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920B1 -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920B1
KR101813920B1 KR1020160085696A KR20160085696A KR101813920B1 KR 101813920 B1 KR101813920 B1 KR 101813920B1 KR 1020160085696 A KR1020160085696 A KR 1020160085696A KR 20160085696 A KR20160085696 A KR 20160085696A KR 101813920 B1 KR101813920 B1 KR 10181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creatin
sodium hypochlorite
present
concentration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환
박래환
Original Assignee
넨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넨시스(주) filed Critical 넨시스(주)
Priority to KR102016008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920B1/ko
Priority to PCT/KR2016/013706 priority patent/WO201800881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9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65Hydrolases (3) acting on ester bonds (3.1), e.g. lipases, ribonucle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용매에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형태의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특정한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특정한 시간동안 유지하여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 살균방법을 이용한 판크레아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크레아틴이 함유된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판크레아틴의 주요 효소인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조성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방법을 판크레아틴의 제조과정에 적용하면 효소활성이 우수하고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우수한 품질의 판크레아틴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Sterilization method of pancreati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ancreati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용매에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형태의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특정한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특정한 시간동안 유지하여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 살균방법을 이용한 판크레아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판크레아틴은 소, 돼지와 같은 포유류의 췌장으로부터 추출한 복합효소제로 아밀라아제(amylase), 리파아제(lipase), 그리고 프로테아제(protease)의 세 가지 효소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 판크레아틴은 주로 육류 획득을 위해 도축되어지는 소나 돼지로부터 부산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다른 효소제들에 비하여 경제적이다. 이런 이유로 원료의약품, 식품첨가물, 사료첨가제, 세탁세제, 피혁가공 등 산업 전반에 걸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판크레아틴은 소화불량, 소화기능장애, 췌장외분비장애 등의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약품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이 분야의 특성 상,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등 주성분 효소의 함량이 중요한 것은 물론 지방성분 등의 불순물 함량과 바이러스나 미생물의 오염 여부 등이 더욱 중요하게 관리되어져야 한다.
판크레아틴은 일반적으로 소 혹은 돼지의 췌장 분쇄물로부터 추출용매로서 물을 이용하여 수용성 주성분인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그리고 프로테아제를 추출한 후,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주성분을 침전시키고 건조하여 산업적으로 얻어내게 되는데, 추출용매로서 물을 이용하는 대신, 이산화탄소 그리고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함으로서 고역가의 판크레아틴을 얻어내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1816호) 그리고 물과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연속 추출하여 판크레아틴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18450호)이 알려져 있으나, 고가의 초임계유체추출기를 이용해야하는 등 산업적으로 이용하는데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췌장조직 내에서 불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는 주성분 효소들을 활성화하여 높은 역가의 판크레아틴을 얻어내기 위해 상온에서 pH 5 ~ 6 및 pH 7.5 ~ 8.5 조건의 두 단계 활성화 공정을 적용하거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6840호), 선택적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고역가의 판크레아틴을 제조하는 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7659호)이 제안된 바 있으나, 추가된 공정에 의한 생산효율이 높지 않으며, 안정화제의 제거를 위해 추가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소나 돼지의 췌장으로부터 추출해내는 판크레아틴 제조공정의 특성 상 바이러스나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개선하고자 85℃ 이하의 온도에서 9% 미만의 용매함량으로 판크레아틴을 가열하여 바이러스 및 미생물의 함량을 낮추는 제조방법(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5058호)이 공개되었으나 열을 가함으로써 추가적인 공정 에너지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편,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일반적으로 식품의 부패균이나 병원균을 사멸하기 위한 살균제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효소를 정제하는 분야에서는 효소의 활성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여 화합물의 사용을 자제해왔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살균제로 사용하여 효소를 정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판크레아틴 제조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효소 제조 분야에서는 이용되지 않았던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살균효과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판크레아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이의 결과 판크레아틴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특정한 농도 및 특정한 시간으로 처리하는 경우 판크레아틴의 주요 성분인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살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살균방법을 이용하여 판크레아틴을 제조하면 저비용으로 우수한 품질의 판크레아틴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18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184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768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76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5058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판크레아틴의 주성분 효소들인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활성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살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살균방법을 이용하여 효소활성이 우수하고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용매에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형태의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0.05 내지 16㎍/㎖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 내지 240분간 유지하여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은 특히 돼지 또는 소 유래의 판크레아틴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에 있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128 내지 8㎍/㎖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5 내지 60분간 유지하여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동물 췌장의 분쇄물과 물을 혼합하고 염화칼슘 및 아세톤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0.05 내지 16㎍/㎖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 내지 240분간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첨가된 조성물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고형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상기 세척된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은 그 원료로 특히 돼지 또는 소의 췌장을 사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128 내지 8㎍/㎖의 농도가 되도록 상기 여과액에 첨가하고 5 내지 60분간 유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크레아틴이 함유된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판크레아틴의 주요 효소인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조성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균방법을 판크레아틴의 제조과정에 적용하면 효소활성이 우수하고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우수한 품질의 판크레아틴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의 살균 효과 및 판크레아틴의 주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0.128㎍/㎖일 때 반응시간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의 살균 효과 및 판크레아틴의 주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8㎍/㎖일 때 반응시간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의 살균 효과 및 판크레아틴의 주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16㎍/㎖일 때 반응시간에 따른 호기성 미생물의 살균 효과 및 판크레아틴의 주효소(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및 프로테아제) 활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특정 농도로 존재하는 조건에서도 판크레아틴의 주효소인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활성이 특정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고, 이 조건 하에서 판크레아틴의 제조과정에서 오염가능성이 높은 미생물의 사멸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용매에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형태의 용액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0.05 내지 16㎍/㎖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 내지 240분간 유지하면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활성이 충분히 남아있는 상태로 미생물을 사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효소들의 활성이 보다 높게 유지된 상태로 충분히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128 내지 8㎍/㎖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5 내지 60분간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에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살균효과를 위해서는 판크레아틴이 용매 내에 분산 또는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도록 하고 여기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매로는 기존에 판크레아틴의 제조공정 중 용매로 사용하는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보통 물이나 친효소적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이들을 혼합한 용매도 사용할 수 있다. 친효소적 유기용매로는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프로판올, 부탄올 등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들 모두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발명의 살균방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판크레아틴의 농도가 미국약전 역가 기준으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는 100 ~ 100,000 USP unit/㎖, 그리고 리파아제의 경우에는 20 ~ 20,000 USP unit/㎖인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살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 즉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상태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첨가되어 살균이 이루어지는 시간동안의 온도는 상온, 즉 10 ~ 30℃ 사이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 27℃가 좋다.
본 발명의 판크레아틴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은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a) 동물 췌장의 분쇄물과 물을 혼합하고 염화칼슘 및 아세톤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0.05 내지 16㎍/㎖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 내지 240분간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첨가된 조성물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고형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상기 세척된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단계는 동물 장기 분쇄물로부터 판크레아틴을 추출하고 활성화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분쇄물과 물의 비율을 중량기준 1 : 0.5 ~ 1 : 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염화칼슘 및 아세톤은 상기 분쇄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05 ~ 0.05배, 0.2 ~ 0.4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하는 시간은 5 ~ 20시간이 적당하다. 그리고 동물 장기로 췌장과 십이지장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십이지장은 판크레아틴 효소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a)단계 이후에 동물 장기 분쇄물에서 판크레아틴 이외의 부산물을 제거하여 다음 단계의 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크레아틴의 제조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심분리를 통해 침전되는 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하는 방법 또한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잔류물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부산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 및 여과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는 본 발명의 살균방법을 적용하는 단계로 상기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05 내지 16㎍/㎖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 내지 240분간 유지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온도는 상온, 즉 10 ~ 30℃ 사이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 27℃가 좋다. 그리고 효소 활성 및 살균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128 내지 8㎍/㎖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5 내지 60분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는 b)단계에서 사용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거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다량의 아세톤을 첨가하면 판크레아틴은 침전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아세톤에 용해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을 수득하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아세톤의 첨가량은 상기 a)단계 분쇄물의 중량 기준 3 ~ 1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는 c)단계에서 미처 제거하지 못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추가 제거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c)단계에서 수득한 고형물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다시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아세톤의 첨가량은 상기 a)단계 분쇄물의 중량 기준 1 ~ 3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단계는 아세톤을 제거하는 단계로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쇄과정을 거친 다음에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추가적으로 균질화 및 추가분쇄공정을 거치면 제형화가 용이한 형태의 판크레아틴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한 판크레아틴 제조
돼지췌장 670kg 및 십이지장 40k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800kg의 정제수에 균질하게 분산시키고, 여기에 염화칼슘 6.7kg 및 아세톤 200kg을 첨가하여 10시간동안 상온(22±5℃)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여과포가 구비된 원심분리기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의 여과액을 수득한 다음 최종농도가 0.128㎍/㎖이 되도록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상온(22±5℃)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아세톤 4,200kg을 첨가하여 잘 섞어주고 스크류잭으로 압착여과하여 여과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여기에 다시 아세톤 1,200kg을 첨가하여 잘 분산되도록 섞어주고 다시 여과하여 여과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여과잔류물을 대략 직경 0.5㎝의 크기 이하로 잘게 분쇄한 후 진공건조기에서 10시간 건조시켰다. 건조가 끝나면 건조물을 혼합기에 투입하여 30분간 균질화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대략 직경 0.2㎜의 크기 이하로 분쇄하였다. 이렇게 하여 분쇄물 형태의 판크레아틴 약 70kg 정도를 수득하였다(표 1 참조).
원료 생산설비 공정
돼지 췌장 670kg
십이지장 40kg
분쇄기 분쇄
정제수 800kg
아세톤 200kg
염화칼슘 6.7kg

반응조

추출 및 효소활성화
원심분리기 부산물 제거
차아염소산나트륨 반응조 살균
아세톤 4,200kg 반응조 침전/불활화
스크류잭 압착여과
(차아염소산나트륨 제거)
아세톤 1,200kg 반응조 탈수/탈지
스크류잭 압착여과
분쇄기 분쇄
진공건조기 건조
혼합기 혼합
분체기 분쇄
포장
판크레아틴 제품: 70kg±3.5kg
실시예 2. 판크레아틴 장용과립 제조
이소프로판올 15.7kg, 염화메틸렌 3.14kg 및 정제수 7.85kg을 혼합한 혼합용제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28kg을 녹인 결합액을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최종 분쇄물 69.22kg과 함께 리본믹서기에 투입하여 연합한 다음 이것을 토출 체눈의 크기가 1㎜인 압출식 제립기를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과립은 유동층건조기를 이용하여 30분간 건조한 다음 선별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1k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0.2kg을 에탄올 30kg과 염화메틸렌 14kg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용제에 녹여 1차 코팅액을 준비한 다음 앞서 선별된 과립을 유동층코팅기에 투입하고 1차 코팅액을 분사하면서 1차 코팅을 수행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18kg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kg을 에탄올 252kg과 염화메틸렌 108kg을 혼합한 혼합용제에 녹여 2차 코팅액을 준비한 다음 앞서 1차 코팅이 완료된 과립을 유동층코팅기에서 유동시키면서 2차 코팅액을 분사하여 2차 코팅을 수행하였다.
스테아린산 3.2kg을 에탄올 14kg과 염화메틸렌 7kg을 혼합한 혼합용제에 녹여 3차 코팅액을 준비한 다음 앞서 2차 코팅이 완료된 과립을 유동층코팅기에서 유동시키면서 3차 코팅액을 분사하여 3차 코팅을 수행하였다.
3차 코팅이 완료된 과립은 선별기를 이용하여 선별하였고 최종적으로 판크레아틴장용과립 약 100kg을 수득하였다(표 2 참조).
원료 생산설비 공정
판크레아틴 69.22k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28kg
이소프로판올 15.7kg
염화메틸렌 3.14kg
정제수 7.85kg


리본믹서


연합
제립기 제립
유동층건조기 건조
분쇄기 분쇄
선별기 선별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1kg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0.2kg
에탄올 30kg
염화메틸렌 14kg

유동층코팅기

코팅(1차)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18kg
폴리에틸렌글리콜 1kg
에탄올 252kg
염화메틸렌 108kg


유동층코팅기


코팅(2차)
스테아린산 3.2kg
에탄올 14kg
염화메틸렌 7kg

유동층코팅기

코팅(3차)
선별기 선별
판크레아틴 장용과립 제품: 100kg±5kg
실험예 1.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별 살균효과 및 효소활성 분석
1-1. 시료 준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크레아틴을 제조하되,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달리하여 판크레아틴을 제조하였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는 각각 0.2ng/㎖, 0.05㎍/㎖, 0.128㎍/㎖, 0.64㎍/㎖, 3.2㎍/㎖, 8㎍/㎖, 16㎍/㎖, 80㎍/㎖, 400㎍/㎖, 2,000㎍/㎖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판크레아틴 샘플을 채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1-2. 살균효과 분석
상기 실험예 1-1의 시료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적정농도로 계단희석한 다음 LB 한천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이상 배양하여 생성된 균의 집락수를 측정하였다.
1-3. 효소활성 분석
상기 실험예 1-1의 시료를 대상으로 대한약전의 소화력시험법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의 각 항에 따라 시험하여 각 효소에 대한 활성을 평가하였다.
1-4. 실험결과
이의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0.05㎍/㎖만 되더라도 70% 정도의 미생물 사멸효과를 나타내며, 0.128㎍/㎖부터는 거의 대부분의 미생물이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효소활성은 8㎍/㎖까지는 리파제,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모두 8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6㎍/㎖에서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5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판크레아틴의 살균을 위해 0.05 ~ 16㎍/㎖의 농도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으며, 0.128 ~ 8㎍/㎖의 농도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시간별 살균효과 및 효소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판크레아틴을 제조하되,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를 각각 0.128㎍/㎖, 8㎍/㎖, 16㎍/㎖로 고정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반응시간을 각각 1분, 5분, 15분, 30분, 60분, 120분, 240분으로 달리하여 판크레아틴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각의 판크레아틴 샘플을 시료로 사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살균효과 및 효소활성을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0.128㎍/㎖의 경우에도 1분의 반응시간만으로 80% 이상의 미생물 사멸효과를 나타내며,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16㎍/㎖의 경우 반응시간 240분까지도 비록 아밀라아제의 활성이 40% 정도로 낮아지기는 하였지만 리파제의 활성은 약 80%, 프로테아제의 활성은 거의 100%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판크레아틴의 살균을 위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반응시간은 1 ~ 240분까지 가능하며, 5 ~ 60분의 반응시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동물 췌장의 분쇄물과 물을 혼합하고 염화칼슘 및 아세톤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판크레아틴이 분산 또는 용해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조성물에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을 0.05 내지 16㎍/㎖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1 내지 240분간 유지하는 단계;
    c)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첨가된 조성물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고액분리하여 고형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고형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상기 세척된 고형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돼지 또는 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0.128 내지 8㎍/㎖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고 5 내지 60분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KR1020160085696A 2016-07-06 2016-07-06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KR10181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96A KR101813920B1 (ko) 2016-07-06 2016-07-06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PCT/KR2016/013706 WO2018008812A1 (ko) 2016-07-06 2016-11-25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96A KR101813920B1 (ko) 2016-07-06 2016-07-06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920B1 true KR101813920B1 (ko) 2018-01-04

Family

ID=6091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96A KR101813920B1 (ko) 2016-07-06 2016-07-06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3920B1 (ko)
WO (1) WO20180088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779A (ko) 2019-10-11 2021-04-22 넨시스(주) 판크레아틴 장용코팅 펠릿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9594A1 (en) * 2002-10-31 2005-04-14 Karine Marion Method of removing a biofil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5583A (ja) * 1991-01-11 1992-08-24 Toshiba Corp 温度制御装置
US6749851B2 (en) * 2001-08-31 2004-06-15 Clearant, Inc. Methods for sterilizing preparations of digestive enzymes
CA2616943C (en) * 2005-07-29 2016-04-12 Solvay Pharmaceuticals Gmbh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sterilized pancreatin powder
ES2556004T3 (es) * 2011-12-20 2016-01-12 Novozymes A/S Método para la eliminación de virus en una solución de proteína
CN103215246B (zh) * 2013-04-11 2014-09-10 重庆奥力生物制药有限公司 胰酶的新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9594A1 (en) * 2002-10-31 2005-04-14 Karine Marion Method of removing a bio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779A (ko) 2019-10-11 2021-04-22 넨시스(주) 판크레아틴 장용코팅 펠릿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8812A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9958A (en) Continuous process of producing pancreatin and product thereof
EP2295086B1 (de)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viralen und mikrobiellen Belastung von Pankreatin
CN100465285C (zh) 肌肽的提取方法
KR101813920B1 (ko) 판크레아틴의 살균방법 및 이를 이용한 판크레아틴 제조방법
KR101805174B1 (ko) 알로에 감압추출물을 이용한 돼지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RU2345139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личинок синантропной мухи
WO2020262943A1 (ko) 소화효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법
KR100390282B1 (ko) 지렁이 양식방법
JP2006096673A (ja) ミミズ製品の製造方法
JPH08140585A (ja) 低分子馬鈴薯蛋白質の製造方法
JPH02157297A (ja) 小麦から得られるα−アミラーゼインヒビターを含有するダイエット剤
JP2009143845A (ja) ミミズ抽出液の製造方法及びミミズ乾燥粉末の製造方法
JP2008154456A (ja) タンパク質分解酵素
JP2004292402A (ja) ミミズ乾燥粉末の製造方法
AU7107301A (en) Stem cell reinforcing material
NL8001693A (nl) Werkwijze voor de bereiding van orgaanextracten met een groot heparinegehalte.
CN109922814A (zh) 滴鼻剂组合物的制造方法及滴鼻剂组合物
JP2018177741A (ja) 疲労回復用組成物及び疲労回復用加圧酵素分解物を製造する方法
CN106431511A (zh) 一种病死鸡的发酵处理方法
KR100974080B1 (ko) 열처리를 이용한 태반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5696917B2 (ja) ミミズ体液の製造方法及びミミズ乾燥粉末の製造方法
CN107405366A (zh) β淀粉样蛋白纤维分解剂、由β淀粉样蛋白的纤维化引起的疾病的治疗药/预防药和治疗用/预防用食品组合物
JP2019199453A (ja) カフェオイルキナ酸類化合物含有複合体
JPH1070968A (ja) カルシュウム剤の製造方法
JP2022181178A (ja) α-シヌクレインの凝集抑制剤、シヌクレオパチーの治療または予防剤、アミロイド形成疾患の治療または予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