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140B1 -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 Google Patents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140B1
KR101856140B1 KR1020160155865A KR20160155865A KR101856140B1 KR 101856140 B1 KR101856140 B1 KR 101856140B1 KR 1020160155865 A KR1020160155865 A KR 1020160155865A KR 20160155865 A KR20160155865 A KR 20160155865A KR 101856140 B1 KR101856140 B1 KR 10185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hardness
polyester resin
melting point
low melting
point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환
함진수
김춘기
류승우
최재민
선우예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60155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3/91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9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형성되는 고경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ylteraphthalate, DMT),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IPA)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본산과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BG) 및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H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인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Low melting Polyester resin having a high hardness}
본 발명은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관한 것으로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가능하고 경도가 높아 필름용으로 적합한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관한 것이다.
의류나 직물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옷의 외형을 살리는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부자재이며 사용목적은 이형 직물의 접합 및 제조 공정의 단축, 완성품의 균일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있다. 의류의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글리터(Glitter)와 의류의 접착에 적합한 접착필름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저온접착성 및 고경도를 가지기 때문에 글리터에 사용되는 열전사 필름의 패터닝시 커팅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접착필름의 활용 가능성이 떠오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8713호에서는 최저온도 110℃에서도 저온 접착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제1 접착층과 아로마틱(Aromatic) 베이스의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제2 접착층을 가지도록 구성된 저융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소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8885호에서는 핫멜트 접착필름층 사이에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서 접착시에도 접착체층에서 접착계면의 파괴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피착제들 간의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필름에 대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에서 적용하고 있는 접착필름이나 접착제 구성은 그 성분이 대부분 접착필름인 핫멜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이기 때문에, Plotter Cutter로 커팅이 안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고가의 장비인 레이저 커터로 잘라야 하며 이때 타거나 황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일반적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융점보다 30℃ 낮은 온도에서 접착성을 가지며, 높은 경도를 가지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낮은 온도에서 성형이 가능하고 경도가 우수하여 필름용에 적합한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함유하여 제조공정이 용이하고 Plotter Cutter를 사용할 수 있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형성되는 고경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ylteraphthalate, DMT),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IPA)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본산과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BG) 및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H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는 80~99몰%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1~20몰%의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본산과 20~80몰%의 부틸렌글리콜(BG), 20~80몰%의 헥실렌글리콜(H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은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량의 1~25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Shore D가 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용융온도(Tm)가 80 내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점도(IV)가 0.6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융점이 낮으며, 융점 조절이 용이하고 Shore D가 50 이상인 고경도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은 기존 폴리우레탄 소재 보다 우수한 저온접착성으로 의류용 글리터 용도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Plotter Cutter를 이용한 커팅성이 우수하고, 저온에서의 작업으로 인한 작업 공정속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접착력 평가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형성되는 고경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ylteraphthalate, DMT),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IPA)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본산과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BG) 및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H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올(Polyol)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고경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탄성력이 우수한 엘라스토머 수지이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는 80~99몰%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1~20몰%의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본산과 20~80몰%의 부틸렌글리콜(BG), 20~80몰%의 헥실렌글리콜(H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디카르본산과 디올은 몰비 0.8:1.0~1.0:1.5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은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량의 1~2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종래의 폴리에스테르는 융점 조절을 위해 아디핀산, 숙신산 등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공중합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이소프탈산(IPA)를 디카르본산 성분으로 부틸렌글리콜(BG) 및 헥실렌글리콜(HG)을 디올 성분으로 사용하여 탄성특성과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최종 제품의 접착 공정에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융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디올 성분 중에서 헥실렌글리콜(HG)의 함량에 따라 융점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헥실렌 글리콜의 함량비가 1몰% 증가함에 따라 수지의 융점이 1.625℃씩 저하되며, 제조되는 폴리에스르 수지의 융점과 헥실렌글리콜의 융점의 관계식은 하기와 같은 방정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관계식>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 변화(℃) = - 1.625 × 헥실렌글리콜의 몰%
( 0 ≤ 헥실렌 글리콜 조성 몰% ≤ 65 )
상기 헥실렌글리콜(HG)의 함유량이 65몰% 이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의 융점 조절효과가 없어진다.
또한, 디카르본산 성분 중 상기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의 함량비에 따라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머의 물리적 특성과 탄성특성을 유지하며 융점을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량이 30몰%를 초과하는 경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융점이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는 20몰%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올(Polyol)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드 세그먼트의 디올성분으로 사용되는 부틸렌글리콜(BG) 및 헥실렌글리콜(HG)과 함께 공중합 비율을 조정하여 물리적 특성과 탄성특성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융점을 가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은 수평균 분자량이 400~20,000 범위가 바람직하며, 상기 분자량 범위내에서 분자량이 상이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 부틸렌글리콜(BG) 및 헥실렌글리콜(HG)와 소프트 세그먼트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TMG)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에스테르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물에 중합촉매, 열안정제, 광안정제 등과 함께 투입하여 축중합하는 축중합 단계로 제조된다.
상기 에스테르화 단계는 본 발명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하드 세그먼트를 형성하도록 디카르본산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와 디올의 부틸렌글리콜(BG) 및 헥실렌글리콜(HG)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하드 세그먼트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이소프탈산(IPA) 또는 그 유도체, 부틸렌글리콜(BG) 및 헥실렌글리콜(HG), 소프트세그먼트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을 에스테르화 반응촉매와 함께 내열·내압 용기에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반응을 하여 올리고머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의 디카르본산과 디올은 몰비 1:1로 합성되는 것이나 반응의 안정성과 속도를 높이기 위해 디카르본산과 디올은 몰비 1:1.2~1.5로 디올성분이 과량으로 함유된 상태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에스테르화 단계에서 촉매로는 초산아연, 초산소듐, 초산마그네슘 등의 초산계 촉매와 테트라노말부톡시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티탄옥사이드/실리카옥사이드마이크로코폴리머, 나노티타네이트등의 티타늄계 촉매를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단계에서 촉매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1000ppm 범위로 투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700 ppm 범위이다.
상기 촉매의 투입량이 부족할 경우 에스테르화 반응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며, 과할 경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열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부산물로 생성되는 메탄올을 증류하기 위해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이 진행되는 내열·내압 용기의 반응온도는 150~2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축중합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머 용액과 소프트세그먼트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축중합 촉매, 열안정제, 광산화 안정제와 함께 진공감압이 가능한 내압·내열 반응기에 투입한 후 760~1 Torr의 압력 및 200~270℃의 온도에서 과량의 부틸렌글리콜(BG) 및 헥실렌글리콜(HG)을 증류한 후, 최종 진공도 1mmHg 이하의 고진공하에서 축중합을 완료하여 본 발명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축중합 단계에 사용되는 촉매로는 삼산화안티몬, 안티몬 아세테이트 등의 안티몬계 촉매 또는 테트라노말부톡시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티탄옥사이드/실리카옥사이드마이크로코폴리머, 나노티타네이트 등의 티타늄(Ti)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중합 촉매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0~2000ppm 범위로 투입되며, 바람직하게는 300~1200ppm 범위이다.
상기 축중합 단계에서 촉매의 투입량이 부족할 경우 축중합 반응속도가 느려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과할 경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열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Shore D가 50이상으로 고경도 특성을 가지면서, 용융온도(Tm)가 80 내지 130℃로 저융점 특성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점도(IV)가 0.6 내지 1.2로 다양한 형태의 사출 성형물, 필름 성형물의 원료로 사용이 적합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카르본산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13.2kg, 이소프탈산 2.0kg, 디올성분으로 부틸렌글리콜(BG) 6.8kg, 헥실렌글리콜(HG) 2.6kg,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7.5 kg 및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로 테트라노말부톡시티타네이트 9g을 교반이 가능한 내열·내압 100리터 반응기에 첨가한 후, 초기 130℃로 가열, 교반하여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가 디올 성분에 용융, 용해되는 것을 확인한다.
상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가 용융, 용해됨을 확인 후, 서서히 가열하여 반응기의 내온이 205℃ 되도록 가열, 교반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키며 부생성물로 발생하는 메탄올을 반응기 밖으로 증류, 제거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올리고머 용액을 진공 감압·교반이 가능한 내열·내압 100 리터 반응기에 첨가한 후, 열안정제(Song 1330) 125g, 광안정제(UV 70) 125g, 축중합 촉매로 테트라노말부톡시티타네이트 20g을 첨가한다.
축중합 반응초기 서서히 감압 및 가열을 진행하여 최종온도 250℃, 최종 진공도 1 mmHg 이하의 고진공하에서 축중합을 완료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합물 및 화합물의 몰%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이소프탈산(IPA) 부틸렌글리콜(BG) 헥실렌글리콜(HG),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의 함량을 다르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내지 5에서 사용된 화합물 및 화합물의 몰%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디카르본산에 아디핀산(Adipic Acid, AA), 숙신산(succinic acid, SA)을 사용하였으며, 디올성분의 함량을 달리하여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화합물 및 화합물의 몰%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일반적인 필름용 폴리우레탄소재를 구입하여 접착력 및 필름 커팅성, 물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하드 세그먼트 디카르본산 DMT(mol%) 85 80 80 85 90 46 51 100
IPA(mol%) 15 20 20 15 10 29 40 -
AA(mol%) - - - - - 25 - -
SA(mol%) - - - - - - 9 -
디올
BG(mol%) 77 50 40 40 29 100 100 50
HG(mol%) 23 50 60 60 71 - - 50
소프트
세그먼트
PTMG(중량%) 10 10 10 10 10 - - 51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한 융점, 고유점도, 경도, 접착력을 측정평가하였다.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비교예 4는 일반적인 필름용 폴리우레탄소재를 구입하여 측정하였다.
◎ 융점: 열시차주사열량계(Perkin Elmer, DSC-Diamo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열 흡수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융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적 열특성 측정기(Perkin Elmer, DMA-7; TMA 모드)를 이용하여 연화거동을 측정하였다.
◎ 고유점도(IV):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중량비 50/50)에 녹여 0.5중량% 용액을 만든 후, 우베로드 점도계로 35℃에서 측정하였다.
◎ 접착력 :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필름형상으로 시료를 제조하고, 도 1에서와 같이 원단(기재) 사이에 시료를 넣고 Hot Press에서 일정 압력 및 온도를 부여하여 열 접착한 후 ASTM D 882(Tensile Testing of Thin Plastic Sheeting) 측정방법으로 시료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 경도(Shore D) : 은박 페트리디쉬에 커팅된 고분자 칩을 담아 진공오븐에서 150℃, 24시간동안 건조 후 용융된 고분자를 4시간동안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ASTM D 2240 측정방법으로 Handpi사의 Shore D Durometer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 필름 커팅 : 글리터 시트 제조 후 Mimaki 사의 Mimaki-Holder 제품을 이용하여 커팅시 수월하게 한번에 잘리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 결정화시간 : 열시차주사열량계(Perkin Elmer, DSC-Diamo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70℃, 1시간동안 Isothermal 조건으로 열 흡수 결정화 Peak 시간을 측정하였다.
구분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물성 IV dl/g 0.987 1.11 1.007 1.161 1.172 0.771 0.797 1.804
TM(DSC) 106 106 89 101 106 115 130 104 105
결정화시간 70℃,min 9.7 15.5 16.4 12.5 1.3 21.5 28.8 13.2 38.4
경도 Shore D 54 51 56 54 65 45 48 18 35
접착력
(kgf/in)
80℃ X X X X X X X X X
90℃ X X 0.5 X X X X 0.4 X
100℃ X X 1.8 2.1 X X X 2 X
110℃ 4.1 3.4 3.6 3.7 3.1 X X 4.1 3.2
120℃ 5.7 4.4 4.4 4.8 3.9 1.2 0.8 5.9 4.3
필름 커팅 Plotter Cutting - X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과 비교예 1 내지 3의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시간 비교를 통해 헥실렌글리콜(HG)이 존재함으로써 결정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4의 필름제조 후 Plotter Cutter 커팅성 비교를 통해 우레탄 소재는 커팅이 되지 않는 반면 본 발명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제조된 필름은 Plotter Cutter로 커팅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과 비교예 3의 비교를 통해 소프트 세그먼트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중량%가 줄어들면 경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비교예 4의 폴리우레탄 소재대비 20℃ 낮은 온도인 90℃에서 열접착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헥실렌글리콜(HG)의 함량비가 1몰% 증가함에 따라 수지의 융점이 1.625℃씩 저하됨을 확인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고경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탄성 특성과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최종 제품의 성형공정에서 다양하게 요구되는 융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7)

  1.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로 형성되는 고경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하드 세그먼트로는 80~99몰%의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ylteraphthalate, DMT), 1~20몰%의 이소프탈산(Isophthalic aicd, IPA) 또는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디카르본산과 20~80몰%의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BG), 20~80몰%의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H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olytetramethyleneglycol, PTMG)로 형성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Shore D가 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은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량의 1~25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용융온도(Tm)가 80 내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점도(IV)가 0.6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7.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160155865A 2016-11-22 2016-11-22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10185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65A KR101856140B1 (ko) 2016-11-22 2016-11-22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65A KR101856140B1 (ko) 2016-11-22 2016-11-22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140B1 true KR101856140B1 (ko) 2018-05-09

Family

ID=6220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865A KR101856140B1 (ko) 2016-11-22 2016-11-22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1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45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20190129544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핫멜트 접착 파우더
KR20210044126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576A (ja) * 2009-06-15 2010-12-24 Ichikin: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3513692A (ja) 2009-12-11 2013-04-22 インビ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コ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
KR101457519B1 (ko) * 2012-12-07 2014-11-03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576A (ja) * 2009-06-15 2010-12-24 Ichikin: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3513692A (ja) 2009-12-11 2013-04-22 インビスタ テクノロジーズ エス エイ アール エル コ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
KR101457519B1 (ko) * 2012-12-07 2014-11-03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545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20190129544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핫멜트 접착 파우더
KR102115535B1 (ko) * 2018-05-11 2020-05-27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접착파우더를 이용한 자동차 천장재 및 제조방법
KR102144063B1 (ko) * 2018-05-11 2020-08-1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에스테르계 저온 핫멜트 접착 파우더
KR20210044126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KR102299796B1 (ko) * 2019-10-14 2021-09-09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140B1 (ko)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101372581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KR20190107562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23973A (ko) 투명 생분해성 고분자
KR102009473B1 (ko)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 조성물
KR10177117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1879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464597B1 (ko) 내열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6141B1 (ko) 신축성을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20210037259A (ko) 저융점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297963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제품
KR101551633B1 (ko)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제조 방법
KR102276227B1 (ko)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31878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433898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그 제조방법
KR101883819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3474A (ko) 내열성 고강력 폴리에스테르 중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원사
KR20160116936A (ko)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계 탄성접착수지 조성물
KR20160146076A (ko) 아이소소르바이드와 네오펜틸글리콜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2247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8990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36819B (zh) 一种高可加工性对苯二甲酸共聚酯及其制备方法
KR101873524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접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웹
KR20180062606A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KR102479934B1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