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흡기유로상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류측에 마련되고,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된 밸브플랩; 및 상기 흡기유로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밸브플랩의 회전변위를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 및 플레이트를 연동시키도록 마련된 변위전달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상기 밸브플랩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기어;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에는 상기 밸브플랩를 향해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밸브플랩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변위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전달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내부에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위치되고, 상기 전달돌기에 의해 관통된 관통부가 마련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플랩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밸브플랩와 동일방향의 회전변위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상부유로 및 하부유로로 구획되고, 상기 밸브플랩는 회동되어 상기 하부유로를 차폐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하류측을 바라보는 타단부가 상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위전달기구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상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정방향 회전하는 상기 제2기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전달기구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어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는 제한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제2기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의 반경방향으로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이 상기 흡기유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 따르면, 흡기유로의 유동단면적을 조절하는 밸브플랩과 상기 밸브플랩에 의해 감소된 유동단면적이 연소실측까지 유지되도록 하는 플레이트가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상호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흡기 유동에 대한 유량계수 손실은 최소화하고 연비이득은 극대화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흡기포트 내에서 플레이트의 장착각도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차량의 중저속구간 등 텀블효과의 향상이 요구되는 상황과 고속구간 등 유량계수의 증가가 요구되는 상황을 각각 충족시켜 유량계수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연비이득을 최대로 할 수 있다.
한편, 흡기유로상에 장착되고 흡기유로를 따라 연장된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되, 상기 밸브플랩으로부터 회전변위를 전달받아 상기 플레이트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변위전달기구에 의해, 플레이트를 상기 밸브플랩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 또는 플레이트 회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상기 밸브플랩과 플레이트를 상시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전달돌기를 통해 밸브플랩으로부터 변위를 전달받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플레이트 일단부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2기어를 통해 상기 밸브플랩 및 플레이트를 연동시킴으로써, 그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별한 제어 없이도 신뢰도 높은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위전달기구에는 제2기어의 회전변위를 기본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체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의 회전변위를 일정수준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됨으로써, 특별한 제어 없이도 상기 플레이트의 정위치 복원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작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서 밸브플랩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서 밸브플랩이 차폐되고, 플레이트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서 변위전달기구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에서 변위전달기구 내부에 마련된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는 흡기유로(50)상에 마련되고, 상기 흡기유로(50)를 따라 연장된 판상으로서 상기 흡기유로(50)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12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120); 상기 흡기유로(50)상에서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류측에 마련되고,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된 밸브플랩(140); 및 상기 흡기유로(50)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기 일단부(125)와 결합되며,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전변위를 상기 플레이트(12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140) 및 플레이트(120)를 연동시키도록 마련된 변위전달기구(160);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레이트(120)는 흡기유로(50)상에 마련되고, 상기 흡기유로(50)를 따라 연장된 판상으로서 상기 흡기유로(50)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12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120)가 마련되는 흡기유로(50)는 엔진의 흡기포트 또는 흡기매니폴드 일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연소실측으로 유입되는 흡기의 유동을 이분하여 구획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연소실측을 바라보는 타단부(127)가 연소실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플레이트(1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기유로(5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연장된 형상이며, 편평한 판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흡기유로(5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러한 플레이트(120)의 형상은 흡기유로(50)의 형상 또는 장착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120)는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125)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위해 일단부(125)는 상기 흡기유로(50)의 내벽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부(127)는 상기 일단부(125)를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밸브플랩(140)은 상기 흡기유로(50)상에서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류측에 마련되고,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된다.
밸브플랩(140)은 흡기유로(50)를 통해 연소실측으로 유동되는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되는데, 본 발명에서 밸브플랩(140)은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류측에 위치되어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된다.
밸브플랩(140)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흡기유로(50) 내벽에 일지점이 힌지결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작동 전 상태로서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하기 전 상태에서는 상기 흡기유로(5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흡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플랩(140)은 엔진의 운전상태에 따라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할 것이 요구되면, 흡기유로(50)에 힌지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한다.
이 때, 상기 밸브플랩(140)은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이분된 유로구간 중 어느 하나의 유로 입구를 차폐시키도록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밸브플랩(14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차폐되면, 나머지 하나의 유로를 통해서 흡기가 유동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유로를 통해 흡기를 유동시켜 연소실측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연소실내 흡기의 텀블현상을 유도한다.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에 텀블현상이 유도되면, 연소실내에 존재하는 연료와 흡기간의 혼합성능이 향상되어 연료의 균일도가 높아지고, 연소효율이 향상되어 유리하다.
이러한 텀블현상 유도를 위해 상기 밸브플랩(140)은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차폐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이러한 밸브플랩(140)의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플랩(14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흡기유로(50)의 내벽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밸브플랩(140)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유로(50) 내벽에 밀착되었을 때 흡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유리하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로서, 상기 밸브플랩(140)이 흡기유로(50)의 내벽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마련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2에는 밸브플랩(140)의 작동 전으로서 밸브플랩(140)이 상기 흡기유로(5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밸브플랩(140)이 작동되어 상기 흡기유로(50) 중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하나의 유로를 차폐하도록 회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엔진은 저중속 상황에서 연비 향상 및 연소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텀블현상이 유도되는 것이 유리한데, 이를 위해 밸브플랩(140)은 엔진의 저중속 상황에서 흡기의 텀블현상 유도를 위해 흡기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하도록 회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의 운전상태를 파악하고, 텀블현상 유도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밸브플랩(140)이 회동되도록 구동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엔진이 고속 상황에 해당되면, 외부로부터 엔진측으로 유입되는 흡기 자체의 유동에너지가 충분히 크고, 그 양도 충분히 증가된 상태로서 텀블효과를 강화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연소 안정성을 이룰 수 있다.
다만, 엔진의 고속 상황에서는 고출력을 위해 엔진에 요구되는 흡기량이 크게 증가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밸브플랩(140)이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하게 되면 오히려 흡기의 유량계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흡기의 유동을 방해하게 되어 불리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엔진의 고속 상황에서 상기 밸브플랩(140)은 흡기유로(5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흡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그 유량계수 감소를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변위전달기구(160)는 상기 흡기유로(50)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기 일단부(125)와 결합되며,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전변위를 상기 플레이트(12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140) 및 플레이트(120)를 연동시키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변위전달기구(160)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125)에 결합관계를 형성하고, 이는 상기 변위전달기구(160)가 상기 플레이트(120)와 밸브플랩(14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20)와 밸브플랩(140) 사이에 위치되는 변위전달기구(160)는 상기 밸브플랩(140)이 작동되어 회동하면, 그 회전변위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밸브플랩(140)의 회전변위를 전달받는 작동방식이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회동되는 밸브플랩(140)에 의해 가압되어 변위를 형성하는 매개체를 포함하여 상기 변위전달기구(160)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변위전달기구(160)는 플레이트(120)의 일단부(125)와 결합관계를 형성하는데, 밸브플랩(140)에 의해 변위를 전달받게 되면, 상기 변위를 플레이트(120)의 일단부(125)를 통해 플레이트(120)로 전달하여 플레이트(120)의 회동을 유도한다.
즉, 변위전달기구(160)는 밸브플랩(140)의 작동 시, 상기 밸브플랩(140)과 플레이트(120)가 상호 연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브플랩(140)은 연소실 내부의 흡기 텀블현상 유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회동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여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흡기의 유동속도 등 유동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120)가 밸브플랩(140)과 함께 연동되어 타단부(127)가 회동됨으로써, 상기 텀블효과 유도 작용을 상승시킨다. 밸브플랩(140)에 의해 유동단면적 일부가 차폐된 상태에서 흡기는 결국 플레이트(120)의 타단부(127)를 거쳐 연소실측으로 유입될 것인데, 이 때 상기 플레이트(120)의 타단부(127)가 상기 구획된 유로 중 흡기 유동이 허용된 유로측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연소실측으로 유동하느 흡기의 유동단면적 감소량은 더욱 커져 텀블현상 유도 효과가 증가된다.
반면, 엔진의 고속 상황에서 플레이트(120)가 회동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게 되면 앞서 살핀 바와 같이 흡기의 유량계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이는 엔진 출력 향상에 불리하게 작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변위전달기구(160)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20)가 상기 밸브플랩(140)과 함께 연동되도록 하여 텀블현상 유도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흡기의 유동단면적 감소량을 증가시켜 텀블현상의 유도 작용을 증가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변위전달기구(160)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20)를 밸브플랩(140)과 연동시키되, 변위를 제공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120)와 밸브플랩(140)을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가 요구되지 않아 작동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나아가 플레이트(120) 구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활용면과 설계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도 1에는 상기 플레이트(120)와 밸브플랩(140) 및 변위전달기구(160)가 마련된 흡기유로(5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특히 밸브플랩(140) 및 플레이트(120)가 작동되기 전으로서 흡기의 유동단면적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 도시된 모습은 상기 밸브플랩(140) 및 플레이트(120)가 연동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최소화시킨 상태이다.
다만, 밸브플랩(140)과 플레이트(120)가 연동되는 경우, 밸브플랩(140)의 작동상태와 플레이트(120)의 회동상태는 상기한 방식 이외에도 엔진의 전략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변위전달기구(160)는 상기 밸브플랩(140)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기어(175); 및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기 일단부(125)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175)와 치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2기어(18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위전달기구(160)는 복수의 기어세트를 구성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밸브플랩(140)으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회전변위를 형성하는 제1기어(175)와, 상기 제1기어(175)와 치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일단부(125)에 형성된 회전축에 장착되어 제1기어(175)와 함께 회전하되, 그 회전변위를 상기 플레이트(120)에 전달하도록 마련된 제2기어(185)가 포함된다.
밸브플랩(140)이 회동하게 되면 그 회전변위를 제1기어(175)가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는데, 회전변위를 전달받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하기할 내용과 같이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동시 밸브플랩(140)에 의해 가압되는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가압되는 수단에 의해 제1기어(175)가 회전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기어(185)는 그 회전축을 상기 플레이트(120)의 일단부(125)에 형성된 회전축과 공유한다. 즉, 제2기어(185)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플레이트(120)와 함께 회전변위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2기어(185)는 상기 제1기어(175)와 치합관계를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 밸브플랩(140)이 회동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120)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인 상관관계에 의해 밸브플랩(140)과 함께 연동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가 포함된 변위전달기구(160)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140)과 플레이트(120)를 연동시키는 데에 있어 특별한 전자 제어적 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구조적 결합관계에 의해 상호 연동시키는 점에 따라 그 작동 신뢰도 역시 우수하다.
한편, 제1기어(175)의 위치 등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120)가 연동되기 위한 밸브플랩(140)의 최소 회동각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의 형상과 크기 등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140)과 상기 플레이트(120)의 회동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1기어(175)와 제2기어(185)를 포함한 변위전달기구(160)의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밸브플랩(1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를 통해 플레이트(120)가 연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기어(175)와 제2기어(185)의 결합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제1기어(175)에는 상기 밸브플랩(140)를 향해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밸브플랩(14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변위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전달돌기(177)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돌기(177)는 제1기어(175)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1기어(175)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제1기어(175)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달돌기(177)는 바람직하게는 회동된 밸브플랩(14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지점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기어(175)의 전달돌기(177)는 밸브플랩(140)에 의해 가압되는 지점이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동범위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 내지 3과 같이 밸브플랩(140)이 흡기유로(50)의 하부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방을 향해 회동하도록 마련된 경우라면, 상기 전달돌기(177)는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동범위내에 해당되도록 상기 흡기유로(50)의 하부와 일정수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것이다.
이러한 전달돌기(177)가 밸브플랩(140)으로부터 회전변위를 전달받는 과정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와 같이, 밸브플랩(140)가 작동하기 전으로서 상기 밸브플랩(140)이 흡기유로(5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된 경우, 제1기어(175)의 전달돌기(177)는 상기 밸브플랩(14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기어(175)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서 플레이트(120) 역시 회동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도 3과 같이, 밸브플랩(140)이 작동되어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도록 회동된 경우, 상기 흡기유로(50)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회동되는 밸브플랩(140)에 의해 전달돌기(177)가 가압되어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전달돌기(177)의 회동은 그대로 제1기어(175)에 전달되어 제1기어(175)의 회전이 일어난다.
제1기어(175)의 회전 시 상기 제1기어(175)와 치합된 제2기어(185) 역시 회전되며, 제2기어(185)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20)의 회전이 유도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위전달기구(160)가 전달돌기(177)를 통해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전변위를 전달받고, 이를 플레이트(120)로 전달하여 상기 플레이트(120)와 밸르플랩이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는 제1기어(175)에 마련된 전달돌기(177)의 확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변위전달기구(160)는 내부에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가 위치되고, 상기 전달돌기(177)에 의해 관통된 관통부(192)가 마련된 케이스(19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의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는 케이스(190)의 내부에 위치된다. 케이스(190)에는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의 회전축이 마련되는데, 이는 케이스(190)와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190)에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고, 상기 케이스(190)와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2기어(185)의 회전축은 상기 플레이트(120)의 회전축에 해당되므로 상기 케이스(190)에 결합되는 구조로 마련될 것이다.
상기 케이스(19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에 흡기의 유동이 직접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덮개로서 기능할 수 있다. 흡기의 유동이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에 영향을 주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120)가 의도되지 않은 상황에서 회동될 수 있으며, 흡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이물질이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에 잔존하게 되면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의 원활한 작동을 방해할 수 있어 불리하다.
즉, 상기 케이스(190)는 흡기의 유동이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에 영향을 끼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이물질이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측에 잔존하게 되어 작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90)에는 제1기어(175)에 마련된 전달돌기(177)가 케이스(19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192)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92)는 전달돌기(177)의 회동범위를 따라 연장된 홈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전달돌기(177)에 의해 관통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상기 관통부(192)는 상기 전달돌기(177)가 밸브플랩(140)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달돌기(177)의 가동범위 이상으로 연장된 홈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가 그 내부에 위치되고, 관통부(192)가 형성된 케이스(19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케이스(190)는 상기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를 나타내기 위해 외벽 일측이 제거된 상태이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밸브플랩(140)에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변위전달기구(160)는 상기 플레이트(120)에 상기 밸브플랩(140)와 동일방향의 회전변위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플랩(140)은 상기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방향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호간의 회동방향이 동일하도록 마련된다.
특히, 밸브플랩(140)과 플레이트(120)간 연동 시, 양자의 회동방향을 동일하게 하도록 변위전달기구(16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변위전달기구(160)는 치합된 제1기어(175) 및 제2기어(185)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20)와 밸브플랩(140)의 회동방향이 동일하도록 연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어(175)는 상기 밸브플랩(140)에 의해 전달돌기(177)가 가압되어 회전되는데, 제1기어(175)의 회전방향은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동방향과 상호 반대된다. 그러나, 제1기어(175)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185)는 제1기어(17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제2기어(185)의 회전방향을 상기 밸브플랩(140)의 회동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밸브플랩(14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18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20)의 회전축에 장착되므로, 결국 플레이트(120)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방향은 상기 밸브플랩(140)에 작용하는 회전력의 방향과 같게 된다.
위와 같이, 밸브플랩(140)과 플레이트(120)가 동일한 방향의 회동방향을 가지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텀블현상 유도 시 밸브플랩(140) 및 플레이트(120)가 모두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텀블현상 유도를 위해 작동되기 전의 밸브플랩(140)은 흡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흡기유로(50) 내벽에 밀착된다.
이 때, 밸브플랩(140)이 작동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 일부를 차폐하게 되면, 상기플레이트(120)와 동일방향의 회전축이 형성된 밸브플랩(140)의 구조적 특성상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상기 밸브플랩(140)에 의해 차폐되는 유로는 상기 밸브플랩(140)을 마주보도록 위치된 유로에 해당되고, 나머지 하나의 유로는 상기 플레이트(120)를 기준으로 상기 밸브플랩(140)에 의해 차폐되는 유로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밸브플랩(140)은 작동 시 현재 위치된 흡기유로(50) 내벽의 반대측 지점을 향해 회동하게 되는데, 상기 밸브플랩(14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플레이트(120)는 그 타단부(127)가 일단부(125)를 중심으로 상기 유동이 허용된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밸브플랩(140)이 작동되면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어느 하나의 유로는 상기 밸브플랩(140)에 의해 차폐되며, 나머지 하나의 유로는 플레이트(120)의 타단부(127) 회동에 의해 출구측 유동단면적이 입구측 유동단면적보다 감소되고, 결국 플레이트(120)와 밸브플랩(140)은 모두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밸브플랩(140)이 작동되면 상기 흡기유로(50)의 흡기 유동단면적은 최소화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20)를 경유한 흡기는 유동속도가 최대화되어 연소실측으로 유입됨으로써, 텀블현상의 유도효과가 극대화되게 된다.
반대로, 만일 밸브플랩(140)이 작동상태에서 비작동상태(유로를 개방하는 상태)로 변하게 되면, 플레이트(120) 역시 유동단면적이 본래의 상태가 되도록 회동되므로, 밸브플랩(140)과 플레이트(120)가 연동되어 감소상태의 유동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회동되어 흡기유로(50)상의 유량계수를 증가시켜 원활한 흡기량 충족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2의 상태에서 밸브플랩(140)이 플레이트(120)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차폐하도록 회동된 상태인 도 3을 살펴보면, 밸브플랩(140) 및 플레이트(120)가 모두 흡기의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회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흡기유로(50)는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상부유로(52) 및 하부유로(54)로 구획되고, 상기 밸브플랩(140)는 회동되어 상기 하부유로(54)를 차폐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120)는 하류측을 바라보는 타단부(127)가 상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흡기유로(50)를 상부유로(52) 및 하부유로(54)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밸브플랩(140)은 작동 전 상기 흡기유로(50)의 하부측 내벽에 밀착되어 있다가 작동되어 상기 하부유로(54)를 차폐하도록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밸브플랩(140)과 동일한 회동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타단부(127)가 흡기유로(50)의 상부측 내벽을 향해 회동된다. 이에 따라, 흡기의 유동이 허용된 상부유로(52)는 출구측 유동단면적이 입구측보다 감소되어 상부유로(52)를 경유하는 흡기의 유동은 그 유동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유로(52)를 경유한 흡기의 유동은 연소실의 상부를 향해 연소실로 유입되므로, 연소실의 상부로부터 소용돌이치면서 하부로 말려들어가는 텀블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결국, 상기 플레이트(120)가 흡기유로(50)를 상부유로(52) 및 하부유로(54)로 구획하고, 상기 밸브플랩(140)은 하부유로(54)를 차폐하며,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부유로(52)의 출구측 유동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회동됨으로써,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기의 유동은 상기 연소실의 상부측에 집중되어 유입되고, 텀블현상의 유도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도 2에는 흡기유로(50)를 상부유로(52) 및 하부유로(54)로 구획하는 플레이트(120)와 상기 흡기유로(50) 중 하부측 내벽에 밀착된 밸브플랩(14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상기 밸브플랩(140)이 하부유로(54)를 차폐하고, 플레이트(120)가 상부유로(52) 출구측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회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에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타단부(127)가 상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정방향 회전하는 상기 제2기어(18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기어(18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유로(54)를 차폐시키도록 회동되는 밸브플랩(140)에 의해 회전되는 제2기어(185)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으로 정의한다. 제2기어(185)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상부유로(52)의 출구측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변위전달기구(160)에는 상기 제2기어(18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00)가 마련된다. 즉, 탄성체(200)는 상기 플레이트(120)의 타단부(127)가 상기 하부유로(54)측으로 회동되도록 제2기어(185)에 탄성력(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텀블현상 유도를 위해 밸브플랩(140)이 하부유로(54)를 차단하고, 플레이트(120)가 상부유로(52) 출구측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회동된 이후, 다시 유량계수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밸브플랩(140)이 흡기유로(50) 내벽에 밀착되도록 회동되면, 플레이트(120) 또한 상기 밸브플랩(140)과 같이 하부유로(54)측을 향해 타단부(127)가 회동되는 복귀력이 필요하다.
이는 상기 플레이트(120) 자체의 하중을 통해 충족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의 작동부하에 따라서는 상기 플레이트(120) 하중만으로 플레이트(12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에 탄성체(2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플랩(140)이 하부유로(54)를 차폐시키는 상태에서 다시 개방시키도록 회동되면, 제2기어(185)는 탄성체(200)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20)의 타단부(127)는 하부유로(54)측으로 회동되고, 제1기어(175) 또한 전달돌기(177)가 합기유로의 하부측을 향해 회동되어 변위전달기구(160)가 밸브플랩(140) 작동 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5에는 변위전달기구(160)에 마련된 탄성체(2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5에는 상기 탄성체(20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제2기어(185)가 제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2기어(185)가 탄성체(200)측에 장착된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변위전달기구(160)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185)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스토퍼(205)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어(185)에는 상기 스토퍼(205)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는 제한돌기(187)가 마련된다.
상기한 탄성체(200)에 의해 제2기어(185)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2기어(185)의 역방향 회전범위를 제한하지 않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120)가 지나치게 하부유로(54)측으로 회동되어 흡기의 유량계수 확보에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기어(185)의 역방향 회전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90)에 스토퍼(205)가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05)는 케이스(190)에 장착된 별물이거나 상기 케이스(1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05)는 상기 케이스(190)의 내벽에서 돌출된 돌기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어(185)에는 상기 스토퍼(205)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제한돌기(187)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한돌기(187)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토퍼(205)와 접촉되면서 그 회전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상기 스토퍼(205)는 상기 제한돌기(187)의 하방에 위치된다.
결국, 하부유로(54) 차폐를 위한 밸브플랩(140)의 회동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제한돌기(187)는, 밸브플랩(140)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탄성체(200)에 의해 스토퍼(205)측으로 역방향 회전되고, 상기 제한돌기(187)에 상기 스토퍼(205)와 접촉된 이후에는 그 역방향 회전이 구조적으로 제한되어 제2기어(185) 또한 역방향이 제한되고, 이로써 플레이트(120)의 복귀시 그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는 상기 제2기어(185)에 마련된 제한돌기(187) 및 상기 제한돌기(187)와 접촉된 상태의 스토퍼(205)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제한돌기(187)는 상기 제2기어(185)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185)의 반경방향으로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205)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길이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돌기(187)는 상기 제2기어(185)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돌기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돌기(187)는 상기 제2기어(185)에 형성된 기어치보다 그 돌출 길이가 길도록 마련되며, 특히 상기 제한돌기(187)가 상기 스토퍼(205)와 접촉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제2기어(18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제한돌기(187)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한돌기(187)와 접촉되어 상기 제한돌기(187)의 역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된 스토퍼(205)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100)에서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제한돌기(187)가 상기 스토퍼(205)에 접촉되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이 상기 흡기유로(5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돌기(187)가 상기 스토퍼(205)에 접촉된 상태는 상기 흡기유로(50)의 유동단면적을 최대로 하고 흡기의 유량계수를 최대화한 상태에 해당된다.
때문에, 상기 스토퍼(205)에 의해 제2기어(185)의 역방향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20)는 그 타단부(127)가 상부유로(52) 또는 하부유로(54)의 출구측 유동단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은 상태로 위치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205)와 제한돌기(187)가 접촉된 상황에서 상기 플레이트(120)는 그 길이방향이 상기 흡기유로(50)의 길이방향과 나란해지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플랩(140)이 하부유로(54) 차폐를 위해 작동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120) 또한 흡기유로(50)와 나란한 방향의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흡기의 유동단면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20 : 플레이트 140 : 밸브플랩
160 : 변위전달기구 200 : 탄성체

Claims (10)

  1. 흡기유로상에 마련되고, 상기 흡기유로를 따라 연장된 판상으로서 상기 흡기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며, 상류측을 바라보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플레이트;
    상기 흡기유로상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류측에 마련되고,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구획된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마련된 밸브플랩; 및
    상기 흡기유로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밸브플랩의 회전변위를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밸브플랩 및 플레이트를 연동시키도록 마련된 변위전달기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상기 밸브플랩로부터 변위를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1기어;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일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된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에는 상기 밸브플랩를 향해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밸브플랩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변위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전달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내부에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위치되고, 상기 전달돌기에 의해 관통된 관통부가 마련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플랩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형성된 회전축이 마련되고, 상기 변위전달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에 상기 밸브플랩과 동일방향의 회전변위를 제공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로는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상부유로 및 하부유로로 구획되고, 상기 밸브플랩는 회동되어 상기 하부유로를 차폐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하류측을 바라보는 타단부가 상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기구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가 상방을 향해 회동되도록 정방향 회전하는 상기 제2기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기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위전달기구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된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2기어에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역방향으로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는 제한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한돌기는 상기 제2기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기어의 반경방향으로 따라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고,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한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의 길이방향이 상기 흡기유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KR1020160084021A 2016-07-04 2016-07-04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KR20180004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21A KR20180004456A (ko) 2016-07-04 2016-07-04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CN201720188601.9U CN206530400U (zh) 2016-07-04 2017-03-01 车辆的发动机进气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21A KR20180004456A (ko) 2016-07-04 2016-07-04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456A true KR20180004456A (ko) 2018-01-12

Family

ID=5991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21A KR20180004456A (ko) 2016-07-04 2016-07-04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04456A (ko)
CN (1) CN20653040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3598B (zh) * 2023-02-24 2023-05-05 北京势蓝科技有限公司 分流装置、燃烧装置及VOCs气体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530400U (zh) 201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034A1 (en) High flow dual throttle body for small displacement engines
JP5994200B2 (ja) 車両用egrバルブ
EP1801382B1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70093156A (ko) 바이패스 밸브 및 흐름 연결용 조합형 조정 장치를 구비한 배기 가스 터보차저
EP2031209A1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464785A (zh) 发动机的进气控制装置
KR20180004456A (ko) 차량의 엔진 흡기 조절 장치
JP2006029300A (ja) スロットル弁
JP2014101774A (ja) 吸気システム
WO2006054037A1 (en) Mixing element for creating a vortex motion in an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135323A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吸気機構
KR101822270B1 (ko) 차량의 엔진 흡기 구조
KR102586451B1 (ko) 머플러용 가변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듀얼 머플러
JP7001438B2 (ja) 圧縮機
JP3637250B2 (ja) 両液体バルブの差圧調整装置
JP2005256779A (ja) 可変吸気装置
JP2005140051A (ja) 可変吸気装置
TWI751808B (zh) 單進氣通道式進氣調節構造
JP7290424B2 (ja) 吸気制御装置
KR100463705B1 (ko) 관로 개폐장치
KR960011444B1 (ko) 희박연소 엔진의 흡기 가변장치
KR20060116484A (ko) 수평 회전형 스로틀 밸브
JP2009019613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220141108A (ko) 연료전지 자동차용 배출 수소 농도 저감 장치
CN114576051A (zh) 单进气通道式进气调节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