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165B1 -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165B1
KR102000165B1 KR1020180169583A KR20180169583A KR102000165B1 KR 102000165 B1 KR102000165 B1 KR 102000165B1 KR 1020180169583 A KR1020180169583 A KR 1020180169583A KR 20180169583 A KR20180169583 A KR 20180169583A KR 102000165 B1 KR102000165 B1 KR 102000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unctional food
water vapor
container
w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림
최대통
Original Assignee
최동림
최대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림, 최대통 filed Critical 최동림
Priority to KR102018016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머위 99.9중량%와 미량의 개똥쑥(돼지풀) 0.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3 중량비율로 한 액상혼합물을 강불에 1차 가열한 뒤, 약불로 2차 가열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 뒤, 액상만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BUTTERBUR, AND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머위 99.9중량%와 미량의 개똥쑥(돼지풀) 0.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3 중량비율로 한 액상혼합물을 강불에 1차 가열한 뒤, 약불로 2차 가열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 뒤, 액상만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이란, 특정 기능성을 가진 원료, 성분을 사용해서 안전성과 기능성이 보장되는 일일 섭취량이 정해져 있고, 일정한 절차를 거쳐 건강·기능식품 문구나 마크가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효능을 갖고 있는 원료를 이용하여 음료, 캡슐, 파우더(가루), 액상즙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머위는 뿌리, 잎 및 줄기를 포함하는 전초를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머위는 쓴맛이 강한 재료로서 지역에 따라 머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머위는 한의학에서는 봉두채(蜂斗菜)라고 하며 암수 딴그루로 자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머위는,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당질,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비타민 E, 식이섬유, 아연, 엽산, 인, 지질, 철분, 칼륨, 칼슘 및 회분을 영양성분으로 갖고 있다.
이에 따른 머위의 효능을 살펴보면, 한의학에서는 기침을 멈추게 하는 진해제로 사용해오고 있었고, 해독작용이 뛰어나고 물을 정화하여 맑게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머위는 천연 항암제인 퀘르세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탁월한 항암작용을 하며, 암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데도 유효하다고 한다.
또한, 머위에는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어서, 종양, 염증 및 알레르기를 예방하는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박상이나 독이 있는 벌레에 물린 부위에 머위를 찧어 바르면 강력한 소염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머위에는 독소해독에 뛰어난 콜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식중독 예방에 유효하고, 액상 또는 즙으로 섭취하는 경우 식중독 증상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머위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으로 변해가는 체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동맥경화, 뇌출혈, 심혈관질환 등의 성인병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머위는, 칼슘이 풍부하여 뼈건강에 이롭고, 근위효과가 뛰어나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몸에 있는 가래르 삭혀주어 천식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는 등 호흡기 실환에도 유효하며, 두뇌향상, 소화불량 개선, 피부 개선 및 건강에도 유효하다.
또한,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은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식물로써 중국, 한국, 일본, 몽골, 시베리아 등지의 길가, 빈터, 강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말라리아와 같은 열대열말라리아원충(Plasmodium falciparum)의 감염으로 인한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Kooy and Sullivan, J Ethnophamacol., 150:1-13 (2013)), 한방에서는 발열감기, 학질, 소아경기, 소화불량,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개똥쑥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 중의 하나인 아테미시닌(artemisinin)의 항암 효능이 알려지면서 개똥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식약청 기준에서 개똥쑥은 어린 잎만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기 때문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환이나 진액 등은 모두 어린 잎으로만 가공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개똥쑥의 뿌리, 잎, 줄기 또한 약용으로써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아테미시닌은 개똥쑥으로부터 분리된 sesquiterpene trioxane lactone계 화합물로서 활성산소(free radicals) 생성을 통하여 말라리아 기생충을 제거하여 말라리아 감염에 탁월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구투여나 근육주사로써 사용되고 있다.
또한,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 주혈흡충(Schistosoma), 주폐포자충(Pneumocystis carinii), 사람 거대세포바이러스(Human Cytomegalovirus),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es), B형 간염, C형 간염 등 다른 감염성 질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테미시닌의 효능을 높이기 위하여 디히드로아테미시닌(Dihydroartemisinin), 아테에테르(Arteether), 아테메테르(Artemether), 아테수네이트(Artesunate) 등 다양한 유도체들의 합성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며, 이 중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은 아테미시닌 보다 더욱 강한 항말라리아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아테에테르, 아테메테르 및 아테수네이트의 최종 대사산물로써 알려져 있다(Li QG., et al., J Pharm Pharmacol., 50:173-182 (1998)).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는 아테미시닌 및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에서 암의 세포사멸(apoptosis)를 유도하고 침윤성(invasion)을 억제시켜 탁월한 항암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술된 머위와 개똥쑥을 주 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머위는 일반적으로 쓴맛이 강한 재료이기 때문에,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원료로서 구수한 풍미를 갖고 효능이 유사한 개똥쑥을 선택하였다.
이때, 개똥쑥은 정해진 일일섭취량을 초과하면 오히려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미량을 사용하는데, 이때 개똥쑥이 머위의 유효성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의 함량을 선택하여야 한다.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16821호에는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느릅나무 껍질, 겨우살이, 부처손, 천마, 꾸지뽕나무, 산죽잎, 으름덩굴, 복령, 짚신나물, 백화사설초, 오갈피나무, 화살나무, 머위, 차전자, 소루쟁이, 삼백초, 인동덩굴 꽃, 어성초, 광나무의 열매, 석창포, 바위솔, 마름 열매, 일엽초, 까마중, 천문동 및 차가버섯을 포함하는 약재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른 약재의 열수추출물은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장실험(Cell Proliferation Assay) 분석결과 암세포 사멸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독성 역시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다양한 암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기능성 차로서 음용될 수 있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883307호에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머위 600g, 울금50g, 헛개나무 200g, 은행 50g, 조릿대풀 200g 으로 조성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기술들은, 머위를 원료로 제조되는 건강기능식품들을 기재하고 있는데, 머위와 개똥쑥을 함께 사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기재하지 않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16821호(2018.01.10.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883307호(2009.02.1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머위 99.9중량%와 미량의 개똥쑥(돼지풀) 0.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3 중량비율로 한 액상혼합물을 강불에 1차 가열한 뒤, 약불로 2차 가열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 뒤, 액상만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은,
(a)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가열용 용기에 한번에 투입한 뒤, 강불에서 수증기가 발생할 때까지 용기를 폐쇄한 채로 가열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증기가 확인되면 수행되는 단계로서, 약불로 3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가 종료됨에 따라 획득된 액상결과물을 식히는 단계;
(e) 상기 (d)단계가 종료되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술된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 및 냉각하는 단계가, 정해진 소정의 횟수만큼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판단 결과, 정해진 소정의 횟수만큼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각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액상결과물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e)단계의 정해진 소정의 횟수는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료는 머위, 개똥쑥 및 물이되,
상기 재료는 머위 99.9중량% 및 개똥쑥 0.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3 중량비율로 혼합한 액상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과 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첫째, 머위와 개똥쑥만 함유하면서, 머위의 쓴맛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고,
둘째, 머위와 개똥쑥의 유효한 효능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되, 특히 유효한 효능을 유실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머위 99.9중량%와 미량의 개똥쑥(돼지풀) 0.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3 중량비율로 한 액상혼합물을 강불에 1차 가열한 뒤, 약불로 2차 가열하여 냉각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 뒤, 액상만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기재된 기능성 식품은 액상(차, 음료) 등으로 예측될 수 있으나, 이러한 액상을 이용하여 응용 제조될 수 있는 환, 즙, 젤리, 과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환, 즙, 젤리, 과자 등으로 제조되는 과정의 설명은 생략되어 있으나, 통상적인 방법을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식품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예측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다음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머위, 개똥쑥 및 물을 재료로서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머위는 뿌리, 잎 및 줄기를 포함하는 전초를 사용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머위는 쓴맛이 강한 재료로서 지역에 따라 머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머위는 한의학에서는 봉두채(蜂斗菜)라고 하며 암수 딴그루로 자라는 특징이 있다.
한편, 머위는 한의학에서 기침을 멎게하는 진해제로 사용해오고 있었고, 해독작용이 뛰어나고 물을 정화하여 맑게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머위는 천연 항암제인 퀘르세틴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탁월한 항암작용을 하며, 암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데도 유효하다고 한다.
또한, 머위에는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물질은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어서, 염증 및 알레르기를 예방하는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타박상이나 독이 있는 벌레에 물린 부위에 머위를 찧어 바르면 강력한 소염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머위에는 독소해독에 뛰어난 콜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식중독 예방에 유효하고, 액상 또는 즙으로 섭취하는 경우 식중독 증상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머위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성으로 변해가는 체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어 콜레스테롤 수치를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동맥경화, 뇌출혈, 심혈관질환 등의 성인병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머위는, 칼슘이 풍부하여 뼈건강에 이롭고, 근위효과가 뛰어나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몸에 있는 가래르 삭혀주어 천식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는 등 호흡기 실환에도 유효하며, 두뇌향상, 소화불량 개선, 피부 개선 및 건강에도 유효하다.
개똥쑥은 아르테미시닌 성분에 의해 말라리아에 대한 사멸작용을 하고, 단순 포진 및 B형 감염바이러스를 막아주는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항독소, 해열, 항염, 진통 작용이 있으며, 항종양 효과 및 위궤양, 면역력 조절 항심부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갖는 머위와 개똥쑥을, 본 발명에서는 머위 99.9중량% 및 개똥쑥 0.1중량%로 하여 혼합물을 획득한다. 그 후, 상기 혼합물:물을 1: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액상 혼합물을 재료로 준비하도록 한다.
이때, 머위 99.9중량% 및 개똥쑥 0.1중량%를 사용하는 이유는, 실험예로 후술되겠지만, 순수 머위만 사용한 경우보다 항산화 효능이 높은 것 중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실험군이었기 깨문인데, 이는 실험예를 통해 후술한다.
2.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가열용 용기에 한 번에 투입한 뒤, 70~90℃의 강불에서 수증기가 발생할 때까지 용기를 폐쇄한 채로 가열하는 단계이다.
이때, 용기를 폐쇄한 채로, 수증기(김)를 확인하는 방법은, 잠깐씩 뚜껑 등을 개방하여 눈으로 확인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폐쇄된 채로 새어나오는 수증기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다.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10 내지 15분 동안 가열할 수 있을 것이다.
3.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에서 수증기가 확인되면 수행되는 단계로서, 약불로 용기 내부의 온도가 30~50℃가 유지되도록 8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4. 냉각하는 단계
냉각하는 단계는, 상기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가 종료됨에 따라 획득된 액상결과물을 10~20℃까지 식히는 단계이다.
5. 2번의 가열과 냉각이 소정의 횟수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2번의 가열과 냉각이 소정의 횟수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하는 단계가 종료되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술된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 및 냉각하는 단계가, 정해진 소정의 횟수(2회)만큼 수행되었는지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판단 결과, 2회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부터 재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부터 재수행하는 경우, 획득된 액상결과물과 머위, 개똥쑥 잔해물을 함께 다시 가열하도록 한다.
또한, 판단 결과, 냉각하는 단계까지 2회가 완료되었다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6. 보관하는 단계
보관하는 단계는, 상기 2번의 가열과 냉각이 소정의 횟수를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 정해진 소정의 횟수만큼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각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액상결과물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가열용 용기를 개방시킨 상태로 수행되는데, 이로 인해 수증기가 용기 내부의 상측에 몰려있다가 용기의 개방과 함께 한번에 몰려 나옴으로써, 수증기를 공기 중으로 흩어지게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재료의 유효성분이 수증기에 머금어져 함께 배출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 또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가열용 용기 폐쇄시 수증기가 상측에 몰림에 따라 용기를 폐쇄하는 수단 등(예를 들면, 뚜껑)의 저면에 물방울이 맺히기 마련인데, 이러한 물방울은 중력에 의해 낙하해야 되지만, 수증기에 의해 낙하되지 못하고, 개방시 수증기와 함께 증발하거나 용기 외부로 낙하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가열용 용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냄비 등과 같은 가열용 용기에 대하여, 측벽 내부가 2중으로 구성되어 격벽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측벽을 외부측벽과 내부측벽으로 구분하되,
상기 내부측벽과 외부바닥면 사이에 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홀에는 고어텍스 의류에 사용되는 직물을 용접, 부착 등의 기법으로 고정하여 홀을 마감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부측벽은 외부측벽보다 최상측이 낮게 구성되어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액상 혼합물을 가열용 용기에 담아 가열하는 경우, 액상으로 이루어진 물이나 고체인 머위 및 개똥쑥의 경우, 직물망을 투과하지 않아서 내부측벽과 외부측벽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고, 용기의 바닥면은 이격 공간에 존재하지 않아서 열의 인가가 용이하여 가열이 가능하다.
또한, 수증기는 직물망을 투과하면서 가열용 용기 내부의 상측에 몰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체계를 갖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와 냉각하는 단계 사이에 5~10분 동안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하는데, 이는 가열의 원인이 되는 불을 소화시킨 상태로 가열용 용기를 폐쇄시켜 대기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대기하는 단계를 통해, 가열용 용기 내부에서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면서 한 곳에 몰려있지 않을 수 있어서, 가열용 용기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수증기에 의해 발생된 물방울이 낙하되어 다시 액상결과물로 포함되도록 한다.
또한, 가열의 원인이 되는 불이 소화되었더라도, 상기 가열용 용기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온도의 유지가 가능함에 따라, 낙하된 물방울에 포함된 머위와 개똥쑥의 유효한 성분이 액상결과물과 혼합되는 것을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성분의 혼합은 낮은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1. 머위와 개똥쑥 혼합비율에 대한 검토
(실험방법)
실험은 아래의 실험군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각 함량별 머위의 유효성분 소실량을 검토하도록 하였다. 유효성분의 소실의 기준은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 DPPH 라디칼 항산화능 실험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군 1 : 개똥쑥 0.01중량% 대비 머위 함량 조절(예컨대, 99.99중량%)
실험군 2 : 개똥쑥 0.03중량% 대비 머위 함량 조절
실험군 3 : 개똥쑥 0.05중량% 대비 머위 함량 조절
실험군 4 : 개똥쑥 0.07중량% 대비 머위 함량 조절
실험군 5 : 개똥쑥 0.09중량% 대비 머위 함량 조절
실험군 6 : 개똥쑥 0.1중량% 대비 머위 함량 조절
(실험결과)
실험결과는 아래 [표 1]을 참조한다.
Figure 112018130496523-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개똥쑥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활성화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순수 머위(머위(순))를 사용한 것에 비하여, 개똥쑥이 함유되는 경우, 미량이더라도,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똥쑥의 함량이 미량으로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회복되어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 중,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실험군은 실험군 6이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5)

  1. (a) 머위, 개똥쑥 및 물을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를 가열용 용기에 한번에 투입한 뒤, 강불에서 수증기가 발생할 때까지 용기를 폐쇄한 채로 가열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증기가 확인되면 수행되는 단계로서, 약불로 3시간동안 가열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가 종료됨에 따라 획득된 액상결과물을 식히기 위하여 상기 액상결과물이 수용된 가열용 용기의 뚜껑을 개방시켜 식히는 단계;
    (e) 상기 (d)단계가 종료되면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술된 강불로 가열하는 단계, 약불로 가열하는 단계 및 냉각하는 단계가, 2회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판단 결과, 2회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각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액상결과물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단계에서 준비된 재료는 머위 99.9중량% 및 개똥쑥 0.1중량%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1:3 중량비율로 혼합한 액상혼합물이고,
    상기 (d)단계의 가열용 용기는,
    용기 내부의 측벽을 2중으로 구성하여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측벽과 내부측벽을 구성하되,
    상기 내부측면의 바닥면에 인접한 일측에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고어텍스 재질의 직물망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측벽은 외부측벽보다 최상부가 낮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격벽으로 상기 혼합물과 물이 유입되지 않고 수증기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격벽에 가열용 용기에서 가열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수증기 순환에 의해 가열용 용기의 상측에 위치하던 수증기가 밀려남에 의해 액상혼합물에 섞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9583A 2018-12-26 2018-12-26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KR102000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583A KR102000165B1 (ko) 2018-12-26 2018-12-26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583A KR102000165B1 (ko) 2018-12-26 2018-12-26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165B1 true KR102000165B1 (ko) 2019-07-17

Family

ID=6751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583A KR102000165B1 (ko) 2018-12-26 2018-12-26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5A (ko) * 2001-05-17 2002-11-29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100883307B1 (ko) 2008-04-22 2009-02-11 장남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170034880A (ko) * 2017-03-22 2017-03-29 장복현 기능성 탄산 발효 효소, 발효 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816821B1 (ko) 2016-06-13 2018-01-10 강석주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505A (ko) * 2001-05-17 2002-11-29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100883307B1 (ko) 2008-04-22 2009-02-11 장남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816821B1 (ko) 2016-06-13 2018-01-10 강석주 항암활성을 갖는 기능성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4880A (ko) * 2017-03-22 2017-03-29 장복현 기능성 탄산 발효 효소, 발효 방법 및 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4783A (zh) 一种增强免疫及辅助肿瘤恢复的高硒营养补充剂
CN105533574A (zh) 一种排毒纤体青梅果及其制作工艺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1868823B1 (ko) 경옥고에 꽃송이버섯이 포함된 꽃송이홍삼수옥고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1912138B (zh) 一种酢浆草保健软饮料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KR100994177B1 (ko) 발효 숙성 흑산수유 및 그의 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110056906A (ko) 구기자, 오미자, 사상자, 복분자, 토사자, 홍삼, 대추 및 감초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CN109481589A (zh) 一种治疗肺癌的排毒抗癌胶囊及食疗抗癌的制备方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2000165B1 (ko) 전립선에 효능을 갖는 머위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
KR101764306B1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JP2011116670A (ja) マラリア、ねむり病、エイズ、c型肝炎を撲滅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85406B1 (ko) 버섯차 제조방법
KR102404641B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10390A (ko) 건조 상추,복령 및 로즈마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47396A (ko)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CN106819223A (zh) 一种保健奶茶及其制备方法
KR101894491B1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30047288A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KR101872937B1 (ko)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2024016A (ja) マラリア、ねむり病、エイズ、c型肝炎を撲滅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07342B1 (ko) 오디, 부추 및 백토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