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374A -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 Google Patents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374A
KR20180120374A KR1020170054196A KR20170054196A KR20180120374A KR 20180120374 A KR20180120374 A KR 20180120374A KR 1020170054196 A KR1020170054196 A KR 1020170054196A KR 20170054196 A KR20170054196 A KR 20170054196A KR 20180120374 A KR20180120374 A KR 20180120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elasticity
based composite
composite fib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원
강병호
황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7005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0374A/ko
Publication of KR2018012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37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3D15/08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부와 시스부로 형성되는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가 축중합되어 형성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되, 상기 하드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O)의 디올 성분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의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올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Heat adhesive Polyester conjugated fiber with exellent elasticity and softener, and Fabr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에 관한 것으로 열접착 후에도 높은 탄성과 우수한 유연성을 갖는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열접착형 복합섬유는 열풍등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융착에 의하여 부직포 등 다양한 형태의 원단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재로 고융점을 갖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제1성분으로 하여 코어(core)를 형성하고,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성분이 축중합된 저융점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2성분으로 하여 시스(sheath)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융점이 서로 다른 상기 2 성분 열접착형 복합섬유는 코어-시스 형태뿐만 아니라, 병렬형태, 분할형태 등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가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열접착형 복합섬유의 시스를 형성하는 저융점의 열융착성을 가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공중합 성분으로 이소프탈산을 사용하여 테레프탈산과 공중합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으로 미국 등록특허 제4,129,675호는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등록특허 제4,065,439호는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아디핀산(또는 세바신산) 및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여 얻어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1548호는 테레프탈산과 무수프탈산의 디카르본산 성분 및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렌글리콜의 디올성분을 축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 후 황변형상을 일으키지 않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용 바인더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열접착 복합섬유는 시스부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융착 후 원단이 경직되어 원단의 촉감 및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로 사용용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사용하여 열을 통한 융착 후에도 원단의 촉감과 유연성이 저하되지 않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코어부와 시스부로 형성되는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가 축중합되어 형성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되, 상기 하드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O)의 디올 성분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의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올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탄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은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보다 50℃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10~70중량%, 상기 하드 세그먼트 30~90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시스부가 저융점으로 열융착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탄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열융착 후에도 촉감 및 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로 촉감 및 유연성이 우수한 원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코어부와 시스부로 형성되는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코어부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상기 비탄성 폴리에스테르는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융점이 약 250~300℃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로 형성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으며, 염색성, 물성 등이 개선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가 축중합되어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하드 세그먼트 원료인 디올(Diol)과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고 그 반응물에 소프트 세그먼트의 원료인 폴리올(Polyol)을 축중합시켜 형성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와 에틸렌글리콜(EG)와의 반응에 의한 에스테르교환법(DMT법) 또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EG)의 반응에 의한 직접 에스테르화법(TPA법)에 의한 비스-히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BHET)) 및 BHET의 저분자량의 축합물을 합성하고 에틸렌글리콜(EG)를 제거하면서 용융, 축합중합시킴으로써 분자쇄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먼저 에스테르교환법(DMT법)은 상기 디올(Diol)은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 폴리에스터계 탄성접착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에스테르화 반응인 직접 에스테르화법(TPA법)은 상기 에스테르교환법(DMT법)에서 디올(Diol)은 에틸렌글리콜(EG) 또는, 에틸렌글리콜(EG)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은 테레프탈산(TPA) 또는, 테레프탈산(TPA)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 혼합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는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THPA), 메틸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MeHHPA), 테라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THPA) 및 헥사하이드로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HHPA)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한 혼합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Polyol)은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 중 언하이드라이(anhydride)수지를 에스테르화 반응의 출발물질로 바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중결합이 2개인 컨쥬게이티드 다이엔(Conjugated Diene)과 말레익 언하이드라이드(Maleic anhydride)의 디엘스-엘더(Diels-Alder) 반응을 통한 생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화합물로 축중합되는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소프트 세그먼트는 10~70중량%, 상기 하드 세그먼트 30~90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융점은 분자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고유점도(IV)가 약 1.2~1.8이며, 융점이 160~200℃로 조절하여 저융점 특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코어부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로, 상기 시스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코어부와 시스부가 중량비 20:80~80:20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및 유연성을 위해 중량비 30~50:50~70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코어부인 비탄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은 상기 시스부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보다 50℃이상 높도록 형성하여 공정성 및 사용성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는 시스부를 형성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탄성에 의해 융착 후에도 원단의 촉감, 탄성, 유연성을 저해하지 않는 특성으로 직물, 편물, 부직포 등의 원단으로 형성시에 원단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코어부는 융점이 약 27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스부는 융점이 약 182℃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복합방사를 통해 본 발명의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 1,3-프로판디올(MPO)을 디올로,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를 디카르본산으로 사용하였으며, 소프트세그먼트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상기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를 다르게 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
코어부는 융점이 약 27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스부는 이소프탈산을 사용한 융점이 약 180℃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를 다르게 하여 비교예 1 내지 3의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는 표 1에 나타내었다.
1. 실시예 및 비교예 평가 방법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융착 복합섬유의 강도와 신도를 측정하였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융착 복합섬유와 일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중량비 1:9로 혼합 및 열융착을 통해 부직포로 제조한 후 촉감, 탄성, 유연성에 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강도 및 신도는 ASTM D 3822의 실험방법으로 측정
* 수율: 1등급 생산량/전체 생산량*100(중량기준)
* 촉감, 탄성, 유연성 관능 평가: 5명의 전문가에 의한 상대적인 관능평가 실시(매우우수(◎), 우수(○), 보통(△), 나쁨(X), 매우나쁨(XX))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시스:코어
중량비
30:70 40:60 50:50 70:30 10:90 40:60 50:50
강도
(g/d)
4.35 4.12 3.97 3.65 4.42 4.32 4.18
신도
(%)
45.1 40.8 38.9 38.8 32.8 33.9 34.1
수율 85 95 98 90 60 95 95
촉감 × ×
탄성 × ×
유연성 ×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부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한 본 발명의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촉감, 탄성, 유연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탄성을 갖는 시스부가 융착 후에도 탄성이 유지되어 촉감, 유연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 30~50:50~70인 실시예 3,4에서 가장 우수한 촉감, 탄성, 유연성을 가지는 것으로 코어부와 시스부의 중량비가 30~50:50~7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Claims (4)

  1. 코어부와 시스부로 형성되는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가 축중합되어 형성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되되,
    상기 하드 세그먼트는 1,4-부탄디올(1,4-BD) 또는 1,4-부탄디올(1,4-BD)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O)의 디올 성분과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 및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수지의 디카르본산(Dicarbonic acid)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올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은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보다 50℃이상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10~70중량%, 상기 하드 세그먼트 30~90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KR1020170054196A 2017-04-27 2017-04-27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KR20180120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96A KR20180120374A (ko) 2017-04-27 2017-04-27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196A KR20180120374A (ko) 2017-04-27 2017-04-27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374A true KR20180120374A (ko) 2018-11-06

Family

ID=6432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196A KR20180120374A (ko) 2017-04-27 2017-04-27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03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245B1 (ko) * 2019-06-21 2020-11-26 주식회사 휴비스 밀착성이 우수한 혼섬부직포
KR20220140190A (ko) * 2021-04-09 2022-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반발탄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245B1 (ko) * 2019-06-21 2020-11-26 주식회사 휴비스 밀착성이 우수한 혼섬부직포
WO2020256317A1 (ko) * 2019-06-21 2020-12-24 주식회사 휴비스 밀착성이 우수한 혼섬부직포
KR20220140190A (ko) * 2021-04-09 2022-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반발탄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섬유집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9347A (ko)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저융점(lm)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276099B1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KR20180120374A (ko) 탄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열접착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원단
KR101819723B1 (ko)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KR101843448B1 (ko) 내한굴곡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핫멜트접착필름
KR101948860B1 (ko) 폴리에스테르 발포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천정재
KR20190124953A (ko) 위생재 부직포용 소프트 열접착 복합섬유
KR101317766B1 (ko)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3749601B2 (ja) ブロック共重合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9368A (ko) 결정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이를 이용한 바인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65646A (ko)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464597B1 (ko) 내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1878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190129544A (ko)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핫멜트 접착 파우더
KR100476278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KR101274540B1 (ko) 탄성회복률을 가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1727B1 (ko) 탄성회복률을 가지는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1294B1 (ko) 열접착성 섬유 및 열접착성 섬유 복합체
KR101201390B1 (ko) 블록 공중합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0908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JP3078644B2 (ja) ポリエステル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法
KR20160029291A (ko) 촉감과 색상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0392891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KR102003891B1 (ko) 유연성이 향상된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함유하는 원단
KR20120054767A (ko) 열접착 생분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인더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