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934B1 -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934B1
KR102468934B1 KR1020170163038A KR20170163038A KR102468934B1 KR 102468934 B1 KR102468934 B1 KR 102468934B1 KR 1020170163038 A KR1020170163038 A KR 1020170163038A KR 20170163038 A KR20170163038 A KR 20170163038A KR 102468934 B1 KR102468934 B1 KR 10246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sin
ethylene
weight
alpha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902A (ko
Inventor
김경훈
장우진
윤정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9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내지 8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중량% 내지 30중량%이고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g/10분 내지 5g/10분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이고 밀도가 0.9g/mL 이하인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 중 1종 이상 5중량% 내지 20중량%;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6g/10분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중량%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RESIN COMPOSITION FOR PREPARING SHEET AND SHEET PREPA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후 변화에 따라 강수량의 변화도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물, 사회 기반 시설(터널, 상/하수도 구조물 등)의 방수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이 방수 특성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은 장기 내구성, 안정성이며,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방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방수 재료는 아스팔트, 시멘트, 합성 고분자계 시트, 도막, 금속판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합성 고분자계 시트는 내한성, 내수성, 내피로성이 충분히 좋으며, 온도 변화에 영향이 적고,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서 선호되는 소재이다. 매설용 방수 시트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혼합하여 제작되며,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그 구성 요소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방수 시트는 장기 특성뿐만 아니라 물성에 의한 적합 가능성을 평가해야 한다. 그 항목으로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신장율을 들 수 있다. 현재 시장에서는 터널에 매설되는 성형품을 기준으로 물성이 정해져 있으며, 이는 매설 후에 상하부에서 가해질 수 있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을 만큼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신장율은 시트의 MD(machine direction), TD(transverse direction) 양 방향에서 서로 변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하게 폴리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 목표 물성을 만족하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150637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 인열 강도 및 신장율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 가공성이 우수한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의 방향성에 따른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신장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은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내지 8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중량% 내지 30중량%이고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g/10분 내지 5g/10분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이고 밀도가 0.9g/mL 이하인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 중 1종 이상 5중량% 내지 20중량%;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6g/10분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중량% 내지 30중량%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의 공단량체로 부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녹는점이 90℃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와 에틸렌 알파올레핀 수지는 녹는점이 각각 90℃ 이하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알파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알파 올레핀 5 mol% 내지 20 mol%와 에틸렌 80 mol% 내지 95 mol%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만 내지 30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는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조성물로 성형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시트는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JIS K6301에 의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ASTM D624에 의한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JIS K6301에 의한 신장율이 80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 인열 강도 및 신장율이 우수하도록 할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접착 가공성이 우수한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시트의 방향성에 따른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신장율의 차이를 낮출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내지 8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중량% 내지 30중량%이고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g/10분 내지 5g/10분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이고 밀도가 0.9g/mL 이하인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 중 1종 이상 5중량% 내지 20중량%;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6g/10분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중량%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의 경우, 상기 시트 성형용 조성물로 성형된 시트는 시트의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JIS K6301에 의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ASTM D624에 의한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JIS K6301에 의한 신장율이 800% 이상이 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융 지수"는 ASTM D1238 기준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녹는점"은 ASTM D3418 기준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쇼어 D 경도"는 ASTM D2240 기준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경제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시트 성형품의 강도가 우수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조성물의 흐름성이 낮아서 시트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의 190℃, 하중 2.16kg에서의 용융 지수는 0.8g/10분 내지 1.4g/10분이 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밀도가 0.924g/mL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트 성형품은 유연성이 증가하여 제품 작업성이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밀도가 0.919g/mL 내지 0.923g/mL가 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50중량%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흐름성이 좋아서 시트 성형이 가능하고, 최종 제조된 시트는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신장율 800%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60중량% 내지 7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에 공단량체가 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는 부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에 비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시트를 대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시트 간 혹은 다른 소재와의 접착성이 중요하다. 접착성을 위해서는 낮은 용융점의 소재를 사용하여 접착 특성을 부여해야 한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이러한 접착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 중 10중량% 내지 30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와 조합시 접착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은 15중량% 내지 30중량%가 될 수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g/10분 내지 5g/10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용융 지수 범위에서, 조성물의 흐름성을 좋게 하여 시트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g/10분 내지 4.5g/10분이 될 수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녹는점이 90℃ 이하,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와 조합시 시트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흐름성이 좋아서 시트 성형이 가능하고, 최종 제조된 시트는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신장율 800%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10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
시트를 대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시트 간 혹은 다른 소재와의 접착성이 중요하다. 접착성을 위해서는 낮은 용융점의 소재를 사용하여 접착 특성을 부여해야 한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이러한 접착 특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이고 밀도가 0.9g/mL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용융 지수 및 밀도 범위에서, 조성물의 흐름성을 좋게 하여 시트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최종 제조된 시트는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신장율 800%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0.5g/10분 내지 2g/10분이고 밀도가 0.86g/mL 내지 0.89g/mL가 될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녹는점이 90℃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와 조합시 시트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흐름성이 좋아서 시트 성형이 가능하고, 최종 제조된 시트는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신장율 800%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5중량%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알파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알파 올레핀 5 mol% 내지 20 mol%와 에틸렌 80 mol% 내지 95 mol%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알파 올레핀 10 mol% 내지 15 mol%와 에틸렌 85 mol% 내지 90 mol%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인열 강도와 신장율의 발란스에 최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만 내지 30만, 바람직하게는 15만 내지 25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트 성형성에 최적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시킬 경우, 시트의 MD 및 TD 에서의 인장 강도 및 신장율을 만족시킬 수 있으나 동시에 인열 강도까지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인열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시트 성형용 조성물에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첨가한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6g/10분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트의 MD 및 TD 배향과 관계없이 인열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4g/10분 내지 5g/10분이 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밀도가 1.3g/mL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트의 MD 및 TD 배향과 관계없이 인열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밀도가 1.0g/mL 내지 1.3g/mL가 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쇼어 D 경도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에틸렌 알파 올레핀 수지와 조합시 시트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10중량%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트의 MD 및 TD에서의 인열 강도가 우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중 15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지방족 디올 및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로부터 용융 중합으로 제조된 수지를 고상 중합시킨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 지방족 디올 및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를 용융 중합시킨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2,6-디메틸 나프탈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디메틸 1,4-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디올은 분자량이 300 이하인 디올이고,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중합체, 에틸렌 옥사이드와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UV 안정화제, 내지문성제, 소포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트는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는 방수 시트로서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JIS K6301에 의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ASTM D624에 의한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JIS K6301에 의한 신장율 800% 이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가 24MPa 내지 34MPa, 인열 강도가 95N/mm 내지 130N/mm, 및 신장율 800% 내지 85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을 사용해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은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였고, 다이 온도 200℃ 내지 300℃, 실린더 온도는 200℃ 내지 300℃, 스크류 속도는 80rpm 내지 90rpm에서 두께 1mm 내지 4mm, 바람직하게는 1.1mm 내지 1.5mm의 두께의 시트를 제조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공단량체 부텐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용융 지수 1.1g/10분(@190℃, 하중 2.16kg), 밀도 0.921g/mL, UF613, Lotte Chemical
(A2)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공단량체 옥텐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용융 지수 0.9g/10분(@190℃, 하중 2.16kg), 밀도 0.919g/mL, FN810, SK Chemical
(B)에틸렌 알파 올레핀 수지
(B1)에틸렌 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과 옥텐의 공중합체, 용융 지수 1.0g/10분(@190℃, 하중 2.16kg), 밀도 0.870g/mL, ENGAGE 8100, Dow Chemical
(C)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비닐 아세테이트 26중량%, 용융 지수 4g/10분(@190℃, 하중 2.16kg), VS410, Lotte Chemical
(D)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폴리부테스터, 용융 지수 5g/10분(@230℃, 하중 2.16kg), 밀도 1.14g/mL, BT2140D, LG Chemical
실시예 1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65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5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70중량%, (B1)에틸렌 알파 올레핀 공중합체 10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A2)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65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5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를 단독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2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75중량%, (B1)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25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50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5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35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A2)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성형하였다.
비교예 6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B1)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30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45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5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45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20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35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A1)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88중량%, (C1)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중량%, (D1)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1중량%를 혼합하여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을 단축 압출기에 넣고, 다이 온도 220℃, 실린더 온도 280℃, 스크류 속도는 85 내지 90rpm의 조건에서 1.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트에 대해 시트의 MD, TD 양방향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 인장 강도(단위: MPa): 시트에 대해 JIS K6301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2) 인열 강도(단위: N/㎜): 시트에 대해 ASTM D624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신장율(단위: %): 시트에 대해 JIS K6301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 접착 가공성: 시트 두 장을 포개어 두고 120℃ 오븐에 15분간 넣어 접착하였다. 시트의 양 끝단을 손으로 당겼을 때 분리되는 현상에 대해 관능 평가 하였으며, 두 접착면의 분리 여부에 따라 전혀 분리되지 않는 경우 ○, 일부만 분리되는 경우 △,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로 구분하였다.
구 분 인장
강도
(MD)
신장율
(MD)
인열
강도
(MD)
인장
강도
(TD)
신장율
(TD)
인열
강도
(TD)
접착
가공성
실시예1 29.2 815 127 26.3 804 114
실시예2 27.1 822 125 26.4 811 107
실시예3 26.9 810 118 25.8 808 105
비교예1 28.6 630 126 24.7 697 110
비교예2 26.5 789 97 25.5 820 86
비교예3 32.3 840 142 29.4 782 125 ×
비교예4 30.1 850 115 29.0 790 109
비교예5 28.3 503 115 25.7 560 98
비교예6 17.8 802 76 17.1 831 69
비교예7 23.1 763 85 21.5 812 81
비교예8 28.9 842 113 26.0 785 102
비교예9 27.2 760 101 24.9 768 92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성형용 조성물은 시트의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인장 강도, 인열 강도 및 신장율이 우수하고, 접착 가공성이 우수하며, 시트의 방향성에 따른 인장 강도, 인열 강도, 신장율의 차이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 50중량% 내지 85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중량% 내지 30중량%이고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1g/10분 내지 5g/10분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및 19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2g/10분 이하이고 밀도가 0.9g/mL 이하인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 중 1종 이상 5중량% 내지 20중량%; 및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용융 지수가 6g/10분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수지 10중량%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MD 및 TD 각각의 방향에 있어서, JIS K6301에 의한 인장 강도가 24MPa 이상, ASTM D624에 의한 인열 강도가 95N/mm 이상, 및 JIS K6301에 의한 신장율이 800% 이상인 시트로 성형될 수 있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 수지는 에틸렌의 공단량체로 부텐, 헥센, 옥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와 에틸렌 알파올레핀 수지는 녹는점이 각각 90℃ 이하인 시트 성형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과 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알파 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시트 성형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알파 올레핀 5 mol% 내지 20 mol%와 에틸렌 80 mol% 내지 95 mol%의 공중합체인 시트 성형용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알파 올레핀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만 내지 30만인 시트 성형용 조성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트 성형용 조성물로 성형된 시트.
삭제
KR1020170163038A 2017-11-30 2017-11-30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KR10246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38A KR102468934B1 (ko) 2017-11-30 2017-11-30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038A KR102468934B1 (ko) 2017-11-30 2017-11-30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02A KR20190063902A (ko) 2019-06-10
KR102468934B1 true KR102468934B1 (ko) 2022-11-21

Family

ID=668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038A KR102468934B1 (ko) 2017-11-30 2017-11-30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9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23B1 (ko) * 2011-10-28 2012-05-08 (주) 바이오 특수 방수 라이닝용 폴리프로필렌계 롤시트 제조방법과 그 방수 라이닝용 폴리프로필렌계 롤시트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684A (ja) * 1995-04-07 1996-10-29 Ube Ind Ltd 接着性ポリエチレン組成物
PL338644A1 (en) * 1997-08-08 2000-11-06 Dow Chemical Co Sheet materials suitable for use as floor, wall or ceiling lining as well as methods of and intermediate products for making such materials
KR100375876B1 (ko) * 2001-03-29 2003-03-10 유피씨(주) 섬유 코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 필름
KR100533577B1 (ko) * 2002-12-10 2005-12-06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다층 복합형 방수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9723B1 (ko) * 2015-12-28 2018-03-02 주식회사 휴비스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23B1 (ko) * 2011-10-28 2012-05-08 (주) 바이오 특수 방수 라이닝용 폴리프로필렌계 롤시트 제조방법과 그 방수 라이닝용 폴리프로필렌계 롤시트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902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9103B1 (en) Thermoplastic olefin building materials
US8366865B2 (en) Nonreactive thermoplastic hot melt adhesives based on metallocene-catalytically manufactured polyolefins
EP1425344B1 (en) Multimodal polyethylene material
US20070141373A1 (en) Segmented copolyesterether adhesive compositions
EP1466724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laminate
KR102242987B1 (ko)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싱이 가능한 tpo 시트
US11286380B2 (en) Roofing compositions comprising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KR102468934B1 (ko) 시트 성형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시트
KR102295005B1 (ko) 접착성이 우수한 방수 시트용 수지 조성물
KR101019656B1 (ko) 엘라스토머 및 메탈로센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산업용 포장재 강화 필름
KR100513036B1 (ko) 다층플라스틱용기
JP5623479B2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フィルム、積層体
KR101736690B1 (ko) 아스팔트 방수 시트용 다층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111926A (ja) 多層積層体およびそれから成る成形体
JPS5884836A (ja) 農業用フイルム
JP2009138139A (ja) オレフィン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
JP3271301B2 (ja) 積層フィルム
KR20180121093A (ko) 곤포용 사일리지 필름 조성물
CN113621196A (zh) 一种聚乙烯强力交叉膜及其制备方法、以及其应用
JP4403771B2 (ja) 樹脂成形体
JP2021116380A (ja) 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積層体
KR100723360B1 (ko) 외관 및 용기적재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KR102291449B1 (ko) PET를 이용한 Non-PVC 타입 친환경 타일
KR20190088143A (ko)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적층직물
JP201915700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