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631B1 - 내시경용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31B1
KR101816631B1 KR1020160113952A KR20160113952A KR101816631B1 KR 101816631 B1 KR101816631 B1 KR 101816631B1 KR 1020160113952 A KR1020160113952 A KR 1020160113952A KR 20160113952 A KR20160113952 A KR 20160113952A KR 101816631 B1 KR101816631 B1 KR 101816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handle
wire
slider
inner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620A (ko
Inventor
황중보
권영주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ublication of KR2017004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형의 아우터 시스를 포함하는 아우터 시스부와,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튜브형의 이너 시스를 포함하는 이너 시스부와, 상기 이너 시스부의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연결되어 클립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부와, 상기 이너 시스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한 핸들부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1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핸들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클립장치 {Clipping device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생체 조직을 지혈 및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내시경 의료기기로서, 정확한 위치에 클립을 결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1)는 개략적으로 아우터 시스(10), 이너 시스(20), 구동 와이어(30), 연결 훅(40), 베이스부(50), 슬라이더부(60), 아우터 받침(70)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우터 시스(10)의 내부에는 이너 시스(20)가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에는 구동 와이어(30)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슬라이더부(60)는 베이스외통(62)과 슬라이더(64)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외통(62)의 외부에는 아우터 받침(70)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64)에는 상기 구동 와이어(30)의 일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와이어(30)는 상기 슬라이더(64)가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 경우 일체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64)가 슬라이드된 경우에는 일체적으로 슬라이드 된다.
상기 아우터 시스(10)의 일단은 아우터 받침(70)에 접속 고정되어 일체로 슬라이드 된다.
베이스부(50)는 고정 베이스(52)와 회전 베이스(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 베이스(52)의 중앙에는 이너 시스(20)의 일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베이스(52)에는 상기 회전 베이스(5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회전 베이스(54)는 상기 슬라이더부(60)의 위치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슬라이더부를 규제하는 규제 위치와 슬라이더부를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를 가진다. 이를 설명하면, 상기 회전 베이스(54)를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부(50)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부(60)의 슬라이드를 규제하는 규제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베이스(54)의 외형과 상기 고정 베이스(52)의 외형의 일부가 서로 겹치지 않고, 상기 회전 베이스(54)의 일부가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밀어넣은 경우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상기 회전 베이스(54)에 대해서는 슬라이드 가능하지 않다. 반면에, 상기 회전 베이스(54)를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부(50)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부(60)의 슬라이드를 규제하지 않는 비규제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베이스(54)의 외형과 상기 고정 베이스(52)의 외형이 겹쳐 대략 동일 형상이 되므로,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밀어넣은 경우 상기 고정 베이스(52)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베이스(54)에 대해서도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구동 와이어(30)의 선단에 고정되는 연결 훅(40)은 그 선단을 향해 벌려진 한 쌍의 아암부를 가지고, 상기 이너 시스(20)와의 협동에 의해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의 두 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선단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절곡된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도2 내지 도4를 참고하여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1)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슬라이더부(60)와 상기 아우터 받침(70)의 위치결정은 판스프링과 위치 결정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64)의 내부에는 판스프링(65)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50)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 53a, 53b, 53c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아우터 받침(70)의 내부에도 판스프링(75)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외통(62)에 형성된 위치 결정홈 63a 또는 63b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춤으로써,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우선,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슬라이더의 판스프링(65)은 상기 위치 결정홈 53a에, 상기 아우터 받침의 판스프링(75)은 상기 위치 결정홈 63a에 걸려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준비상태로, 상기 이너 시스(20)는 상기 아우터 시스(10)에 대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구동 와이어(30)의 선단에 고정된 상기 연결 훅(40)은 상기 이너 시스(20)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아암부가 열린 상태가 된다.
다음은 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단계로, 우선 상기 회전 베이스(54)를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규제 위치로 설정한다. 다음 클립을 상기 연결 훅(40)에 파지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슬라이더부(60)는 상기 회전 베이스(54)가 규제 위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베이스(54)에 당접해 슬라이드가 강제적으로 정지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판스프링(65)은 상기 위치 결정홈 53b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상기 구동 와이어(30)와 상기 구동 와이어의 선단에 고정된 상기 연결 훅(40)은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로 매몰되고, 상기 연결 훅의 한 쌍의 아암부는 닫힌 상태가 되어 클립을 결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 훅(40)에 결합된 상기 클립은 상기 이너 시스(2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클립을 알맞은 위치에 결착하기 위해 클립장치가 신체 내부로 들어가야한다. 이 때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아우터 받침(70)을 상기 클립 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아우터 받침의 판스프링(75)이 상기 위치 결정홈 63b에 걸리게 한다. 이로써, 상기 아우터 받침(70)에 접속된 상기 아우터 시스(10)가 일체로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게되고, 상기 이너 시스(20)부터 상기 클립까지 상기 아우터 시스(10)의 내부로 매몰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신체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다시 상기 아우터 받침(70)을 상기 슬라이더부(60) 쪽으로 슬라이드 시켜 상기 아우터 받침의 판스프링(75)이 상기 위치 결정홈 63a에 걸리게 한다. 그러면 상기 아우터 시스(1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이너 시스(20)와 상기 클립이 돌출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는, 상기 클립을 결착하기 위해 알맞은 위치에 상기 클립을 배치시킨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부(60)를 회전시킴으로써(상기 베이스부(50)도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 와이어(30)의 회전이 가능하다. 클립의 위치 조정이 끝났다면, 상기 회전 베이스(54)를 상기 고정 베이스(52)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비규제 위치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부(60)를 상기 베이스부(50) 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슬라이더부(60)는 상기 회전 베이스(54)가 비규제 위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베이스(52)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베이스(54)까지 슬라이드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판스프링(65)이 상기 위치 결정홈 53c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된 상기 구동 와이어(30)가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로 추가적으로 끌어 들여지고, 상기 클립까지 상기 이너 시스(20)의 내부로 매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 훅의 닫힌 상태와 유사하게 상기 클립의 한 쌍의 아암부 또한 닫힌 상태가 되어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클립의 결착이 끝난 후에는, 다시 도 2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연결 훅이 열린 상태가 되어 상기 클립이 떨어져나간다.
위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클립을 결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이에 접속된 상기 와이어를 슬라이드시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클립을 상기 이너 시스의 내부로 매몰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구동 와이어의 후진 운동을 통해 결착함에 따라 상기 클립의 위치 조정시 후진되는 거리를 감안하여 본래 클립이 결착되어야 할 위치보다 더 깊은 곳에 클립을 위치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정확한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더와 아우터 받침의 위치결정이 판스프링과 위치 결정홈에 의해 이루어지는바, 클립장치의 반복된 사용에 의해 판스프링과 위치 결정홈에 마모가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치 결정과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베이스 이외에 회전 베이스를 구비하여 작동 과정에 따라 알맞은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작동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200518호(2012.10.22.)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확한 위치에 클립의 결착이 가능하고, 작동 과정이 용이한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의 아우터 시스를 포함하는 아우터 시스부와,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튜브형의 이너 시스를 포함하는 이너 시스부와, 상기 이너 시스부의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연결되어 클립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부와, 상기 이너 시스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한 핸들부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1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핸들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핸들부의 외측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텀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는 상기 바텀 핸들과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 사이를 슬라이드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가 상기 바텀 핸들 또는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자석과 자석붙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바텀 핸들이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 중 한 측면은 자석, 다른 한 측면은 자석붙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가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 중 한 측면은 자석, 다른 한 측면은 자석붙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자석과,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의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자석붙이와, 상기 바텀 핸들의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자석붙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의 끝단에 형성된 핸들 고리와, 상기 핸들 고리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도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부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해주는 와이어 홀더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아우터 시스부가 내부에 관통되도록 상기 집게부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튜브형의 핸들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게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집게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클립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는 나란하게 뻗어나올 수 있다.
클립은 상기 클립 고정부의 돌출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집게부는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기 위한 와이어 연결부 및 클립의 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클립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탈착부는 한 쌍의 집게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클립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와, 각 측에는 홀이 형성된 한 쌍의 클립 아암부와,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시스부가 상기 집게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클립이 상기 집게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클립은 상기 이너 시스부가 상기 클립을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결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따르면, 핸들부에 접속된 이너 시스부가 클립을 감싸도록 전진 이동하여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결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바텀 핸들의 이동 시 위치 결정 또는 각 사출물 간의 고정이 자석과 자석붙이로 형성된 탈착부로 이루어지므로, 용이하게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단단하게 고정 가능하다.
또한, 핸들 고리와 제1 핸들 슬라이더 사이에 마찰홈이 형성되어, 핸들 고리와 제1 핸들 슬라이더가 약한 힘에 의해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립의 유실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도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와이어 홀더 박스를 포함함으로써, 핸들부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클립의 방향 결정이 가능하고, 다른 구조물은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핸들 코일을 포함함으로써, 시스부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이 클립 고정부의 돌출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어 별도로 집게부를 개폐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없이 제1 핸들 슬라이더의 조작만으로 클립의 결합 또는 탈락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동 과정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집게부는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돌기와 와이어 연결부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집게부가 와이어와 클립을 이어주는 링크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연결돌기의 형상에 따라 와이어의 방향과 관계없이 용이하게 클립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C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 클립을 연결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제1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기 위한 준비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D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제1 실시예에서 신체 내부로 진입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E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1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F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클립이 클립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서 클립을 연결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a는 제2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기 위한 준비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클립의 결착 후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8의 클립과 도 15a의 집게부가 클립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C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제1 실시예에서 클립을 연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a는 제1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기 위한 준비상태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D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2a는 제1 실시예에서 신체 내부로 진입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2b는 도 12a의 E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3a는 제1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3b는 도 13a의 F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8의 클립이 클립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제2 실시예에서 클립을 연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7a는 제2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기 위한 준비상태의 사시도, 도 17b는 도 17a의 단면도, 도 18은 제2 실시예에서 클립을 결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18에서 클립의 결착 후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8의 클립과 도 15a의 집게부가 클립 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5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2)는 크게 클립이 탈착되는 클립부,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클립부의 조작이 가능한 시스부 및 시스부에 연결되어 시스부의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져 있다.
시스부는 크게 아우터 시스부(100), 이너 시스부(200) 및 와이어(300)로 이루어지며, 도 7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우터 시스부(100)는 긴 튜브형의 아우터 시스(120)와 상기 아우터 시스의 끝단에 형성되는 아우터 파이프팁(140)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시스(120)는 가요성을 가지는 중공의 튜브형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튜브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팁(140)은 상기 아우터 시스(120)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파이프팁(140)은 상기 아우터 시스(12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너 시스부(200)는 긴 튜브형의 이너 시스(220)와 상기 이너 시스의 끝단에 형성되는 이너 파이프팁(240)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 시스(220)는 가요성을 가지는 중공의 튜브형으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튜브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이너 시스(220)는 상기 아우터 시스(12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아우터 시스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상기 이너 시스부(200)는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이너 시스부는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선단에서 돌출되도록 관통 가능하다. 상기 이너 파이프팁(240)은 상기 이너 시스(220)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파이프팁(240)은 상기 이너 시스(22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와이어(300)는 가요성을 가지는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이너 시스부(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이너 시스부(200)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며, 상기 이너 시스부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이너 시스부(200)의 선단에서 돌출되도록 관통 가능하다.
다음으로, 클립부는 크게 집게부(400)와 클립(500)을 포함하며,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집게부(400)는 상기 와이어(300)의 끝단에 연결되어 클립의 탈착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게부(400)는 상기 와이어(30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집게부(400)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400)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일단에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와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클립 고정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는 나란하게 뻗어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집게부(400)는 U자의 형상 또는 그보다 약간 벌어지거나 좁은 U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는 탄성력이 있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 고정부(440)는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각 클립 고정부는 최대 돌출부와 상기 최대 돌출부의 양측에서 상기 아암부로 내려오는 돌출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의 형상, 사다리꼴의 형상 등으로도 돌출 가능하다. 또한, 상기 클립 고정부(440)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가 개폐되는 형상이 아니고 대략 U자의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더라도 클립이 상기 클립 고정부(440)의 돌출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클립의 결합 또는 탈락이 가능하다. 이를 클립이 상기 집게부에 결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집게부(400)를 상기 클립(500)으로 접근시켜 상기 집게부를 상기 클립 쪽으로 미는 힘을 주게 되면, 상기 클립(500)이 상기 클립 고정부(440)의 내부 쪽으로 기울어진 돌출면을 따라 최대 돌출부로 미끄러지고,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를 벌어지게 만든다. 그리고, 상기 클립(500)이 최대 돌출부를 지나 상기 클립 고정부(440)의 외부 쪽으로 기울어진 돌출면을 따라 상기 집게부(400)의 내부로 미끄러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가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며 상기 클립을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로 집게부를 개폐함으로써 클립을 고정할 필요가 없이 상기 집게부, 즉 상기 집게부가 연결된 상기 와이어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 시킴으로써 클립의 탈착이 가능해지므로 구동 과정이 간단해진다.
클립(500)은 상기 집게부(400)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클립(500)은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510), 상기 결합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와 각 측에는 홀(522)이 형성된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530)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54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510)는 상기 집게부(400)에 결합되기 위한 부분으로, 대략 U자의 형상 또는 O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결합부의 폭(w)은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 사이의 간격보다는 작고, 상기 각 클립 고정부(440)의 최대 돌출부 사이의 간격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는 상기 결합부(510)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오며,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각 아암부에는 조직을 과도하게 집었을 때 조직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홀(522)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홀(522)의 형상은 타원형,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홀을 형성함으로써, 조직을 과도하게 집었을 때에도 클립의 결착이 잘 안되거나 다시 벌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결착력이 좋아질 수 있다.
상기 조임링(540)은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 상에서 전,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폭이 다양한 링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조임링(540)이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에 대해 후방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가 열린 상태가 되며,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에 대해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는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 파지부(530)는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가 닫힌 상태가 될 때 서로 맞물리게 된다. 하나의 파지부에는 일정 모양으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지부에는 그에 대응하는 일정 모양으로 홈이 파인 부분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는 크게 핸들부, 제1 핸들 슬라이더 및 제2 핸들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600)는 상기 핸들부의 외측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텀 핸들(6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부의 끝단에 상기 핸들부보다 직경이 큰 튜브의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가 상기 바텀 핸들(630)과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 사이를 움직이도록 형성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가 상기 바텀 핸들(630) 또는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자석과 자석붙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와 상기 바텀 핸들(630)이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 중 한 측면은 자석, 다른 한 측면은 자석붙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가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 중 한 측면은 자석, 다른 한 측면은 자석붙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의 양측에 제1 및 제2 자석(810, 8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의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1 자석붙이(710)가, 상기 바텀 핸들(630)의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2 자석붙이(632)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 또는 상기 바텀 핸들에 붙을 수 있으며, 손쉽고 단단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핸들부(600)는 상기 이너 시스부(200)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전, 후진 운동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핸들 슬라이더(7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300)를 상기 핸들부(600)에 연결해주는 와이어 홀더 박스(730)가 결합된 제1 핸들부(610)와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접속되며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핸들부(620)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핸들부(610)는 상기 제2 핸들부(620)와 일체로 결합해 있으나 상기 제1 핸들부는 상기 제2 핸들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 핸들부(610)의 끝단에는 링 형상의 핸들 고리(61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가 상기 제1 핸들부(610)의 외측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핸들 고리(612)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 (700)사이의 상기 제1 핸들부의 외면에는 마찰홈(614)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 고리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가 약한 힘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로 인해,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클립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는 상기 와이어(300)의 일단과 접속되어 일체로 전, 후진 운동 가능하다.
여기서, 도 9를 참고하여 와이어 홀더 박스(7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핸들부(610)에는 상기 제1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도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핸들부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해주는 와이어 홀더 박스(7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핸들부(610)에는 와이어 홀더 박스(7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 고리(612)의 선단으로부터 길게 홀(61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의 내부에는 와이어 홀더 박스(7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와이어 홀더 박스 결합홈(7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730)는 상기 제1 핸들부의 홀(616)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의 결합홈(720)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730)는 상기 제1 핸들부의 홀(616) 안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730)는 상기 제1 핸들부(610)와 일체로 회전은 하지만, 상기 제1 핸들부의 전, 후진 운동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의 전, 후진 운동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의 영향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730)는 제1 핸들 슬라이더의 결합홈(720) 내에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는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의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30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홀더 박스(7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300)도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핸들부(620)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중공에는 상기 제2 핸들부에 접속된 상기 이너 시스(22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핸들부(620)의 전, 후진 운동에 따라 상기 이너 시스부(200) 또한 일체로 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핸들부의 외측으로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에 접속된 상기 아우터 시스(120) 또한 상기 제2 핸들부의 중공 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는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와 접속되어,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가 전, 후진 운동함에 따라 상기 아우터 시스 또한 일체로 운동하게 된다.
핸들 코일(640)은 상기 바텀 핸들(63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가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클립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코일(640)은 튜브형으로,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가 상기 핸들 코일(640)의 선단에서 돌출되도록 관통될 수 있다. 핸들 코일을 포함함으로써, 시스부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a 및 도 15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는 상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와 와이어 및 집게부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은 모두 동일한 바,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집게부(1400)는 와이어(1300)와 결합되기 위한 와이어 연결부(1420) 및 클립의 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클립탈착부(14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게부(1400)는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가,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의 반대측에는 상기 클립탈착부(14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1300)의 끝단에는 연결돌기(1320)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는 상기 연결돌기(13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 집게부가 와이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반하여, 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집게부(1400)가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에 의해 와이어(1300)와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집게부(1400)가 상기 와이어(1300)와 클립(500)을 연결해주는 링크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돌기(1320)는 창 모양의 스피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돌기(1320)는 상기 집게부(1400)를 마주보는 방향의 팽이 모양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의 연결홈은 상기 연결돌기(1320)의 팽이 모양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돌기(1320)는 구형, 버섯모양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1320)의 형상에 따라, 예를 들어 본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1320)가 팽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돌기(1320)는 360° 어느 방향에서나 같은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돌기(1320)를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의 연결홈에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든 상관없이 결합될 수 있어 결합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1320)를 상기 연결홈에 가압하면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의 탄성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며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립탈착부(1440)는 한 쌍의 집게 아암부(1442) 및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1442)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클립 고정부(14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탈착부(1440)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집게부(400)와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립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구조이면 어느 구조이든 무관하다.
다음으로는,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2)가 생체 조직을 지혈 또는 봉합하기 위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고하여 클립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신체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외부에서 집게부에 클립을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를 상기 클립(500) 쪽으로 전진 이동 시킴으로써 이에 접속된 상기 와이어(300)와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집게부(400)도 함께 전진 이동 시킨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집게부(400)를 상기 클립(500)으로 접근시켜 상기 집게부를 상기 클립 쪽으로 미는 힘을 주게 되면, 상기 클립(500)이 상기 클립 고정부(440)의 내부 쪽으로 기울어진 돌출면을 따라 최대 돌출부로 미끄러지고,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를 벌어지게 만든다. 그리고, 상기 클립(500)이 최대 돌출부를 지나 상기 클립 고정부(440)의 외부 쪽으로 기울어진 돌출면을 따라 상기 집게부(400)의 내부로 미끄러지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가 다시 본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며 상기 클립(500)을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와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는 자석과 자석붙이에 의해 서로 붙어있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경우에 따라 클립(5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클립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클립 케이스의 내부로 상기 와이어(300)를 밀어 넣어 내부에 배치된 클립(500)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500)은 클립 케이스 내부에서 결합부(510)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0)와 이에 일체로 형성된 집게부(400)가 상기 클립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510)와 결합함으로써 클립(5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1a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핸들부(600)와 이에 접속된 상기 이너 시스부(200)를 상기 클립(500) 쪽으로 전진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집게부(400)를 감싸고 상기 클립의 조임링(540)과 맞닿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집게부(400)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클립(500)이 상기 집게부(4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집게부(400)를 감싸면서 한 쌍의 집게 아암부(4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클립(500)이 탈락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클립(500)이 클립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와 접속된 와이어(300)를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300)에 일체로 형성된 집게부(400)가 상기 클립(500)과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핸들부에 접속된 이너 시스부(200)를 상기 집게부(400)를 감싸도록 케이스 내부로 전진 이동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상기 클립 케이스의 외부로 빼냄으로써, 상기 집게부(400)에 상기 클립(500)이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립(500)을 결착하기 위한 준비상태이며, 도 11b에 상기 이너 시스부(200)와 상기 집게부(400) 그리고 상기 클립(500)의 배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클립이 결합된 후 신체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과정을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에 붙어있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를 분리시켜 상기 바텀 핸들(630)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에 접속된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가 함께 전진 운동하여 상기 이너 시스부(200)부터 상기 클립(500)까지 모두 감싸게 된다. 이 때, 상기 핸들부(600)와 이에 접속된 상기 이너 시스부(200)는 그대로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조임링(540)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클립(500)을 결착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2b에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 내에 배치된 상기 이너 시스부(200)와 상기 집게부(400) 그리고 상기 클립(500)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신체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와 상기 바텀 핸들(630)이 자석과 자석붙이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움직일 염려가 없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고하여 클립을 결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신체 내부로 진입이 끝났으면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를 상기 바텀 핸들(630)로부터 분리해 다시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에 고정시켜 도 11의 상태로 만든다. 이로써, 상기 제1 및 제2 핸들 슬라이더(700, 800)는 자석과 자석붙이로 단단히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클립의 결착이 필요한 위치에 알맞게 클립의 위치를 조정한다. 목적 위치에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핸들부(6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립의 방향 또한 조정 가능하다. 위치 조정이 모두 끝나면, 상기 핸들부(600)를 상기 클립(500) 쪽으로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핸들부(600)에 접속된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함께 전진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클립의 조임링(540)을 전방으로 밀고 가면서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를 닫힌 상태로 만들어 결착시킨다.
도 13b에는 상기 이너 시스부(200)와 상기 집게부(400) 그리고 상기 클립(500)의 배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는 그대로 위치한 상태에서 이너 시스부를 전진 이동시켜 클립을 결착시킴에 따라 처음 클립을 위치시킨 자리에서 그대로 결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착하면서 클립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와 달리 결착 위치의 결정이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에 접속된 상기 와이어와 상기 집게부가 함께 후방 이동하여 상기 클립은 결착된 상태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16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클립장치가 생체 조직을 지혈 또는 봉합하기 위해 작동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6을 참고하여 클립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신체 내부로 들어가기 전에 외부에서 클립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 클립(50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클립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클립 케이스의 내부에 집게부(1400)와 클립(500)이 이미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 케이스의 내부로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와 접속된 와이어(1300)를 전진 이동 시키며 밀어 넣어 상기 와이어(1300)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돌기(1320)를 상기 집게부의 와이어 연결부(1420)와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500)과 결합된 상기 집게부(1400)는 상기 클립 케이스의 내부에서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와이어 연결부(1420) 측이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300)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돌기(1320)가 상기 클립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연결부(1420)의 연결홈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클립(5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17a 및 17b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핸들부(600)와 이에 접속된 상기 이너 시스부(200)를 상기 클립(500) 쪽으로 전진 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집게부(1400)를 감싸고 상기 클립의 조임링(540)과 맞닿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집게부(1400)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상기 클립(500)이 상기 집게부(1400)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집게부(1400)를 감싸면서 한 쌍의 집게 아암부(1442)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상기 클립(500)이 탈락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집게부(1400)와 클립(500)이 클립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와 접속된 와이어(1300)를 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1300)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돌기(1320)가 상기 집게부(1400)의 와이어 연결부(1420)와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와 같이 상기 핸들부에 접속된 이너 시스부(200)를 상기 집게부(1400)를 감싸도록 케이스 내부로 전진 이동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를 상기 클립 케이스의 외부로 빼냄으로써, 상기 집게부(1400)에 상기 클립(500)이 결합된 상태로 케이스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30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집게부(400)의 방향을 상기 클립의 결합부(510)에 결합되기 위한 방향에 맞춰서 삽입해야 하는 반면에, 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돌기(1320)의 형상이 360°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도록, 즉 방향성이 없게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1300)의 방향에 관계없이 클립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하여 클립(5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클립이 결합된 후 신체 내부로 진입하기 위한 과정 및 클립을 결착하는 과정은 상기의 제1 실시예의 작동 과정과 동일하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에 붙어있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를 분리시켜 상기 바텀 핸들(630)에 고정시키면,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에 접속된 상기 아우터 시스부(100)가 함께 전진 운동하여 상기 이너 시스부(200)부터 클립(500)까지 모두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신체 내부로의 진입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진입이 끝나면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800)를 상기 바텀 핸들(630)로부터 분리해 다시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700)에 고정시켜 도 17a의 상태로 만든다.
그리고, 클립의 결착이 필요한 위치에 알맞게 클립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핸들부(600)를 상기 클립(500) 쪽으로 전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핸들부(600)에 접속된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함께 전진 이동하게 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 시스부(200)가 상기 클립의 조임링(540)을 전방으로 밀고 가면서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520)를 닫힌 상태로 만들어 결착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핸들 슬라이더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에 접속된 상기 와이어(1300)와 집게부(1400)가 함께 후방 이동하여 상기 클립(500)은 결착된 상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내시경용 클립장치에 따르면, 핸들부에 접속된 이너 시스부가 클립을 감싸도록 전진 이동하여 클립의 결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결착이 가능하며, 작동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2 : 내시경용 클립장치 10: 아우터 시스
20 : 이너 시스 30 : 구동 와이어
40 : 연결 훅 50 : 베이스부
52 : 고정 베이스 54 : 회전 베이스
60 : 슬라이더부 62 : 베이스외통
64 : 슬라이더 70 : 아우터받침
65, 75 : 판스프링 53a, 53b, 53c : 위치 결정홈
63a, 63b : 위치 결정홈
100 : 아우터 시스부 120 : 아우터 시스
140 : 아우터 파이프팁 200 : 이너 시스부
220 : 이너 시스 240 : 이너 파이프팁
500 : 클립 510 : 결합부
520 : 한 쌍의 클립 아암부 530 : 파지부
540 : 조임링 600 : 핸들부
610 : 제1 핸들부 612 : 핸들 고리
614 : 마찰홈 616 : 홀
620 : 제2 핸들부 630 : 바텀 핸들
632 : 제2 자석붙이 640 : 핸들 코일
700 : 제1 핸들 슬라이더 710 : 제1 자석붙이
720 : 와이어 홀더 박스 결합홈 730 : 와이어 홀더 박스
800 : 제2 핸들 슬라이더 810, 820 : 제1 및 제2 자석
[제1 실시예]
300 : 와이어 400 : 집게
420 : 한 쌍의 집게 아암부 440 : 클립고정부
[제2 실시예]
1300 : 와이어 1320 : 연결돌기
1400 : 집게부 1420 : 와이어 연결부
1440 : 클립탈착부 1442 : 한 쌍의 집게 아암부
1444 : 클립 고정부

Claims (20)

  1. 튜브형의 아우터 시스를 포함하는 아우터 시스부;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튜브형의 이너 시스를 포함하는 이너 시스부;
    상기 이너 시스부의 내부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연결되어 클립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부;
    상기 이너 시스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 가능한 핸들부;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1 핸들 슬라이더;
    상기 아우터 시스부의 일단이 접속되어 일체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2 핸들 슬라이더; 및
    상기 핸들부의 외측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바텀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는 상기 바텀 핸들과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 사이를 슬라이드 하도록 형성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가 상기 바텀 핸들 또는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자석과 자석붙이로 형성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바텀 핸들이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 중 한 측면은 자석, 다른 한 측면은 자석붙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가 서로 대향하는 각 측면 중 한 측면은 자석, 다른 한 측면은 자석붙이로 형성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 자석;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의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자석붙이;
    상기 바텀 핸들의 상기 제2 핸들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2 자석붙이;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끝단에 형성된 핸들 고리;
    상기 핸들 고리와 상기 제1 핸들 슬라이더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홈;
    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도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부에 상기 와이어를 연결해주는 와이어 홀더 박스;
    를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아우터 시스부가 내부에 관통되도록 상기 집게부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튜브형의 핸들 코일;
    을 더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서 뻗어나오는 한 쌍의 집게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클립 고정부;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는 나란하게 뻗어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클립은 상기 클립 고정부의 돌출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기 위한 와이어 연결부; 및
    클립의 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클립탈착부;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는 연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홈을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탈착부는,
    한 쌍의 집게 아암부; 및
    상기 한 쌍의 집게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클립 고정부;
    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집게부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서 개폐가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뻗어나와, 각 측에는 홀이 형성된 한 쌍의 클립 아암부;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의 끝단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 파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클립 아암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임링;
    을 포함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19. 제13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시스부가 상기 집게부를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클립이 상기 집게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클립은 상기 이너 시스부가 상기 클립을 감싸도록 위치함으로써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클립장치.
KR1020160113952A 2015-10-07 2016-09-05 내시경용 클립장치 KR10181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72 2015-10-07
KR20150140972 2015-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620A KR20170041620A (ko) 2017-04-17
KR101816631B1 true KR101816631B1 (ko) 2018-01-09

Family

ID=5870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952A KR101816631B1 (ko) 2015-10-07 2016-09-05 내시경용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76B1 (ko) 2017-11-10 2019-08-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클립장치
KR102115491B1 (ko) * 2017-11-20 2020-05-26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클립장치
WO2020121401A1 (ja) * 2018-12-11 2020-06-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クリップシステムおよび係合方法
KR102187128B1 (ko) * 2019-01-04 2020-12-04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용 클립장치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KR102517075B1 (ko) * 2021-12-23 2023-04-04 주식회사 카이미 자성의 클립을 구비한 내시경용 의료기구 및 이를 이용한 치료대상 부위 마킹 및 탐지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124A (ja) 2001-02-06 2002-08-13 Olympus Optical Co Ltd 結紮装置
JP2009240762A (ja) 2008-03-10 2009-10-22 Fujifilm Corp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2011045535A (ja) * 2009-08-27 2011-03-10 Fujifilm Corp クリップパッケージ
JP5045485B2 (ja) * 2008-02-18 2012-10-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2012200518A (ja) * 2011-03-28 2012-10-22 Nippon Zeon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124A (ja) 2001-02-06 2002-08-13 Olympus Optical Co Ltd 結紮装置
JP5045485B2 (ja) * 2008-02-18 2012-10-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内視鏡用クリップ取付具
JP2009240762A (ja) 2008-03-10 2009-10-22 Fujifilm Corp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2011045535A (ja) * 2009-08-27 2011-03-10 Fujifilm Corp クリップパッケージ
JP2012200518A (ja) * 2011-03-28 2012-10-22 Nippon Zeon Co Ltd 内視鏡用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620A (ko) 201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631B1 (ko) 내시경용 클립장치
JP5372122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302602B2 (ja) 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並びに支持アダプタ
JP2873366B2 (ja) 鉗 子
US20090259105A1 (en) Medical treatment system and suturing method
US20020177861A1 (en) Clip device of endoscope
JP6663992B2 (ja) 内視鏡処置具
WO2018011847A1 (ja) 内視鏡処置具
US9693769B2 (en) Suture device
KR101962867B1 (ko) 내시경용 클립장치
KR102115491B1 (ko) 내시경용 클립장치
JPWO2018235404A1 (ja) クリップ処置具
JP6716453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7303217B2 (ja) 結紮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タ
JP5065184B2 (ja) 連発式クリップ処置具
JP6052010B2 (ja)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US11969150B2 (en) Clip apparatus for endoscope
KR102545614B1 (ko) 클립 취외장치
KR102187128B1 (ko) 내시경용 클립장치
JP2004305231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CN220530057U (zh) 一种活检钳
JP2003339719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JP6632930B2 (ja) 結紮装置用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該クリップユニットの係合方法
KR101419116B1 (ko) 내시경용 연속 봉합기구를 위한 매듭장치
JP2001204267A (ja) クリップ具およびその係脱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