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00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004B1
KR101819004B1 KR1020160001267A KR20160001267A KR101819004B1 KR 101819004 B1 KR101819004 B1 KR 101819004B1 KR 1020160001267 A KR1020160001267 A KR 1020160001267A KR 20160001267 A KR20160001267 A KR 20160001267A KR 101819004 B1 KR101819004 B1 KR 10181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guide
door
locke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220A (ko
Inventor
양창완
최승진
김한효
박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14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29956A1/en
Priority to CN201680010293.9A priority patent/CN107295806B/zh
Priority to CN201680015676.5A priority patent/CN107454934B/zh
Priority to EP16749500.1A priority patent/EP3258195B1/en
Priority to JP2017542429A priority patent/JP6608943B2/ja
Priority to PCT/KR2016/001454 priority patent/WO2016129960A2/ko
Priority to CN201680010292.4A priority patent/CN107295805B/zh
Priority to PCT/KR2016/001455 priority patent/WO2016129961A2/ko
Priority to EP16749496.2A priority patent/EP3256800A4/en
Priority to EP16749501.9A priority patent/EP3258196B1/en
Priority to CN202110537618.1A priority patent/CN113375406B/zh
Priority to US15/550,518 priority patent/US10203152B2/en
Priority to JP2017542428A priority patent/JP6496419B2/ja
Priority to US15/550,691 priority patent/US10634422B2/en
Priority to US15/550,541 priority patent/US10180279B2/en
Publication of KR2016010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220A/ko
Publication of KR10181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6/272,423 priority patent/US10520247B2/en
Priority to US16/720,622 priority patent/US11408668B2/en
Priority to US17/839,923 priority patent/US11920859B2/en
Priority to US18/418,083 priority patent/US202401594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7Profiled cabinet walls with grooves or protuberances for supporting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fluids through the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8Cooled suppor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며,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및 상기 도어가 열릴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상태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고,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도 홈바,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에 장착되는 선반이나 서랍과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섭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예를 들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드로워(예를 들어, 선반 또는 서랍)의 전단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저장실 안쪽으로 손을 깊숙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실의 안쪽 후방에 저장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냉장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저장실이 깊어질수록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357호(이하, '357특허라고 함.)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나 서랍이 수납 프레임에 놓이고, 다관절 링크의 전단부가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프레임과 연결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반과 서랍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의 경우,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이 모두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 및 상기 선반과 서랍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이 모두 수납 프레임에 집중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수납 프레임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납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증가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그 만큼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357특허의 경우, 도어와 연동하며 수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링크가 수납 프레임의 저면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링크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저면상에 위치하나, 드로워의 무게 중심은 상기 수납 프레임의 저면보다 위쪽에 집중된다. 이 때문에, 링크에 의한 힘의 작용선과 드로워의 관성에 의한 힘의 작용선이 동일 선상에 존재하지 않아, 상기 수납 프레임에 벤딩 모멘트(bending moment)나 전단력이 작용하여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상기 드로워에 담긴 저장물의 무게가 증가될수록 심해진다. 특히, ‘357특허의 경우, 드로워의 하중이 수납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드로워의 관성과 더불어 상기 수납 프레임의 변형을 더욱 촉진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357특허의 경우, 수납 프레임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수납 프레임을 지지하는 레일이 항시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유지되어야 하는데, 정해진 규격 내에서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상기 레일을 설계하는데에는 여러 현실적인 제약들이 따른다.
또한, 수납 프레임으로부터 가해지는 모든 하중이 레일에 집중되는 구조는 상기 수납 프레임이 이동 간에 쉽게 흔들릴 수 있다. 이러한 흔들림이 지속되어 레일이나 수납 프레임에 변형이 이루어지는 경우, 결국에는 상기 수납 프레임의 이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JP2004-93039A(이하, '039특허라고 함.)는 저장실 내에 구비된 선반이 암에 의해 도어와 연결되어, 도어가 개방될 시, 상기 선반이 상기 암에 의해 인출되는 냉장고를 개시하고 있는데, 특히, 상기 암은 상기 선반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선반이 도어와 연동하여 함께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암 또한 다수개 구비되어 각각의 선반들에 연결된다.
또한, 암이 선반의 높이에 대응하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암의 설치 위치가 제한적이다. 특히, 저장실의 중간에 위치하는 선반과 연결된 암은 상당 부분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357특허와 '039특허는, 수납 프레임의 구조가 저장실 내에서 그대로 노출된다. 이 때문에,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점유하는 공간만큼 저장공간이 줄어들고, 상기 수납 프레임에 의해 저장실 내에서의 냉기의 순환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도어와 연동하며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를 제공하되,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은 드로워 가이드가 전담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로부터는 하중을 받지 않고, 그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저장실 내에 다수개의 드로워들이 배치되더라도, 상기 드로워들의 하중은, 각 드로워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들을 함께 인출시키되,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로부터는 독립적인 무하중 요소(non-load bearing element)가 되도록 구성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시,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상기 후방 프레임을 바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로 형성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와 연결된 링크 또는 전기적 구동수단을 통한 견인력(즉, 전방으로 끌어 주는 힘)이 가해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을 극복하여, 후방으로 쉽게 쳐지거나 휘어지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인출기구와 상기 드로워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복귀 이동시키는 복귀기구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가 개방될 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도어와 연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링크에 의해 상기 도어와 연결되거나,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otor)나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킨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된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 이동된다. 상기 드로워의 하중이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은 하지 않고,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즉,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수단(즉, 드로워 가이드)과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키는 수단(즉, 인출기구)이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에는 실질적으로 그 자신의 하중 만이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인출기구에 작용하는 부하가 경미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의 단순화, 경량화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인출기구를 지지하는 인출기구 가이드에 작용하는 부하 역시 저감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 가이드를 구성하는 베어링 요소(예를 들어, 레일)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며,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와, 상기 도어가 열릴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은 드로워 가이드가 전담하고,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가 부담하는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인출기구를 지지하는 인출기구 가이드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인출기구의 하중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를 지지하는 베어링 요소(예를 들어, 레일)의 설계가 용이하고, 상기 베어링 요소가 원활하게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인출기구를 구성하는 후방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집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후방 프레임은 바들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저장실 내에서의 냉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후방 프레임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고, 저장실 내에서 점유하는 용적은 줄어, 그 만큼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를 후방에서 밀어주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후방 프레임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와 접촉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드로워에 미는 힘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와 독립적인 별개의 부재로 형성된다고 하더라도(즉, 물리적으로 상기 드로워와 분리된 구조라 하더라도), 상기 후방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간에 별도의 연결 또는 결합 구조 없이도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과정에서는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였다가, 이렇게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드로워를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유닛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드로워, 드로워 가이드 및 복귀기구의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인출기구와 링크의 조립체를 아래 쪽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인출기구를 후방 아래 쪽으로부터 바라본 것이다.
도 9b는 인출기구의 전면도이다.
도 9c는 인출기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저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도어가 인출시작각도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복귀기구를 별도로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복귀기구가 조립되는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락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락커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연결 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드로워의 위치에 따른 복귀기구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드로워, 드로워 가이드, 인출기구 조립체를 후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1a)의 도어(3a, 3b, 3c, 3d)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의 저장실(S3)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a)는 내측으로 격실(RC, FC)(또는, 저장실(S1, S2, S3, S4))이 형성된 캐비닛(10)과, 격실(RC, FC)을 여닫는 도어(3a, 3b, 3c, 3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는 캐비닛(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식품이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며, 격실(RC, FC)의 개구된 전면이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격실(RC, FC) 내로 냉기가 공급되며, 냉기가 격실(RC, FC)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격실(RC, FC)은 도어(3a, 3b, 3c, 3d)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버틈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의 경우, 캐비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실(RC, FC)이 구비되며, 이 경우, 하측에 위치하는 격실(F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하로 유지되는 냉동실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격실(R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냉장실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격실”은, 필요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하지 않은 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각각의 격실(RC, FC)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냉장실(R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a, 3b)가 구비되고, 냉동실(F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c, 3d)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실(S1, S2, S3, S4)은 격실(RC, FC)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냉장실(R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장실 도어(3a)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1)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장실 도어(3b)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장 저장실(S1),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장 저장실(S2)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냉동실(F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동실 도어(3c)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3)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동실 도어(3d)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동 저장실(S3),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동 저장실(S4)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하나의 격실 내에 횡방향으로 두 개의 저장실이 마련된 경우, 상기 두 개의 저장실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RC)은 전면에서 바라 보았을 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을 구분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 간에는 자유롭게 냉기가 순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냉동실(FC)은, 냉장실(RC)과 다르게, 좌측 냉동 저장실(S3)과 우측 냉동 저장실(S4) 사이에 수직 파티션(20)이 제공됨으로써, 양쪽 저장실(S3, S4)이 구분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수직 파티션(20)에 의해 양쪽 저장실들(S3, S4) 간의 냉기의 순환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 파티션(20)에는 양쪽 저장실들(S3, S4)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실(S1, S2, S3, S4)은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S(f))과, 전면(S(f))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S(s))과, 한 쌍의 측면(S(s))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S(u))과, 상면(S(u))과 대향하며 한 쌍의 측면(S(s))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면(S(b)) 또는 바닥과,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며 한 쌍의 측면(S(s))과 상면(S(u))과 하면(S(b))을 서로 연결하는 후면(S(r))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냉동실(FC)과 같이 하나의 공간이 수직 파티션(20)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횡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저장실(S3, S4)을 형성하는 경우, 각 저장실(S3, S4)의 하면(S(b))과 후면(S(r))은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면(S(u))은 냉장실(RC)과 냉동실(FC)를 구획하는 수평 파티션(7)의 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실(S3, S4)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과 대향하는 수직 파티션(20)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냉장실(RC)이 수직 파티션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한 쌍의 저장실이 구성되는 경우, 냉장실(RC)을 구성하는 저장실(S1, S2)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와, 상면, 후면은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 파티션(7)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고, 양 측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파티션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저장실(S1, S2, S3, S4)에 대응하여 도어(3a, 3b, 3c, 3d)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의 배면부, 즉, 저장실(S1, S2, S3, S4)의 개구된 전면을 대향하는 부분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도어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납부는 유제품, 음료수, 야채 등 꺼내는 빈도가 잦은 식품을 수용하는 보관실(8a), 얼음을 보관하는 트레이(8b), 작게 포장된 냉동식품 등을 보관하는 바스켓(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수납부(8a, 8b, 8c)는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실(S1, S2, S3, S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격실(RC, FC) 또는 저장실(S1, S2, S3, S4) 내에는 드로워(D)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식품을 수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식품이 담기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320, 서랍 또는 빈(bin)이라고도 함.)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드로워(D)는 수평한 판체형의 선반(31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1a)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드로워(D1, D2, D3), 드로워 가이드(40a) 및 복귀기구(80)의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인출기구(50a)와 링크(70)의 조립체를 아래 쪽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인출기구(50a)를 후방 아래 쪽으로부터 바라본 것이다. 도 9b는 인출기구(50a)의 전면도이다. 도 9c는 인출기구(50a)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좌측 냉동 저장실(S3)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설명되는 내용들은 다른 저장실(S1, S2, S4)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는 캐비닛(10), 도어(3c), 드로워(D), 드로워 가이드(40a), 인출기구(50a), 인출기구 가이드(60), 링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실(S3) 내에는 드로워(D)를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40a)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가이드(40a)는 드로워(D)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하나의 드로워(예를 들어, D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 드로워(D)의 하중이 한 쌍의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개의 드로워(D1, D2, D3)에 대응하여 저장실(S3)의 한쪽 측면(S(s))에 3개의 드로워 가이드(40a)가 배치되었으며,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장실(S3)의 다른 쪽 측면에도 같은 방식으로 3개의 드로워 가이드(40a)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드로워(D)에 대해 제공되는 한쌍의 드로워 가이드(40a)는 저장실(S3)의 한 쪽 측면(S(s))을 구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에 배치되는 제 1 드로워 가이드(40a(L))와, 저장실(S3)의 다른 한쪽 측면(예를 들어, 수직 파티션(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2 드로워 가이드(40a(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참조.).
바람직하게는, 드로워(D)는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역학적으로 균형 상태(state of static mechanical equilibrium)로 지지된다. 즉, 드로워(D)의 모든 하중이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지지되며, 드로워(D)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한, 드로워(D)는 드로워 가이드(40a) 상에서 정지된 채로 유지된다. 이러한 구조는, 실질적으로 드로워(D)의 모든 하중이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며, 후방 프레임(52)은 드로워(D)의 하중을 감당하지 않는 무하중 부재(non-load bearing element)이다.
드로워 가이드(40a)는 레일이나 롤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드로워 가이드(40a)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대해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긴 고정 레일(41)과, 고정 레일(41)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드로워(D)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 레일(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레일(42, 43)은 반드시 하나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와 같이, 2 개의 이동 레일(42, 43)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이동 레일(42)은 드로워(D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이동 레일(43)과 맞물려 있고, 제 2 이동 레일(43)은 고정 레일(41)과 맞물려 있다.
드로워(D1)가 원위치(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제 1 이동 레일(42)이 제 2 이동 레일(43)을 따라 이동되며, 제 1 이동 레일(42)이 상기 일정 거리를 넘어 전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제 2 이동 레일(43)이 고정 레일(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드로워 가이드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드로워 가이드는 저장실(S)의 측면(S(s))에 대해 고정된 고정 레일과, 드로워(D)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로워(D)의 이동 간에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구르며 이동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레일(41)은 금속 판체가 여러 차례 절곡된 형상으로써, 저장실(S3)의 측면(S(s))과 나란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스트립부(411)와, 제 1 스트립부(411)의 하단으로부터 드로워(D1)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스트립부(412)와, 제 2 스트립부(412)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 2 이동 레일(43)의 하단부(431)가 삽입되는 포켓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부(413)는 상측이 입구를 형성하는 “U” 자 형태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포켓의 입구를 통해 제 2 이동 레일(43)의 하단부(431)가 삽입될 수 있다. 제 1 이동 레일(42)은 그 단면이 포켓부(413)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포켓의 입구가 하측에 위치하는 뒤집어진 “U”자 형태를 이루며, 제 2 이동 레일(43)의 상단부(432)가 상기 입구를 통해 포켓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이동 레일(42)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422)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D1)가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지지되도록,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을 연결하는 드로워 연결부재(32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드로워 연결부재(321)는 드로워(D1)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드로워(D1)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드로워(D1)와 결합될 수도 있다.
드로워 연결부재(321)는 제 1 이동 레일(42)의 후크(422)와 결합되는 수평 리브(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리브(321a)는 드로워(D1)의 외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후크(422)는 제 1 이동 레일(42)의 상면(4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부분(422a)과, 제 1 부분(422a)의 상단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리브(321a)에는 적절한 형태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후크(422)가 상기 결합공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수평 리브(321a)와 후크(422) 간의 위와 같은 결합에 의해, 드로워(D1)가 제 1 이동 레일(42)과 함께 이동이 이루어지나, 이에 한하지 않고,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은, 양자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가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 간의 결합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사용자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나 볼트를 이용한 결합과 같이,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하지 않은 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구조가 아니라, 사용자의 손조작만으로도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드로워(D1)를 적절하게 움직임으로써, 임의로 수평 리브(321a)에 형성된 결합공에 제 1 이동 레일(42)의 후크(422)를 삽입하거나,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후크(422)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이동 레일(42)과 분리된 드로워(D1)는 저장실(S3) 외부로도 꺼내질 수 있다.
한편, 드로워 연결부재(321)는 수평 리브(321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 리브(3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리브(321b)는 제 1 이동 레일(42)의 제 1 측면부(423)와 접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수직 리브(321b)를 제 1 측면부(423)와 결합시키는 나사나 볼트 등(이하, “체결부재”라고 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이동 레일(42)의 제 1 측면부(423)는, 제 1 이동 레일(42)의 수평한 상면부(421)의 양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2 개의 측면부(423, 424) 중 제 1 스트립부(411)와 더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 2 스트립부(412)에는 뒤집어진 “V”자 형태(즉, 상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의 노치(notch, 4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노치(412a) 내에는 후술하는 브래킷(14)의 하부 유지돌기(143a)가 삽입될 수 있다. 노치(412a)는 제 2 스트립부(412)가 포켓부(413)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S3)의 측면(S(s))에는 드로워 가이드(40a)를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14)이 배치될 수 있다. 브래킷(14)은 저장실(S3)의 측면(S(s))으로부터 드로워(D1)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브래킷(14)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설치홈(14a)이 형성되고, 레일 설치홈(14a) 내에 고정 레일(41)이 설치된다. 레일 설치홈(14a)은 저장실(S3)의 측면(S(s))과 대략 평행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직면(141)과, 수직면(14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부 수평면(142) 및 하부 수평면(143)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레일 설치홈(14a) 내에는 수직면(141)을 절개하여 형성한 탄성 지지탭(144)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 지지탭(144)은 수직면(141)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고정 레일(41)의 제 1 스트립부(411)에 의해 측방향으로 가압된다.
고정 레일(41)이 레일 설치홈(14a)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 지지탭(144)은 고정 레일(41)에 의해 가압된 상태, 즉,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변형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 외력이 제거될 시(즉, 고정 레일(41)이 분리될 시) 탄성 지지탭(144)을 원형태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브래킷(14)은 레일 설치홈(14a)의 상부 수평면(14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 유지돌기(142a) 및/또는 하부 수평면(14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하부 유지돌기(14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일(41)의 제 1 스트립부(411)가 레일 설치홈(14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는 수직면(141)과 상부 유지돌기(142a) 사이에 위치되고, 특히, 수직면(141)과 상부 유지돌기(142a) 사이의 간격은 제 1 스트립부(41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유지돌기(142a)에 의해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의 측방향 움직임이 제지되어,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가 상기 간격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유지된다.
하부 수평면(143) 상에는 제 2 스트립부(412)가 안착될 수 있다. 하부 수평면(143)은 상부 수평면(142) 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수평면(143)과 상부 수평면(142)의 폭간 차이(g)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하부 유지돌기(143a)가 상부 유지돌기(142a)보다 더 드로워(D1)측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지돌기(143a)는 고정 레일(41)의 노치(412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노치(412a)에 의해 하부 유지돌기(143a)의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지된다. 하부 유지돌기(143a)와 노치(412a) 간의 결속력에 의해, 고정 레일(41)의 하단부가 브래킷(14)과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레일(41)이 브래킷(14)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스트립부(411)는 탄성 지지탭(144)에 의해 측방향(즉, 드로워(D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가 상부 유지돌기(142a)와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노치(412a) 내에 하부 유지돌기(143a)가 삽입되기 때문에, 고정 레일(41)이 흔들림 없이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브래킷(14)은 후술하는 복귀기구(80)가 설치되는 복귀기구 설치판(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귀기구 설치판(145)은 전후방향으로 긴 수평한 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한 면 상에 복귀기구(80)가 설치될 수 있다. 복귀기구 설치판(145)은 레일 설치홈(14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에 의해 복귀기구(80)가 복귀기구 설치판(145)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 레일 설치홈(14a)과 복귀기구 설치판(145)은, 브래킷(14)에 형성되고, 브래킷(14)이 저장실(S3)의 측면(S(s))과 결합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브래킷(14)은 저장실(S3)의 측면(S(s))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 또는 수직 파티션(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출기구(50a)는 도어(3c)의 개폐 동작과 연계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인출기구(50a)는 도어(3c)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인출기구(50a)의 동작에 따라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특히, 인출기구(50a)는 도어(3c)가 열리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 인출기구(50a)와 드로워들(D1, D2, D3)의 위치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3c)가 개방되면,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드로워(D1, D2, D3)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때의 인출기구(50a)와 드로워(D)의 위치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어(3c)가 열려 저장실(S3)의 전면(S(f))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D1, D2, D3)는 최초 수납된 위치(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드로워(D1, D2, D3)의 위치, 이하, “원위치”라고 함.)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만큼 사용자의 손이 드로워(D1, D2, D3)까지 쉽게 미칠 수 있어, 드로워(D1, D2, D3)로부터 식품을 꺼내거나, 드로워(D1, D2, D3)에 식품을 담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편리성은, 저장실(S3)이 깊은 대용량 냉장고의 경우에 특히 요긴하다.
도 4, 도 8,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인출기구(50a)는 드로워(D3)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51)와, 베이스부(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드로워(D1, D2, D3)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프레임(5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52)은 드로워(D1, D2, D3)와 저장실(S3)의 후면(S(r)) 사이를 통과하여 저장실(S3)의 상면(S(u))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로워(D1)와 대응하는 높이에 이를 수 있다. 이하, 저장실(S3) 내에 배치된 3 개의 드로워(D1, D2, D3) 모두가, 도어(3c) 개방시, 후방 프레임(52)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들 드로워들(D1, D2, D3)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드로워(D3)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이스부(51)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드로워(D3)를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40a)는 생략될 수 있다.
냉장고(1a)는 인출기구(50a)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인출기구 가이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기구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측면(S(s))과 베이스부(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51)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인출기구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측면(S(s)) 및 베이스부(5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레일(61)과,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베이스부(5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레일(61)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6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출기구(50a)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일(61)과, 베이스부(51)의 측면부(512, 513, 도 9b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출기구(50a)의 이동 간에 레일(61)을 따라 구르며 이동되는 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롤러(62) 대신 레일(61)과 맞물려지는 이동 레일(미도시)이 베이스부(5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저장실(S3)의 측면(S(s))에 롤러(62)가 고정되고, 베이스부(51)의 측면부(512, 513)에 레일(61)이 배치되어, 레일(61)이 롤러(62)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인출기구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하면(S(b))과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 도 9b 참조.)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저장실(S3)의 하면(S(b))에 고정 레일이 배치되고,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에는 상기 고정 레일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베이스부(51)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는 수평한 바닥부(5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닥부(511)의 상면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저면은 저장실(S)의 하면(S(b))을 대향한다. 실시예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51)는 최하측에 위치하는 드로워(D3)보다도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70)는 도어(3c)와 베이스부(51)를 연결하며, 일단은 도어(3c)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부(5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70)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평한 바닥부(511)와, 바닥부(511)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512, 513)와, 바닥부(511)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측면부(512, 513)들을 서로 연결하는 후면부(514)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52)은 베이스부(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저장실(S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세로 바(520a 520b)는 후면부(514)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들을 서로 구분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각각을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로 표현하기로 한다.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는 반드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폭(w, 도 9a 참조.)보다 길이가 긴 띠(bend)의 또는 빔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 부재(520)에 의해 한 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프레임 부재(520)는 제 1 세로 바(520a)를 형성하는 구간(521 내지 524)과 제 2 세로 바(520b)를 형성하는 구간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 구간들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로써, 연결구간(520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가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양자 사이로 냉기가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장실(S3)의 내측 깊숙한 곳에서도 냉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특히, 저장실(S3)의 후면(S(r))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저장실(S3) 내로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연결구간(520c)은 베이스부(51)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닥부(511)를 지지할 수 있고, 체결부재에 의해 바닥부(511)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구간(520c)은 제 1 세로 바(520a)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545a)과, 제 2 세로 바(520b)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545b)과, 양 구간(545a, 545b) 사이에서 저장실(S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546)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간(546)은 바람직하게는, 구간(545a) 및 구간(545b)과 수직하다.
프레임 부재(520)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금속재를 소성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바(520)의 전면과 베이스부(51)의 외측면(예를 들어, 후면부(514)의 배면 또는 바닥부(511)의 저면)이 체결부재(56)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세로 바(520a, 520b)의 하단부는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의 배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단부와 후면부(514)가 세로 바(520a, 52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2 이상의 지점에서 체결부재(5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는 후면부(514)의 폭을 균분하는 중심선(M, 도 9b 참조.) - 예를 들어, 베이스부(51)의 양 측면부(512, 513)들로부터 등거리 상에 위치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 - 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는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세로 바(520a, 520b)는 하단부가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의 배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후면부(514)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 1 경사 구간(521)과, 제 1 경사 구간(521)으로부터 다수의 드로워들(D1, D2, D3) 중에서 적어도 가장 하측에 위치한 드로워(D3)와 대응하는 높이(즉, 적어도 드로워(D3)와 접촉 가능한 높이)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 구간(52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기구(50a)의 이동 중에, 드로워(D3)의 배면이 제 1 수직 구간(521)과 접촉될 수 있다. 드로워(D3)는 베이스부(51) 보다 더 후방 영역을 점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 1 경사 구간(521)이 베이스부(51)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고, 이렇게 기울어진 제 1 경사 구간(521)으로부터 제 1 수직 구간(522)이 상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수직 구간(522)은, 드로워(D3)의 뒤쪽 부분이 베이스부(51) 보다 후방에 위치하더라도, 드로워(D3)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세로 바(520a, 520b)는 제 1 수직 구간(522)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 구간(523)과, 제 2 경사 구간(523)으로부터 적어도 드로워(D3)의 위쪽에 배치된 드로워(D2)와 대응하는 높이(즉, 적어도 드로워(D2)와 접촉 가능한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 2 수직 구간(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 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수직 구간(524)이 드로워(D1)와도 접촉 가능한 높이까지 연장되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D2, D3)는 드로워(D1)보다 더 후방까지 점유하도록 구성되어, 제 2 수직 구간(524)와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는, 측면부(512, 513) 보다 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측면부(512, 513)보다 더 위쪽 영역에서도 세로 바(520a, 520b)와 접촉될 수 있다. 즉, 후면부(514)를 측면부(512, 513) 보다 더 높이까지 형성함으로써, 세로 바(520a, 520b)와 접촉되는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으며, 그 만큼 지지하는 면적 또한 넓어져 세로 바(520a, 520b)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세로 바(520a, 520b)는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로 바(520a, 520b)의 제 1 경사 구간(521)이 체결부재(56)에 의해 후면부(514)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세로 바(520a, 520b)가 후면부(514)와 결합되는 구조는, 후면부(514)가 세로 바(520a, 520b)의 하단부를 견실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인출기구(50a)가 드로워(D1, D2, D3)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예를 들어, 드로워(D1, D2, D3)의 관성으로 인한 반발력)이 세로 바(520a, 520b)에 작용하더라도,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쉽게 쳐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쪽 세로 바(520a, 520b) 사이가 연결구간(520c)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구간(520c)은 545a, 545b 및 546의 구간들로 이루어진 “ㄷ”자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의 저면과 밀착 또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드로워(D1, D2, D3)로부터 가해진 반력에 의해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려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구간(520c)에 의해 연결되는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양 세로 바(520a, 520b)에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힘들이 연결구간(520c)을 통해 분산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양 세로 바(520a, 520b)에는 어느 정도 고르게 힘이 작용되며, 그 만큼 후방 프레임(52)이 뒤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인출기구(50a)는 베이스부(51)의 상측에서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바(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53)는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며, 특히, 양 세로 바(520a, 520b)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인출기구(50a)가 드로워(D1, D2, D3)를 밀어주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양쪽 세로 바(520a, 520b)에 작용하는 힘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세로 바(예를 들어, 520a)가 다른 하나의 세로 바(예를 들어, 520b)보다 더 후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연결 바(53)는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의 위쪽 부분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바(53)는 각 세로 바(520a, 520b)의 제 2 수직 구간(524)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직 구간(524)의 하단(즉, 제 2 경사 구간(523)과의 연결부)보다는 상단부와 가까운 위치에 결합된다.
연결 바(53)는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두 개의 연결 바(53a, 53b) 참조.). 더 나아가, 복수의 드로워(D1, D2, D3)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 바(53)들이 배치되고,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연결 바(53)가 드로워(D)의 배면부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2개의 제 1 연결바(53a)와 제 2 연결바(520b)는 각각 제 1 드로워(D1)와 제 3 드로워(D3)와 접촉 가능하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드로워(D2)와 접촉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인출기구(50a)는, 세로 바(520a, 520b)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되어, 암 가이드(91)를 따라 안내되는 암(532, 533)을 포함할 수 있다. 암(532, 533)은 세로 바(520a, 520b)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 바(53)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 바(53)는 저장실(S3)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31)는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와 결합되며, 연결부(531)의 양단은 각각 세로 바(520a, 520b)로부터 저장실(S3)의 측면(S(s))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암(532, 533)은 연결부(53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드로워(D1)와 저장실(S3)의 측면(S(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양쪽 암(532, 533)에는 각각 롤러(92)가 구비될 수 있고, 롤러(92)는 인출기구(50a)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암 가이드(91)를 따라 구를 수 있다.
연결부(531)에는 탄성돌기(536)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돌기(536)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돌기(536)는, 드로워(D1)와 접촉되는 연결부(531)의 전면에 배치되어,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드로워(D1)와 접촉될 수 있다. 도어(3c)가 개방됨에 따라,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탄성돌기(536)가 드로워(D1)와 접촉됨으로써 충격이 완화되고, 충격으로 인한 소음 역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암 가이드(91)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가이드(91)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드로워(D1)을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40a)보다 더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암 가이드(91)는 롤러(91)의 하측에서 롤러(91)와 접촉되며, 롤러(91)의 이동 경로, 즉, 저장실(S3)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롤러 안내면(91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안내면(91b)은 수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가이드(91)의 횡단면은 드로워(D)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ㄷ”자형 안내 홈(91a)을 형성할 수 있고, 롤러(92)가 안내 홈(91a) 내에서 롤러 안내면(91b)에 지지될 수 있다. 안내 홈(91a)은 롤러 안내면(91b)의 상측에 롤러 안내면(91b)과 평행한 상측면(91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롤러 안내면(91b)과 상측면(91c) 사이는, 롤러(92)가 롤러 안내면(91b)을 따라 구르는 과정에서 상측면(91c)과는 접촉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롤러(92)의 직경 보다 조금 더 이격되어 있다.
인출기구(50a)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후방 프레임(52)에 작용하는 반력은, 세로 바(520a. 520b)를 베이스부(51)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피봇되도록(즉,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게 하는)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나, 세로 바(520a, 520a)가 쳐지려는 성향으로 인해 롤러(92)가 하측으로 변위되려고 하더라도, 롤러 안내면(91b)이 이를 제한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지 것도 방지된다.
한편, 도어(3c)의 개폐 동작과 연계하여 인출기구(50a)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는 도어(3c)와 베이스부(51)가 링크(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51)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otor)나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수단으로 모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수단에 의해 베이스부(51)가 이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변환수단으로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크랭크(crank)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도어(3c)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즉, 도어(3c)가 개방될 시에는 상기 동력변환수단이 인출기구(50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3c)가 닫힐 시에는 상기 동력변환수단이 인출기구(50a)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인출기구(50a)는 드로워(D1, D2, D3)와 분리된 부재이다. 즉, 드로워(D)는 후방 프레임(52)과 결합 또는 결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어(3c)가 개방될 시, 드로워(D1, D2, D3)는 후방 프레임(52)과의 접촉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나, 후방 프레임(52)과 드로워(D1, D2, D3) 간의 이와 같은 접촉은 드로워(D1, D2, D3)의 인출을 위한 일시적인 것이다. 특히, 드로워(D1, D2, D3)가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균형 상태로 지지되는 경우, 후방 프레임(52)과 드로워(D1, D2, D3) 간에 일시적인 접촉에 의하더라도, 후방 프레임(52)은 드로워(D1, D2, D3)를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할 뿐, 드로워(D1, D2, D3)의 하중은 감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실시예 따라, 설령 후방 프레임(52)이 드로워(D1, D2, D3)와 항시 결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D1, D2, D3)와 인출기구(50a)가 서로 분리된 구조 또는 미결속된 구조에서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은 인출기구(50a)와 드로워(D1, D2, D3) 간의 분리 가능한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3c)와 연계하여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후방 프레임(52)이 드로워(D1, D2, D3)와 접촉됨으로써, 드로워(D1, D2, D3)가 후방 프레임(52)에 의해 밀려 이동되나, 이러한 드로워(D1, D2, D3)와 후방 프레임(52) 간의 접촉은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후방 프레임(52)에 의해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는 중에, 잠시 도어(3c)의 회전을 멈추고 다시 도어(3c)를 닫는다고 하면, 이 과정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드로워(D1, D2, D3)와 후방 프레임(52)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인출기구(특히, 후방 프레임(52))는 드로워(D1, D2, D3)와 항시 결합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드로워(D1, D2, D3)가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균형 상태로 지지되는 한, 인출기구(50a)에는 드로워(D1, D2, D3)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이나,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인출기구(50a)가 드로워(D1, D2, D3)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a는 도어(3c)가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부(51)의 저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도어(3c)가 인출시작각도(θ)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도어(3c)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링크(70)는 전단부(71)가 도어(3c)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72)는 베이스부(5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단부(71)는 도어(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 회전 관절(J1)을 구성하고, 후단부(72)는 베이스부(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2 회전 관절(J2)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회전 관절(J1)은 캐비닛(10)에 대한 도어(3c)의 회전의 중심, 즉, 도어(3c)의 회전축(C)으로부터 소정 거리(r) 이격된다. 따라서, 도어(3c)가 회전될 시, 제 1 회전 관절(J1)은 도어(3c)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반경 r을 갖는 원주 상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원주 상에서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제 2 회전 관절(J2)이 변위되고, 그에 따라 베이스부(51)가 이동된다.
제 1 회전 관절(J1)과 제 2 회전 관절(J2)은, 베이스부(51)의 양쪽에 배치된 인출기구 가이드(60)들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는 기준선(L, 도 10a 참조.)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양쪽 인출기구 가이드(60)들은 베이스부(51)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기준선(L)은 실질적으로, 베이스부(51)의 중심선, 즉, 베이스부(51)의 양 측면부(512, 513)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는 선(M, 도 9b 참조.)과 동일하다.
제 2 회전 관절(J2)은 베이스부(5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것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3c)가 회전되는 전체 구간 중에서, 일정 구간에 대응하여 베이스부(51)에 대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51)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517)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 회전 관절(J2)은 슬릿(517)을 따라 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70)의 후단부(72)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슬릿(517)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구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 2 회전 관절(J2)은 슬릿(517)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도어(3c)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베이스부(51)에 대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 회전 관절이다. 슬릿(517)은, 제 2 회전 관절(J2)이 베이스부(5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재가 슬릿(51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링크(70)의 후단부(72)는 베이스부(51)의 저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51)의 상면 상에는 와셔(78,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와셔(78)와, 슬릿(517) 및 체결구를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다.
링크(70)의 후단부(72)는, 도어(3c)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초기 위치(도 10a 참조.)에 위치한다. 초기 위치에서 링크(70)의 후단부(72)는 슬릿(517)의 전단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슬릿(517)의 후단과 접하여 있다.
닫혀져 있는 도어(3c)가 열리기 시작하면, 도어(3c)가 개방된 각도가 기 설정된 인출시작각도(θ)에 이르기 전까지는, 링크(70)의 후단부(72)가 슬릿(517)을 따라 이동되며, 베이스부(51)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어(3c)가 상기 인출시작각도(θ, 도 10b 참조.)에 이르기 전까지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인출시작각도(θ)는 링크(70)의 후단부(72) 또는 제 2 회전 관절(J2)이 초기위치(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위치)로부터 슬릿(517)의 전단까지 이동하기까지에 대응하는 도어(3c)의 개방 각도이다. 도어(3c)의 개방각도가 상기 인출시작각도(θ)를 넘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제 2 회전 관절(J2)이 베이스부(51)와 함께 이동되고,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이동(즉, 인출)된다. 제 2 회전 관절(J2)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슬릿(517)의 전단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도어(3c)는 회전되나 드로워(D1, D2, D3) 또는 베이스부(51)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3c)가 닫혀진 상태로부터 인출시작각도(θ)에 이르기까지 도어(3c)가 개방되며 회전하는 구간을 인출지연구간이라고 정의하자.
상기 인출지연구간은 드로워(D1, D2, D3)가 도어(3c)의 배면부 또는 도어(3c)의 배면부에 설치된 구성(예를 들어, 도어 수납부(8a, 8b, 8c))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즉, 상기 인출지연구간이 없다면, 닫혀져 있는 도어(3c)가 개방되기 시작할 때부터 드로워(D1, D2, D3)가 즉시 이동하게 되어, 도어(3c)의 배면부 또는 배면부에 설치된 도어 수납부(8a, 8b, 8c)와 같은 돌출물이 드로워(D1, D2, D3)의 이동 경로 상에서 벗어나기도 전에,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드로워(D1, D2, D3)가 도어(3c)의 배면부(또는, 상기 돌출물)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인출시작각도(θ)는, 90도 이하의 각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도 내지 80도 사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때, 도어(3c)가 상기 인출시작각도에 이른 후부터 완전 개방될 때까지, 베이스부(51)가 이동되는 거리를 인출거리라고 정의하면, 인출거리는 대략 10cm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3c)가 인출시작각도(θ)까지 회전된 이후에는, 링크(70)의 후단부(72)가 슬릿(517)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베이스부(51)가 이동되며, 그에 따라 드로워(D1, D2, D3)도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출거리만큼 이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드로워(D1, D2, D3)는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여, 드로워 가이드(40a)에 의해 허용되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 가능한 범위가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어(3c)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D1, D2, D3)는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나, 이는 인출기구(50a)에 의해 드로워(D1, D2, D3)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최종 위치가 그렇다는 것으로, 사용자의 자력에 의해, 즉, 수동으로 드로워(D1, D2, D3)가 더 인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드로워 가이드(40a)는 인출기구(50a)에 의한 자동 인출거리를 더 넘어서까지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70)는 전단부(71)로부터 연장되어 도어(3)의 회전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1 절곡구간(73)과, 제 1 절곡구간(73)과 후단부(72) 사이에서 제 1 절곡구간(73)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2 절곡구간(74)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70)의 전단부(71)는 도어(3c)의 회전축(C)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c)의 일부분, 특히, 회전축(C)으로부터 전단부(71)에 이르는 부분(예를 들어, 도어(3c)의 코너 등)은, 도어(3c)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링크(70)와 간섭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링크(70)의 전단부(71)가 도어(3c)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도어(3c)와 연결되거나, 설령, 링크(70)가 도어(3c)의 저면에 결합된다고 하더라도, 상하 방향으로도 굴곡을 갖는 형태인 경우 해결의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70)는 전단부(71)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구간에 회전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 1 절곡구간(73)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한편, 만약 제 1 절곡구간(73)이 링크(70)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다면, 도어(3c)와 링크(70)간의 간섭을 피하기는 용이할 것이나, 제 1 절곡구간(73)이 볼록한 만큼, 도어(3c)의 개폐 과정에서, 링크(70)가 도어(3c)나 베이스부(51)에 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제 2 회전 관절(J2)을 도어(3c)의 회전축(C)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 1 절곡구간(73)과 링크(70)의 후단부(72) 사이에, 제 1 절곡구간(73)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제 2 절곡구간(7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기구(50b)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출기구(50b)는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가 서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는 각각의 하단부가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에는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의 하단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홀더(518)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홀더(518)는 세로 바(520a, 520b)의 양 측변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L”자 형태의 리브(518a, 518b) 한 쌍이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어, 양쪽 리브(518a, 518b)들 사이로 세로 바(520a, 520b)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포켓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세로 바(520a, 520b)의 하단부가 한 쌍의 리브들(518a, 518b)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56)가 상기 하단부를 통과하여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와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56)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2점 이상에서 체결된다.
세로 바(520a, 520b)가 각 홀더(518)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와 결합되고, 홀더(518)의 양 리브(518a, 518b)가 세로 바(520a, 520b)의 양 측변과 배면을 감싸며 쥐어주기 때문에,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도 줄여줄 수 있다.
연결 바(53a, 53b)의 양단이 각각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결 바(53a, 53b)는 세로 바(520a, 520b)의 배면과 결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세로 바(520a, 520b)의 전면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 바(53a, 53b)는 상하 방향으로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연결 바(53a, 53b)가 세로 바(520a, 520b)의 수직 구간들(524, 522, 도 9c 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출기구(50c)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인출기구(50c)는 베이스부(51)의 상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보강 밴드(516)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밴드(516)는 베이스부(51)의 양쪽 측면부(512, 513)와 후면부(514)가 만나는 코너들과 대응하는 부분들이 절곡되어, 베이스부(51)의 양 측면부(512, 513) 및 후면부(514)의 상단부를 감싸며 설치될 수 있다.
보강 밴드(516)는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 와 결합되는 후면 구간(516a)과, 후면 구간(516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51)의 측면부(512, 513)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 1 측면 구간(516b)과 제 2 측면 구간(516c)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밴드(516)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판재를 긴 밴드 형태로 절단한 다음, 상기 코너들과 대응하는 부분들을 절곡시키는 가공 과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보강 밴드(516)는 베이스부(51)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쪽 세로 바(520a, 520b)의 각 하단부는 보강 밴드(516)의 후면 구간(516a)과 결합될 수 있다. 세로 바(520a, 520b)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후면 구간(516a)과 세로 바(520a, 520b)는 접합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합으로는 스팟 용접(spot welding),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 레이져 용접(laser welding) 등을 예로 들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세로 바(520a, 520b)를 후면 구간(516a)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인출기구(50a, 50b, 50c)는 링크(70)에 의해 도어(3c)와 연동되기 때문에,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자동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나, 이러한 이동은 드로워(D1, D2, D3)에 대해서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를 후방으로 밀어줄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은, 별도의 복귀기구(80)의 도움 없이도, 도어 수납부(8a, 8b, 8c)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는 도어 수납부(8a, 8b, 8c)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이동될 수 있다. 도어 수납부(8a, 8b, 8c)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수납부들(8a, 8b, 8c)은 각각의 드로워(D1, D2, D3)와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드로워(D1, D2, D3)의 복귀동작이 도어 수납부(8a, 8b, 8c)에 의해 이뤄지는 구조는 도어 수납부(8a, 8b, 8c)와 드로워(D1, D2, D3)간의 접촉 또는 충돌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어(3c)를 세게 닫는 경우에는 부재들 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이나 감성적인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드로워(D1, D2, D3)를 복귀시키는 기구가 필요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귀기구(80)는 이러한 기구의 일례이다.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복귀기구(80)를 별도로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복귀기구가 조립되는 과정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락커(8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락커 연결부재(8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연결 탭(85)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어(3c)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드로워(D)의 위치에 따른 복귀기구(80)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한 것이다.
복귀기구(80)는 저장실(S3) 내에 고정 배치되고, 후술하는 락커(82)의 이동을 안내하는 락커 가이드(81)와, 락커 가이드(81)에 고정 배치되어 락커(82)의 위치에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83)과, 드로워(D)와 연동하며 락커(82)를 이동시키는 연결유닛(84, 85)을 포함할 수 있다.
복귀기구(80)는 도어(3c)가 닫힐 시, 드로워(D)가 자동으로 원위치(도어(3)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드로워(D)의 위치)되도록, 드로워(D)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드로워(D1, D2, D3)에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드로워(D)에 대하여, 한 쌍의 복귀기구(80)가 마련되고, 각각의 복귀기구(80)는 수직 파티션(20)과 캐비닛(10)의 내측면(11)에 각각 배치되었다. 그러나, 복귀기구(80)는 하나의 드로워(D)에 대해 반드시 쌍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저장실(S)의 양 측면들(S(s))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귀기구(80)는 브래킷(14, 도 6 내지 도 7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락커 가이드(81)가 브래킷(14)의 복귀기구 설치판(145) 상에 올려진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락커 가이드(81)와 복귀기구 설치판(145)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락커 가이드(81)에는 락커(82)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락커(8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락커 이동로(81a)가 형성될 수 있다. 락커 가이드(81)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락커(82)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하우징 판(811, 8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우징 판(812,813)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 락커 이동로(8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복귀기구(80)가 설치된 상태에서, 락커 이동로(81a)의 양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된 양측 중, 드로워(D)를 대향하는 측을 통해 락커(82)의 일부분이 락커 이동로(81a) 내로 삽입된다.
이렇게, 락커(82)가 락커 이동로(81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하우징 판(811, 812)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하우징 판(811)은 저면이 락커(82)의 상면을 대향하며, 한 쌍의 하우징 판(811, 812)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하우징 판(812)은 상면이 락커(82)의 저면을 대향한다. 락커(82)는 저면이 제 2 하우징 판(81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며, 락커(82)의 상면은 제 1 하우징 판 (812)의 저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락커(82)는 락커 이동로(81a)를 따라 이동되는 락커 본체(820)와, 락커 본체(820)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이동 가이드 돌기(831, 도 14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돌기(831)는 락커 본체(82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 판(811)과 제 2 하우징 판(8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삽입되는 직진 가이드 슬릿(81b)이 형성될 수 있다. 직진 가이드 슬릿(81b)은 전후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본체(820)와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제 1 하우징 판(811) 및/또는 제 2 하우징 판(812)의 간섭으로 인해, 이동 가이드 돌기(831)를 직진 가이드 슬릿(81b) 내로 삽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직진 가이드 슬릿(81b)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와 같이,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락커 본체(82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고, 락커 본체(820)에는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삽입 결합되는 돌기 체결구(8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 본체(820)가 락커 이동로(81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락커 본체(820)의 돌기 체결구(822)를 직진 가이드 슬릿(81b)과 정렬한 후, 이동 가이드 돌기(831)를 직진 가이드 슬릿(81b)을 통과하여 돌기 체결구(822)에 삽입시킴으로써, 락커 본체(820)와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조립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돌기(831)는 양 단부가 각각 락커(82)의 상면과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렇게 돌출된 양 단부가 각각 제 1 하우징 판(811)과 제 2 하우징 판(812)에 형성된 직진 가이드 슬릿(81b)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하우징 판(811)의 직진 가이드 슬릿(81b)과 제 2 하우징 판(812)의 직진 가이드 슬릿(81b)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따라서,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 보았을 시, 양 직진 가이드 슬릿(81b)은 서로 중첩된다.
또한, 락커(82)는 이동 가이드 돌기(831)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선회 돌기(821)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 돌기(821)는 락커 본체(8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회 돌기(821)는 제 1 하우징 판(811)의 측변(815) 및/또는 제 2 하우징 판(812)의 측변(81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회 돌기(821)는 양 단부가 각각 락커 본체(820)의 상, 하측으로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단부들이 각각 제 1 하우징 판(811)의 측변(815)과 제 2 하우징 판(812)의 측변(826)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락커 가이드(81)에는, 선회 돌기(821)의 선회 동작을 안내하는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이 형성될 수 있다.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는 제 1 하우징 판(811)과 제 2 하우징 판(812)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각 하우징 판(811, 812)의 측변(815, 816)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직진 가이드 슬릿(81b)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위치에 이른 이후에는, 이동 가이드 돌기(831)를 중심으로 한 선회 돌기(821)의 선회 동작이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의 안내에 의해 유도된다.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은, 선회 돌기(821)가, 이동 가이드 돌기(831)를 중심으로, 드로워(D)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판(811)(또는, 제 2 하우징 판(812))의 측변(815, 816)의 일부가 드로워(D)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이렇게 절곡된 부분이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즉,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측변(815, 81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다가, 선화 가이드 홈(817a, 817b) 내로 삽입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직진 가이드 슬릿(81b)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 즉,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직진 가이드 슬릿(81b)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구속된 상태에서, 선회 돌기(821)의 선회 동작이 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은 실질적으로 이동 가이드 돌기(831)를 중심으로 하고, 이동 가이드 돌기(831)와 선회 돌기(821)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의 형태가 반드시 원호의 형태여야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회 돌기(821)가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도, 이동 가이드 돌기(831)가 직진 가이드 슬릿(81b)을 따라 계속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은 선회 돌기(821)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로부터 곡률 반지름이 점점 증가되는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 체결구(822)는 락커 본체(820)의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 가이드 돌기(831)는 락커 본체(820)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돌기 체결구(8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부는 락커 본체(8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단부는 락커 본체(82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들 돌출부들은 각각 제 1 하우징 판(811)에 형성된 직진 가이드 슬릿(81b)과 제 2 하우징 판(812)에 형성된 직진 가이드 슬릿(81b)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83)은 락커 이동로(81a)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스프링(83)의 일단은 락커 가이드(81)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커(82)와 결합될 수 있다. 락커 본체(820)에는 스프링(83)의 타단이 결합되는 적절한 형태의 고정 홈(825)이 형성될 수 있다.
락커(82)가 락커 이동로(81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프링(83)의 길이가 늘어나다가, 선회 돌기(821)가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을 따라 일정 구간 이상 이동되면,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과의 간섭 또는, 마찰 접촉에 의해 구속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스프링(83)은 최대로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신장된 스프링(83)에 축적된 탄성 또는 복원 에너지는 선회 돌기(821)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락커(8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력이 된다.
연결유닛(84, 85)은 드로워(D)의 이동 동작에 대응하여 락커(82)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실시예에서는 드로워(D)와 일체로 이동되는 제 1 이동 레일(42)과 락커(82)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드로워(D)와 락커(8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락커 본체(820)는 연결유닛(84, 85)에 의해 제 1 이동 레일(42)과 연결될 수 있다. 락커 본체(820)는 드로워(D)를 대향하는 측면 상에 결합 홈(823)이 형성될 수 있다. 락커 연결부재(84)는 결합 홈(823) 내로 삽입되는 결합 돌기(84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845)와 결합 홈(823)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유닛(84, 85)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실시예와 같이, 제 1 이동 레일(42)에 고정되는 연결 탭(85)과, 연결 탭(85)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연결 탭(85)과 락커(82)를 연결하는 락커 연결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 탭(85)의 상단부(851)는 제 1 이동 레일(42)과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레일(42)은 드로워(D)와 일체로 이동되기 때문에, 드로워(D)의 이동 시, 연결 탭(85)도 이동된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연결 탭(85)은 드로워(D)와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연결 탭(85)의 하단부(852)는 락커 연결부재(84)와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락커 연결부재(8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탭(85)의 하단부(852)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절개된 한 쌍의 홈(852a, 85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락커 연결부재(84)는 한 쌍의 홈(852a, 852b)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변(843a, 843b)이 형성될 수 있다.
락커 연결부재(84)는 서로 평행한 제 1 판체부(841)와 제 2 판체부(842)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삽입 변(843a, 843b)는 제 1 판체부(842)와 제 2 판체부(8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845)는 제 2 판체부(84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연결 탭(85)은 한 쌍의 홈(852a, 852b) 사이에 해당하는 탭부(854)가, 락커 연결부재(84)의 한 쌍의 삽입 변(843a, 843b)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탭부(854)가 한 쌍의 삽입 변(843a, 843b) 사이로 억지 끼움되어, 연결 탭(85)과 락커 연결부재(84)가 일체로 이동된다.
연결 탭(85)은 상단부(851)와 하단부(852)가 수직한 판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부(851)와 하단부(852)를 연결하는 중간부(853)는 하단부(852)로부터 상단부(851)로 갈수록 드로워(D) 측으로 접근하는 경사를 이루는 판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복귀기구(80)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도어(3c)가 닫혀진 상태(도 18의 (a) 참조.)에서, 연결부재(84)의 결합 돌기(845)는 락커(82)의 결합 홈(823) 내에 삽입된 상태이다. 도어(3c)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인출기구(50a, 50b, 50c)에 의해 드로워(D)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면, 락커(82)가 드로워(D)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때, 락커(82)의 이동 가이드 돌기(831)는 직진 가이드 슬릿(81b)을 따라 이동된다.
락커(82)의 이동이 계속되어, 선회 돌기(821)가 선회 가이드 홈(817a)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락커(82)가 이동 가이드 돌기(831)를 중심으로 정방향(도 18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락커 연결부재(84)의 결합 돌기(845)가 락커(82)의 결합 홈(823)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선회 돌기(821)는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의 끝단에 위치하며, 스프링(83)은 최대로 인장된다. (도 18의 (b) 참조.)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을 적절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락커(82)와 락커 연결부재(84)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선회 돌기(821)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를 구성하는 하우징 판(811, 812)의 측변(815, 816)의 곡률,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이 드로워(D)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과 선회 돌기(821) 간의 마찰력 등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락커(82)와 락커 연결부재(84)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선회 돌기(821)가 스프링(83)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본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8의 (c)에서의 선회 돌기(821)의 위치는, 락커(82)와 락커 연결부재(84)가 서로 분리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도 18의 (b)에서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다.
드로워(D)는 락커 연결부재(84)의 결합 돌기(845)가 락커(82)의 결합 홈(823)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도, 도어(3c)가 완전히 개방되기까지는 인출기구(50a, 50b, 50c)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도 18의 (c) 참조.) 이제 사용자가 다시 도어(3c)를 닫으면, 도어(3c) 또는 도어(3c)의 배면부에 위치한 구조물(예를 들어, 도어 수납부(8a, 8b, 8c))이 드로워(D)와 접촉됨으로써, 드로워(D)가 후방으로 밀려 이동되며, 락커(8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선회 돌기(821)가 다시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을 따라 안내되다 선회 가이드 홈(817a, 817b)으로부터 이탈된다.
락커 연결부재(84)의 결합 돌기(845)가 다시 락커(82)의 결합 홈(823) 내로 삽입되어, 연결유닛(84, 85)에 의해 락커(82)와 드로워(D)가 다시 연결되며, 스프링(83)의 복원력에 의해 락커(82)가 후방으로 이동되므로써, 드로워(D) 또한 후방으로 이동되어 초기위치(즉, 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드로워(D)의 위치)로 복귀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b)의 저장실(S3)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a)는 도어(3c)가 닫혀진 상태, (b)는 도어(3c)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드로워(D1, D2, D3), 드로워 가이드(40b), 인출기구(50a)의 조립체를 후방에서 도시한 것이다.
드로워 가이드(40b)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지지바(40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40b)는 저장실(S3) 내에 배치되어, 저장실(S3)의 후면(S(r))과 드로워(D1, D2, D3)를 연결하며, 드로워(D1, D2, D3)가 저장실(S3) 내에서 일정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한다.
지지바(40b)는 저장실(S3)의 후면(S(r))과 드로워(D1, D2, D3)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어(3c)가 개방될 시에는 인출기구(50a)에 의해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기 때문에, 저장실(S3)의 후면(S(r))과 드로워(D1, D2, D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며, 따라서, 이때 지지바(40b)는 그 길이가 늘어난다. 반대로,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실시예에 따라, 도어(3) 또는 도어 수납부(8a)가 미는 힘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복귀기구(80)가 작동함으로써, 드로워(D1, D2, D3)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지지바(40b)는 그 길이가 줄어든다.
지지바(40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저장실(S3)의 후면(S(r))에 고정된 고정바(47)와, 드로워(D1, D2, D3)에 고정되고, 고정바(47)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결합을 이루는 이동바(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c)의 개방시, 드로워(D1, D2, D3)와 함께 이동바(46)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 이동 거리만큼 지지바(40b)의 전체 길이가 신장된다.
이동바(46)는 일단(또는, 전단)이 드로워(D1, D2, D3)의 배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바(46)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고정바(47) 역시 수평하게 연장되며, 일단(또는, 후단)이 이동바(4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 저장실(S3)의 후면(S(r))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바(40b)가 드로워(D1, D2, D3)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실(S3)을 들여다볼 때 지지바(40b) 또는 지지바(40b)의 설치 구조가 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드로워(D1, D2, D3)가 구비되는 경우, 지지바(40b)는 각 드로워(D1, D2, D3)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드로워(D)에 대해 상칭적으로 한 쌍의 지지바(40b)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3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되고, 각각의 드로워(D1, D2, D3)가 저장실(S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씩의 지지바(40b)에 의해 지지되었다. 다만, 다수의 드로워(D1, D2, D3)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D3)은 인출기구(50a)의 베이스부(51)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드로워(D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40b)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어느 하나의 드로워(이하, D1을 예로 듦.)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제공되는 지지바(40b)들을 각각 제 1 지지바(40b(1)) 및 제 2 지지바(40b(2))라고 할 때, 제 1 지지바(40b(1))와 제 2 지지바(40b(2))는 후방 프레임(52)의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들 사이의 공간을 지지바(40b)를 설치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드로워(D1)가 한 쌍의 지지바(40b(1), 40b(2))의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제안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지지바(40b)에 의해서 드로워(D1)가 지지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지지바(40b)를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견고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바(40b)만으로도 드로워(D1)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후방 프레임(52)을 제 1 지지바(40b(1))와 제 2 지지바(40b(2))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드로워(D1, D2, D3)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제 1 지지바(40c(1))와 제 2 지지바(40c(2)) 간에 충분한 간격을 마련하고, 그로 인해 생성된 공간에는 후방 프레임(52)을 설치함으로써, 저장실(S3)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0에는 인출기구(50a)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인출기구(50b) 또는 인출기구(50c)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S3)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드로워 가이드(40c)는 저장실(S3)의 후면(S(r))에 의해 지지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드로워(D1, D2, D3, 이하, D1을 예로 듦.)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캔틸레버(40c)를 포함할 수 있다.
캔틸레버(40c)는 후단이 저장실(S3)의 후면(S(r))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캔틸레버(40c)는 저장실(S3)의 후면(S(r))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저장실(S3)의 후면(S(r))에는 캔틸레버(40c)의 후단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롯(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슬롯은 설치 가능한 드로워(D1, D2, D3)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다수가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희망하는 위치의 슬롯에 캔틸레버(40c)를 설치할 수 있다.
드로워(D1)는 캔틸레버(40c)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드로워(D1)의 저면에는 캔틸레버(40c)의 상측단이 삽입되는 홈(미도시)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3c)가 개방될 시에는 드로워(D1)가 캔틸레버(40c)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인출기구(50a)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고,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실시예에 따라, 도어(3) 또는 도어 수납부(8a)가 미는 힘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복귀기구(80)가 작동함으로써, 드로워(D1, D2, D3)가 캔틸레버(40c)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다수의 드로워(D1, D2, D3)가 구비되는 경우, 캔틸레버(40c)는 각 드로워(D1, D2, D3)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드로워(D)에 대해 상칭적으로 한 쌍의 캔틸레버(40c)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3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되고, 각각의 드로워(D1, D2, D3)가 저장실(S3)의 폭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씩의 캔틸레버(40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드로워(D1, D2, D3) 중에서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D3)은 인출기구(50a)의 베이스부(51)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드로워(D3)를 지지하기 위한 캔틸레버(40c)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캔틸레버(40c)는 후방 프레임(52)의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후방 프레임(52)을 한 쌍의 캔틸레버(40c)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1에는 인출기구(50a)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인출기구(50b) 또는 인출기구(50c)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구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구간의 의미 및 구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1)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며,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및
    상기 도어가 열릴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와 분리된 부재이고,
    상기 도어의 열리는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은 상기 후방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간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세로 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링크의 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세로 바의 각 하단부는 상기 후면부와 결합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연결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로 바는,
    폭 보다 길이가 긴 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세로 바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간이 상기 바닥부의 저면과 결합되는 냉장고.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세로 바는,
    상기 후면부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는 제 1 경사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사 구간과 상기 후면부가 서로 결합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바는,
    상기 제 1 경사 구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 구간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다수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수직 구간은,
    상기 다수의 드로워들 중에서 적어도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바는,
    상기 제 1 수직 구간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 구간; 및
    상기 제 2 경사 구간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수직 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수직 구간은,
    상기 제 1 수직 구간과 대응하는 드로워 보다 더 위쪽에 위치하는 드로워와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는 냉장고.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서 상기 한 쌍의 세로 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바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는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연결 바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암; 및
    상기 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 내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인출기구의 이동 간에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암 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하측에서 상기 롤러와 접촉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 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롤러 안내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가이드의 횡단면은,
    상기 드로워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안내 홈을 이루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 홈 내에서 상기 롤러 안내면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고.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로바는,
    서로 독립된 별개의 부재로써, 각각의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링크의 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세로 바의 각 하단부는 상기 후면부와 결합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각각의 세로 바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한 쌍의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홀더는,
    상기 세로 바의 양 측변을 감싸는 포켓을 형성하는 냉장고.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 항에 있어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전단부가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회전 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회전 관절을 구성하고, 후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2 회전 관절을 구성하는 냉장고.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냉장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슬릿의 전단에 위치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크의 후단부는 상기 슬릿의 전단과 이격되는 냉장고.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인출기구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 관절과 상기 제 2 회전 관절은, 상기 한 쌍의 인출기구 가이드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는 기준선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냉장고.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에 대한 상기 도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1 절곡구간과, 상기 제 1 절곡구간과 상기 후단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절곡구간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2 절곡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인출기구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기구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 및 상기 베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일; 및
    상기 저장실의 측면 및 상기 베이스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저장실의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인출기구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드로워와 연동하며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과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드로워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드로워 연결부재에는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냉장고.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레일을 고정시키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나란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스트립부;
    상기 제 1 스트립부로부터 상기 드로워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고, 일단에 상측으로 움푹 패인 노치가 형성된 제 2 스트립부;
    상기 제 2 스트립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 레일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고정 레일의 제 1 스트립부가 삽입되는 레일 설치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설치홈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직면; 및
    상기 수직면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부 수평면과 하부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수평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상부 유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하부 수평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하부 유지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고정 레일의 제 1 스트립부의 상단부는 상기 수직면과 상기 상부 유지돌기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유지돌기는 상기 고정 레일의 노치 내에 삽입되는 냉장고.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귀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기구는,
    상기 드로워와 연동하는 연결유닛;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드로워와 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락커;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락커의 이동을 안내하는 락커 가이드; 및
    일단이 상기 락커 가이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락커와 연결되어, 상기 락커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신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냉장고.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이동 가이드 돌기와,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와 평행한 선회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락커 가이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직진 가이드 슬릿과,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가 상기 직진 가이드 슬릿 내에서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선회 돌기가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안내하는 선회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와 상기 연결유닛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기 락커 및 상기 연결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결합 돌기의 삽입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유닛과 상기 락커가 전방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선회 돌기가 상기 선회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락커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결합 돌기와 분리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홈이 서로 분리되더라도, 상기 선회 돌기가 상기 선회 가이드 홈과의 간섭에 의해 위치를 유지하는 냉장고.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홈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닛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락커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냉장고.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고정 배치되는 고정 레일; 및
    상기 드로워와 연동하며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이동 레일과 상기 락커를 연결하는 냉장고.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는,
    이동 가이드 돌기와,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와 평행한 선회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락커 가이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직진 가이드 슬릿과,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가 상기 직진 가이드 슬릿 내에서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선회 돌기가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안내하는 선회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락커와 상기 연결유닛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상기 락커 및 상기 연결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이동할 시에는, 상기 결합 돌기의 삽입이 이루어져 상기 연결유닛과 상기 락커가 전방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선회 돌기가 상기 선회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락커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결합 돌기와 분리되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이동 레일과 결합되는 상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하단부가 형성된 연결 탭; 및
    상기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탭에 형성된 홈 내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변이 형성되는 락커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43. 삭제
  4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후면과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며,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드로워가 이동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 고정된 고정바;
    상기 드로워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바와 길이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결합을 이루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4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가이드는,
    후단이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후단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후면에는 상기 캔틸레버의 후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롯이 형성되는 냉장고.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하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냉장고.
  49.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며,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및
    상기 도어가 열릴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시 상기 드로워와 접촉되는 한 쌍의 세로 바를 포함하고,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링크의 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가 만나는 코너와 대응하는 부분들이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보강 밴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밴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냉장고.
  51.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로 바는,
    상기 보강 밴드와 결합되는 냉장고.
KR1020160001267A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181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50,518 US10203152B2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CN201680010293.9A CN107295806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EP16749500.1A EP3258195B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JP2017542429A JP6608943B2 (ja) 2015-02-13 2016-02-12 冷蔵庫
PCT/KR2016/001454 WO2016129960A2 (ko) 2015-02-13 2016-02-12 냉장고
CN201680010292.4A CN107295805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PCT/KR2016/001455 WO2016129961A2 (ko) 2015-02-13 2016-02-12 냉장고
JP2017542428A JP6496419B2 (ja) 2015-02-13 2016-02-12 冷蔵庫
PCT/KR2016/001446 WO2016129956A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EP16749501.9A EP3258196B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CN201680015676.5A CN107454934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EP16749496.2A EP3256800A4 (en) 2015-02-13 2016-02-12 FRIDGE
US15/550,691 US10634422B2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US15/550,541 US10180279B2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CN202110537618.1A CN113375406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US16/272,423 US10520247B2 (en) 2015-02-13 2019-02-11 Refrigerator
US16/720,622 US11408668B2 (en) 2015-02-13 2019-12-19 Refrigerator
US17/839,923 US11920859B2 (en) 2015-02-13 2022-06-14 Refrigerator
US18/418,083 US20240159459A1 (en) 2015-02-13 2024-01-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197 2015-02-13
KR20150022197 2015-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20A KR20160100220A (ko) 2016-08-23
KR101819004B1 true KR101819004B1 (ko) 2018-01-16

Family

ID=56875543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69A KR101802903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70A KR101871266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67A KR10181900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68A KR10239266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220049110A KR102560477B1 (ko) 2015-02-13 2022-04-20 냉장고
KR1020230094812A KR20230113714A (ko) 2015-02-13 2023-07-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69A KR101802903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70A KR101871266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68A KR10239266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220049110A KR102560477B1 (ko) 2015-02-13 2022-04-20 냉장고
KR1020230094812A KR20230113714A (ko) 2015-02-13 2023-07-20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180279B2 (ko)
EP (1) EP3258195B1 (ko)
JP (1) JP6608943B2 (ko)
KR (6) KR101802903B1 (ko)
CN (3) CN107295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4874B (zh) 2015-11-04 2022-12-30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94879B1 (ko) * 2016-11-11 2018-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33210B1 (ko) 2017-10-13 2022-08-18 한국전력공사 다중 압력조절 장치를 이용한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
CN107906838A (zh) * 2017-12-14 2018-04-13 江苏雷利电机股份有限公司 开启机构及具有所述开启机构的家用电器
US10962278B2 (en) * 2018-04-30 2021-03-30 Prince Castle LLC Mounting systems for refrigeration devices
KR102573779B1 (ko)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9744769B (zh) * 2018-11-30 2020-12-2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可联动的抽屉组件及冰箱
CN109315949A (zh) * 2018-12-27 2019-02-12 刘娟 一种便于档案分类管理的档案柜
US10551113B1 (en) 2019-01-18 2020-02-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AU2019470529A1 (en) * 2019-10-18 2022-04-28 Electrolux Do Brasil S.A. Pull out drawer with integrated wine rack
US11026507B1 (en) * 2019-12-04 2021-06-08 Robern, Inc. Cabinet
CN111550962B (zh) * 2020-05-11 2021-10-2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875917A (zh) * 2021-08-03 2023-03-3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气密装置
US11772858B2 (en) 2021-08-03 2023-10-03 Delta Electronics, Inc. Airtigh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7813A (en) * 1916-08-30 1917-05-29 G I Sellers & Sons Company Sliding shelf for kitchen-cabinets.
US1835847A (en) * 1929-09-17 1931-12-08 Arch G Chandler Door shifted tray support for cabinets
US2095811A (en) * 1934-03-30 1937-10-12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103885A (en) 1936-06-10 1937-12-28 John T Whalen Refrigerator
US2761751A (en) * 1953-01-12 1956-09-04 Stockton Louise Haines Cabinet for household refrigerators, etc.
US3212835A (en) * 1962-01-16 1965-10-19 Whirlpool Co Drop down cabinet door and associated removable receptacle
JPS5960955U (ja) * 1982-10-15 1984-04-21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キヤビネツト
US5005729A (en) * 1990-01-22 1991-04-09 Hollman Kevin A Displaceable waste basket
US5299863A (en) * 1991-11-14 1994-04-05 Albright Jr Harold D Refrigerator with sliding interior frame
JPH085615Y2 (ja) * 1992-10-24 1996-02-21 榎本金属株式会社 棚付の収納ボックス
US5440107A (en) * 1993-10-29 1995-08-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money drawer assembly with money clip alarm system
US5474374A (en) * 1994-09-14 1995-12-12 Sandvig; Dennis L. Cabinet-mounted sliding tray
KR100203985B1 (ko) * 1995-07-20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회동선반
US6292978B1 (en) * 1999-01-14 2001-09-25 Hoffman Enclosures, Inc. Door stop apparatus
US6253568B1 (en) * 1999-12-23 2001-07-03 David A. Peffley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US6220682B1 (en) * 2000-04-07 2001-04-24 Nicholas L. Vertullo Refrigerator shelving system
DE10105847B4 (de) * 2001-02-08 2006-07-06 Heinrich J. Kesseböhmer KG Mitnahmevorrichtung für ausziehbaren Möbelboden
JP3544374B2 (ja) 2002-02-06 2004-07-21 株式会社丸伸 収納家具
KR100861347B1 (ko) * 2002-11-25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장치
KR100546903B1 (ko) * 2003-03-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20050060115A (ko) * 2003-12-15 2005-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선반 자동 인출장치
KR100585696B1 (ko) 2004-06-14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219433B1 (ko) * 2005-01-11 201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3112237U (ja) * 2005-05-02 2005-08-04 ヤイリ家具株式会社 収納庫
KR100707460B1 (ko) 2005-05-27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27021B1 (ko) *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슬라이딩식 수납장
JP4366410B2 (ja) * 2007-03-30 2009-11-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09228911A (ja)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冷蔵庫
DE202009004710U1 (de) * 2009-04-04 2009-06-25 Düperthal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rank, insbesondere Sicherheitsschrank
US8267493B2 (en) * 2009-01-15 2012-09-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02009000855A1 (de) * 2009-02-13 2010-08-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KR101584805B1 (ko) * 2009-04-23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250929B1 (de) * 2009-05-12 2012-05-23 Peka-Metall A.G. Schrankteil mit herausziehbarem Ausziehteil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80447B1 (ko) *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2947659B (zh) * 2010-04-21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8561219B2 (en) * 2010-10-04 2013-10-22 Darrell Jay Metcalf Positionable zero-footprint self-cleaning urinal and very low water-usage mist-dispensing means
CN202066294U (zh) * 2011-03-28 2011-12-07 海尔集团公司 冰箱的抽屉和具有该抽屉的冰箱
US9429355B2 (en) * 2011-11-15 2016-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30117903A (ko) * 2012-04-13 2013-10-29 (주)세고스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KR20140013718A (ko) * 2012-07-26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닫힘장치를 적용한 냉장고의 진공 밀폐야채실
KR101398460B1 (ko) * 2012-09-18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실 드로워에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62138B1 (ko) * 2012-11-05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6243B1 (ko) * 2014-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2387B1 (ko) * 2016-02-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26423B1 (en) * 2016-04-06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21A (ko) 2016-08-23
US20200200469A1 (en) 2020-06-25
KR20160100222A (ko) 2016-08-23
CN107295805B (zh) 2019-11-15
US20190242641A1 (en) 2019-08-08
US11408668B2 (en) 2022-08-09
US10203152B2 (en) 2019-02-12
US20180031308A1 (en) 2018-02-01
KR102392664B1 (ko) 2022-04-29
KR20160100220A (ko) 2016-08-23
EP3258195A4 (en) 2019-03-20
KR102560477B1 (ko) 2023-07-27
US20180038631A1 (en) 2018-02-08
CN113375406B (zh) 2022-11-29
CN107295805A (zh) 2017-10-24
US10180279B2 (en) 2019-01-15
CN107295806B (zh) 2021-06-08
CN107295806A (zh) 2017-10-24
JP2018505379A (ja) 2018-02-22
KR101802903B1 (ko) 2017-11-29
KR20220054274A (ko) 2022-05-02
CN113375406A (zh) 2021-09-10
KR20160100223A (ko) 2016-08-23
KR101871266B1 (ko) 2018-06-27
EP3258195B1 (en) 2021-11-17
KR20230113714A (ko) 2023-08-01
EP3258195A2 (en) 2017-12-20
JP6608943B2 (ja) 2019-11-20
US10520247B2 (en)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004B1 (ko) 냉장고
CN107454934B (zh) 冰箱
EP2913609B1 (en) Refrigerator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1725873B2 (en) Refrigerator
US20240159459A1 (en) Refrigerator
KR20100032178A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90006373A (ko) 냉장고의 선반고정구조
KR101750543B1 (ko) 냉장고
JP3927983B2 (ja) 冷蔵庫
KR20230101423A (ko) 냉장고
KR20090056643A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