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519B1 -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 Google Patents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519B1
KR101457519B1 KR1020120142047A KR20120142047A KR101457519B1 KR 101457519 B1 KR101457519 B1 KR 101457519B1 KR 1020120142047 A KR1020120142047 A KR 1020120142047A KR 20120142047 A KR20120142047 A KR 20120142047A KR 101457519 B1 KR101457519 B1 KR 10145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acid
elastic
polyester
elastic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971A (ko
Inventor
김영범
김효석
김도현
조용구
위다연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5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있어서, 일면에 산과 골이 형성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탄성부직포와, 2개의 상기 탄성 부직포는 산과 골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의 하중에 강하고 어느 방향이나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우수한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A CUSHION USING ELASTIC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 수직방향으로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우수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쿠션재는 이불, 침대 매트리스 등의 참장용, 자동차, 건설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쿠션재는 사용 목적에 따라 원료, 제법, 가공방법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폭넓게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쿠션재는 대부분 부직포로 제조되는데 이러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와 레귤러 섬유(Regular fiber)를 혼면(Mixing)한 후 카딩(Carding) 공정으로 얇은 시트상 웹(Web)을 만들고 크로스 레이(Cross-lay)설비로 여러층으로 중첩시킨 후, 니들펀칭(Needle punching) 공정을 통해 섬유들을 교락시키고 고온의 열풍으로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를 용해시켜 섬유 사이를 접착시키는 방법으로 부직포가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쿠션재용 부직포에 대한 기술은 현재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많은 기업이나 연구기관에서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08340호의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는 10 ~ 70중량%, 실리콘이 60% 첨가된 오일로 표면 처리한 폴리에스터 콘쥬게이트 화이버(polyester conjugate fiber) 10 ~ 70중량%, 저융점 열융착 바인더 화이버 10 ~ 70중량% 및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스티렌의 심초형 복합 융착 화이버 10 ~ 70중량%로 구성되어지되 각각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카딩하여 단층 또는 다층으로 웹(web)을 적층한 다음, 적층된 웹을 미늘(barb)이 있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니들 펀칭하는 방법으로 결합하여 시트(sheet)를 형성하고, 시트를 건조로(dry box)와 가열 로울러에 통과시켜 융착 결합시킨 쿠션재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웹을 적층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쿠션재는 섬유들이 수평방향으로 평향하게 배향되어 있어 수직방향에 대한 반발성이 낮고, 상하로부터 압력에 약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일본회사인 데이진(Teijin)에서는 섬유가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쿠션재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부직포를 버티컬랩(Vertical-Lap) 부직포라고 칭하고 있다.
상기의 버티컬랩(Vertical-Lap) 부직포는 각종 섬유배합을 웹으로 형성한 후 V-Lap 설비를 이용하여 섬유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시키는 방식으로 기존 부직포의 경우, 부직포 단면방향에서 섬유들이 평행하게(수평방향) 배향되어 있는 것과 달리 버티컬랩(Vertical-Lap) 부직포는 두께방향(수직방향)으로 섬유가 배향되므로 수직방향으로 지속적인 하중이 부여되는 용도에서는 보다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버티컬랩(Vertical-Lap) 부직포는 구조상 수직방향에서의 하중에 강하나, 측면 또는 비스듬한 방향에서의 하중에 의해서는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섬유들이 쉽게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수직방향에 대한 반발성이 우수하고 탄성회복력이 좋은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의 하중에 강하고 어느 방향이나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우수한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있어서, 일면에 산과 골이 형성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탄성부직포와, 2개의 상기 탄성 부직포는 산과 골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직포는, 고유점도 0.50~0.69 dl/g, 섬도 2~2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50~80중량%와, 고유점도 1.0 내지 1.7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고유점도 0.50~0.80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탄성복합섬유 10~40중량%와, 융점 100~180℃, 섬도 2~6 데니어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10~20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탄성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직포는, 고유점도 0.50~0.69 dl/g, 섬도 2~2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50~85중량%와, 융점 120~180℃ 고유점도 1.0~1.7 dl/g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고유점도 0.50~0.80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도 5~8 데니어(denier)의 저융점 탄성복합섬유 15~5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산성분과 디올성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산성분이 70~90몰%의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0~30몰%의 이소프탈산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디올성분이 80~95몰%의 1,4-부탄디올, 5~20몰%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의 혼합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시스-코어형, 편심 시스-코어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 및 골은 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 및 골은 사각형 중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의 높이 및 골의 깊이는 0.3~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의 폭 및 골의 폭은 0.3~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산은 인치(inch)당 3~10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2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재에 사용되는 복합섬유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원형의 편심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섬유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와 다른 비교예 쿠션재 단면이다.
본 발명은 수평, 수직방향의 하중에 강하고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우수한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면에 산 110과 골 130로 형성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탄성부직포 100와 상기 요철이 형성된 탄성부직포 2개를 산 110과 골 130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형성된 탄성복합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고유점도 0.50~0.69 dl/g, 섬도 2~2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복합섬유는 고유점도 1.0~1.7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고유점도 0.50~0.80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공중합을 통해 탄성력을 높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를 1.0~1.7dl/g로 조절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 0.50~0.80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제조 및 판매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융점 100~180℃, 섬도 2~6 데니어, 섬유장 22~64㎜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 제조, 판매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외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50~80중량%, 탄성복합섬유 10~40중량%,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10~20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형성된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는 융점 120~180℃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로 저온에서도 섬유간 접착을 하여 형태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기존의 250~280℃ 정도의 일반 폴리에스테르보다 저온에서 열처리를 해도 그와 유사한 물성을 갖게 되고, 저온 열처리가 가능하여 추후 융착을 위한 열처리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융점이 120℃ 미만인 경우, 제품으로 제조 시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180℃를 초과하면 열처리 비용 절감의 효과가 없다.
상기 융점 120~180℃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중합 단량체의 말단에 -COOH 또는 -COOR(상기에서, R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아릴알킬기이다)를 가지는 테레프탈릭산(TPA), 이소프탈릭산(IPA),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MT),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MI)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산성분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G), 1,4-부탄디올(1,4-BD), 에틸렌글리콜(EG)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올성분을 중합시켜서 이루어지며, 가열가압에 의한 열융착성을 가짐과 동시에 높은 탄성회복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를 구성하는 산성분은 70 내지 90몰%의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0 내지 30몰%의 이소프탈산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디올성분은 80 내지 95몰%의 1,4-부탄디올, 5 내지 20몰%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및 에틸렌글리콜(EG)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를 구성하는 산 성분에서 이소프탈산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함량이 20몰% 미만으로 되는 경우, 엘라스토머의 융점이 상승하여 일반적인 부직포 열처리 공정조건(180~190℃, 10~20분) 하에서 파이버간의 접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부직포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몰%를 초과하는 경우, 엘라스토머의 융점이 너무 낮아져 고온의 부직포 제조 공정 중 열화 발생 가능성이 높고 엘라스토머 내 비결정영역의 비중이 높아 낮은 Tg로 인해 상온에서의 변형 가능성 및 보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올 성분에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의 함량이 5몰%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엘라스토머 내 하드세그먼트의 비중이 높아 복합섬유의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몰%를 초과하는 경우, 복합섬유의 강도가 저하되어 부직포 후공정성 및 형태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성복합섬유 및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는 이성분으로 구성되어 섬유 단면 형상 및 폴리머의 고유점도 차이 또는 후속하는 열처리 공정 조건에 의하여 복합섬유에 권축이 형성되는 잠재권축성 발현으로 스테이플 파이버 상태에서 구조적인 탄성을 갖게 되며, 이 외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하드세그먼트와 소프트세그먼트의 구조에 의한 화학구조적인 탄성 및 탄성회복율을 발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로 탄성 부직포를 형성할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50~85중량%와 저융점 탄성복합섬유 15~50 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탄성복합섬유 및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는 그 형태가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시스-코어형, 편심 시스-코어형 일 수 있으나 섬유의 물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 시스-코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섬유를 시스-코어형으로 형성시 코어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형성되고 시스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복합섬유를 도 2의 편심 시스-코어형으로 형성시에는 시스(A)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형성되고 코어(B)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탄성복합섬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형성되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와,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로 형성되는 탄성 부직포의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사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난연사를 더 포함시킬 경우에는 난연성 부여를 위해 탄성 부직포의 전체 중량의 3~15% 첨가시키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탄성 부직포 100의 일면에 산 110과 골 130의 요철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산 110 및 골 130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 110 및 골 130의 형태에 따라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달라지므로,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의 하중에 가장 안정적인 저항성을 위해 상기 산 110 및 골 130의 형태는 도 1과 같이 사각형 중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산 110의 높이 및 골 130의 깊이는 제조하려는 쿠션의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산의 높이(h) 및 골의 깊이는 0.3~1.5㎝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산의 폭(w) 및 골의 폭 역시 산의 높이 및 골의 깊이와 같이 0.3~1.5㎝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산 및 골의 폭의 길이는 상기 산 및 골의 형상이 사다리꼴이나 삼각형의 경우에는 가장 넓은 폭의 길이이다.
상기 산의 개수가 너무 많으면 탄성 부직포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제조시 불량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산의 개수가 너무 적으며,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의 하중에 저항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탄성부직포 일면에 적정한 산의 개수를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요철의 산 110은 인치(inch)당 3~10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직포에 산과 골의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방법으로는 형성시키려는 요철의 형태와 동일한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고, 열과 압력을 통해 탄성 부직포에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는 형성시키려는 요철의 형태를 갖는 롤러를 이용하여 캘링더링(calendering) 공정을 통해 탄성 부직포에 산과 골을 갖는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는 수직방향의 하중에 대해 결합된 요철에 의해 저항력을 가지며, 수평방향의 하중에 대해 중첩된 2개의 탄성 부직포에 의해 저항력을 가지게 되어 수평, 수직방향의 하중에 강하고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산과 골을 갖는 요철이 형성된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2이상의 다층으로 적층시켜 다양한 쿠션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는 산과 골을 갖는 요철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에 대해 모두 탄성력 및 탄성회복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탄성 부직포를 요철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을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공정을 단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쿠션재에 사용되는 복합섬유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원형의 편심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섬유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와 다른 비교예 쿠션재 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를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고유점도 0.65 dl/g, 섬도 6데이어인 비탄성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권축섬유(섬유 A) 60중량%와 섬도 5.5 데니어, 강도 3.5g/d, 신도 70%, 수축율 5%, 섬유장 64mm인 고유점도 1.5이며 융점 150℃ 인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고유점도 0.6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편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의 탄성복합섬유(Elastic Fiber, 섬유 B) 40중량%, 혼합하고 카딩 공정을 거쳐 탄성 부직포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탄성부직포를 산 높이가 0.7 cm, 산의 폭이 0.7㎝이고, 산의 개수가 7개/inch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벨트를 190℃의 온도로 5분간 열처리 통과시켜 상하로 요철을 지닌 본 발명의 탄성 부직포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탄성 부직포를 도 1과 같이 탄성 부직포의 요철이 산과 골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하여 본 발명의 쿠션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동일한 원료 구성으로 카딩 후 산이 없는 컨베이어 벨트에 190℃의 온도로 5분간 열처리 통과시켜 상하요철이 없는 일반 부직포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요철이 형성된 탄성 부직포와 위에서 제조된 일반부직포를 도 3과 같이 적층시켜 쿠션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일반 부직포를 도 4와 같이 적층시켜 쿠션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쿠션재의 반발탄성율, 압축변형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측정방법
1) 반발탄성(Ball Rebound)율
: 일정한 높이에서 Foam pad에 쇠구슬을 떨어뜨려 반발되어 튀어오르는 높이를 측정 (JIS K-6301, 단위: %)
: 시험편은 한 변 길이 50 mm 이상 및 두께 50 mm 이상의 정사각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무게 16g, 지름 16mm의 강철 볼을 500mm의 높이에서 시험편에 낙하시켜 최대 반발 높이를 측정한 후, 3개의 시험편 각각에서 1분 이내 연속으로 최소 3회 이상의 반발값을 측정하여 중앙값을 반발탄성값(%)으로 하였다.
2) 영구압축변형율(Compression Set)
: 폼 패드를 일정한 비율로 압축하여 일정한 온도 및 습도에서 일정시간 보관한 후 변형된 높이를 측정 (JIS K-6301, 단위: %)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Fiber A 비탄성 PET 비탄성 PET 비탄성 PET
Fiber B 엘라스트머
탄성복합섬유
엘라스트머
탄성복합섬유
엘라스트머
탄성복합섬유
혼율(A:B) 60:40 60:40 60:40
형태 안정성 우수 불량 보통
반발탄성율(%) 69 64 62
영구압축변형율(%) 31 28 25
부직포 밀도 28 24 29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인 실시예는 비교예 보다 반발탄성율, 영구압축변형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쿠션재 : 100 탄성부직포 : 100
산 : 110 골 : 130

Claims (11)

  1.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에 있어서,
    일면에 산과 골이 형성되는 요철이 형성되는 탄성부직포와,
    2개의 상기 탄성 부직포는 산과 골이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탄성 부직포는 고유점도 0.50~0.69 dl/g, 섬도 2~2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50~85중량%와, 융점 120~180℃ 고유점도 1.0~1.7 dl/g의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와 고유점도 0.50~0.80 dl/g의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도 5~8 데니어(denier)의 저융점 탄성복합섬유 15~5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산성분과 디올성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산성분이 70~90몰%의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0~30몰%의 이소프탈산 또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고, 상기 디올성분이 80~95몰%의 1,4-부탄디올, 5~20몰%의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의 혼합물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탄성복합섬유는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시스-코어형, 편심 시스-코어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 골은 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 및 골은 사각형 중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의 높이 및 골의 깊이는 0.3~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의 폭 및 골의 폭은 0.3~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인치(inch)당 3~10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쿠션재를 2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KR1020120142047A 2012-12-07 2012-12-07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KR10145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47A KR101457519B1 (ko) 2012-12-07 2012-12-07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047A KR101457519B1 (ko) 2012-12-07 2012-12-07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71A KR20140073971A (ko) 2014-06-17
KR101457519B1 true KR101457519B1 (ko) 2014-11-03

Family

ID=5112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047A KR101457519B1 (ko) 2012-12-07 2012-12-07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5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40B1 (ko) * 2016-11-22 2018-05-09 주식회사 휴비스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101856141B1 (ko) * 2016-11-22 2018-06-20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을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20190065721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휴비스 친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20210044126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700U (ja) * 1982-06-25 1983-12-27 株式会社ホウトク 椅子等に使用するクツシヨン体
JP2003235688A (ja) * 2002-02-14 2003-08-26 Kuraray Medical Inc クッション材
JP2007125099A (ja) * 2005-11-01 2007-05-24 Toyo Tire & Rubber Co Ltd マットレス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1989A (ko) * 2010-05-03 2011-11-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탄성 쿠션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6700U (ja) * 1982-06-25 1983-12-27 株式会社ホウトク 椅子等に使用するクツシヨン体
JP2003235688A (ja) * 2002-02-14 2003-08-26 Kuraray Medical Inc クッション材
JP2007125099A (ja) * 2005-11-01 2007-05-24 Toyo Tire & Rubber Co Ltd マットレスクッショ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1989A (ko) * 2010-05-03 2011-11-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탄성 쿠션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40B1 (ko) * 2016-11-22 2018-05-09 주식회사 휴비스 고경도를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101856141B1 (ko) * 2016-11-22 2018-06-20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을 가지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20190065721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휴비스 친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102043374B1 (ko) 2017-12-04 2019-11-11 주식회사 휴비스 친수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KR20210044126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KR102299796B1 (ko) * 2019-10-14 2021-09-09 주식회사 휴비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971A (ko)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519B1 (ko)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JP2008089620A (ja) 吸音材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および繊維製品
KR101206821B1 (ko) 탄성 섬유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9074B1 (ko)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5155016B2 (ja) 吸音材用繊維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吸音材の製造方法
KR101434371B1 (ko) 복합 구조를 갖는 쿠션재
KR101515206B1 (ko) 복합 구조를 갖는 쿠션재
KR101291573B1 (ko) 고탄성 쿠션용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4370B1 (ko) 고내열성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2130B1 (ko)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433825B1 (ko) 탄성 부직포를 이용한 쿠션재
KR20140065260A (ko) 고탄성 쿠션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676226B2 (ja) 車両用クッション材
KR101446729B1 (ko) 상변화물질을 함유하는 탄성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3152598U (ja) 断熱材
KR20140076657A (ko) 열접착성이 향상된 탄성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
KR101543066B1 (ko) 저융점 접면을 지닌 수직배열 탄성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080685A (ja) マットレ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76656A (ko) 열수축률이 향상된 탄성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
KR20140075864A (ko) 열수축률이 향상된 탄성 부직포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
JP3172502U (ja) マットレス用繊維構造体およびマットレス
JP3151737U (ja) 寝具
JP2001254259A (ja) 繊維成型材
JP5638784B2 (ja) ダクト材およびダクト
KR101584503B1 (ko) 보온성과 복원력이 뛰어난 보온성 충진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