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4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423A
KR20230101423A KR1020210191517A KR20210191517A KR20230101423A KR 20230101423 A KR20230101423 A KR 20230101423A KR 1020210191517 A KR1020210191517 A KR 1020210191517A KR 20210191517 A KR20210191517 A KR 20210191517A KR 20230101423 A KR20230101423 A KR 2023010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ket
ice
draw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연
이시훈
박호상
박정은
유진홍
장원호
황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423A/ko
Priority to CN202280067698.1A priority patent/CN118076847A/zh
Priority to PCT/KR2022/015256 priority patent/WO2023128166A1/ko
Priority to US17/982,962 priority patent/US20230204282A1/en
Publication of KR2023010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본체에 고정되어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드로워는 제빙 장치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빙실을 포함하는 바스켓 및 제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조립체로서, 바스켓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 되도록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를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개시는 개선된 구조의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커버 조립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데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저장실의 전면은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도어는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하거나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저장실을 개폐할 수도 있다.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의 내부에는 제빙 장치가 설치되어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냉동실에는 제빙 장치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보관 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냉동실을 형성하는 드로워가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 보관 트레이도 함께 인출됨에 따라 보관된 얼음이 냉장고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외부 공기에 의한 얼음의 오염을 방지하는 개선된 구조의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도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빙 장치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빙실을 포함하는 바스켓 및 상기 제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조립체로서, 상기 바스켓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 되도록 상기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를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커버는 상기 드로워가 인입된 상태일 때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적층되고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계단식으로 펼쳐지게 마련된다.
상기 바스켓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하우징 및 상기 바스켓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빙실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의 제1측이 지지되는 제1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디바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의 상기 제1측과 반대되는 제2측이 지지되는 제2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커버 각각은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1커버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도록 상기 연장바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지지부 내에 수용되는 커버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지지부는 각각 상기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 시 상기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상기 바스켓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커버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아래에서 상기 제1커버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아래에서 상기 제2커버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3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제1커버와 간섭되어 상기 제1커버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도록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는 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전방리브 및 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후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2전방리브 및 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2후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커버는 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3후방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인출 동작 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스토퍼와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후방리브가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후방리브가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2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상기 드로워 인입 동작 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빙 장치와 간섭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후방리브가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후방리브가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2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커버는 각각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방리브, 상기 제1후방리브, 상기 제2전방리브, 상기 제2후방리브 및 상기 제3후방리브는 상기 바디의 양 측 단부에서 서로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3커버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빙 장치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바스켓 하우징, 상기 제빙 장치의 측방에서 상기 바스켓 하우징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디바이더, 상기 디바이더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빙 장치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빙실 및 상기 바스켓 하우징과 상기 디바이더에 지지되어 상기 제빙실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커버를 갖는 커버 조립체로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겹쳐진 제1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버가 계단식으로 펼쳐진 제2상태로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바스켓 하우징에 대해 상기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바이더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또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빙 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빙실을 포함하는 바스켓, 상기 제빙 장치의 전방에서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아래에서 상기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커버로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1커버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빙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제1커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2커버가 상기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한다.
드로워 인출 시 커버 조립체에 의해 보관 트레이에 보관된 얼음이 외부의 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얼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에 스쿱 등의 도구를 수용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제빙실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내상, 드로워 및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빙 장치와 드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빙 장치와 드로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 디바이더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워에서, 커버 조립체가 제1 디바이더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 커버 조립체가 제빙실을 개방하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대해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인입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제빙장치와 드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빙장치와 드로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저장실이 수평 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F(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가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 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 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 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상측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FDR형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외상(11)과 내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상(11)은 내상(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상(11)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내상(12)은 복수의 저장실(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2)과 외상(11)의 사이에는 복수의 저장실(20)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발포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저장실(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20)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저장실(20)은 제1 저장실(21), 제2 저장실(23) 및 제3 저장실(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실(21)은 냉장고(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저장실(21)은 냉장실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저장실(23)은 제1 저장실(21)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저장실(23)은 변온실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저장실(22)은 제2 저장실(23)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저장실(22)은 냉동실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복수의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30)는 제1 도어(31), 제2 도어(32), 제3 도어(33) 및 제4 도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는 제1 저장실(21)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는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문형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의 배면에는 각종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도어(30) 가드(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어(31)는 제1 저장실(21)의 개방된 전면 중 좌측 일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2 도어(32)는 제1 저장실(21)의 개방된 전면 중 우측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의 배면 테두리에는 제1 도어(31)와 제2 도어(32)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10)와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가스켓(미도시)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도어(34)는 제2 저장실(23)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도어(34)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도어(34)의 후방에는 물품이 수납되는 드로워(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제3 도어(33)는 제3 저장실(22)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도어(33)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식 도어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도어(33)의 후방에는 물품이 수납되는 드로워(1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다만, 제1 도어(31) 내지 제4 도어(34)의 개폐 방식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을 포함하는 냉각 사이클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는 복수의 저장실(20)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에 배치되어 고내로 냉기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1 저장실(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40)에는 냉장이 필요한 물품이 배치될 수 있다. 선반(4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1 저장실(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박스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다만, 제1 저장실(21)의 내부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내상, 드로워 및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저장실(22)에는 드로워(10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100)는 제3 도어(33)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로워(100)의 제2 바스켓(160)과 제3 도어(33)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3 도어(33)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이와 결합된 제2 바스켓(160)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바스켓(120)도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저장실(22)에는 제빙 장치(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는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 장치(60)는 제3 저장실(22)을 형성하는 내상(12)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는 드로워(100)의 일 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는 얼음을 생성하여 후술할 드로워(100)의 보관 트레이(140, 도 6 참조)로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빙 장치(6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드로워(100)에는 제빙실(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빙 장치(60)의 전방에는 커버 조립체(11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는 제1 바스켓(12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100)가 인입된 상태에서 커버 조립체(110)는 제빙 장치(60)의 전방에서 제1 바스켓(120)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도어(33)에 의해 드로워(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커버 조립체(110)는 계단식으로 펼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조립체(110)의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는 드로워(100)의 전방 이동에 따라 함께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로워(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드로워(100)의 일부 공간은 커버 조립체(110)에 의해 상면이 커버되고 제1 디바이더(122)에 의해 측면이 커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드로워(100)의 제빙실(1211)로서 제빙 장치(60)로부터 생성된 얼음이 보관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바스켓(120)은 제2 바스켓(160)의 상면에 지지되어 제2 바스켓(160)의 전방 인출에 따라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바스켓(16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63)에 의해 제1 바스켓(120)의 롤러(150)가 제2 바스켓(160)에 대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드로워(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필요 시 제1 바스켓(120)을 뒤로 밀어 제2 바스켓(160)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와 드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빙 장치와 드로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제빙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60)는 얼음을 생성하도록 내상(1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장치(60)는 드로워(100)의 인출과 인입에 상관 없이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제빙 장치(60)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이와 관련하여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빙 장치(60)는 제빙 하우징(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하우징(61)의 내부에는 얼음이 형성되는 셀을 포함하는 얼음트레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 하우징(61)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만빙감지레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미도시)는 제빙 하우징(6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빙 장치(60)의 하부에 얼음이 얼마나 보관되어 있는 지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빙감지레버(미도시)에 의해 제빙 장치(60)의 하부에 얼음이 일정 수준 이상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제빙 하우징(61)의 구동부(미도시)는 얼음트레이(미도시)를 회전시켜 얼음트레이(미도시)에 생성된 얼음을 제빙 장치(60)의 하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얼음트레이(미도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3 도어(33)와 함께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본체(10)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1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100)는 제1 바스켓(120)과 제1 바스켓(12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내상(12)에 장착되는 레일(미도시) 등에 지지되어 제1 바스켓(120)이 본체(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제1 바스켓(120)의 양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은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은 일 측에 제빙 장치(6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은 절개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216)는 제빙 장치(6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후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인출 시와 인입 시에 제빙 장치(60)와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은 제1 디바이더(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는 제빙 장치(6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은 서포트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23)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의 제빙 장치(60)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1 커버 지지부(1221)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23)의 제빙 장치(60)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2 커버 지지부(1231)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커버 조립체는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에 의해 양 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은 디바이더 장착부(1213) 및 프레임 장착부(12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더 장착부(1213)에는 제1 디바이더(122)가 제1 바스켓 하우징(121)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프레임 장착부(1214)에는 서포트 프레임(123)이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드로워(100)는 제1 바스켓(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바스켓(120)의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100)는 보관 트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140)는 제빙 장치(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140)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트레이 안착부(1212)에 안착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에서 생성된 얼음은 보관 트레이(140)로 이송되어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장치(60)의 만빙감지레버(미도시)는 보관 트레이(140)에 보관된 얼음의 만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140)는 제1 저장부(141) 및 제2 저장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60)가 서로 다른 크기의 얼음을 생성하는 복수의 얼음트레이(미도시)를 포함함에 따라, 얼음을 보관하는 보관 트레이(140) 역시 다른 종류의 얼음이 구별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얼음트레이(미도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얼음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보관 트레이(140)는 양 측에 형성되는 핸들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핸들부(14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내부에는 제빙실(1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1211)은 제빙 장치(60)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1211)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과 제1 디바이더(122)에 의해 양 측부가 구획될 수 있다. 즉, 보관 트레이(140)는 제빙실(12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빙 장치(60)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1211)의 후방 상면은 제빙 장치(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드로워(100)는 커버 조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는 제빙 장치(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는 제빙실(12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실(1211)의 후방 상부에는 제빙 장치(60)가 배치되고 제빙실(1211)의 전방 상부에는 커버 조립체(11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는 제1 바스켓(120)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는 제1 바스켓(12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의 내부에는 스쿱(S)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조립체(110)와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드로워(100)는 제2 바스켓(160) 및 가이드 레일(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스켓(160)은 제1 바스켓(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바스켓(120)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0)은 제2 바스켓(160)의 측면과 내상(12)에 결합되어 제2 바스켓(160)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0)은 제2 바스켓(160)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스켓(160)은 제2 바스켓 하우징(161)과 제2 디바이더(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스켓 하우징(161)은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스켓 하우징(161)의 내부에는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바이더(162)는 제2 바스켓 하우징(161)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제2 바스켓 하우징(16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스켓 하우징(161)의 테두리 상면에는 돌출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3 도어(33)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 제3 도어(33)와 결합되는 제2 바스켓(160)이 전방으로 인출되고 제1 바스켓(120)도 제2 바스켓(160)과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바스켓(160)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돌출부(163)가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롤러(150)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제1 바스켓(120)이 제2 바스켓(160)에 대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제1 바스켓(120)에 소정의 외력을 가하여 제1 바스켓(120)을 후방으로 밀어 제2 바스켓(160)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이 때 제1 바스켓(120)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돌출부(163)는 제2 바스켓 하우징(16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110)는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1)는 제1 바디(1111) 및 제1 연장바디(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1)는 커버 조립체(110)의 가장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11)는 제빙실(12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바디(1112)는 제1 바디(1111)의 양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바디(111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111)는 제1 바디(1111)의 하면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1110)는 제1 바디(111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리브(1110)는 제1 바디(1111)의 처짐 또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보강 리브(1110) 없이 제1 커버(111)를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장바디(1112)는 제1 디바이더(122)의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서포트 프레임(123)의 제2 커버 지지부(12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바디(1112)에는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은 제1 연장바디(1112)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에는 후술할 커버 지지부재(114)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커버(111)는 제1 유동홀(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3)은 제1 바디(11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3)은 제빙실(1211)의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에 의해 정체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3)을 통해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커버(111)는 제1 전방리브(1115)와 제1 후방리브(1114) 및 제1 연결리브(1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방리브(1115)는 제1 바디(111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방리브(1115)는 제1 바디(1111)의 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방리브(1115)는 제1 커버(11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리브(1114)는 제1 바디(111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리브(1114)는 제1 바디(1111)의 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후방리브(1114)는 제1 커버(111)의 후면 일 측과 타 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리브(1116)는 한 쌍의 제1 후방리브(1114)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리브(1116)는 후술할 스토퍼 리브(1117)와 일 측의 제1 후방리브(1114) 및 타 측의 제1 후방리브(1114)를 각각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111)는 스토퍼 리브(1117) 및 완충 부재(111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는 제1 바디(1111)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는 제1 바디(1111)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는 후술할 스토퍼(70)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의 후방에는 완충 부재(1118)가 장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18)는 스토퍼 리브(1117)와 제빙 장치(6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61)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완충 부재(1118)는 제1 커버(111)가 제빙 장치(60)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112)는 제2 바디(1121) 및 제2 연장바디(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112)는 제1 커버(111)의 아래에서 제1 커버(111)와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제2 커버(112)는 제1 커버(111)와 후술할 제3 커버(11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1121)는 제빙실(12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장바디(1122)는 제2 바디(1121)의 양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바디(112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연장바디(1122)는 제1 디바이더(122)의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서포트 프레임(123)의 제2 커버 지지부(12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바디(1122)에는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은 제2 연장바디(1122)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에는 후술할 커버 지지부재(114)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커버(112)는 제2 유동홀(1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동홀(1123)은 제2 바디(11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홀(1123)은 제빙실(1211)의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에 의해 정체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동홀(1123)을 통해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커버(112)는 제2 전방리브(1125)와 제2 후방리브(1124) 및 제2 연결리브(1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방리브(1125)는 제2 바디(112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방리브(1125)는 제2 바디(1121)의 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방리브(1125)는 제2 커버(112)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리브(1124)는 제2 바디(112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리브(1124)는 제2 바디(1121)의 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후방리브(1124)는 제2 커버(112)의 후면 일 측과 타 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리브(1126)는 한 쌍의 제2 후방리브(1124)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제3 바디(1131) 및 제3 연장바디(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제2 커버(112)의 아래에서 제2 커버(112)와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제3 커버(113)는 커버 조립체의 가장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수용공간(1135)이 형성되도록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커버(113)는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바디(1131)는 제빙실(121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바디(1131)는 바닥면에 수용부(11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쿱(S)은 수용공간(1135)에 수용되고 수용부(1136)에 안착되어 커버 조립체(11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보관되는 물품은 스쿱(S)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3 연장바디(1132)는 제3 바디(1131)의 양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연장바디(113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연장바디(1132)는 제1 디바이더(122)의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서포트 프레임(123)의 제2 커버 지지부(123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3 연장바디(1132)에는 제3 지지부재장착홈(1137)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장착홈(1137)은 제3 연장바디(1132)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부재장착홈(1137)에는 후술할 커버 지지부재(114)가 장착될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제3 유동홀(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동홀(1133)은 제3 바디(1131)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유동홀(1133)은 제3 바디(113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동홀(1133)은 제빙실(1211)의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에 의해 정체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유동홀(1133)을 통해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를 통과할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제3 전방리브(1138, 도 20 참조) 및 제3 후방리브(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방리브(1138)는 제3 바디(113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방리브(1134)는 제3 바디(1131)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후방리브(1134)는 제3 바디(1131)의 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후방리브(1134)는 제3 커버(113)의 후면 일 측과 타 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후방리브(1134)는 제2 커버(112)를 향해 제3 바디(1131)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는 커버 지지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재(114)는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의 제1 연장바디(1112), 제2 연장바디(1122) 및 제3 연장바디(1132)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재(114)는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가 제1 바스켓(120)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 지지부재(114)는 복수의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도록 제1 바스켓(120)의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 내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이동 과정에서 제1 바스켓(120)과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가 제1 바스켓(120)과 직접 접촉하면 사출물 간에 마찰로 인한 분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분진이 보관 트레이(140) 또는 제빙 장치(60)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커버 지지부재(114)는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가 제1 바스켓(120)에 지지되되, 제1 바스켓(120)과 직접 닿지 않고 제1 바스켓(12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재이다. 커버 지지부재(114)는 POM재질을 포함하는 그로멧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재(114)는 연장바디 결합부(114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지지부재(114)의 연장바디 결합부(1141)는 제1 연장바디(1112)에 형성된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에 끼워질 수 있고 제2 연장바디(1122)에 형성된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에 끼워질 수 있고 제3 연장바디(1132)에 형성된 제3 지지부재장착홈(1137)에 끼워질 수 있다.
커버 지지부재(114)는 사이드 지지부(1142) 및 절곡부(114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부(1142)는 연장바디 결합부(114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부(1142)는 커버 지지부재(114)가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에 삽입되었을 때 커버 지지부재(114)에 결합된 제1 커버(111) 내지 제3 커버(113)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재(114)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므로, 커버 지지부재(114)는 제1 커버(111) 내지 제3 커버(11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재(114)의 절곡부(1143)는 연장바디 결합부(1141)로부터 전방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절곡부(1143)는 대략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1143)는 후술할 걸림턱(1222, 도 9 참조)과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에 형성된 제1 전방리브(1115), 제1 후방리브(1114), 제2 전방리브(1125), 제2 후방리브(1124) 및 제3 후방리브(1134)는 서로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한 커버 조립체(110)의 동작과 관련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1 디바이더의 일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워에서, 커버 조립체가 제1 디바이더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더(122)의 일 면은 제빙실(12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디바이더(122)의 일 면은 제빙 장치(6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는 구획부(1223) 및 제1 커버 지지부(12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1223)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획부(1223)는 제빙 장치(6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획부(1223)에 의해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내부에서 별도의 제빙실(1211)이 구획될 수 있다.
제1 커버 지지부(1221)는 구획부(1223)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 지지부(1221)는 커버 조립체(110)의 제1측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지지부는 복수의 지지공간(1224)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공간(1224)은 커버 조립체(110)의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의 제1측 단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지공간(1224)은 커버 조립체(110)의 제1측의 제1 연장바디(1112), 제2 연장바디(1122) 및 제3 연장바디(1132)가 각각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바디(1112), 제2 연장바디(1122) 및 제3 연장바디(1132)에 결합되는 커버 지지부재(114)가 제1 커버 지지부(1221)의 복수의 지지공간(1224)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의 제1 바스켓(12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제1 커버 지지부(1221)는 걸림턱(122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222)은 드로워(10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제1 바스켓(12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턱(1222)은 드로워(100)의 인출 또는 인입 시 제3 커버(113)가 제1 바스켓(12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1222)은 제3 커버(113)의 제3 연장바디(1132)에 결합되는 커버 지지부재(114)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1222)은 제3 커버(113)의 제3 연장바디(1132)에 결합되는 커버 지지부재(114)의 절곡부(1143)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조립체(1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드로워(10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제3 커버(113)는 걸림턱(1222)에 항상 간섭된 상태로 마련되게 된다. 즉, 제3 커버(113)는 제1 바스켓(120)의 전방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사용자가 제3 커버(113)에 외력을 가하면 커버 지지부재(114)의 절곡부(1143)는 제1 디바이더(122)의 걸림턱(1222)과 간섭된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커버 지지부(122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서포트 프레임(123)의 제2 커버 지지부(1231)도 이와 동일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23)의 제2 커버 지지부(1231)는 커버 조립체(110)의 제1측단부와 반대되는 커버 조립체(110)의 제2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커버 지지부(1231)는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제2 커버 지지부(1231)는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커버 조립체(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버 지지부(123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드로워(100) 인출 시 커버 조립체(110)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70)는 브라켓(71) 및 간섭 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71)은 본체(10)의 내상(12)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켓(71)은 제3 저장실(22)을 형성하는 내상(12)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71)에는 간섭 부재(72)가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71)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착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 부재(72)는 브라켓(71)의 장착부(711)에 장착될 수 있다.
간섭 부재(72)는 커버 조립체(110)의 제1 커버(111)에 형성된 스토퍼 리브(1117)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간섭 부재(72)는 드로워(100) 인출 시 제1 커버(111)가 일정 위치 이상 전방으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제1 커버(11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간섭 부재(72)는 드로워(100) 인입 시 제3 도어(33)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드로워(100)가 본체(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동안 구성의 이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3 도어(33)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도어(33)는 제1 바스켓(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로워(100)가 본체(10)에 인입된 상태일 때 제1 바스켓(120)에 형성되는 제빙실(1211)의 상부는 제빙 장치(60)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 조립체(1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실(1211)의 전방 상부는 커버 조립체(110)에 의해 커버되고 후방 상부는 제빙 장치(6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제빙실(1211)의 양 측방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의 측면과 제1 디바이더(1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실(1211) 내부의 보관 트레이(140)에 보관된 얼음은 고내 환경으로부터 일정 수준 보호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조립체(11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겹쳐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 조립체(11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바스켓(12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110)는 제1 바스켓(12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1222)에 제3 커버(113)에 결합된 커버 지지부재(114)가 간섭된 상태이므로 제3 커버(113)는 제1 바스켓(12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112)와 제1 커버(111) 역시 커버 지지부재(114)가 결합된 상태로서, 커버 지지부재(114)와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 간 마찰력에 의해 적층된 상태가 유지된 채로 제1 바스켓(12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내상(12)에 결합된 스토퍼(70)와 제1 커버(111)의 스토퍼 리브(1117)가 간섭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커버(111)는 스토퍼(70)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커버(111)는 스토퍼(7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제2 커버(112)와 제3 커버(113)만 제1 바스켓(12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커버(111)의 제1 전방리브(1115)와 제2 커버(112)의 제2 후방리브(1124)가 간섭될 수 있다. 이 때 제2 커버(112)는 제1 커버(111)의 제1 전방리브(1115)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커버(111)는 스토퍼(7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커버(112)는 제1 커버(111)의 제1 전방리브(111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므로 제3 커버(113)만 제1 바스켓(12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이 계속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 커버(112)의 제2 전방리브(1125)와 제3 커버(113)의 제3 후방리브(1134)가 간섭될 수 있다. 이 때 제3 커버(113)는 제2 커버(112)의 제2 전방리브(1125)에 의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제1 바스켓(120) 역시 가이드 부재(130)가 내상(12)에 간섭되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100)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110)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겹쳐진 상태로부터 계단식으로 펼쳐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 조립체(110)는 제1 바스켓(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빙실(1211)을 계속하여 커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 조립체(110)는 보관 트레이(140)에 보관된 얼음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길이가 가변되어 제빙실(1211)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 커버 조립체가 제빙실을 개방하는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드로워(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빙실(1211)에 보관된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 커버 조립체(110)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커버(113)는 제1 바스켓(12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에 형성된 걸림턱(1222)에 의해 간섭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사용자가 외력을 가할 경우 손쉽게 뒤로 밀릴 수 있다.
제3 커버(113)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2 커버(112)와 간섭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커버(113)의 제3 후방리브(1134)는 제2 커버(112)의 제2 후방리브(1124)와 간섭될 수 있다.
이후 도 17을 참조하면, 제3 커버(113)와 간섭된 제2 커버(112)는 제3 커버(11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커버(112)와 제3 커버(113)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커버(112)의 제2 후방리브(1124)는 제3 커버(113)의 제3 후방리브(1134)와 간섭될 수 있다. 이 경우 제빙실(1211)의 상부가 충분히 개방되었으므로 사용자는 보관 트레이(140)에 보관된 얼음을 손쉽게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커버(113)의 수용공간(1135)에 수용된 스쿱(S)을 파지하여 보관 트레이(140)의 얼음을 퍼낼 수 있다. 스쿱(S)과 얼음을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제빙실(1211) 내부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쿱(S)을 가지고 올 필요가 없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대해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인입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드로워(100)는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본체(10)의 내부로 다시 인입되도록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드로워(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인입되는 동안에도 커버 조립체(110)는 제빙실(1211)의 상부를 커버하고 있다.
제1 바스켓(120)이 일정 거리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커버(111)의 스토퍼 리브(1117)의 후면에 장착된 완충 부재(1118)가 제빙 장치(60)의 프론트 커버(61)와 접촉할 수 있다. 완충 부재(1118)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서 형상이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부재(1118)가 프론트 커버(61)와 접촉한 이후 제1 커버(111)의 제1 후방리브(1114) 역시 프론트 커버(61)와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커버(111)는 제빙 장치(60)에 의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커버(111)는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제1 커버(111)와 제2 커버(112)가 제1 바스켓(12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이 일정 거리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커버(111)의 제1 후방리브(1114)와 제2 커버(112)의 제2 후방리브(1124)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112)도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커버(112)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제3 커버(113)가 제1 바스켓(12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이 일정 거리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2 커버(112)의 제2 후방리브(1124)와 제3 커버(113)의 제3 후방리브(1134)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커버(113)도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제1 바스켓(120)은 제3 저장실(22)의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되고 제3 도어(33)는 제3 저장실(22)을 폐쇄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커버 조립체는 드로워(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인입된 상태로 변하는 동안에도 제빙실(1211)의 상부를 지속적으로 커버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조립체(110)는 계단식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된 상태로 변하도록 제1 바스켓(120)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 커버 조립체(110)는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의 전면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 조립체(110) 제1 커버(111), 제2 커버(112) 및 제3 커버(113)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서 제1 바스켓 하우징(121)과 제1 디바이더(122) 및 서포트 프레임(123)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바스켓(120)은 일체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커버 조립체(110)에서 제1 커버(111)와 스토퍼(70)부재가 간섭되도록 마련되어 제1 커버(111)-제2 커버(112)-제3 커버(113)의 순서로 제1 바스켓(120)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커버(111)가 제1 커버 지지부(1221)와 제2 커버 지지부(1231)의 걸림턱(1222)에 의해 간섭되고 제3 커버(113)에 스토퍼 리브(111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100)가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제1 커버(111)는 제1 바스켓(12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3 커버(113)의 스토퍼 리브(1117)에 스토퍼(70)가 간섭되어 제3 커버(113)-제2 커버(112)-제1 커버(111)의 순서로 제1 바스켓(120)에 대한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제1 바스켓(1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를 제1 길이(L1)라 정의하고, 제1 바스켓(1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에서 제빙 장치(60)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를 제2 길이(L2)라 정의한다.
따라서, 드로워(100)가 인입된 상태일 때는 커버 조립체(110)가 제2 길이(L2)만큼을 커버한다면 제빙실(1211)의 얼음이 고내 환경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나 드로워(100)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일 때는 커버 조립체(110)는 제1 길이(L1)만큼을 커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의 비율에 따라 커버 조립체(110)를 구성하는 커버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커버 조립체(110)의 경우 제1 길이(L1)가 제2 길이(L2)의 대략 2.6배로 마련됨에 따라 세 개의 커버를 사용하여 제빙실(1211)을 커버하였다. 다만, 커버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의 비율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드로워(100)와 상이하여 두 개의 커버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는 커버 조립체를 제외하고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저장실(22)에는 제빙 장치(6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a)는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 장치(60a)는 제3저장실(22)을 형성하는 내상(12a)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a)는 드로워(100a)의 일 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a)는 얼음을 생성하여 후술할 드로워(100a)의 보관 트레이(140a)(도 23 참조)로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빙 장치(60a)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드로워(100a)에는 제빙실(1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빙 장치(60a)의 전방에는 커버 조립체(110a)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는 제1 바스켓(120a)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드로워(100a)가 인입된 상태에서 커버 조립체(110a)는 제빙 장치(60a)의 전방에서 제1 바스켓(120a)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드로워(100a)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제빙 장치(60a)의 전방에서 제1 바스켓(120a)의 상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드로워(100a)가 인출된 상태에서 커버 조립체(110a)는 계단식으로 펼쳐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조립체(110a)의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 및 제3 커버(113a)는 드로워(100a)의 전방 이동에 따라 함께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로워(100a)가 인출된 상태에서 드로워(100a)의 제빙실(1211a)은 커버 조립체(110a)에 의해 상면이 커버되고 제1 디바이더(122a)에 의해 측면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스켓(120a)은 제2 바스켓(160a)의 상면에 지지되어 제2 바스켓(160a)의 전방 인출에 따라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바스켓(160a)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부(163a)에 의해 제1 바스켓(120a)의 롤러(150a)가 제2 바스켓(160a)에 대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드로워(100a)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필요 시 제1 바스켓(120a)을 뒤로 밀어 제2 바스켓(160a)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와 드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빙 장치와 드로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커버 조립체를 분해하여 하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냉장고(1a)는 제빙 장치(6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60a)는 얼음을 생성하도록 내상(12a)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장치(60a)는 드로워(100a)의 인출과 인입에 상관 없이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제빙 장치(60a)의 구성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제빙 장치(60a)는 제빙 하우징(6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하우징(61a)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611a)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a)는 제3도어와 함께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본체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100a)는 제1 바스켓(120a)과 제1 바스켓(120a)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30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a)는 내상(12a)에 장착되는 레일(미도시) 등에 지지되어 제1 바스켓(120a)이 본체에 대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a)는 제1 바스켓(120a)의 양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a)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은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은 일 측에 제빙 장치(60a)가 수용될 수 있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은 절개부(1216a)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216a)는 제빙 장치(60a)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후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인출 시와 인입 시에 제빙 장치(60a)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a)은 제1 디바이더(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a)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a)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a)는 제빙 장치(60a)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a)은 서포트 프레임(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23a)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122a)의 제빙 장치(60a)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1 커버 지지부(1221a)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123a)의 제빙 장치(60a)와 마주보는 면에는 제2 커버 지지부(1231a)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커버 조립체는 제1 커버 지지부(1221a)와 제2 커버 지지부(1231a)에 의해 양 측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은 제1 디바이더 장착부(1213a) 및 프레임 장착부(1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바이더 장착부(1213a)에는 제1 디바이더(122a)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 내부에 장착될 수 있고, 프레임 장착부(1214a)에는 서포트 프레임(123a)이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드로워(100a)는 제1 바스켓(120a)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바스켓(120a)의 이동을 보조하는 롤러(150a)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워(100a)는 보관 트레이(140a)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140a)는 제빙 장치(6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 트레이(140a)는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트레이 안착부(1212a)에 안착될 수 있다. 제빙 장치(60a)에서 생성된 얼음은 보관 트레이(140a)로 이송되어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장치(60a)의 만빙감지레버(미도시)는 보관 트레이(140a)에 보관된 얼음의 만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보관 트레이(140a)는 제1 저장부(141a) 및 제2 저장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60a)가 서로 다른 크기의 얼음을 생성하는 복수의 얼음트레이(미도시)를 포함함에 따라, 얼음을 보관하는 보관 트레이(140a) 역시 다른 종류의 얼음이 구별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얼음트레이(미도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얼음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보관 트레이(140a)는 양 측에 형성되는 핸들부(143a)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핸들부(143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내부에는 제빙실(1211a)(도 26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1211a)은 제빙 장치(60a)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1211a)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과 제1 디바이더(122a)에 의해 양 측부가 구획될 수 있다. 즉, 보관 트레이(140a)는 제빙실(1211a)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빙 장치(60a)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빙실(1211a)의 후방 상면은 제빙 장치(60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드로워(100a)는 커버 조립체(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의 커버 조립체(1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커버 조립체(110a)와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는 제빙 장치(6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는 제빙실(1211a)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빙실(1211a)의 후방 상부에는 제빙 장치(60a)가 배치되고 제빙실(1211a)의 전방 상부에는 커버 조립체(110a)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는 제1 바스켓(120a)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는 제1 바스켓(120a)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의 내부에는 스쿱(S)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조립체(110a)와 관련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드로워(100a)는 제2 바스켓(160a) 및 가이드 레일(17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스켓(160a)은 제1 바스켓(120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바스켓(120a)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0a)은 제2 바스켓(160a)의 측면과 내상(12a)에 결합되어 제2 바스켓(160a)의 전후방으로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0a)은 제2 바스켓(160a)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스켓(160a)은 제2 바스켓 하우징(161a)과 제2 디바이더(16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스켓 하우징(161a)은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스켓 하우징(161a)의 내부에는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디바이더(162a)는 제2 바스켓 하우징(161a)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제2 바스켓 하우징(16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스켓 하우징(161a)의 테두리 상면에는 돌출부(16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3도어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인출하는 경우 제3도어와 결합되는 제2 바스켓(160a)이 전방으로 인출되고 제1 바스켓(120a)도 제2 바스켓(160a)과 함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바스켓(160a)이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돌출부(163a)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롤러(150a)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제1 바스켓(120a)이 제2 바스켓(160a)에 대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제1 바스켓(120a)에 소정의 외력을 가하여 제1 바스켓(120a)을 후방으로 밀어 제2 바스켓(160a)에 수납된 물품을 꺼낼 수 있다. 이 때 제1 바스켓(120a)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돌출부(163a)는 제2 바스켓 하우징(161a)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 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커버 조립체(110a)는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1a)는 제1 바디(1111a) 및 제1 연장바디(1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111a)는 커버 조립체(110a)의 가장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11a)는 제빙실(1211a)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바디(1112a)는 제1 바디(1111a)의 양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바디(1112a)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장바디(1112a)는 제1 디바이더(122a)의 제1 커버 지지부(1221a)와 서포트 프레임(123a)의 제2 커버 지지부(1231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바디(1112a)에는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a)은 제1 연장바디(1112a)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a)에는 후술할 커버 지지 부재(114a)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커버(111a)는 제1 유동홀(1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3a)은 제1 바디(111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3a)은 제빙실(1211a)의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a)에 의해 정체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동홀(1113a)을 통해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a)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커버(111a)는 제1 전방리브(1115a)와 제1 후방리브(1114a) 및 제1 연결리브(111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방리브(1115a)는 제1 바디(1111a)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방리브(1115a)는 제1 바디(1111a)의 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방리브(1115a)는 제1 커버(111a)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리브(1114a)는 제1 바디(1111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후방리브(1114a)는 제1 바디(1111a)의 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후방리브(1114a)는 제1 커버(111a)의 후면 일 측과 타 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리브(1116a)는 한 쌍의 제1 후방리브(1114a)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리브(1116a)는 후술할 스토퍼 리브(1117a)와 일 측의 제1 후방리브(1114a) 및 타 측의 제1 후방리브(1114a)를 각각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111a)는 스토퍼 리브(1117a) 및 완충 부재(1118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a)는 제1 바디(1111a)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a)는 제1 바디(1111a)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a)는 후술할 스토퍼와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 리브(1117a)의 후방에는 완충 부재(1118a)가 장착될 수 있다. 완충 부재(1118a)는 스토퍼 리브(1117a)와 제빙 장치(60a)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가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완충 부재(1118a)는 제1 커버(111a)가 제빙 장치(60a)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커버(112a)는 제2 바디(1121a) 및 제2 연장바디(1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112a)는 제1 커버(111a)의 아래에서 제1 커버(111a)와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제2커버(112a)는 커버 조립체(110a)의 가장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버(112a)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버(112a)는 대략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디(1121a)는 제빙실(1211a)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디(1121a)는 바닥면에 수용부(1128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쿱(S)은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수용부(1128a)에 안착되어 커버 조립체(110a)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보관되는 물품은 스쿱(S)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연장바디(1122a)는 제2 바디(1121a)의 양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바디(1122a)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연장바디(1122a)는 제1 디바이더(122a)의 제1 커버 지지부(1221a)와 서포트 프레임(123a)의 제2 커버 지지부(1231a)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바디(1122a)에는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a)은 제2 연장바디(1122a)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a)에는 후술할 커버 지지 부재(114a)가 장착될 수 있다.
제2커버(112a)는 제2 유동홀(1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동홀(1123a)은 제2 바디(1121a)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유동홀(1123a)은 제2 바디(1121a)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동홀(1123a)은 제빙실(1211a)의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a)에 의해 정체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동홀(1123a)을 통해 냉기가 커버 조립체(110a)를 통과할 수 있다.
제2커버(112a)는 제2 후방리브(1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방리브(1124a)는 제2 바디(1121a)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후방리브(1124a)는 제2 바디(1121a)의 후방 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후방리브(1124a)는 제2커버(112a)의 후면 일 측과 타 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후방리브(1124a)는 제1 커버(111a)를 향해 제2 바디(1121a)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110a)는 커버 지지 부재(114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 부재(114a)는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의 제1 연장바디(1112a), 제2 연장바디(1122a)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지지 부재(114a)는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가 제1 바스켓(120a)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버 지지 부재(114a)는 복수의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도록 제1 바스켓(120a)의 제1 커버 지지부(1221a)와 제2 커버 지지부(1231a) 내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이동 과정에서 제1 바스켓(120a)과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가 제1 바스켓(120a)과 직접 접촉하면 사출물 간에 마찰로 인한 분진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분진이 보관 트레이(140a) 또는 제빙 장치(60a)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커버 지지 부재(114a)는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가 제1 바스켓(120a)에 지지되되, 제1 바스켓(120a)과 직접 닿지 않고 제1 바스켓(120a)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재이다. 커버 지지 부재(114a)는 POM재질을 포함하는 그로멧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지지 부재(114a)는 연장바디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 지지 부재(114a)의 연장바디결합부는 제1 연장바디(1112a)에 형성된 제1 지지부재장착홈(1119a)에 끼워질 수 있고 제2 연장바디(1122a)에 형성된 제2 지지부재장착홈(1127a)에 끼워질 수 있다.
커버 지지 부재(114a)는 사이드지지부 및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지지부는 연장바디결합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지지부는 커버 지지 부재(114a)가 제1 커버 지지부(1221a)와 제2 커버 지지부(1231a)에 삽입되었을 때 커버 지지 부재(114a)에 결합된 제1 커버(111a) 내지 제3 커버(113a)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지지 부재(114a)는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도록 마련되므로, 커버 지지 부재(114a)는 제1 커버(111a) 내지 제2커버(112a)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커버 지지 부재(114a)의 절곡부는 연장바디결합부로부터 전방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절곡부는 대략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절곡부는 걸림턱(1222a)에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커버(111a), 제2커버(112a)에 형성된 제1 전방리브(1115a), 제1 후방리브(1114a), 제2전방리브는 서로 간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드로워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드로워(100a)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일 때 제1 바스켓(120a)에 형성되는 제빙실(1211a)의 상부는 제빙 장치(60a)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 조립체(110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실(1211a)의 전방 상부는 커버 조립체(110a)에 의해 커버되고 후방 상부는 제빙 장치(60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제빙실(1211a)의 양 측방은 제1 바스켓 하우징(121a)의 측면과 제1 디바이더(122a)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실(1211a) 내부의 보관 트레이(140a)에 보관된 얼음은 고내 환경으로부터 일정 수준 보호될 수 있다.
이 때 커버 조립체(110a)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겹쳐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 조립체(110a)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1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조립체(110)와 그 개수만 달리하므로, 동작에 관한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바스켓(120a)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동안 커버 조립체(110a)는 제1 바스켓(120a)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커버(111a)의 스토퍼 리브(1117a)가 스토퍼와 간섭되면 제1 커버(111a)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후 제2커버(112a)가 제1 바스켓(120a)과 함께 제1 커버(111a)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100a)가 인출되는 동안에도 커버 조립체는 제빙실(1211a)의 상부를 지속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제1 바스켓(120a)의 전후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를 제1길이(L3)라 정의하고, 제1 바스켓(120a)의 전후 방향으로의 전체 길이에서 제빙 장치(60a)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를 제2길이(L4)라 정의한다.
따라서, 드로워(100a)가 인입된 상태일 때는 커버 조립체(110a)가 제2길이(L4)만큼을 커버한다면 제빙실(1211a)의 얼음이 고내 환경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나 드로워(100a)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일 때는 커버 조립체(110a)는 제1길이(L3)만큼을 커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a)의 커버 조립체(110a)의 경우 제1길이(L3)가 제2길이(L4)의 대략 1.6배로 마련됨에 따라 두 개의 커버를 사용하여 제빙실(1211a)을 커버하였다.
따라서 제1길이(L3)와 제2길이(L4)의 비율에 따라 커버 조립체(110a)를 구성하는 커버의 개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20; 복수의 저장실
30; 복수의 도어
33; 제3도어
22; 제3저장실
60; 제빙장치
70; 스토퍼
100; 드로워
110; 커버 조립체
111, 112, 113; 제1커버, 제2커버, 제3커버
114; 커버 지지 부재
120, 160; 제1바스켓, 제2바스켓
140; 보관 트레이
1211; 제빙실
121; 제1바스켓 하우징
122; 제1디바이더
123; 서포트프레임
1222; 걸림턱
1114, 1115; 제1전방리브, 제1후방리브
1124, 1125; 제2전방리브, 제2후방리브
1134, 1138; 제3전방리브, 제3후방리브
1135; 수용공간
1221; 제1커버지지부
1231; 제2커버지지부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빙 장치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빙실을 포함하는 바스켓; 및
    상기 제빙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 조립체로서, 상기 바스켓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가변 되도록 상기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를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는 상기 드로워가 인입된 상태일 때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적층되고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계단식으로 펼쳐지게 마련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바스켓 하우징; 및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서 상기 제빙실을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의 제1측이 지지되는 제1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디바이더;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바스켓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커버의 상기 제1측과 반대되는 상기 제2측이 지지되는 제2커버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 각각은
    상기 제빙실을 커버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제1커버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지지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바디;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도록 상기 연장바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지지부 내에 수용되는 커버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지지부와 상기 제2커버지지부는 각각
    상기 드로워의 인출, 인입 시 상기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상기 바스켓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아래에서 상기 제1커버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2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아래에서 상기 제2커버와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3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제1커버와 간섭되어 상기 제1커버의 전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스토퍼와 간섭되도록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전방리브; 및
    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1후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2전방리브; 및
    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2후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3커버는
    후방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제3후방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인출 동작 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스토퍼와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후방리브가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후방리브가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2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인입 동작 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빙 장치와 간섭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후방리브가 상기 제1커버의 상기 제1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3후방리브가 상기 제2커버의 상기 제2후방리브와 간섭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버는 각각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방리브, 상기 제1후방리브, 상기 제2전방리브, 상기 제2후방리브 및 상기 제3후방리브는 상기 바디의 양 측 단부에서 서로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아래로 함몰된 형상을 갖는 냉장고.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빙 장치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바스켓 하우징;
    상기 제빙 장치의 측방에서 상기 바스켓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디바이더;
    상기 디바이더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빙 장치의 아래에 형성되는 제빙실; 및
    상기 바스켓 하우징과 상기 디바이더에 지지되어 상기 제빙실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커버를 갖는 커버 조립체로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겹쳐진 제1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커버가 계단식으로 펼쳐진 제2상태로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바스켓에 대해 상기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디바이더의 지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복수의 커버 중 하나의 커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는 제빙 장치; 및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또는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인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제빙 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빙실을 포함하는 바스켓;
    상기 제빙 장치의 전방에서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의 아래에서 상기 바스켓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커버로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1커버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빙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인출 시 상기 제1커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스토퍼에 간섭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2커버가 상기 바스켓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빙실의 상부를 커버하는 냉장고.
KR1020210191517A 2021-12-29 2021-12-29 냉장고 KR20230101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17A KR20230101423A (ko) 2021-12-29 2021-12-29 냉장고
CN202280067698.1A CN118076847A (zh) 2021-12-29 2022-10-11 冰箱
PCT/KR2022/015256 WO2023128166A1 (ko) 2021-12-29 2022-10-11 냉장고
US17/982,962 US20230204282A1 (en) 2021-12-29 2022-11-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517A KR20230101423A (ko) 2021-12-29 2021-12-2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23A true KR20230101423A (ko) 2023-07-06

Family

ID=8699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517A KR20230101423A (ko) 2021-12-29 2021-12-29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1423A (ko)
WO (1) WO20231281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63B1 (ko) * 2006-09-07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장치
KR20150000683A (ko) * 2013-06-25 2015-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5698475A (zh) * 2014-11-28 2016-06-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210532787U (zh) * 2019-08-06 2020-05-1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210071526A (ko) * 2019-12-06 2021-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166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4841B2 (en) Refrigerator
US20190178563A1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RU2608220C1 (ru)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холодильник, имеющий скользя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91765B1 (ko) 냉장고
EP3043132B1 (en) Refrigerator
CN107454934B (zh) 冰箱
KR101871266B1 (ko) 냉장고
EP2175218B1 (en) Refrigerator
EP3190367A1 (en) Refrigerator
EP3537073A1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EP2725314B1 (en) Refrigerator
KR20170093530A (ko) 냉장고
KR2010012861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조립체
KR20200077957A (ko) 냉장고
KR101013683B1 (ko) 냉장고
KR20090133009A (ko) 냉장고의 서랍
KR20230101423A (ko) 냉장고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KR20240052562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00080971A (ko) 냉장고
KR20230096368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70073373A (ko) 냉장고
KR20130094045A (ko) 홈바용 커버가 설치된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