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2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223A
KR20160100223A KR1020160001270A KR20160001270A KR20160100223A KR 20160100223 A KR20160100223 A KR 20160100223A KR 1020160001270 A KR1020160001270 A KR 1020160001270A KR 20160001270 A KR20160001270 A KR 20160001270A KR 20160100223 A KR20160100223 A KR 2016010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drawers
dispose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266B1 (ko
Inventor
양창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680010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295805B/zh
Priority to US15/550,518 priority patent/US10203152B2/en
Priority to PCT/KR2016/001455 priority patent/WO2016129961A2/ko
Priority to EP16749501.9A priority patent/EP3258196B1/en
Publication of KR2016010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266B1/ko
Priority to US16/272,423 priority patent/US10520247B2/en
Priority to US16/720,622 priority patent/US11408668B2/en
Priority to US17/839,923 priority patent/US11920859B2/en
Priority to US18/418,083 priority patent/US202401594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7Profiled cabinet walls with grooves or protuberances for supporting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fluids through the insula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암을 포함하는 인출기구; 및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암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암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상태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고,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도 홈바,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도어를 닫았을 때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에 장착되는 선반이나 서랍과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된 구성 부품들이 서로 간섭되는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예를 들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드로워(예를 들어, 선반 또는 서랍)의 전단부가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후퇴되는 지점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에 저장된 음식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저장실 안쪽으로 손을 깊숙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실의 안쪽 후방에 저장된 음식물은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냉장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저장실이 깊어질수록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0357호(이하, '357특허라고 함.)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설치되는 선반이나 서랍이 수납 프레임에 놓이고, 다관절 링크의 전단부가 냉장고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수납 프레임과 연결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를 회전시켜서 개방하면 상기 수납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선반과 서랍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의 경우,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이 모두 상기 수납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선반과 서랍의 하중 및 상기 선반과 서랍에 수납된 음식물의 하중이 모두 수납 프레임에 집중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수납 프레임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기 수납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부피가 증가되어, 상기 수납 프레임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프레임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그 만큼 저장실의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상기 선반이나 서랍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선반이나 서랍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인출수단을 분리시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수단으로 인해, 상기 인출수단에 상기 선반이나 서랍의 하중이 가해지지는 않게 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상기 선반이나 서랍이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수단과 상기 선반(또는, 서랍) 상호 간에는 작용, 반작용에 따른 반력이 가해진다. 특히, 상기 인출수단에는 상기 선반이나 서랍의 관성으로부터 기인한 반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지지수단과 인출수단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인출수단은 '357특허의 수납 프레임과 비교할 시, 그 이동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적은 관성으로 인해 흔들림에는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와 연동하며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인출기구를 제공하되,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은 드로워 가이드가 전담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드로워로부터는 하중을 받지 않고, 그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 특히, 저장실 내에 다수개의 드로워들이 배치되더라도, 상기 드로워들의 하중은, 각 드로워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들을 함께 인출시키되,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로부터는 독립적인 무하중 요소(non-load bearing element)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드로워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출기구가 이동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가 개방될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도어와 연동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드로워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링크에 의해 상기 도어와 연결되거나,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otor)나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이동하며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킨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된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 이동된다.
이때, 상기 드로워의 하중은 상기 드로워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으로부터는 자유로워지고,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즉,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수단(즉, 드로워 가이드)과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키는 수단(즉, 인출기구)이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에는 실질적으로, 그 자신의 하중 만이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인출기구에 작용하는 부하가 경미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의 단순화, 경량화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인출기구를 지지하는 인출기구 가이드에 작용하는 부하 역시 저감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 가이드를 구성하는 베어링 요소(예를 들어, 레일)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는, 상기 암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암 가이드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후방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에도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인출기구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암을 포함하는 인출기구; 및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암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로워로부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해 걸림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인출기구의 암는 상기 걸림 돌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암이 연결된 구조로 인해,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기구가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당겨 이동시키며, 따라서, 상기 드로워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및 상기 도어가 열릴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하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드로워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인출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 돌기와 연결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드로워를 인출하는 인출기구가 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암이 암 가이드에 의해 지지,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로부터 상기 후방 프레임에 반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암이 지탱해주기 때문에, 상기 후방 프레임이 변형(특히, 후방으로 쳐지는 현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암이 상기 암 가이드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인출기구의 이동 간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인출기구에 의해 상기 드로워가 자동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드로워 및 드로워 가이드의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인출기구와 링크의 조립체를 아래 쪽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인출기구를 후방 아래 쪽으로부터 바라본 것이다.
도 9b는 인출기구의 전면도이다.
도 9c는 인출기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저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도어가 인출시작각도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1a)의 도어(3a, 3b, 3c, 3d)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의 저장실(S3) 내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후/좌/우/상/하”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a)는 내측으로 격실(RC, FC)(또는, 저장실(S1, S2, S3, S4))이 형성된 캐비닛(10)과, 격실(RC, FC)을 여닫는 도어(3a, 3b, 3c, 3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는 캐비닛(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식품이 출입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구되며, 격실(RC, FC)의 개구된 전면이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격실(RC, FC) 내로 냉기가 공급되며, 냉기가 격실(RC, FC)로부터 누설되지 않도록 격실(RC, FC)은 도어(3a, 3b, 3c, 3d)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격실(RC, FC)은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버틈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의 경우, 캐비닛(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격실(RC, FC)이 구비되며, 이 경우, 하측에 위치하는 격실(F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하로 유지되는 냉동실이며, 상측에 위치하는 격실(RC)은 내측의 온도가 섭씨 0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냉장실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격실”은, 필요에 따라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하지 않은 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각각의 격실(RC, FC)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와 같이, 냉장실(R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3a, 3b)가 구비되고, 냉동실(FC)을 개폐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3c, 3d)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실(S1, S2, S3, S4)은 격실(RC, FC)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도어(3a, 3b, 3c, 3d)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냉장실(R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장실 도어(3a)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1)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장실 도어(3b)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장 저장실(S1),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장 저장실(S2)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냉동실(FC)은 개구된 전면이 좌측 냉동실 도어(3c)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3)과, 개구된 전면이 우측 냉동실 도어(3d)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S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필요에 따라 전자의 경우를 좌측 냉동 저장실(S3), 후자의 경우를 우측 냉동 저장실(S4)이라고 구분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하나의 격실 내에 횡방향으로 두 개의 저장실이 마련된 경우, 상기 두 개의 저장실들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실(RC)은 전면에서 바라 보았을 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을 구분하는 부재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좌측 냉장 저장실(S1)과 우측 냉장 저장실(S2) 간에는 자유롭게 냉기가 순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냉동실(FC)은, 냉장실(RC)과 다르게, 좌측 냉동 저장실(S3)과 우측 냉동 저장실(S4) 사이에 수직 파티션(20)이 제공됨으로써, 양쪽 저장실(S3, S4)이 구분되어 있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수직 파티션(20)에 의해 양쪽 저장실들(S3, S4) 간의 냉기의 순환이 완전히 차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직 파티션(20)에는 양쪽 저장실들(S3, S4)을 서로 연통시키는 통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실(S1, S2, S3, S4)은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S(f))과, 전면(S(f))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S(s))과, 한 쌍의 측면(S(s))의 각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면(S(u))과, 상면(S(u))과 대향하며 한 쌍의 측면(S(s))의 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면(S(b)) 또는 바닥과,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며 한 쌍의 측면(S(s))과 상면(S(u))과 하면(S(b))을 서로 연결하는 후면(S(r))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냉동실(FC)과 같이 하나의 공간이 수직 파티션(20)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횡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저장실(S3, S4)을 형성하는 경우, 각 저장실(S3, S4)의 하면(S(b))과 후면(S(r))은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면(S(u))은 냉장실(RC)과 냉동실(FC)를 구획하는 수평 파티션(7)의 저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실(S3, S4)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과 대향하는 수직 파티션(20)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냉장실(RC)이 수직 파티션에 의해 양쪽으로 분할되어 한 쌍의 저장실이 구성되는 경우, 냉장실(RC)을 구성하는 저장실(S1, S2)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와, 상면, 후면은 캐비닛(10)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 파티션(7)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고, 양 측면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수직 파티션의 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실(S1, S2, S3, S4)에 대응하여 도어(3a, 3b, 3c, 3d)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의 배면부, 즉, 저장실(S1, S2, S3, S4)의 개구된 전면을 대향하는 부분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도어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납부는 유제품, 음료수, 야채 등 꺼내는 빈도가 잦은 식품을 수용하는 보관실(8a), 얼음을 보관하는 트레이(8b), 작게 포장된 냉동식품 등을 보관하는 바스켓(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a, 3b, 3c, 3d)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수납부(8a, 8b, 8c)는 적어도 일부분이 저장실(S1, S2, S3, S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격실(RC, FC) 또는 저장실(S1, S2, S3, S4) 내에는 드로워(D)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식품을 수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D)는 식품이 담기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320, 서랍 또는 빈(bin)이라고도 함.)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드로워(D)는 수평한 판체형의 선반(31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냉장고(1a)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드로워(D1, D2, D3) 및 드로워 가이드(40)의 조립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인출기구(50a)와 링크(70)의 조립체를 아래 쪽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a는 인출기구(50a)를 후방 아래 쪽으로부터 바라본 것이다. 도 9b는 인출기구(50a)의 전면도이다. 도 9c는 인출기구(50a)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좌측 냉동 저장실(S3)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설명되는 내용들은 다른 저장실(S1, S2, S4)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는 캐비닛(10), 도어(3c), 드로워(D1, D2, D3), 드로워 가이드(40), 인출기구(50a), 인출기구 가이드(60), 링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실(S3) 내에는 드로워(D)를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4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 가이드(40)는 드로워(D)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하나의 드로워(예를 들어, D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 드로워(D1)의 하중이 한 쌍의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개의 드로워(D1, D2, D3)에 대응하여 저장실(S3)의 한쪽 측면(S(s))에 3개의 드로워 가이드(40)가 배치되었으며,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장실(S3)의 다른 쪽 측면(S(s))에도 같은 방식으로 3개의 드로워 가이드(40)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드로워(D)에 대해 제공되는 한쌍의 드로워 가이드(40)는 저장실(S3)의 한 쪽 측면(S(s))을 구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에 배치되는 제 1 드로워 가이드(40(L))와, 저장실(S3)의 다른 한쪽 측면(예를 들어, 수직 파티션(2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 2 드로워 가이드(40(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참조.).
바람직하게는, 드로워(D)는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역학적으로 균형 상태(state of static mechanical equilibrium)로 지지된다. 즉, 드로워(D)의 모든 하중이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지지되며, 드로워(D)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한 드로워 가이드(40) 상에서 정지된 채로 유지된다. 실질적으로 드로워(D)의 모든 하중이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지지되며, 후술하는 후방 프레임(52)은 드로워(D)의 하중을 감당하지 않는 무하중 부재(non-load bearing element)이다.
드로워 가이드(40)는 레일이나 롤러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드로워 가이드(40)는 저장실(S3)의 내측면(S(s))에 대해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긴 고정 레일(41)과, 고정 레일(41)을 따라 이동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드로워(D)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 레일(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레일(42, 43)은 반드시 하나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와 같이, 2 개의 이동 레일(42, 43)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이동 레일(42)은 드로워(D)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이동 레일(43)과 맞물려 있고, 제 2 이동 레일(43)은 고정 레일(41)과 맞물려 있다.
드로워(D1)가 원위치(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제 1 이동 레일(42)이 제 2 이동 레일(43)을 따라 이동되며, 제 1 이동 레일(42)이 상기 일정 거리를 넘어 전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제 2 이동 레일(43)이 고정 레일(4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드로워 가이드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드로워 가이드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대해 고정된 고정 레일과, 드로워(D)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로워(D)의 이동 간에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구르며 이동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레일(41)은 금속 판체가 여러 차례 절곡된 형상으로써, 저장실(S3)의 측면(S(s))과 나란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 1 스트립부(411)와, 제 1 스트립부(411)의 하단으로부터 드로워(D1)를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2 스트립부(412)와, 제 2 스트립부(412)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 2 이동 레일(43)의 하단부(431)가 삽입되는 포켓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부(413)는 상측이 입구를 형성하는 “U” 자 형태의 포켓을 형성하며, 상기 포켓의 입구를 통해 제 2 이동 레일(43)의 하단부(431)가 삽입될 수 있다. 제 1 이동 레일(42)은 그 단면이 포켓부(413)와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포켓의 입구가 하측에 위치하는 뒤집어진 “U”자 형태를 이루며, 제 2 이동 레일(43)의 상단부(432)가 상기 입구를 통해 포켓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이동 레일(42)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422)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D1)가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지지되도록,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을 연결하는 드로워 연결부재(321)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드로워 연결부재(321)는 드로워(D1)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드로워(D1)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드로워(D1)와 결합될 수도 있다.
드로워 연결부재(321)는 제 1 이동 레일(42)의 후크(422)와 결합되는 수평 리브(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리브(321a)는 드로워(D1)의 외측면에서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후크(422)는 제 1 이동 레일(42)의 상면(4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부분(422a)과, 제 1 부분(422a)의 상단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422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리브(321a)에는 적절한 형태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후크(422)가 상기 결합공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수평 리브(321a)와 후크(422) 간의 위와 같은 결합에 의해,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이 함께 이동되나, 이에 한하지 않고,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은, 양자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가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드로워(D1)와 제 1 이동 레일(42) 간의 결합은 별도의 공구없이도 사용자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나 볼트를 이용한 결합과 같이, 공구를 이용하여 분리하지 않은 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구조가 아니라, 사용자의 손조작만으로도 결합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드로워(D1)를 적절하게 움직임으로써, 임의로 수평 리브(321a)에 형성된 결합공에 제 1 이동 레일(42)의 후크(422)를 삽입하거나,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후크(422)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이동 레일(42)과 분리된 드로워(D1)는 저장실(S3) 외부로도 꺼내질 수 있다.
한편, 드로워 연결부재(321)는 수평 리브(321a)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 리브(3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리브(321b)는 제 1 이동 레일(42)의 제 1 측면부(423)와 접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수직 리브(321b)를 제 1 측면부(423)와 결합시키는 나사나 볼트 등(이하, “체결부재”라고 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이동 레일(42)의 제 1 측면부(423)는, 제 1 이동 레일(42)의 수평한 상면부(421)의 양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2 개의 측면부(423, 424) 중 제 1 스트립부(411)와 더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제 2 스트립부(412)에는 뒤집어진 “V”자 형태(즉, 상측으로 움푹 패인 형태)의 노치(notch, 41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노치(412a) 내에는 후술하는 브래킷(14)의 하부 유지돌기(143a)가 삽입될 수 있다. 노치(412a)는 제 2 스트립부(412)가 포켓부(413)와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저장실(S3)의 측면(S(s))에는 드로워 가이드(40)를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14)이 배치될 수 있다. 브래킷(14)은 저장실(S3)의 측면(S(s))으로부터 드로워(D1)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브래킷(14)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레일 설치홈(14a)이 형성되고, 레일 설치홈(14a) 내에 고정 레일(41)이 설치된다. 레일 설치홈(14a)은 저장실(S3)의 측면(S(s))과 대략 평행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직면(141)과, 수직면(14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수평하게 돌출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부 수평면(142) 및 하부 수평면(143)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레일 설치홈(14a) 내에는 수직면(141)을 절개하여 형성한 탄성 지지탭(144)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 지지탭(144)은 수직면(141)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고정 레일(41)의 제 1 스트립부(411)에 의해 측방향으로 가압된다.
고정 고정 레일(41)이 레일 설치홈(14a)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 지지탭(144)은 고정 레일(41)에 의해 가압된 상태, 즉, 변형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변형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 외력이 제거될 시(즉, 고정 레일(41)이 분리될 시) 탄성 지지탭(144)을 원형태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브래킷(14)은 레일 설치홈(14a)의 상부 수평면(142)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상부 유지돌기(142a) 및/또는 하부 수평면(143)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하부 유지돌기(14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일(41)의 제 1 스트립부(411)가 레일 설치홈(14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는 수직면(141)과 상부 유지돌기(142a) 사이에 위치되고, 특히, 수직면(141)과 상부 유지돌기(142a) 사이의 간격은 제 1 스트립부(411)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 유지돌기(142a)에 의해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의 측방향 움직임이 제지되어,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가 상기 간격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유지된다.
하부 수평면(143) 상에는 제 2 스트립부(412)가 안착될 수 있다. 하부 수평면(143)은 상부 수평면(142) 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수평면(143)과 상부 수평면(142)의 폭간 차이(g)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하부 유지돌기(143a)가 상부 유지돌기(142a)보다 더 드로워(D1)측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지돌기(143a)는 고정 레일(41)의 노치(412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노치(412a)에 의해 하부 유지돌기(143a)의 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지된다. 하부 유지돌기(143a)와 노치(412a) 간의 결속력에 의해, 고정 레일(41)의 하단부가 브래킷(14)과 견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레일(41)이 브래킷(14)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스트립부(411)는 탄성 지지탭(144)에 의해 측방향(즉, 드로워(D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제 1 스트립부(411)의 상단부가 상부 유지돌기(142a)와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노치(412a) 내에 하부 유지돌기(143a)가 삽입되기 때문에, 고정 레일(41)이 흔들림 없이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 레일 설치홈(14a)은, 브래킷(14)에 형성되고, 브래킷(14)이 저장실(S3)의 측면(S(s))과 결합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브래킷(14)은 저장실(S3)의 측면(S(s))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의 내측면(11) 또는 수직 파티션(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출기구(50a)는 도어(3c)의 개폐 동작과 연계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인출기구(50a)는 도어(3c)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인출기구(50a)의 동작에 따라 드로워(D1, D2, D3)가 이동되며, 특히, 인출기구(50a)는 도어(3c)가 열리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 인출기구(50a)와 드로워들(D1, D2, D3)의 위치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3c)가 개방되면,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드로워(D1, D2, D3)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때의 인출기구(50a)와 드로워(D1, D2, D3)의 위치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어(3c)가 열려 저장실(S3)의 전면(S(f))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D1, D2, D3)는 최초 수납된 위치(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드로워(D1, D2, D3)의 위치, 이하, “원위치”라고 함.)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만큼 사용자의 손이 드로워(D1, D2, D3)까지 쉽게 미칠 수 있어, 드로워(D1, D2, D3)로부터 식품을 꺼내거나, 드로워(D)에 식품을 담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편리성은, 저장실(S3)이 깊은 대용량 냉장고의 경우에 특히 요긴하다.
도 4, 도 8,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인출기구(50a)는 드로워(D3)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부(51)와, 베이스부(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5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52)은 적어도 일부분이 드로워(D1, D2, D3)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 프레임(52)은 드로워(D1, D2, D3)와 저장실(S)의 후면(S(r)) 사이를 통과하여 저장실(S3)의 상면(S(u))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로워(D1)와 대응하는 높이에 이를 수 있다. 이하, 저장실(S3) 내에 배치된 3 개의 드로워(D1, D2, D3) 모두가, 도어(3c) 개방시, 후방 프레임(52)에 의해 밀려 이동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나, 이들 드로워들(D1, D2, D3)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드로워(D3)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이스부(51)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드로워(D3)를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40a)는 생략될 수 있다.
냉장고(1a)는 인출기구(50a)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인출기구 가이드(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기구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측면(S(s))과 베이스부(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51)의 양쪽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인출기구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측면(S(s)) 및 베이스부(5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레일(61)과,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베이스부(51)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레일(61)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6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출기구(50a)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고정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일(61)과, 베이스부(51)의 측면부(512, 513, 도 9b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출기구(50a)의 이동 간에 레일(61)을 따라 구르며 이동되는 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롤러(62) 대신, 레일(61)과 맞물려지는 이동 레일(미도시)이 베이스부(5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뿐 아니라, 저장실(S3)의 측면(S(s))에 롤러(62)가 고정되고, 베이스부(51)의 측면부(512, 513)에 레일(61)이 배치되어, 레일(61)이 롤러(62)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인출기구 가이드(60)는 저장실(S3)의 하면(S(b))과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 도 9b 참조.)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저장실(S3)의 하면(S(b))에 고정 레일이 배치되고,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에는 상기 고정 레일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베이스부(51)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레일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는 수평한 바닥부(5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닥부(511)의 상면은 상측을 향하고, 상기 상면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저면은 저장실(S)의 하면(S(b))을 대향한다. 실시예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된 경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51)는 최하측에 위치하는 드로워(D3)보다도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링크(70)는 도어(3c)와 베이스부(51)를 연결하며, 일단은 도어(3c)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부(5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70)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는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평한 바닥부(511)와, 바닥부(511)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512, 513)와, 바닥부(511)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측면부(512, 513)들을 서로 연결하는 후면부(514)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52)은 베이스부(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저장실(S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세로 바(520a 520b)는 후면부(514)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들을 서로 구분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각각을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로 표현하기로 한다.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는 반드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폭(w, 도 9a 참조.)보다 길이가 긴 띠(bend)의 또는 빔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프레임 부재(520)에 의해 한 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프레임 부재(520)는 제 1 세로 바(520a)를 형성하는 구간(521 내지 524)과 제 2 세로 바(520b)를 형성하는 구간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양 구간들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로써, 연결구간(520c)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가 서로 이격되기 때문에, 양자 사이로 냉기가 통과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저장실(S3)의 내측 깊숙한 곳에서도 냉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특히, 저장실(S3)의 후면(S(r))에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경우에,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저장실(S3) 내로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연결구간(520c)은 베이스부(51)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닥부(511)를 지지할 수 있고, 체결부재에 의해 바닥부(511)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구간(520c)은 제 1 세로 바(520a)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545a)과, 제 2 세로 바(520b)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545b)과, 양 구간(545a, 545b) 사이에서 저장실(S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546)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간(546)은 바람직하게는, 구간(545a) 및 구간(545b)과 수직하다.
프레임 부재(520)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금속재를 소성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바(520)의 전면과 베이스부(51)의 외측면(예를 들어, 후면부(514)의 배면 또는 바닥부(511)의 저면)이 체결부재(56)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세로 바(520a, 520b)의 하단부는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의 배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단부와 후면부(514)가 세로 바(520a, 52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2 이상의 지점에서 체결부재(5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는 후면부(514)의 폭을 균분하는 중심선(M, 도 9b 참조.) - 예를 들어, 베이스부(51)의 양 측면부(512, 513)들로부터 등거리 상에 위치하는 지점들을 연결한 선 - 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는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세로 바(520a, 520b)는 하단부가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의 배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후면부(514)의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제 1 경사 구간(521)과, 제 1 경사 구간(521)으로부터 다수의 드로워들(D1, D2, D3) 중에서 적어도 가장 하측에 위치한 드로워(D3)와 대응하는 높이(즉, 적어도 드로워(D3)와 접촉 가능한 높이)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수직 구간(52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기구(50a)의 이동 중에, 드로워(D3)의 배면이 제 1 수직 구간(521)과 접촉될 수 있다. 드로워(D3)는 베이스부(51) 보다 더 후방 영역을 점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 1 경사 구간(521)이 베이스부(51)로부터 후방을 향해 기울어지고, 이렇게 기울어진 제 1 경사 구간(521)으로부터 제 1 수직 구간(522)이 상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수직 구간(522)은, 드로워(D3)의 뒤쪽 부분이 베이스부(51) 보다 후방에 위치하더라도, 드로워(D3)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세로 바(520a, 520b)는 제 1 수직 구간(522)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를 이루는 제 2 경사 구간(523)과, 제 2 경사 구간(523)으로부터 적어도 드로워(D3)의 위쪽에 배치된 드로워(D2)와 대응하는 높이(즉, 적어도 드로워(D2)와 접촉 가능한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 2 수직 구간(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3 개의 드로워(D1, D2, D3)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수직 구간(524)이 드로워(D1)와도 접촉 가능한 높이까지 연장되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D2, D3)는 드로워(D1)보다 더 후방까지 점유하도록 구성되어, 제 2 수직 구간(524)와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는, 측면부(512, 513) 보다 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측면부(512, 513)보다 더 위쪽 영역에서도 세로 바(520a, 520b)와 접촉될 수 있다. 즉, 후면부(514)를 측면부(512, 513) 보다 더 높이까지 형성함으로써, 세로 바(520a, 520b)와 접촉되는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으며, 그 만큼 지지하는 면적 또한 넓어져 세로 바(520a, 520b)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세로 바(520a, 520b)는 베이스부(51)의 후면부(514)와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로 바(520a, 520b)의 제 1 경사 구간(521)이 체결부재(56)에 의해 후면부(514)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세로 바(520a, 520b)가 후면부(514)와 결합되는 구조는, 후면부(514)가 세로 바(520a, 520b)의 하단부를 견실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인출기구(50a)가 드로워(D1, D2, D3)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작용하는 반력(예를 들어, 드로워(D1, D2, D3)의 관성으로 인한 반발력)이 세로 바(520a, 520b)에 작용하더라도,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쉽게 쳐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쪽 세로 바(520a, 520b) 사이가 연결구간(520c)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구간(520c)은 545a, 545b 및 546의 구간들로 이루어진 “ㄷ”자 형태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베이스부(51)의 바닥부(511)의 저면과 밀착 또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드로워(D1, D2, D3)로부터 가해진 반력에 의해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려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구간(520c)에 의해 연결되는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양 세로 바(520a, 520b)에 서로 다른 크기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힘들이 연결구간(520c)을 통해 분산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양 세로 바(520a, 520b)에는 어느 정도 고르게 힘이 작용되며, 그 만큼 후방 프레임(52)이 뒤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인출기구(50a)는 베이스부(51)의 상측에서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바(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53)는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를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며, 특히, 양 세로 바(520a, 520b)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인출기구(50a)가 드로워(D1, D2, D3)를 밀어주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양쪽 세로 바(520a, 520b)에 작용하는 힘에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세로 바(예를 들어, 520a)가 다른 하나의 세로 바(예를 들어, 520b)보다 더 후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연결 바(53)는 제 1 세로 바(520a)와 제 2 세로 바(520b)의 위쪽 부분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바(53)는 각 세로 바(520a, 520b)의 제 2 수직 구간(524)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직 구간(524)의 하단(즉, 제 2 경사 구간(523)과의 연결부)보다는 상단부와 가까운 위치에 결합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인출기구(50a)는 후방 프레임(5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드로워(D1, D2, D3)와 저장실(S3)의 측면(S(s)) 사이에 위치되고, 암 가이드(91)를 따라 안내되는 암(532, 533)을 포함할 수 있다. 암(532, 533)은 드로워(D1, D2, D3)의 양측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이 저장실(S3)의 양 측면(S(s))에 배치된 암 가이드(9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52)이 세로 바(520a. 5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암(532, 533)은 세로 바(520a, 520b)에 대해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암(532, 533)은 후방 프레임(52)에 결합된 연결 바(53)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세로 바(520a, 520b)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 바(53)는 저장실(S3)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31)는 한 쌍의 세로 바(520a, 520b)와 결합되며, 연결부(531)의 양단은 각각 세로 바(520a, 520b)로부터 저장실(S3)의 측면(S(s))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암(532, 533)은 연결부(53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드로워(D1)와 저장실(S3)의 측면(S(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양쪽 암(532, 533)에는 각각 롤러(92)가 구비될 수 있고, 롤러(92)는 인출기구(50a)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암 가이드(91)를 따라 구를 수 있다.
연결부(531)에는 탄성돌기(536)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돌기(536)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돌기(536)는, 드로워(D1)와 접촉되는 연결부(531)의 전면에 배치되어,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드로워(D1)와 접촉될 수 있다. 도어(3c)가 개방됨에 따라,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탄성돌기(536)가 드로워(D1)와 접촉됨으로써 충격이 완화되고, 충격으로 인한 소음 역시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암 가이드(91)는 저장실(S3)의 측면(S(s))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 가이드(91)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드로워(D1)을 지지하는 드로워 가이드(40)보다 더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암 가이드(91)는 롤러(91)의 하측에서 롤러(91)와 접촉되며, 롤러(91)의 이동 경로, 즉, 저장실(S3)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롤러 안내면(91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안내면(91b)은 수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가이드(91)의 횡단면은 드로워(D)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ㄷ”자형 안내 홈(91a)을 형성할 수 있고, 롤러(92)가 안내 홈(91a) 내에서 롤러 안내면(91b)에 지지될 수 있다. 안내 홈(91a)은 롤러 안내면(91b)의 상측에 롤러 안내면(91b)과 평행한 상측면(91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롤러 안내면(91b)과 상측면(91c) 사이는, 롤러(92)가 롤러 안내면(91b)을 따라 구르는 과정에서 상측면(91c)과는 접촉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롤러(92)의 직경 보다 조금 더 이격되어 있다.
인출기구(50a)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후방 프레임(52)에 작용하는 반력은, 세로 바(520a. 520b)를 베이스부(51)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피봇되도록(즉,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게 하는)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나, 세로 바(520a, 520a)가 쳐지려는 성향으로 인해 롤러(92)가 하측으로 변위되려고 하더라도, 롤러 안내면(91b)이 이를 제한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지 것도 방지된다.
또한, 양쪽 암(532, 533)에 구비된 롤러(92)가 각각 암 가이드(91)에 의해 지지되며 이동되기 때문에, 인출기구(50a)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가이드(91)의 횡단면은 드로워(D)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ㄷ”자형 안내 홈(91a)을 형성할 수 있고, 롤러(92)가 안내 홈(91a) 내에서 롤러 안내면(91b)에 지지될 수 있다. 안내 홈(91a)은 롤러 안내면(91b)의 상측에 롤러 안내면(91b)과 평행한 상측면(91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롤러 안내면(91b)과 상측면(91c) 사이는, 롤러(92)가 롤러 안내면(91b)을 따라 구르는 과정에서 상측면(91c)과는 접촉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롤러(92)의 직경 보다 조금 더 이격되어 있다.
인출기구(50a)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로부터 후방 프레임(52)에 작용하는 반력은, 세로 바(520a. 520b)를 베이스부(51)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피봇되도록(즉,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게 하는)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나, 세로 바(520a, 520a)가 쳐지려는 성향으로 인해 롤러(92)가 하측으로 변위되려고 하더라도, 롤러 안내면(91b)이 이를 제한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세로 바(520a, 520b)가 후방으로 쳐지지 것도 방지된다.
한편, 도어(3c)의 개폐 동작과 연계하여 인출기구(50a)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는 도어(3c)와 베이스부(51)가 링크(7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부(51)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otor)나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수단이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수단으로 모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수단에 의해 베이스부(51)가 이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변환수단으로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크랭크(crank)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도어(3c)의 개폐 동작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즉, 도어(3c)가 개방될 시에는 상기 동력변환수단이 인출기구(50a)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3c)가 닫힐 시에는 상기 동력변환수단이 인출기구(50a)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인출기구(50a)는 드로워(D1, D2, D3)와 분리된 부재이다. 즉, 드로워(D)는 후방 프레임(52)과 결합 또는 결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어(3c)가 개방될 시, 드로워(D1, D2, D3)는 후방 프레임(52)과의 접촉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나, 후방 프레임(52)과 드로워(D1, D2, D3) 간의 이와 같은 접촉은 드로워(D1, D2, D3)의 인출을 위한 일시적인 것이다. 특히, 드로워(D1, D2, D3)가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균형 상태로 지지되는 경우, 후방 프레임(52)과 드로워(D1, D2, D3) 간에 일시적인 접촉에 의하더라도, 후방 프레임(52)은 드로워(D1, D2, D3)를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만을 할 뿐, 드로워(D1, D2, D3)의 하중은 감당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실시예 따라, 설령 후방 프레임(52)이 드로워(D1, D2, D3)와 항시 결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D1, D2, D3)와 인출기구(50a)가 서로 분리된 구조 또는 미결속된 구조에서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은 인출기구(50a)와 드로워(D1, D2, D3) 간의 분리 가능한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할 수 있다. 즉, 도어(3c)와 연계하여 인출기구(50a)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후방 프레임(52)이 드로워(D1, D2, D3)와 접촉됨으로써, 드로워(D1, D2, D3)가 후방 프레임(52)에 의해 밀려 이동되나, 이러한 드로워(D1, D2, D3)와 후방 프레임(52) 간의 접촉은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후방 프레임(52)에 의해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밀려 이동되는 중에, 잠시 도어(3c)의 회전을 멈추고 다시 도어(3c)를 닫는다고 하면, 이 과정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는 드로워(D1, D2, D3)와 후방 프레임(52)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인출기구(특히, 후방 프레임(52))는 드로워(D1, D2, D3)와 항시 결합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드로워(D1, D2, D3)가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균형 상태로 지지되는 한, 인출기구(50a)에는 드로워(D1, D2, D3)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이나,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인출기구(50a)가 드로워(D1, D2, D3)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a는 도어(3c)가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부(51)의 저면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도어(3c)가 인출시작각도(θ)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는 도 10b의 도어(3c)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링크(70)는 전단부(71)가 도어(3c)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72)는 베이스부(5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단부(71)는 도어(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 회전 관절(J1)을 구성하고, 후단부(72)는 베이스부(5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2 회전 관절(J2)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회전 관절(J1)은 캐비닛(10)에 대한 도어(3c)의 회전 중심, 즉, 도어(3c)의 회전축(C)으로부터 소정 거리(r) 이격된다. 따라서, 도어(3c)가 회전될 시, 제 1 회전 관절(J1)은 도어(3c)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반경 r을 갖는 원주 상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원주 상에서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제 2 회전 관절(J2)이 변위되고, 그에 따라 베이스부(51)가 이동된다. 제 1 회전 관절(J1)과 제 2 회전 관절(J2)은, 베이스부(51)의 양쪽에 배치된 인출기구 가이드(60)들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는 기준선(L)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양쪽 인출기구 가이드(60)들은 베이스부(51)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기준선(L)은 실질적으로, 베이스부(51)의 중심선, 즉, 베이스부(51)의 양 측면부(512, 513)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는 선(M, 도 9b 참조.)과 동일하다.
제 2 회전 관절(J2)은 베이스부(51)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것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3c)가 회전되는 전체 구간 중에서, 일정 구간에 대응하여 베이스부(51)에 대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51)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517)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 회전 관절(J2)은 슬릿(517)을 따라 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링크(70)의 후단부(72)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슬릿(517)을 통과하여 상기 체결구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 2 회전 관절(J2)은 슬릿(517)을 따라 이동이 가능함과 아울러, 도어(3c)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베이스부(51)에 대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이동 회전 관절이다. 슬릿(517)은, 제 2 회전 관절(J2)이 베이스부(5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재가 슬릿(51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링크(70)의 후단부(72)는 베이스부(51)의 저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51)의 상면 상에는 와셔(78,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와셔(78)와, 슬릿(517) 및 상기 체결구를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다.
링크(70)의 후단부(72)는, 도어(3c)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초기 위치(도 10a 참조.)에 위치한다. 초기 위치에서 링크(70)의 후단부(72)는 슬릿(517)의 전단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슬릿(517)의 후단과 접하여 있다.
닫혀져 있는 도어(3c)가 열리기 시작하면, 도어(3c)가 개방된 각도가 기 설정된 인출시작각도(θ, 도 10b 참조.)에 이르기 전까지는, 링크(70)의 후단부(72)가 슬릿(517)을 따라 이동되며, 베이스부(51)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어(3c)가 상기 인출시작각도(θ)에 이르기 전까지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인출시작각도(θ)는 링크(70)의 후단부(72) 또는 제 2 회전 관절(J2)이 초기위치(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위치)로부터 슬릿(517)의 전단까지 이동하기까지에 대응하는 도어(3c)의 개방 각도이다. 도어(3c)의 개방각도가 상기 인출시작각도(θ)를 넘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제 2 회전 관절(J2)이 베이스부(51)와 함께 이동되고,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이동(즉, 인출)된다. 제 2 회전 관절(J2)이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슬릿(517)의 전단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도어(3c)는 회전되나 드로워(D1, D2, D3) 또는 베이스부(51)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도어(3c)가 닫혀진 상태로부터 인출시작각도(θ)에 이르기까지 도어(3c)가 개방되며 회전하는 구간을 인출지연구간이라고 정의하자.
상기 인출지연구간은 드로워(D1, D2, D3)가 도어(3c)의 배면부 또는 도어(3c)의 배면부에 설치된 구성(예를 들어, 도어 수납부(8a, 8b, 8c))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즉, 상기 인출지연구간이 없다면, 닫혀져 있는 도어(3c)가 개방되기 시작할 때부터 드로워(D1, D2, D3)가 즉시 이동하게 되어, 도어(3c)의 배면부 또는 배면부에 설치된 도어 수납부(8a, 8b, 8c)와 같은 돌출물이 드로워(D1, D2, D3)의 이동 경로상에서 벗어나기도 전에, 드로워(D1, D2, D3)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그로인해 드로워(D1, D2, D3)가 도어(3c)의 배면부(또는, 상기 돌출물)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인출시작각도(θ)는, 90도 이하의 각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도 내지 80도 사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때, 도어(3c)가 상기 인출시작각도에 이른 후부터 완전 개방될 때까지, 베이스부(51)가 이동되는 거리를 인출거리라고 정의하면, 인출거리는 대략 10cm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3c)가 인출시작각도(θ)까지 회전된 이후에는, 링크(70)의 후단부(72)가 슬릿(517)의 전단에 위치한 상태가 되어 베이스부(51)가 이동되며, 그에 따라 드로워(D1, D2, D3)도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드로워(D1, D2, D3)는 상기 인출거리만큼 이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하여,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허용되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 가능한 범위가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어(3c)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D1, D2, D3)는 저장실(S3)의 전면(S(f))을 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되나, 이는 인출기구(50a)에 의해 드로워(D1, D2, D3)가 자동으로 인출되는 최종 위치가 그렇다는 것으로, 사용자의 자력에 의해, 즉, 수동으로 드로워(D1, D2, D3)는 더 인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드로워 가이드(40)는 인출기구(50a)에 의한 자동 인출거리를 더 넘어서까지 드로워(D1, D2, D3)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70)는 전단부(71)로부터 연장되어 도어(3)의 회전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1 절곡구간(73)과, 제 1 절곡구간(73)과 후단부(72) 사이에서 제 1 절곡구간(73)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제 2 절곡구간(74)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70)의 전단부(71)는 도어(3c)의 회전축(C)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c)의 일부분, 특히, 회전축(C)으로부터 전단부(71)에 이르는 부분(예를 들어, 도어(3c)의 코너 등)은, 도어(3c)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링크(70)와 간섭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링크(70)의 전단부(71)가 도어(3c)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에서 도어(3c)와 연결되거나, 설령, 링크(70)가 도어(3c)의 저면에 결합된다고 하더라도, 상하 방향으로도 굴곡을 갖는 형태인 경우 해결의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링크(70)는 전단부(71)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구간에 회전축(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 1 절곡구간(73)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한편, 만약 제 1 절곡구간(73)이 링크(70)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된다면, 도어(3c)와 링크(70)간의 간섭을 피하기는 용이할 것이나, 제 1 절곡구간(73)이 볼록한 만큼, 도어(3c)의 개폐 과정에서, 링크(70)가 도어(3c)나 베이스부(51)에 은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제 2 회전 관절(J2)을 도어(3c)의 회전축(C)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는 것 또한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 1 절곡구간(73)과 링크(70)의 후단부(72) 사이에, 제 1 절곡구간(73)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제 2 절곡구간(7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서 드로워 가이드(40)는 모식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모든 구성을 도시하였을 시 도면이 복잡해지고, 그로 인해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드로워 가이드(40)는 실질적으로 이미 앞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에 대한 설명 역시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한다.
저장실(S3)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로워가 배치되며, 각각의 드로워는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1에는 하나의 드로워(D1)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3개의 드로워(D1, D2, D3, 도 4 참조.)가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인출기구(50b)는, 전술한 실시예의 인출기구(50a)와 비교하면, 연결 바(53b)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링크(70)에 의해 도어(3c)와 연동되는 구조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motor)나 엑츄에이터(actuator)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드로워(D1, D2, D3)로부터 저장실(S3)의 측면(S(s))을 향해 걸림돌기(330)가 돌출될 수 있다. 걸림돌기(330)는 드로워(D1, D2, D3)의 양쪽 측면부(325, 326)로부터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실시예와 같이, 드로워(D1, D2, D3)가 컨테이너(320)로 구성되는 경우, 양쪽 측면부(325, 326)에 의해 컨테이너(320) 내의 저장공간의 폭이 규정된다. 실시예에 따라, 드로워(D1, D2, D3)가 선반(310, 도 2 참조.)으로 구성되는 경우, 걸림돌기(330)는 선반(310)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반(310)의 측면부는 선반(310)의 폭을 규정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인출기구(50b)는 후방 프레임(52)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드로워(D1, D2, D3)와 저장실(S3)의 측면(S(s)) 사이에 위치되는 암(532, 533)을 포함할 수 있다. 암(522, 523)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인출기구(50a)를 구성하는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각각의 암(522, 523)에는 걸림돌기(330)가 삽입되는 돌기 연결구(532a, 533a)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드로워(D1)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330)가 돌기 연결구(532a, 533a) 내로 삽입되며, 따라서, 인출기구(50b)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뿐만 아니라, 인출기구(50b)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드로워(D1)가 인출기구(50b)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330)와 돌기 연결구(532a, 533a)가 연결된 구조로 인해, 도어(3c)가 닫히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인출기구(50b)가 드로워(D1)를 후방으로 당겨주게되고, 따라서, 도어(3c)가 닫히는 동작과 연계하여 드로워(D1)가 자동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만, 이때, 드로워(D1)를 복귀시키는 힘 모두가 인출기구(50b)로부터 작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어(3c)의 배면부(예를 들어, 도어 수납부(8a, 8b, 8c), 도 2 참조.)가 드로워(D1, D2, D3)를 밀어주는 힘이 함께 작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어(3c)의 배면부가 미는 힘이 주가 된다.
돌기 연결구(532a, 533a)는 전후 방향(또는, 드로워(D1, D2, D3)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걸림 돌기(330)는 돌기 연결구(532a, 533a) 내에서 인출기구(50b)에 대한 상대변위가 가능하다. 도어(3c)가 닫혀진 상태에서, 걸림 돌기(330)는 돌기 연결구(532a, 533a)의 후단과 이격되어 있으며, 따라서, 도어(3c)가 열리기 시작하면, 인출기구(50b)가 전방으로의 이동됨에 따라, 암(532, 533)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돌기 연결구(532a, 533a)의 후단이 걸림 돌기(330)와 접촉되며, 그 때부터는 드로워(D1, D2, D3)가 인출기구(50b)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도어(3c)가 닫힌 상태로부터, 돌기 연결구(532a, 533a)의 후단이 걸림 돌기(330)와 접촉되기까지 회전된 각도가 전술한 인출시작각도(θ)에 해당한다.
한편, 드로워 가이드(40)는 드로워(D1, D2, D3)의 후방으로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력에 의해 드로워(D1, D2, D3)가 후방으로 밀릴 시, 드로워(D1, D2, D3)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소정의 위치에 이르면 멈추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 레일(42, 43)이 고정 레일(41)에 대해 일정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면, 고정 레일(41)이 이동 레일(42, 43)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로워(D1, D2, D3)의 후방으로의 이동 변위가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제한되고, 암(532, 533)과 돌기 연결구(532a, 533a)는 서로 결속(즉, 걸림 돌기(330)가 돌기 연결구(532a, 533a) 내에 삽입되는 구조)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가 후방 프레임(52)을 충격한다고 하더라도, 후방 프레임(52)이 베이스부(51)에 대해 후방으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인출기구(50c)의 암(532, 533)에 후크(532b, 533b)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532b, 533b)는 걸림 돌기(330)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인출기구(50c)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후크(532b, 533b)와 걸림 돌기(330) 간의 결합 구조로 인해, 드로워(D1, D2, D3) 역시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드로워(D1)가 자동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드로워(D1, D2, D3)의 후방으로의 이동 변위가 드로워 가이드(40)에 의해 제한되고, 암(532, 533)과 후크(532b, 533b)가 서로 결속(즉, 후크(532a, 533a)가 걸림 돌기(330)에 걸리는 구조)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c)가 닫히는 과정에서 드로워(D1, D2, D3)가 후방 프레임(52)을 충격한다고 하더라도, 후방 프레임(52)이 베이스부(51)에 대해 후방으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후크(532b, 533b)가 드로워(D1, D2, D3)로부터 돌출된 걸림돌기(330)에 걸린다는 점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구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구간의 의미 및 구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과,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암을 포함하는 인출기구; 및
    상기 저장실의 측면과 상기 드로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암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암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가이드는,
    상기 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저장실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인출기구의 이동간에 상기 롤러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하측에서 상기 롤러와 접촉되며, 상기 롤러의 이동 경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롤러 안내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의 횡단면은,
    상기 드로워를 향하는 면이 개구된 안내 홈을 이루고,
    상기 롤러는 상기 안내 홈 내에서 상기 롤러 안내면에 의해 지지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된 것과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고,
    상기 암은,
    상기 가장 위쪽에 배치된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암이 각각 상기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양측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암 가이드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암들을 각각 안내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여닫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되어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로부터 상기 저장실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 돌기;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드로워 가이드; 및
    상기 도어가 열릴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하고, 상기 도어가 닫힐 시 상기 드로워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인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는 과정에서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드로워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가 전방으로 이동될 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 돌기와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 연결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연결구는,
    일정한 거리 내에서 상기 걸림 돌기에 대한 상기 암의 변위가 허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는,
    상기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 연결구의 후단과 이격되는 냉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걸림 돌기와 체결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된 것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은,
    상기 다수개의 드로워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된 것과 대응하는 높이에까지 이르고,
    상기 암은,
    상기 가장 위쪽에 배치된 드로워와 상기 저장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드로워의 양 측면부로부터 각각 돌출되고,
    상기 암은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걸림돌기와 연결되는 냉장고.
  15. 제 8 항에 있어서,
    전단부가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60001270A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1871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10292.4A CN107295805B (zh) 2015-02-13 2016-02-12 冰箱
US15/550,518 US10203152B2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PCT/KR2016/001455 WO2016129961A2 (ko) 2015-02-13 2016-02-12 냉장고
EP16749501.9A EP3258196B1 (en) 2015-02-13 2016-02-12 Refrigerator
US16/272,423 US10520247B2 (en) 2015-02-13 2019-02-11 Refrigerator
US16/720,622 US11408668B2 (en) 2015-02-13 2019-12-19 Refrigerator
US17/839,923 US11920859B2 (en) 2015-02-13 2022-06-14 Refrigerator
US18/418,083 US20240159459A1 (en) 2015-02-13 2024-01-1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2197 2015-02-13
KR1020150022197 2015-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23A true KR20160100223A (ko) 2016-08-23
KR101871266B1 KR101871266B1 (ko) 2018-06-27

Family

ID=56875543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69A KR101802903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70A KR101871266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68A KR10239266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67A KR10181900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220049110A KR102560477B1 (ko) 2015-02-13 2022-04-20 냉장고
KR1020230094812A KR20230113714A (ko) 2015-02-13 2023-07-20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69A KR101802903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268A KR10239266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160001267A KR101819004B1 (ko) 2015-02-13 2016-01-05 냉장고
KR1020220049110A KR102560477B1 (ko) 2015-02-13 2022-04-20 냉장고
KR1020230094812A KR20230113714A (ko) 2015-02-13 2023-07-20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203152B2 (ko)
EP (1) EP3258195B1 (ko)
JP (1) JP6608943B2 (ko)
KR (6) KR101802903B1 (ko)
CN (3) CN1072958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4877B (zh) 2015-11-04 2022-12-30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447530B1 (ko) * 2016-04-15 2022-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94879B1 (ko) * 2016-11-11 2018-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33210B1 (ko) 2017-10-13 2022-08-18 한국전력공사 다중 압력조절 장치를 이용한 초전도 케이블 시스템
CN107906838A (zh) * 2017-12-14 2018-04-13 江苏雷利电机股份有限公司 开启机构及具有所述开启机构的家用电器
US10962278B2 (en) * 2018-04-30 2021-03-30 Prince Castle LLC Mounting systems for refrigeration devices
DE102018126649A1 (de) * 2018-08-03 2020-02-06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Gefriergerät oder Kühl-/Gefrierkombination
KR102573779B1 (ko)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9744769B (zh) * 2018-11-30 2020-12-25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可联动的抽屉组件及冰箱
CN109315949A (zh) * 2018-12-27 2019-02-12 刘娟 一种便于档案分类管理的档案柜
US10551113B1 (en) 2019-01-18 2020-02-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EP4045858A4 (en) * 2019-10-18 2023-06-21 Electrolux Do Brasil S.A. PULL-OUT DRAWER WITH INTEGRATED WINE BOTTLE HOLDER
US11026507B1 (en) * 2019-12-04 2021-06-08 Robern, Inc. Cabinet
CN111550962B (zh) * 2020-05-11 2021-10-29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TWI792790B (zh) * 2021-08-03 2023-02-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氣密裝置
US11772858B2 (en) 2021-08-03 2023-10-03 Delta Electronics, Inc. Airtigh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808A (ko) * 2002-11-25 2004-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장치
KR20050060115A (ko) * 2003-12-15 2005-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선반 자동 인출장치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46237A (ko) * 2009-10-26 201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7813A (en) * 1916-08-30 1917-05-29 G I Sellers & Sons Company Sliding shelf for kitchen-cabinets.
US1835847A (en) * 1929-09-17 1931-12-08 Arch G Chandler Door shifted tray support for cabinets
US2095811A (en) * 1934-03-30 1937-10-12 Kelvinator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103885A (en) 1936-06-10 1937-12-28 John T Whalen Refrigerator
US2761751A (en) * 1953-01-12 1956-09-04 Stockton Louise Haines Cabinet for household refrigerators, etc.
US3212835A (en) * 1962-01-16 1965-10-19 Whirlpool Co Drop down cabinet door and associated removable receptacle
JPS5960955U (ja) * 1982-10-15 1984-04-21 松下電工株式会社 収納キヤビネツト
US5005729A (en) * 1990-01-22 1991-04-09 Hollman Kevin A Displaceable waste basket
US5299863A (en) * 1991-11-14 1994-04-05 Albright Jr Harold D Refrigerator with sliding interior frame
JPH085615Y2 (ja) * 1992-10-24 1996-02-21 榎本金属株式会社 棚付の収納ボックス
US5440107A (en) * 1993-10-29 1995-08-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money drawer assembly with money clip alarm system
US5474374A (en) * 1994-09-14 1995-12-12 Sandvig; Dennis L. Cabinet-mounted sliding tray
KR100203985B1 (ko) * 1995-07-20 1999-06-15 전주범 냉장고의 회동선반
US6292978B1 (en) * 1999-01-14 2001-09-25 Hoffman Enclosures, Inc. Door stop apparatus
US6253568B1 (en) * 1999-12-23 2001-07-03 David A. Peffley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US6220682B1 (en) * 2000-04-07 2001-04-24 Nicholas L. Vertullo Refrigerator shelving system
DE10105847B4 (de) * 2001-02-08 2006-07-06 Heinrich J. Kesseböhmer KG Mitnahmevorrichtung für ausziehbaren Möbelboden
JP3544374B2 (ja) * 2002-02-06 2004-07-21 株式会社丸伸 収納家具
KR100546903B1 (ko) * 2003-03-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100585696B1 (ko) * 2004-06-14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구조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219433B1 (ko) * 2005-01-11 201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3112237U (ja) * 2005-05-02 2005-08-04 ヤイリ家具株式会社 収納庫
KR100707460B1 (ko) 2005-05-27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27021B1 (ko) *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슬라이딩식 수납장
JP4366410B2 (ja) * 2007-03-30 2009-11-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09228911A (ja) *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冷蔵庫
DE202009004710U1 (de) * 2009-04-04 2009-06-25 Düperthal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rank, insbesondere Sicherheitsschrank
US8267493B2 (en) * 2009-01-15 2012-09-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E102009000855A1 (de) * 2009-02-13 2010-08-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KR101584805B1 (ko) * 2009-04-23 201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250929B1 (de) * 2009-05-12 2012-05-23 Peka-Metall A.G. Schrankteil mit herausziehbarem Ausziehteil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WO2011132974A2 (en) * 2010-04-21 2011-10-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561219B2 (en) * 2010-10-04 2013-10-22 Darrell Jay Metcalf Positionable zero-footprint self-cleaning urinal and very low water-usage mist-dispensing means
CN202066294U (zh) * 2011-03-28 2011-12-07 海尔集团公司 冰箱的抽屉和具有该抽屉的冰箱
US9429355B2 (en) * 2011-11-15 2016-08-3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30117903A (ko) * 2012-04-13 2013-10-29 (주)세고스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KR20140013718A (ko) * 2012-07-26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닫힘장치를 적용한 냉장고의 진공 밀폐야채실
KR101398460B1 (ko) * 2012-09-18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실 드로워에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62138B1 (ko) * 2012-11-05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6243B1 (ko) * 2014-02-28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2387B1 (ko) * 2016-02-05 202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26423B1 (en) * 2016-04-06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808A (ko) * 2002-11-25 2004-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장치
KR20050060115A (ko) * 2003-12-15 2005-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선반 자동 인출장치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46237A (ko) * 2009-10-26 2011-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5379A (ja) 2018-02-22
KR20160100221A (ko) 2016-08-23
US11408668B2 (en) 2022-08-09
US10180279B2 (en) 2019-01-15
KR102560477B1 (ko) 2023-07-27
CN107295805A (zh) 2017-10-24
CN113375406A (zh) 2021-09-10
US20200200469A1 (en) 2020-06-25
US10203152B2 (en) 2019-02-12
KR20160100222A (ko) 2016-08-23
US20180038631A1 (en) 2018-02-08
CN107295806B (zh) 2021-06-08
CN107295806A (zh) 2017-10-24
KR20230113714A (ko) 2023-08-01
EP3258195A4 (en) 2019-03-20
US20180031308A1 (en) 2018-02-01
US10520247B2 (en) 2019-12-31
KR20220054274A (ko) 2022-05-02
KR101871266B1 (ko) 2018-06-27
KR20160100220A (ko) 2016-08-23
EP3258195A2 (en) 2017-12-20
KR101802903B1 (ko) 2017-11-29
JP6608943B2 (ja) 2019-11-20
EP3258195B1 (en) 2021-11-17
CN113375406B (zh) 2022-11-29
US20190242641A1 (en) 2019-08-08
KR101819004B1 (ko) 2018-01-16
CN107295805B (zh) 2019-11-15
KR102392664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66B1 (ko) 냉장고
EP2572149B1 (en) Refrigerator
US11725873B2 (en) Refrigerator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186243B1 (ko) 냉장고
JP6496419B2 (ja) 冷蔵庫
KR102472387B1 (ko) 냉장고
KR20220100566A (ko) 냉장고
KR20100023474A (ko) 냉장고 서랍의 롤러 장착구조
US11920859B2 (en) Refrigerator
KR101750543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