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821B1 -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821B1
KR101816821B1 KR1020160073131A KR20160073131A KR101816821B1 KR 101816821 B1 KR101816821 B1 KR 101816821B1 KR 1020160073131 A KR1020160073131 A KR 1020160073131A KR 20160073131 A KR20160073131 A KR 20160073131A KR 101816821 B1 KR101816821 B1 KR 10181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ancer
rosin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611A (ko
Inventor
강석주
Original Assignee
강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주 filed Critical 강석주
Priority to KR1020160073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8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장실험(Cell Proliferation Assay) 분석결과 암세포 사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 역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암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기능성 차로서 음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FUNCTIOANL TEA WITH ANTICANCER ACTIV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FEOF}
본 발명은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제어되지 않는 세포성장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러한 비정상적인 세포성장에 의해 종양(tumor)이라고 불리는 세포 덩어리가 형성되어 주위의 정상조직 또는 기관으로 침윤하여 파괴시키고 새로운 성장장소를 만들 수 있어 개체의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환군을 총칭한다.
이러한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난치병 중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이를 치유하기 위한 개발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고, 의학 기술 또한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암의 발생 및 암에 의한 사망은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세계 보건 기구의 최근 통계 자료에 의하면 전세계적으로 연간 약 1천만 명 이상의 새로운 암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암은 가장 높은 사망원인으로 연간 약 십만 명 이상이 진단되고, 약 6만 명 이상이 암에 의해 사망하고 있다.
암의 발생요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유전인자 또는 면역학적 요인 등의 내적 요인과 화학물질, 방사선 또는 바이러스 등의 외적 요인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특히, 최근 암 환자의 증가와 관련하여, 현대 사회에서 암이 발생되는 원인은 유전적 요인보다 환경적 요인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식생활에서 오는 발암률은 환경적 요인의 36%로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현대 사회에서의 생활환경이 근원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이상 이러한 암의 발병률 및 암에 의한 사망자 수의 증가추세는 계속해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암은 조기에 발견되지 못할 경우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고, 병이 진전될수록 환자와 가족의 고통과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며, 의료 보험의 재정고갈 등 사회적으로도 큰 비용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암의 예방과 조기 치료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암의 발생과 전이, 암세포의 생리, 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연구와 함께 식품을 비롯한 항암 효과를 지니는 물질 검색을 통하여 새로운 암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종양의 혈액공급을 중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약물인 혈관신생억제제(angiogenesis inhibitor)가 있다. 또한, 암세포의 성장 또는 암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는 암전이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기 위해, 혈관 형성(angiogenesis)이 요구되며, 이러한 혈관 형성에는 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또는 세포 간 접착분자(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 ICAM) 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암의 전이(침윤)에는 유로키나제 플라스미노겐 활성물(urokinase plasminogen activator, uPA)이 관련되어 있으며, 암의 전이과정에서 수반되는 암세포 부착에는 인테그린-알파(Integrin-α)가 관련되어 있다.
암이 발병되어 진행이 계속될 경우 수술 등의 외과적 치료법과 함께 약물처방 등과 같은 화학적 치료법이나 방사선치료 등을 병행하여 집중적인 치료를 해야 하지만, 이와 같은 약물치료 등과 같은 화학적 치료법에 사용되는 암세포 사멸제 등은 그 독성 등의 후유증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안정성과 치료효과 모두를 담보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다양한 접근방법에 기초한 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암화(carcinogenesis) 과정은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상되는데, 각 단계마다 특이적인 분자 또는 세포수준에서의 변화를 수반한다. 상기 암화 과정은 크게 (a) 발암물질에 의해 DNA에 돌연변이가 유도되는 개시단계, (b) 양성 종양 (benign tumor)이 나타나는 촉진단계, (c) 양성종양이 악성종양 (malignant tumor)으로 변환되는 진행단계와 (d) 악성 정도의 증가 및 전이로의 진행단계와 같이 다단계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보고된 항암제를 포함한 치료제는 주로 상기 악성종양으로 변환되는 진행단계에서 악성종양에 해당하는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물질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많은 면에서 그 성질이 유사하므로 정상세포에는 피해를 주지 않고 암세포만을 제거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기존 암세포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요법은 주로 항암물질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방법으로, 종래 보고된 약 40 여종의 화학물질은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 정상세포에 대해서도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암세포의 특징 중 하나인 유전적인 불안정성은 암세포 스스로가 화학요법제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는 원인으로 보고되어, 항암제 투여를 통한 암치료의 문제점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요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경우 강한 세포독성으로 인하여 많은 부작용이 유발되므로, 종래 천연물, 특히 식물 또는 식물생약으로부터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천연물 유래 항암제로 대표적인 것은 주목나무에서 분리한 택솔(Taxol; 파클리탁셀)이 있으나, 암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신체 내 다른 정상세포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아서 독성 및 부작용이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주목나무 이외의 식물 또는 식물생약으로부터 항암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었다.
현재, 각종 한약재의 단일 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치료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추출물이 개발되었으나, 단일 추출물만으로는 충분한 항암활성 및 암치료의 면역력을 증가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바, 본 발명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복합 약재를 통해 항암활성 및 암 치료를 위한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조성물을 발명한 것이다.
KR 10-2009-0091400 A KR 10-1513302 B1
본 발명의 목적은,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는,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는 생강, 대추 및 감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는 느릅나무 껍질 100중량부, 겨우살이 70~90중량부, 부처손 40~60중량부, 천마 40~60중량부, 꾸지뽕나무 40~60중량부, 산죽잎 40~60중량부, 으름덩굴 40~60중량부, 복령 40~60중량부, 짚신나물 40~60중량부, 백화사설초 70~90중량부, 오갈피나무 40~60중량부, 화살나무 40~60중량부, 머위 40~60중량부, 차전자 70~90중량부, 소루쟁이 70~90중량부, 삼백초 40~60중량부, 인동덩굴 꽃 40~60중량부, 어성초 40~60중량부, 광나무의 열매 70~90중량부, 석창포 70~90중량부, 바위솔 70~90중량부, 마름 열매 70~90중량부, 일엽초 70~90중량부, 까마중 70~90중량부, 천문동 70~90중량부 및 차가버섯 90~110중량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제조방법은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약재에 물을 1:10~30 중량비로 투입하고, 이를 80~100℃의 온도로 10~5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는 생강, 대추 및 감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황토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관함에 상기 약재를 10~100일간 저장한 후, 이를 물로 세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암세포에 대한 생육저해활성 시험결과 암세포 사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역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암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기능성 차로서 음용될 수 있다.
또한, 체력 및 면역력 향상에 도움을 주어, 암으로 인한 출혈, 기침, 복수 등 부수적인 증상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암환자가 음용할 수 있는 음료수나 드링크제는 없는데, 본 발명은 암환자가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를 제공함으로써, 면역력을 높여 암의 치유를 돕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기능성 차는 액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분말차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티백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는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기능성'이란 암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 또는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재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음건 또는 양건하거나 증숙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약재의 전처리는 공지된 한약재의 처리방법에 따르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로서 음용이 가능한 항암활성이 가능한 기능성의 식품으로,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약재는 느릅나무 껍질 100중량부, 겨우살이 70~90중량부, 부처손 40~60중량부, 천마 40~60중량부, 꾸지뽕나무 40~60중량부, 산죽잎 40~60중량부, 으름덩굴 40~60중량부, 복령 40~60중량부, 짚신나물 40~60중량부, 백화사설초 70~90중량부, 오갈피나무 40~60중량부, 화살나무 40~60중량부, 머위 40~60중량부, 차전자 70~90중량부, 소루쟁이 70~90중량부, 삼백초 40~60중량부, 인동덩굴 꽃 40~60중량부, 어성초 40~60중량부, 광나무의 열매 70~90중량부, 석창포 70~90중량부, 바위솔 70~90중량부, 마름 열매 70~90중량부, 일엽초 70~90중량부, 까마중 70~90중량부, 천문동 70~90중량부 및 차가버섯 90~110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각 조성비율은 많은 실험을 토대로 얻어진 것으로, 상기한 조성비율을 벗어난 경우 만족스러운 항암 활성 및 면역력 향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본 발명의 약재는 생강, 대추 및 감초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생강 40~80중량부, 대추 40~80중량부 및 감초 40~80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상기한 약재를 혼합하고 이에 물을 첨가, 가열하여 된 것일 수도 있으며, 각 약재를 별도로 열수추출하고, 각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상기한 약재의 비율에 따라 혼합한 것일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암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암의 예방 및 활성 억제, 그리고 면역력의 향상를 위한 차로서 음용될 수 있다. 아울러, 그 차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한 열수추출물 이외 차 및 음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재의 열수추출물이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암의 종류로는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요도)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생식기외부암 및 여성요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추출물의 바람직한 음용량은, 성인기준 1일 약 2L 정도이나, 티백형태의 것은 따뜻한 물에 타서 음용하면 그 음용량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암활성을 갖는 차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를 준비하여 깨끗이 세척한다.
그리고 준비된 약재에 물을 1:10~30 중량비로 투입하고, 이를 80~100℃의 온도로 10~5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여과, 예를 들면 체거름 또는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액만을 수득한다.
여기서, 상기 석창포는 장시간 추출할 경우 정유성분이 휘발될 수 있으므로, 기타 약재를 먼저 투입하여 가열하고, 가열 중 석창포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재의 배합비는 앞서 설명하였으며, 생강, 대추 및 감초 역시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수득한 추출액을 종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추가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 농축할 경우 엑기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음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40℃ 정도로 동결하고, 감압하여 건조하여 제조한 분말은 분말차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바, 분말차에 따뜻한 물을 부어 그대로 음용할 수 있다.
아울러,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의 형태로 제공하지 않고, 상기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한 약재를 혼합비에 따라 혼합한 후, 이를 50~100mesh 정도로 분쇄하여 티백으로 포장함으로써, 티백의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티백은 음용자가 직접 뜨거운 물에 티백을 침지시키고, 일정시간 유용물질이 우러나도록 기다린 후, 이를 음용하는 것으로, 그 휴대 및 음용이 간단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비율의 약재를 그대로 티백의 형태로 포장하여 제공하거나, 열수추출하여 액상차로서 제공하거나, 동결건조하여 분말차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준비한 약재를 황토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관함에 10~100일간 저장한 후, 이를 물로 세척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바, 상기 황토로 구성된 보관함에 약재를 저장할 경우, 약재의 강한 향과 풍미를 완화시키고, 독성을 제거하며, 약재의 좋지 않은 물질을 배출시켜 약재의 이로운 활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약재의 보관온도는 40~60℃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관함을 구성함에 있어, 게르마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게르마늄은 약재에의 독성을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느릅나무 껍질은 유근피라고도 하는바, 각종 암에 항암활성을 보인다. 그 중 특히 위암에 효과적이며, 염증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겨우살이는 참나무, 밤나무 등에 기생하여 자라는 것으로, 뿌리와 줄기를 약재로서 사용한다. 상기 겨우살이는 면역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항암작용이 강하며, 특히 신장암 및 간암에 효과적이다.
상기 부처손은 간암, 위암, 폐암, 자궁경부암, 뇌암, 식도암, 인후암, 유방암 등 종양의 크기가 작은 암에 효과적이며, 간경화나 부인병 개선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천마는 덩이줄기를 쪄서 말려 사용하며, 암세포증식의 억제효과가 뛰어나며, 혈관질환, 뇌 건강 및 중풍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꾸지뽕나무는 뿌리, 잎, 열매를 모두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위암, 결장암, 직장암과 같은 소화기암과 폐암, 간암, 기관지암 등에 효과적인바, 암환자의 저항력을 상승시켜 준다.
상기 산죽잎은 조릿대라고도 한다. 상기 산죽잎은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갖는 것으로, 항암, 살균, 항궤양 작용이 뚜렷하고,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의 억제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으름덩굴은 열매, 잎, 덩굴, 꽃을 약용할 수 있는바, 방광암으로 인한 피오줌에 효과적이다.
상기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잔나비걸상과의 복령의 균핵으로, 바깥 층을 제거하여 만든 약재로서, 위경, 간경에 작용한다. 또한, 각종 독에 효과적이다.
상기 짚신나물은 우리나라의 각처의 산과 들에 자라는 다년생의 초본으로, 암세포의 억제함은 물론, 정상세포의 성장을 2배 이상 좋게 하며, 통증이 심한 골암, 간암, 췌장암 등에 효과적이다.
상기 백화사설초는 백운풀의 전초를 말하는 것으로, 독을 풀며, 염증을 삭히고, 오줌이 잘 나오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오갈피나무는 껍질, 뿌리, 줄기, 잎, 열매, 꽃을 모두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각종 암에 대한 항암 활성이 우수하다.
상기 화살나무는 가지와 잎, 날개를 약재로서 사용하는데, 강한 항암작용을 갖는다. 특히, 식도암과 위암에 효과적이며,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의 예방 역시 가능하다.
상기 머위는 산록의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무리지어 자라는 것으로, 그 잎과 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머위는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항암작용 역시 우수하다.
상기 차전자는 질경이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으로, 기침, 갖가지 염증과 궤양, 황달, 만성간염 등에 효과적이고, 암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소루쟁이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하며, 방광, 담낭, 비장, 혈액, 임파절 등 각종 암치료에 효과적이다.
상기 삼백초는 뿌리와 줄기, 잎, 꽃 전체를 약재로 사용하며, 염증의 치료 및 항암작용이 강하며, 방광암, 폐암, 간암, 위암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인동덩굴 꽃은 금은화라고도 불리는데, 약성이 뛰어나 암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어성초는 삼백초과의 약모밀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하는 것으로, 염증을 없애고 항암작용이 강하며, 방광염, 폐암, 간암, 위암 치료에 탁월하다.
상기 광나무의 열매는 여정실이라고도 불리는데, 백혈구의 생존 기간을 늘려 면역력을 높여 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석창포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며, 항암효과 및 진정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석창포는 오래 달이면 정유성분이 날아가므로, 다른 약재와 함께 달일 때에는 제일 마지막에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위솔은 와송이라고도 하는데, 9월 초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고, 항암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바위솔은 종양을 삭여주고, 지혈, 진통, 소독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마름 열매는 능실이라고도 하는바, 두창을 낫게 하고, 술독을 풀며, 눈을 밝게 하는 기능을 하며, 위암 및 자궁암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일엽초는 뿌리줄기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약재로 쓰는데, 위암, 자궁암, 유방암 등에 가장 항암작용이 뛰어나다.
상기 까마중은 잎, 줄기 등을 약재로 쓰는데, 항암작용이 우수하다.
상기 천문동은 용혈성연쇄상구균, 황색포도상규균 등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모든 암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
상기 차가버섯은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약용버섯으로, 모든 암에 항암효과가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시중에서 구입한 느릅나무 껍질 100g, 겨우살이 80g, 부처손 50g, 천마 50g, 꾸지뽕나무 50g, 산죽잎 50g, 으름덩굴 50g, 복령 50g, 짚신나물 50g, 백화사설초 80g, 오갈피나무 50g, 화살나무 50g, 머위 50g, 차전자 80g, 소루쟁이 80g, 삼백초 50g, 인동덩굴 꽃 50g, 어성초 50g, 광나무의 열매 80g, 석창포 80g, 바위솔 80g, 마름 열매 80g, 일엽초 80g, 까마중 80g, 천문도 80g 및 차가버섯 100g을 혼합, 마쇄하여 분말화하고, 이에 20중량배의 물을 첨가하여 80℃의 온도에서 30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한 후, 이를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로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생강 40g, 대추 40g 및 감초 40g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한 약재를 황토로 구성된 보관함에서 50℃로 20일간 보관 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전립선암 세포주(DU145),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대장암 세포주(HT29), 폐암 세포주(H1299) 등 4종의 암세포주를 사용하여 암세포주의 생육저해활성을 검정하였다.
각 암세포주는 100mm 디쉬로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각 세포주 배양을 위한 배지는 2㎎/㎖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te),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생육저해활성의 검정은, 배양한 각각의 암세포주를 24웰 플레이트에 배양하고 여기에 각 실시예들을 각각 0, 10, 50, 100, 150, 200, 250 및 300 ㎍/ml의 농도로 처리하여 37℃, 5%의 CO2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 20㎕를 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효소면역측정기(ELISA reader)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 증식률을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전립선암 세포주(DU145)에 대산 시험결과이고, 도 2는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도 3은 대장암 세포주(HT29), 도 4는 폐암 세포주(H1299)에 대한 시험결과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각 암세포주의 증식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의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을 상기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으나,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생육저해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2)
2015년 3월 방광암 진단을 받고, 2015년 4월 방광암 제거 수술을 받은 81세 남성을 피시험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2015년 8월 방광 내시경 촬영 후, 촬영 당일부터 2016년 2월까지 매일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제조된 차(단,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농축 및 동결건조는 하지 않았다.)를 매일 2ℓ 음용토록 한 후, 2016년 2월 다시 방광 내시경 촬영을 실시하였다.
첨부된 도 5(음용 전) 및 도 6(음용 후)은 그 사진으로, 도 5에 비해 도 6이 암세포가 확연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차는 항암활성의 기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느릅나무 껍질 100중량부, 겨우살이 70~90중량부, 부처손 40~60중량부, 천마 40~60중량부, 꾸지뽕나무 40~60중량부, 산죽잎 40~60중량부, 으름덩굴 40~60중량부, 복령 40~60중량부, 짚신나물 40~60중량부, 백화사설초 70~90중량부, 오갈피나무 40~60중량부, 화살나무 40~60중량부, 머위 40~60중량부, 차전자 70~90중량부, 소루쟁이 70~90중량부, 삼백초 40~60중량부, 인동덩굴 꽃 40~60중량부, 어성초 40~60중량부, 광나무의 열매 70~90중량부, 석창포 70~90중량부, 바위솔 70~90중량부, 마름 열매 70~90중량부, 일엽초 70~90중량부, 까마중 70~90중량부, 천문동 70~90중량부, 차가버섯 90~110중량부, 생강 40~80중량부, 대추 40~80중량부 및 감초 40~80중량부를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약재는 황토와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구성된 보관함에 10~100일간 저장된 후, 물로 세척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2. 삭제
  3. 삭제
  4. 느릅나무 껍질 100중량부, 겨우살이 70~90중량부, 부처손 40~60중량부, 천마 40~60중량부, 꾸지뽕나무 40~60중량부, 산죽잎 40~60중량부, 으름덩굴 40~60중량부, 복령 40~60중량부, 짚신나물 40~60중량부, 백화사설초 70~90중량부, 오갈피나무 40~60중량부, 화살나무 40~60중량부, 머위 40~60중량부, 차전자 70~90중량부, 소루쟁이 70~90중량부, 삼백초 40~60중량부, 인동덩굴 꽃 40~60중량부, 어성초 40~60중량부, 광나무의 열매 70~90중량부, 석창포 70~90중량부, 바위솔 70~90중량부, 마름 열매 70~90중량부, 일엽초 70~90중량부, 까마중 70~90중량부, 천문동 70~90중량부, 차가버섯 90~110중량부, 생강 40~80중량부, 대추 40~80중량부 및 감초 40~80중량부를 포함하는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약재에 물을 1:10~30 중량비로 투입하고, 이를 80~100℃의 온도로 10~5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를 준비하는 단계는,
    황토와 게르마늄을 포함하여 구성된 보관함에 상기 약재를 10~100일간 저장한 후, 이를 물로 세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073131A 2016-06-13 2016-06-13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81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131A KR101816821B1 (ko) 2016-06-13 2016-06-13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131A KR101816821B1 (ko) 2016-06-13 2016-06-13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11A KR20170140611A (ko) 2017-12-21
KR101816821B1 true KR101816821B1 (ko) 2018-01-10

Family

ID=6093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131A KR101816821B1 (ko) 2016-06-13 2016-06-13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8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65B1 (ko) 2018-12-26 2019-07-17 최동림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KR102005795B1 (ko) * 2018-03-19 2019-07-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도락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3620A (zh) * 2018-08-06 2018-10-30 吴鹏 利压代用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95B1 (ko) * 2018-03-19 2019-07-3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다도락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2000165B1 (ko) 2018-12-26 2019-07-17 최동림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611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0504370A (ja) 抗アレルギー性鼻炎作用、抗アトピー性皮膚炎作用及び抗喘息活性を示す複合生薬抽出物からなる組成物
KR101816821B1 (ko)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CN102665747A (zh) 含有三桠乌药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改善血液循环的组合物
KR101062172B1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TWI611807B (zh) 預防癌症及治療癌症及增強其他抗癌藥物效果之組合物
CN103830538A (zh) 一种治疗脑血栓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2131754A (ja) 抗血栓剤
CN107198170A (zh) 一种天然树莓复合口服液的制备配方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908A (ko) 다시마, 함초, 귤피, 당귀, 옥수수수염, 뽕잎 및 삼백초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1931609B1 (ko) 율무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6552B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CN105104626A (zh) 甘露茯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770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160082568A (ko)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9528984A (zh) 一种通过涂抹乳房治疗乳腺疾病的膏霜配方及制备方法
KR102590151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췌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20102B1 (ko) 해동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N111568935B (zh) 赤苍藤提取物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