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723B1 -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723B1
KR101819723B1 KR1020150187309A KR20150187309A KR101819723B1 KR 101819723 B1 KR101819723 B1 KR 101819723B1 KR 1020150187309 A KR1020150187309 A KR 1020150187309A KR 20150187309 A KR20150187309 A KR 20150187309A KR 101819723 B1 KR101819723 B1 KR 10181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anhydride
polyol
diol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890A (ko
Inventor
류승우
함진수
김춘기
황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5018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7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체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TPEE),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및 상용화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비는 폴리폴리에테르에스테르수지는 10~30,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50 및 상용화제 수지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Environment-Friendly Hot-Melt Adhesiv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접착에 사용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는 융점이 높아 용도가 제한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섬유 등의 접착용도에 있어서 심지 등의 용도나 테이프상의 직물 사이에 삽입하여 가압접착하게 되는 접착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섬유 직물 자체가 열열화되는 일이 있고, 고주파미싱 같은 특수한 장비를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상의 간단한 가열 프레스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매트리스,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각종 부직포 패팅 용도로 제조시 사용되는 상호 섬유구조물에 있어 이종의 섬유를 접착하는 목적으로 핫멜트(Hot Melt)형 바인더 섬유가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에 있어서 저융점화한 것의 요구가 높고, 바인더(binder) 섬유나 접착제 등에 사용되다. 이와 같은 용도에는 일반적으로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Polyester)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등록특허 4,129,675호에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acid: IPA)을 이용하여 공중합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은 고가의 재료로 대량의 이소프탈산을 이용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생산단가가 높아 경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평10-298271호에서는 결정성과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중합 제조과정에서 테레프탈산 대신에 아디핀산(Adipic Acid)을 사용하고, 에틸렌글리콜 대신에 디올(Diol)성분으로 1,4-부탄디올(BD)을 사용하여 접착성을 높여 주고 고온에서도 섬유의 강도 저하가 적은 섬유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디핀산(Adipic Acid)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는 융점이 150℃ 이하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어려워 더 낮은 융점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가 블렌드된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핫멜트 접착필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하여 역한 냄새가 발생하며, 적층 성형품이 완성된 후에도 역한 냄새가 발생하여 차 실내 냄새발생 유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시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착력이 우수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안전기준 이하로 발생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체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TPEE),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및 상용화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비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수지는 10~30,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50 및 상용화제 수지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키되, 상기 디올(Diol)은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조성물에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를 혼합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 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는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MeHHPA), 테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THPA) 및 헥사하이드로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HHPA)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언하이드라이(anhydride)수지는 2중결합이 2개인 컨쥬게이티드 다이엔(Conjugated Diene)과 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의 디엘스-엘더(Diels-Alder) 반응에 의한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400 내지 20000이고,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대비 1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와 저밀도 선형폴리에틸렌 수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용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용화제 수지는 에틸렌과 초산비닐, 아크릴산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중 어느 하나와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 두물질의 성질이 잘 융화시키는 상용화제로 구성하여 접착력이 우수하고 안전한 범위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체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TPEE) 수지,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DPE) 수지 및 상용화 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비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수지는 10~30,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30~50 및 상용화제 수지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키되,
상기 디올(Diol)은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조성물에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를 혼합한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와 구조이성질체로 가격이 고가이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는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HHPA), 테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THPA) 및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HHP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한 혼합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 중 언하이드라이(anhydride)수지를 에스테르화 반응의 출발물질로 바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중결합이 2개인 컨쥬게이티드 다이엔(Conjugated Diene)과 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의 디엘스-엘더(Diels-Alder) 반응을 통한 생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우선 에스테르화 반응를 설명하면,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1,4-부탄디올(1,4-BD)의 부틸렌 글리콜의 저분자량 디올 성분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와 에스테르화 반응시킨다.
반응용량은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 및 디올(Diol)의 몰 분율은 1 대 1.0~1.5 비율로 투입하며 과잉 투입된 디올(Diol)성분은 축중합반응 중 감압공정을 통해 대부분 회수되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 및 디올(Diol)은 전체 탄성접착수지조성물 중 30~90중량% 값을 갖는다.
또한, 상기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 혼합물은
70~95몰%의 1,4-부탄디올(1,4-BD)과 5~30몰%의 2-메틸 1,3-프로판디올(MPO)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2-메틸 1,3-프로판디올(MPO)을 일정한 양을 투입하면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의 경도 저하 경향이 발생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이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 혼합물은 80~95몰%의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와 5~20몰%의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는 메틸 테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및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HHPA)의 몰비가 4~6 대 6~4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도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만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의 융점 조절을 위해 기존의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숙신산 등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티카르복실산을 공중합 원료로 사용하였으나,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인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HHPA), 테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THPA) 및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HHP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테레프탈레이트(DMT)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의 중요한 특성인 탄성특성과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최종 제품의 성형공정에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융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실질적으로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를 소량만 넣어도 융점 저하현상이 발생되며 1몰당 약 4℃의 하락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HHPA)을 몰비가 4~6 대 6~4로 혼합사용할 경우에는 융점 저하 현상이 더 크게 발생한다.
예를 들면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 비해 혼합사용할 경우 혼합물 1몰당 약 5℃의 하락 효과가 나타나 융점 저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는 초산아연, 초산소듐, 초산마그네슘, 테트라노 말부톡시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티탄옥사이드/실리옥사이드마이크로코폴리머, 및 나노티타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폴리에스터계 탄성접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1000 ppm 범위로 사용되며 촉매의 투입량이 부족할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속도가 느려지며, 과할 경우 폴리에스터계 탄성접착수지의 열안정성이 나빠진다.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한 뒤 이어서 축중합을 진행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머 용액과 소프트 세크먼트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 촉매, 열안정제, 광산화 안정제와 함께 진공감압이 가능한 내압, 내열 반응기에 투입한 후 760~1000 Torr의 압력 및 200~270℃의 온도에서 과량의 디올(Doil)을 증류한 후, 최종 진공도 1mmHg 이하의 고진공하에서 축중합을 완료하여 본 발명인 폴리에스터계 탄성접합수지를 얻는다.
여기서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폴리올의 분자량은 400 내지 2000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대비 10 내지 80 중량% 함유한다.
또한 상기 축중합 단계에서 사용되는 중합촉매는 삼산화안티몬, 안티몬아세테이트, 테트라노말부톡시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티탄옥사이드/실리카옥사이드마이크로코폴리머, 및 나노티타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폴리에스터계 탄성접착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2000 ppm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는 중합물의 분지가 상당히 많아 밀도는 0.916~0.935 정도의 저밀도 제품이 되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은 분자구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유사하나 밀도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고분자를 혼합할 경우 조성물의 성질의 상이함에 따라 혼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혼합하는 고분자 상호 간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물성이 향상시키기 위해 상용화제 수지를 이용한다.
혼합하는 수지에 따라 특정의 상용화제 수지가 이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와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에틸렌과 초산비닐, 아크릴산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중 어느 하나와 공중합된 것을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설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및 비교에
표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PTEE)(A), 상용화제로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B),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C)를 표에 기재된 중량비로 브라벤더 믹서에서 용융 및 혼련시켰으며,
비교예는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C)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비닐아세테이트(VA)(D)를 표에 기재된 중량비로 브라벤더 믹서에서 용융 및 혼련시켰다.
◎인장강도, 인장신율: ASTM D638
◎접착력 :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폴리머(Polymer)의 접착력을 평가하기 위해 NIKE의 신발용 접착 필름(Film) 분석 방법을 참조하여 분석비교한다.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Polymer)를 핫프레스(Hotpress)등을 이용하여 두께 200~250μm의 필름(Film)으로 제조된다. 기준이 되는 원단(Polyester 직물원단 사용)사이에 접착 필름(Film)을 넣고 핫프레스(Hotpress)에 3kgf/cm2의 압력과 150℃의 온도하에서 30초동안 열압착한다. 열접착된 시료를 1 inch의 폭으로 재단하여 ASTM D882(Tensile Testing of Thin Plastic Sheet)의 측정방법에 의거 인장력을 측정하여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1 2 3 4 1 2
조성
(중량%)
A 10 20 30 30 - -
B 30 30 30 50 - -
C 60 50 40 20 70 60
D 30 40



필름물성
인장강도
(kgf/cm2)
290 300 313 310 164 150
인장신율
(%)
570 580 600 590 680 720
접착력
(kgf/in.)
1.1 1.3 1.5 1.6 0.9 1
VOCs(ppm) 36이하 36이하 36이하 36이하 420이상 420이상
조성 A : 폴리에테르 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TPEE)
조성 B :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EAA) 수지 (Dow사 Primacor 3330제품), 용융지수(MI. Melt Index) 5.8 g/10min, 아크릴산(AA, Acrylic Acid) 공단량체를 6.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조성 C :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LLDPE) 수지 (LG화학 제품), 용융지수(MI. Melt Index) 1.6 g/10min, 밀도 0.922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 D :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EVA, ethylene vinyl acetate) 수지 (롯데케미칼 VA 900 제품), 비닐아세테이트(VA, vinyl acetate) 함량 28중량%
표1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는 인장강도, 접착력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발생에 있어서 비교예보다 우수함을 알수 있다.
분석결과 자동차 voc 기준 비고
단위 ppm 실시예평균 비교예
평균
한국 중국 일본
(JAMA)
일본
(후생성)
독일
(tuv)
Benzene - - 30 110 5
Toluene 34.1 292.6 1000 1100 260 260 200 일본/독일기준합격
Ethyl
Benzene
- 11.4 1000 1500 3800 3800
xylene - 9.5 870 1500 870 870
Styrene - 114.1 220 260 220 220 30
Formaldehyde 1.4 1.2 210 100 100 100 60
Acetaldehyde 0.2 0.2 50 50 48 48 50
Acrolein - - 50 50
상기 표2는 본 발명의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환경평가 결과를 각국의 자동차 VOC 기준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평균값은 Toluene 수치에서 34.1ppm로 비교예 평균 292.6ppm 보다 월등이 우수하다. 비록 자동차 VOC 기준에서는 한국, 중국의 기준치 1000, 1100ppm에서는 비교예 평균도 만족하지만 일본과 독일의 기준 260, 200ppm 기준에는 비교예 평균은 기준을 초과하며 실시예 평균은 기준을 만족한다.
자동차는 전세계적으로 수출품으로 외국 기준에 만족시키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의미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체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TPEE) 중량비 10~30,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량비 30~50, 및 상용화 수지 중량비 20~60로 구성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키되,
    상기 디올(Diol)은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어느 하나의 조성물에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를 혼합한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는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HHPA), 테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THPA) 및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HHPA)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는 2중결합이 2개인 컨쥬게이티드 다이엔(Conjugated Diene)과 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의 디엘스-엘더(Diels-Alder) 반응에 의한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400 내지 20000이고,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계 수지 대비 10 내지 8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 수지는 에틸렌과 초산비닐, 아크릴산 또는 메틸아크릴레이트중 어느 하나와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조성물.
KR1020150187309A 2015-12-28 2015-12-28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KR10181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09A KR101819723B1 (ko) 2015-12-28 2015-12-28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09A KR101819723B1 (ko) 2015-12-28 2015-12-28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90A KR20170077890A (ko) 2017-07-07
KR101819723B1 true KR101819723B1 (ko) 2018-03-02

Family

ID=5935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09A KR101819723B1 (ko) 2015-12-28 2015-12-28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447B1 (ko) 2017-06-20 2020-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전지 및 흐름 전지, 고분자 전해질막용 조성물, 및 고분자 전해질막의 제조방법
KR102468934B1 (ko) * 2017-11-30 2022-11-21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CN109609066B (zh) * 2018-12-13 2020-11-20 河北金天塑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塑钢缠绕排水管的热熔胶及其制备方法
KR102649253B1 (ko) * 2023-05-02 2024-03-22 주식회사 조아라그룹 미싱을 대체하여 핫멜트 접착제로 부착된 현수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398B2 (ja) 1996-08-12 2001-05-14 エーエムエス インベンタ アーゲー コ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系ホットメルト材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2173654A (ja) * 2000-12-05 2002-06-21 Taoka Chem Co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100964051B1 (ko) * 2005-05-19 2010-06-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재용 적층 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5398B2 (ja) 1996-08-12 2001-05-14 エーエムエス インベンタ アーゲー コ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系ホットメルト材料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2173654A (ja) * 2000-12-05 2002-06-21 Taoka Chem Co Ltd ホットメルト接着剤組成物
KR100964051B1 (ko) * 2005-05-19 2010-06-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재용 적층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90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723B1 (ko)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KR101881006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9347A (ko)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186755B1 (ko) 고제진성 수지 조성물
KR102394168B1 (ko) 투명성과 충격강도가 우수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조성물
KR20160116937A (ko)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 조성물
KR101948860B1 (ko) 폴리에스테르 발포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천정재
KR20170077891A (ko) 내한굴곡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핫멜트접착필름
KR102289472B1 (ko) 무수당 알코올 유도체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6140B1 (ko)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20190129545A (ko)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20210037259A (ko) 저융점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0947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 조성물
KR101464597B1 (ko) 내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0374A (ko)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KR102658068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JP2015164983A (ja) 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102299796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JP2014047222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KR20130078537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이를 이용한 바인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63591A1 (en) Multilayer polymeric cushion films for foldable displays
KR101433898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그 제조방법
KR101892534B1 (ko) Fbpe를 포함하는 pet-pen 공중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41749B1 (ko)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43374B1 (ko) 친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