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019B1 -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019B1
KR101812019B1 KR1020130092960A KR20130092960A KR101812019B1 KR 101812019 B1 KR101812019 B1 KR 101812019B1 KR 1020130092960 A KR1020130092960 A KR 1020130092960A KR 20130092960 A KR20130092960 A KR 20130092960A KR 101812019 B1 KR101812019 B1 KR 10181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mage
area
irradiation area
ray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132A (ko
Inventor
이병원
문재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4651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120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0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2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61B6/469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8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pre-scan acqui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1074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e.g.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로부터 출력된 대상체 영상과 엑스선 조사영역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엑스선 장치를 제공한다.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 대상체를 촬영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과 엑스선 조사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이 조절되면, 그에 따라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이 조절되도록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X-ray device and x-ray radiation area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장치를 구비한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 장치는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를 통과한 엑스선을 검출하여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신체의 절개없이 질병을 검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엑스선(X-ray)은 고속의 전자를 물체에 충돌시킬 때 방출된 투과력이 강한 전자기파이다. 일반적으로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 튜브는 열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와 고전압으로 강한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고전압공급기를 통해 발생한 고전압을 엑스선 튜브에 인가하면 음극을 이루는 필라멘트에서 열전자를 방출한다. 방출된 열전자는 강한 전기장에 의해 표류하다가 양극에 충돌하게 되고, 열전자가 충돌한 국소크기의 지점에서 엑스선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엑스선 장치는 전술한 엑스선을 발생하는 엑스선 튜브,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조사영역 조절장치 및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디텍터로 구성된다.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조사영역 조절장치는 조사되는 엑스선을 텅스텐과 같이 엑스선을 급격히 감쇠시키는 물질로 차단하여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조사영역 조절장치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과 동일한 영역에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구조물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유닛의 조리개를 조절하여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유닛 내부에 배치되는 가시광선 광원 및 가시광선의 조사방향을 엑스선의 조사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반사경같은 구조물의 배치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실제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과 다른 영역으로 가시광선이 조사되어 잘못된 엑스선 촬영을 유도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정확한 엑스선 조사영역 지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재촬영을 피하기 위해 필요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엑스선 피폭을 감수하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상체를 촬영하는 카메라, 카메라로부터 출력된 대상체 영상과 엑스선 조사영역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엑스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을 터치 제스처(gesture)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방식의 터치 제스처를 통한 엑스선 조사영역의 조절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장치는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대상체의 영상과 상기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조사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기초로 엑스선 조사영역이 결정되면, 결정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따라서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이 조절되도록 상기 조사영역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터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입력장치,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고,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을 가이드하는 정보들을 터치 스크린 상의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미리 입력된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부위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출력된 대상체의 영상에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과 별도로 엑스선 조사영역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은 엑스선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을 상기 엑스선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기초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엑스선 조사영역을 더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따라서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터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입력장치,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이 표시되면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외부 중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고,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상체 영상 위에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조절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한 후 상기 대상체로 조사되는 상기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상체 영상 위에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조절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하여 상기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영역과 별도의 영역에서 엑스선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을 상기 엑스선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면, 엑스선 조사영역의 조절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엑스선 조사영역을 별도로 더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엑스선 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기초로 결정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조사영역을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기초로 결정된 상기 대상체에 대한 엑스선 조사영역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터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입력장치,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영역만을 조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이동, 확대, 축소, 회전 및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미리 입력된 대상체의 촬영부위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영역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상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사선이 조사되는 영역에 환자의 위치 및 자세 안내를 위한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방사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조사영역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따라 환자가 자세를 교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방사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발생부와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조사영역이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들이 하기 바람직한 예시적 구체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 구체예들은 많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언급한 예시적 구체예들로만 한정되어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발생부(1)과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는 엑스선 발생부(1), 엑스선 발생부(1)에서 발생한 엑스선이 조사되는 경로 및 영역을 조절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의 외부에 부착되어 대상체(3)를 촬영하는 카메라(20), 대상체(3)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디텍터(2), 엑스선 발생부(1)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 및 사용자에게 엑스선 촬영을 안내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한다.
엑스선 발생부(1)는 고속의 전자를 물체에 충돌시킬 때 방출되는 파장이 짧고, 투과력이 강한 전자기파인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엑스선 발생부(1)은 열전자를 방출하는 필라멘트와 고전압으로 강한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공급기에 의해 발생한 고전압이 엑스선 발생부(1)에 인가되면 음극을 이루는 필라멘트에서 열전자가 방출된다. 방출된 열전자는 강한 전기장에 의해 표류하다가 양극에 충돌하게 되고, 열전자가 충돌한 국소크기의 지점에서 엑스선이 발생한다. 도 2에서 보면, s로 표시된 부분이 열전자가 충돌하여 엑스선이 발생하는 국소크기의 지점을 나타낸다.
엑스선 발생부(1)의 전방에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가 배치되는데, 엑스선이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로 조사되도록 엑스선 발생부(1)은 그 내부에 엑스선의 조사경로 및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6)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6)는 납이나 텅스텐처럼 엑스선을 감쇠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개(6)는 카메라의 조리개처럼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원형의 형태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엑스선을 감쇠시킬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된 한 쌍의 부재가 엑스선 조사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좌우에 배치되어 x축 방향으로 즉, 좌우로 이동하고, 다른 한 쌍의 부재가 엑스선 조사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상하에 배치되어 y축 방향으로 즉, 상하로 이동하면서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사각형의 형태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은 조리개(6)의 조절방식은 일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엑스선 발생부(1)에서 발생한 엑스선은 조리개(6)에 의해 조사경로 및 조사영역이 조절되어 엑스선 발생부(1)의 전방에 배치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로 조사된다.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는 엑스선의 조사경로 및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7)를 포함한다. 조리개(7)는 전술한 것처럼, 엑스선 발생부(1) 내부에 마련된 조리개(6)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엑스선의 조사경로 및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20)는 엑스선이 조사되는 방향에 존재하는 대상체(3)를  촬영할 수 있도록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의 외부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체(3)의 형상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에서 엑스선이 외부로 방출되는 말단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20)에서 대상체(3)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대상체의 영상(42)은 디스플레이부(30)에서 표시된다.
카메라(20)는 촬영범위의 조절을 통해 대상체 전체 형상을 촬영할 수 있고 대상체의 부분 형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대상체의 전체 형상이 촬영되면 그 대상체 전체 형상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고 대상체의 부분 형상이 촬영되면 그 대상체 부분 형상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다.
디텍터(2)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에서 조사된 엑스선이 대상체(3)를 투과하면 그 투과량을 검출하는 장치로, 엑스선의 투과량을 검출하여 대상체(3)의 내부상태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텍터(2)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대상체(3)에 대한 엑스선 촬영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엑스선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엑스선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사용자의 간단한 터치 제스처(gesture)만으로 정확한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터치 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촬영부위를 선택하고, 엑스선 조사영역을 조절하고,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어느 정도의 엑스선이 대상체(3)에게 조사되는지 알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엑스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부(3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를 나타낸 도면이다.
카메라(20)는 대상체(3)를 촬영한다.
대상체(3)의 촬영은, 디스플레이부(30)에서 대상체의 영상(42)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엑스선 조사영역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본격적인 엑스선 촬영에 앞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상체(3)의 촬영이 먼저 이루어진다.
대상체(3)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20)는 대상체(3)의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한다. 전술한 것처럼 카메라(20)가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의 외부에 장착되므로 대상체의 전체 형상을 촬영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엑스선 장치의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이다. 사용자는 입력부(21)를 통해 엑스선 촬영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여 엑스선 촬영의 전반적인 진행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부(21)는 리모트 컨트롤러(22), 마우스(23), 키보드(24), 음성인식장치(25) 및 동작인식장치(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카메라(20)로부터 전송된 대상체(3)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30)에 대상체의 영상(42)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한다.
또한, 입력부(21)를 통해 엑스선 촬영을 위한 각종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 엑스선 발생부(1) 등 엑스선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대상체의 영상(4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
엑스선 발생부(1)는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의 조사량을 조절하거나 조리개(6)의 동작을 조절하고,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는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리개(7)의 동작을 조절한다.
도 4를 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40)는 각기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대상체의 영상(42)은 복수의 영역 중 제1영역(41)에 표시된다. 또한 대상체(3)의 신상정보, 질병기록 등의 대상체(3)의 기본정보가 표시되는 제5영역(48)에 대상체(3)의 식별을 위해 대상체의 영상(42)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각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각 영역에 매겨진 번호는 임의적인 것일 뿐이므로 번호의 순서에 상관없이 설명한다.
제3영역(47)에는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부위의 목록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대상체(3)를 환자라고 가정했을 때, 머리, 가슴, 배, 팔, 하체와 같은 각 신체부위의 목록이 표시되고, 이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보다 세부적인 촬영부위의 목록이 표시되는 형식으로 촬영부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촬영부위에 대한 정보는 문자로 표시되거나 각 부위의 특징을 심벌화한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 촬영부위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라면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전술한 것처럼 표시된 촬영부위의 목록 중에서 원하는 촬영부위를 터치하는 식으로 촬영부위를 선택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22), 마우스(23), 키보드(24), 음성입력장치(25) 및 동작인식장치(26)를 포함하는 입력부(21)를 통해 촬영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부터는 사용자의 명령이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1영역(41)에는 대상체의 영상(42)과 엑스선 조사영역(43)이 표시된다. 대상체의 영상(42) 위에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중첩되어 표시되는데, 엑스선 조사영역(43)은 제3영역(47)에서 촬영부위가 선택되면 해당 촬영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촬영부위로 목이 선택되면 엑스선 조사영역(43)은 사각형 형태로 대상체의 목 부분에 표시된다. 엑스선 조사영역(43)은 각 촬영부위마다 해당 촬영부위를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정되어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43)의 윤곽 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제1영역(41)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3)의 크기 및 위치를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즉 엑스선 조사영역(43)을 터치하고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그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 제2영역(4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제2영역에 대한 설명에서 대신하기로 한다.  
제3영역(47)에서 촬영부위가 선택되어 제1영역(41)에 엑스선 조사영역(43)이 대상체의 영상(42)에 중첩되어 표시되면, 제2영역(44)에는 대상체 영상의 표시없이 엑스선 조사영역(45)만 별도로 표시된다.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은 제1영역(41)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보다 확대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크기를 나타내는 눈금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엑스선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기호나 편의에 따라 제1영역(41)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을 조절하거나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조절하여 대상체에 조사될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 및 위치를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즉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터치하고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그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제2영역(44)에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 및 위치가 터치 제스처에 의해 변하게 되면 제1영역(41)의 엑스선 조사영역(43) 또한 대상체의 영상(42)에 중첩된 상태에서 그 크기 및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제1영역(41)에 대상체의 영상(42)과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3)은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변화에 연동되어 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엑스선이 조사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는 대상체(3)의 촬영부위를 보다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제1영역(43)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을 조절하는 경우 이에 연동되어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이 조절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5는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 위치 및 형태가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내부가 검정색으로 채워진 단일원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나타내고, 내부가 비어있는 단일원은 터치가 이루어진 검정색으로 채워진 단일원이 드래그되어 위치하게 될 예상지점을 나타낸다. 파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이동경로를 나타내고 검정색으로 채워진 단일원 둘레에 하나의 보다 큰 원이 표시된 이중원은 더블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나타낸다.
도 5a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이동시키는 터치 제스처의 일 예를 보여 준다.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45) 내부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한 채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b, c, d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터치 제스처의 일 예를 보여 준다.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어느 한 변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한 채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어느 한 변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한 채 마주보는 변 쪽으로(a 방향)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마주보는 변의 반대 방향 쪽(b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마주보는 두 변의 임의의 지점을 각각 터치한 채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45)의 마주보는 두 변의 임의의 지점을 각각 터치한 채 마주보는 변 쪽(c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마주보는 변의 반대 방향 쪽(d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d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임의의 꼭지점을 터치한 채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임의의 꼭지점을 터치한 채 마주보는 대각선 방향의 꼭지점 쪽(e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크기만 축소시킬 수 있고, 반대 대각선 방향 쪽(f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원래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 크기만 확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b, 5c, 5d에 도시된 터치 제스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의 일 예일 뿐,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터치 제스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e, 5f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제스처의 일 예를 보여 준다.
도 5e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임의의 꼭지점을 두 번 연속으로 터치한 채,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엑스선 조사영역(45)은 그 자리에서 회전할 뿐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도 5f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임의의 꼭지점과 엑스선 조사영역(45) 내부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한 채,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e와 마찬가지로 이때 엑스선 조사영역(45)은 그 자리에서 회전할 뿐 이동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e, 5f에 도시된 터치 제스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제스처의 일 예일 뿐,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터치 제스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g, 5h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을 그 크기, 위치 및 형태가 변형되기 전의 상태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터치 제스처의 일 예를 보여 준다.
도 5g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영역(45) 내부의 임의의 세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은 그 크기, 위치 및 형태가 변형되기 전으로 초기화된다.
또한, 도 5h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엑스선 조사영역(45) 내부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한 채 임의의 방향으로 드래그하고 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드래그하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은 그 크기, 위치 및 형태가 변형되기 전으로 초기화된다. 도면에는 좌우로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흔드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일 뿐 상하좌우 상관없이 엑스선 조사영역(45)을 흔들면 초기화된다.
다시 도 4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간다.
제4영역(46)에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와 그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 조사량이 표시된다.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는 대상체(3)의 각 촬영부위별로 해당 촬영부위에서 주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면적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정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른 엑스선 조사량은 일반적인 엑스선 촬영 시 조사되는 엑스선량을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엑스선량을 산출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엑스선 촬영부위로 가슴이 선택되면, 제4영역(46)에는 가슴부위에서 촬영이 주로 이루어지는 촬영면적과 그에 따른 엑스선 조사량의 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된다. 
또한 엑스선 조사영역이 조절됨에 따라 변화되는 엑스선 조사량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면적에 따라 얼마 만큼의 엑스선이 대상체(3)에 조사되는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고 이를 참고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선택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조사될 것으로 예상되는 엑스선 량이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엑스선 조사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엑스선 조사량을 줄일 수 있다.
제5영역(48)에는 대상체(3)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대상체(3)를 환자라고 가정했을 때 환자의 인적정보, 질병기록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나타낸 각 영역의 배치는 일 예일 뿐 다른 배치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20)에서 대상체(3)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50)는 대상체의 영상(42)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100).
대상체(3)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20)는 대상체(3)의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하고, 제어부(50)는 카메라(20)로부터 전송된 대상체(3)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30)에 대상체의 영상(42)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대상체의 영상(4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1영역(41)에 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대상체의 영상(42)이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면, 엑스선 조사영역의 조절을 가이드할 수 있는 엑스선 조사영역을 별도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대상체의 영상(42)이 표시되면, 제어부(50)는 대상체의 영상(42)에 엑스선 조사영역(43)을 중첩하여 표시한다(110).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대상체의 영상(42)이 표시된 후, 대상체(3)의 촬영부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촬영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엑스선 조사영역(43)을 중첩하여 표시한다. 엑스선 조사영역(43)은 각 촬영부위마다 해당 촬영부위를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정되어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2영역(44)에 엑스선 조사영역(45)만 별도로 표시한다(120).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 제1영역(41)에 대상체의 영상(42)과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중첩되어 표시되면 제2영역(44)에는 대상체의 영상(42)의 표시없이 엑스선 조사영역(45)만 별도로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2영역(44)에 엑스선 조사영역(45)이 표시되면, 제어부(50)는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검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30).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은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그 크기 및 위치가 변한다. 즉,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원하는 크기와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검지되면, 제어부(50)는 해당 터치 제스처에 따라 변형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제2영역(44)에 표시한다(140).
제어부(50)는 도 5의 설명에서 상술한 터치 제스처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터치 제스처가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해당 터치 제스처에 따라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제2영역(44)에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 및 위치가 터치 제스처에 의해 변하게 되면 제1영역(41)의 엑스선 조사영역(43) 또한 대상체의 영상(42)에 중첩된 상태에서 그 크기 및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제1영역(41)에 대상체의 영상(42)과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3)은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변화에 연동되어 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엑스선이 조사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는 대상체(3)의 촬영부위를 보다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조절을 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반대로 제1영역(43)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조절될 수도 있고 제1영역(43)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조절되면 이에 연동되어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이 조절됨은 물론이다.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이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변하게 되면, 제어부(50)는 대상체(3)에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이 제2영역(44)에 표시된 변형된 엑스선 조사영역(45)과 일치하도록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를 제어한다(150).
제어부(50)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로 출력하여,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10)의 조리개(7)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대상체(3)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이 제2영역(44)에서 변형된 엑스선 조사영역(45)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터치 제스처는 사용자가 원하는 엑스선 조사영역이 형성될 때까지 계속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50)는 제2영역(44)의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터치 제스처가 검지되지 않을 때 까지 130에서 150단계를 반복한다.
130단계에서,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더 이상 검지되지 않으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조절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과정을 완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촬영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20)에서 대상체(3)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50)는 대상체의 영상(42)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200).
대상체(3)의 촬영이 이루어지면 카메라(20)는 대상체(3)의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전송하고, 제어부(50)는 카메라(20)로부터 전송된 대상체(3)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30)에 대상체의 영상(42)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대상체의 영상(42)을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1영역(41)에 에 표시한다.
제어부(50)는 대상체의 촬영부위의 목록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210).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 제3영역(47)에 엑스선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부위의 목록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대상체(3)를 환자라고 가정했을 때, 머리, 가슴, 배, 팔, 하체와 같은 각 신체부위의 목록이 표시되고, 이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보다 세부적인 촬영부위의 목록이 표시되는 형식으로 촬영부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촬영부위에 대한 정보는 문자로 표시되거나 각 부위의 특징을 심벌화한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 촬영부위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라면 다른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50)는 대상체의 영상(42)에 엑스선 조사영역(43)을 중첩하여 표시한다(220).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에 대상체의 영상(42)이 표시된 후, 대상체(3)의 촬영부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촬영부위에 대응하는 영역에 엑스선 조사영역(43)을 중첩하여 표시한다. 엑스선 조사영역(43)은 각 촬영부위마다 해당 촬영부위를 포함하는 일정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정되어 미리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2영역(44)에 엑스선 조사영역(45)만 별도로 표시한다(230).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 제1영역(41)에 대상체의 영상(42)과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중첩되어 표시되면 제2영역(44)에는 대상체의 영상(42)의 표시없이 엑스선 조사영역(45)만 별도로 표시된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4영역(46)에 엑스선 조사 시 예상되는 엑스선 조사량을 표시한다(240). 
제4영역(46)에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와 그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 조사량이 표시되는데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는 대상체(3)의 각 촬영부위별로 해당 촬영부위에서 주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면적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정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른 엑스선 조사량은 일반적인 엑스선 촬영 시 조사되는 엑스선량을 이용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엑스선량을 산출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조사영역이 조절됨에 따라 변화되는 엑스선 조사량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면적에 따라 얼마 만큼의 엑스선이 대상체(3)에 조사되는지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고 이를 참고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선택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조사될 것으로 예상되는 엑스선 량이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엑스선 조사영역을 축소시킴으로써 엑스선 조사량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5영역(48)에 대상체(3)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250).
대상체(3)를 환자라고 가정했을 때 환자의 인적정보, 질병기록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엑스선 촬영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의 제2영역(44)에 엑스선 조사영역(45)이 표시되면, 제어부(50)는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검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60).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은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그 크기 및 위치가 변한다. 즉, 사용자는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에 따라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원하는 크기와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검지되면, 제어부(50)는 해당 터치 제스처에 따라 변형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을 제2영역(44)에 표시한다(270).
제어부(50)는 도 5의 설명에서 상술한 터치 제스처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터치 제스처가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해당 터치 제스처에 따라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하여 표시한다. 제2영역(44)에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크기 및 위치가 터치 제스처에 의해 변하게 되면 제1영역(41)의 엑스선 조사영역(43) 또한 대상체의 영상(42)에 중첩된 상태에서 그 크기 및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제1영역(41)에 대상체의 영상(42)과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3)은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의 변화에 연동되어 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엑스선이 조사되어 촬영이 이루어지는 대상체(3)의 촬영부위를 보다 정확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조절을 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반대로 제1영역(43)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조절될 수도 있고 제1영역(43)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3)이 조절되면 이에 연동되어 제2영역(44)에 표시되는 엑스선 조사영역(45)이 조절됨은 물론이다.  
터치 제스처는 사용자가 원하는 엑스선 조사영역이 형성될 때까지 계속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50)는 제2영역(44)의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터치 제스처가 검지되지 않을 때 까지 260에서 270단계를 반복한다.
260단계에서, 제2영역(44)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45)에서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가 더 이상 검지되지 않으면, 엑스선 조사영역(45)의 조절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과정을 완료한다.
          1 : 엑스선 발생부                       2 : 디텍터
          3 : 대상체                              4 : 가이드 부재
          10 :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             20 : 카메라
          21 : 입력부          30 : 디스플레이부
          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50 : 제어부

Claims (29)

  1.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조절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개구 외부에 마련되고, 대상체를 촬영하여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상기 대상체의 영상과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 중첩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을 기초로 엑스선 조사영역이 결정되면, 결정된 엑스선 조사영역에 따라서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이 조절되도록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개구를 통과하지 않은 광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의 크기는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최대크기보다 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과 별도로 엑스선 조사영역 영상을 더 표시하고,
    상기 대상체에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영상은 상기 별도로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영상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을 기초로 결정되는 엑스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에 대한 터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입력장치,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하는 엑스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외부에 설치되는 엑스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고,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을 가이드하는 정보들을 터치 스크린 상의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부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미리 입력된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부위 목록을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표시하는 엑스선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엑스선 장치의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개구 외부에 마련된 카메라에서 대상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대상체의 영상과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 중첩하여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을 상기 엑스선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부의 개구를 통과하지 않은 광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대상체의 영상의 크기는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영역의 최대크기보다 크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과 별도로 엑스선 조사영역 영상을 더 표시하고;
    상기 별도로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영상이 변하면 그에 따라 상기 대상체에 중첩되어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 영상을 변화시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에 엑스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조절하는 것은,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대상체에 조사되는 엑스선의 조사영역을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조절된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에 대한 터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명령은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입력장치,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통한 명령을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영역의 영상이 표시되면 엑스선 조사영역의 크기에 따라 예상되는 엑스선의 조사량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대상체의 엑스선 촬영을 가이드하는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표시하는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30092960A 2011-07-18 2013-08-06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KR10181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60A KR101812019B1 (ko) 2011-07-18 2013-08-06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0932 2011-07-18
KR1020110070932 2011-07-18
KR1020110116717A KR20130010425A (ko) 2011-07-18 2011-11-10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KR1020130092960A KR101812019B1 (ko) 2011-07-18 2013-08-06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17A Division KR20130010425A (ko) 2011-07-18 2011-11-10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84A Division KR101870905B1 (ko) 2011-07-18 2017-08-28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132A KR20130097132A (ko) 2013-09-02
KR101812019B1 true KR101812019B1 (ko) 2017-12-27

Family

ID=464651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17A KR20130010425A (ko) 2011-07-18 2011-11-10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KR1020130092960A KR101812019B1 (ko) 2011-07-18 2013-08-06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717A KR20130010425A (ko) 2011-07-18 2011-11-10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9974504B2 (ko)
EP (4) EP4008259A1 (ko)
JP (1) JP2014520648A (ko)
KR (2) KR20130010425A (ko)
CN (3) CN106725555A (ko)
ES (1) ES2743928T3 (ko)
WO (1) WO20130122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9820B2 (en) 2008-09-02 2013-08-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and restoring scenes in a multimedia system
US10285656B2 (en) * 2010-10-18 2019-05-14 Carestream Health, Inc. X-ray imaging system and method
KR101431781B1 (ko) 2012-06-20 2014-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40153702A1 (en) * 2012-12-05 2014-06-05 Varad N. Srivastava Imaging system responsive to subject size and position
JP6388645B2 (ja) 2013-06-05 2018-09-1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物体の第1の画像及び第2の画像を表示する方法並びにデバイス
US10098598B2 (en) 2013-06-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10129B1 (ko) * 2013-07-10 2015-04-08 주식회사 디에보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DE102014203492A1 (de) * 2014-02-26 2015-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stellen einer Röntgenstrahlungseinheit
WO2016032275A1 (en) 2014-08-28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160066372A (ko) * 2014-12-02 2016-06-10 (주)바텍이우홀딩스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CN107708564B (zh) * 2015-07-07 2021-11-05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图像摄影装置、放射线图像摄影装置的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EP3326532B1 (en) * 2015-07-21 2020-01-01 Fujifilm Corporation Radiation exposure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radiation exposure device
KR102366255B1 (ko) * 2015-07-23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2407494B1 (ko) * 2015-08-25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702229B2 (en) 2015-08-25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473759A (zh) * 2015-08-25 2017-03-08 三星电子株式会社 X射线成像设备以及用于控制其的方法
KR102662639B1 (ko) * 2015-08-25 202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6170B1 (ko) * 2016-01-08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97555B2 (ja) * 2016-05-09 2020-12-09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医用情報処理装置
KR101769856B1 (ko) * 2016-07-28 2017-08-21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KR102592905B1 (ko) * 2016-12-21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80086709A (ko) * 2017-01-23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178009B2 (ja) * 2017-12-20 2022-11-25 国立研究開発法人量子科学技術研究開発機構 医用装置、医用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209949A (zh) * 2017-12-26 2018-06-29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医用x射线摄影系统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KR101909020B1 (ko) 2018-02-21 2018-10-1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모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7160937B2 (ja) * 2018-09-27 2022-10-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US10880984B2 (en) 2019-05-31 2020-12-29 Fermi Research Alliance, Llc Permanent magnet e-beam/x-ray horn
US11291104B2 (en) 2019-05-31 2022-03-29 Fermi Research Alliance, Llc Permanent magnet e-beam/x-ray horn
US11717584B2 (en) 2019-05-31 2023-08-08 Fermi Research Alliance, Llc Supported X-ray horn for controlling e-beams
CN111443378A (zh) * 2020-05-08 2020-07-24 江苏康众数字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束光器及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45A (ja) * 2001-08-08 2003-04-22 Hitachi Medical Corp 医療用x線装置
JP2008515476A (ja) * 2004-10-05 2008-05-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撮像パラメタを計画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50500B1 (ko) * 2008-01-08 2008-08-05 주식회사 포스콤 작고 가볍게 제작 가능한 x선 촬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225A (en) * 1987-02-16 1989-10-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video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illumination of an examination subject
JP3456718B2 (ja) 1993-01-27 2003-10-14 株式会社東芝 X線撮影装置
EP0673661B1 (en) 1994-03-25 2003-03-12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therapy system
US5621779A (en) * 1995-07-20 1997-04-15 Siemens Medical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radiation to an object and for displaying delivered radiation
JPH10155778A (ja) 1996-11-29 1998-06-16 Shimadzu Corp X線画像診断装置
JP3554172B2 (ja) * 1998-01-09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
JP4537506B2 (ja) * 1998-11-20 2010-09-01 株式会社東芝 X線診断装置
US6447163B1 (en) * 1999-09-30 2002-09-10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Method for aligning and superimposing X-ray and video images
DE10109219B4 (de) 2001-02-26 2005-07-07 Siemens Ag Positioniereinrichtung für bildgebende Diagnosesysteme
DE10118183B4 (de) 2001-04-11 2005-06-23 Siemens Ag Röntengerät
JP4387638B2 (ja) * 2001-07-04 2009-12-16 株式会社東芝 X線コンピュータ断層診断装置
DE10160611A1 (de) 2001-12-11 2003-06-26 Siemens Ag Bildgebende medizinische Untersuchungseinrichtung
US6795526B2 (en) * 2002-03-04 2004-09-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Automatic exposure control for a digital image acquisition system
DE10232676B4 (de) * 2002-07-18 2006-01-19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s Patienten in einem medizinischen Diagnose- oder Therapiegerät
DE10234465A1 (de) 2002-07-29 2004-02-12 Siemens Ag Verfahren zur Schichthöhenpositionierung
US20040021281A1 (en) 2002-08-01 2004-02-05 Odell Stephens Skateboards
JP2005080969A (ja) * 2003-09-10 2005-03-3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選択支援システム、選択支援方法
JP4612796B2 (ja) * 2004-01-30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撮影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x線撮影システム
JP4337708B2 (ja) * 2004-10-29 2009-09-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照射中心位置決め用ポインタと、このポインタが組み込まれている放射線治療計画装置、および、治療用放射線照射装置
JP2006320523A (ja) 2005-05-19 2006-11-3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シャトルモードヘリカルスキャンのスキャンパラメータ設定方法およびx線ct装置
JP5161418B2 (ja) * 2005-06-09 2013-03-13 株式会社東芝 X線照射線量管理装置及びx線画像診断装置
DE102005036852A1 (de) 2005-08-04 2007-02-22 Siemens Ag Verfahren bzw. "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r Lage eines Patienten bei einem auf einem medizinischen Bildgebungsverfahren basierenden Erstellen eines Bildes eines Untersuchungsbereichs des Patienten
EP1926434B1 (en) * 2005-09-14 2015-04-08 Koninklijke Philips N.V. Low-dose iso-centering
EP1815794B1 (en) * 2006-02-01 2015-11-04 Gendex Corporation Dental x-ray apparatus and method of positioning a patient therein
US7344305B2 (en) 2006-08-01 2008-03-1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Remote visual feedback of collimated area and snapshot of exposed patient area
JP5065822B2 (ja) * 2007-09-14 2012-11-07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撮影計画支援装置および撮影計画支援プログラム
DE102008035412A1 (de) * 2008-07-29 2010-02-04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r dentalen 3D-Röntgenaufnahme und Röntgengerät hierfür
DE102008050542A1 (de) 2008-10-06 2010-04-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dizinisches Bildaufnahmesystem, Bedi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ildaufnahmevorrichtung
JP5361443B2 (ja) 2009-02-24 2013-12-04 株式会社東芝 X線診断装置
JP5330090B2 (ja) * 2009-05-2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その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42381B2 (ja) 2009-09-30 2014-03-12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
FR2953707B1 (fr) 2009-12-16 2012-03-02 Trophy Appareil de radiologie dentaire fournissant une image cephalometrique et procede associe
JP5479069B2 (ja) 2009-12-17 2014-04-23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及びx線ct装置の制御方法
JP5725745B2 (ja) * 2010-07-05 2015-05-27 株式会社東芝 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診断装置
JP6437194B2 (ja) * 2012-12-21 2018-12-12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US9855018B2 (en) * 2013-04-08 2018-01-02 Konica Minolta, Inc. Diagnostic medical image system and method of introducing Talbot capturing device to diagnostic medical image system used for general capturing
US10098598B2 (en) * 2013-06-13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17763B2 (en) * 2014-07-25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702229B2 (en) * 2015-08-25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845A (ja) * 2001-08-08 2003-04-22 Hitachi Medical Corp 医療用x線装置
JP2008515476A (ja) * 2004-10-05 2008-05-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撮像パラメタを計画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50500B1 (ko) * 2008-01-08 2008-08-05 주식회사 포스콤 작고 가볍게 제작 가능한 x선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6094A1 (en) 2019-11-07
US10398396B2 (en) 2019-09-03
EP2777503A1 (en) 2014-09-17
US20210153828A1 (en) 2021-05-27
WO2013012231A2 (en) 2013-01-24
US20180360401A1 (en) 2018-12-20
JP2014520648A (ja) 2014-08-25
EP4008259A1 (en) 2022-06-08
KR20130097132A (ko) 2013-09-02
EP3510929B1 (en) 2022-08-31
WO2013012231A3 (en) 2013-04-11
CN107184222A (zh) 2017-09-22
EP2548509B1 (en) 2014-06-04
KR20130010425A (ko) 2013-01-28
CN102885637B (zh) 2017-07-28
EP2548509A1 (en) 2013-01-23
US11583238B2 (en) 2023-02-21
CN102885637A (zh) 2013-01-23
CN107184222B (zh) 2021-02-09
EP2777503B1 (en) 2019-06-26
CN106725555A (zh) 2017-05-31
US20180199903A1 (en) 2018-07-19
US9974504B2 (en) 2018-05-22
US10092260B2 (en) 2018-10-09
US9974505B2 (en) 2018-05-22
US10881368B2 (en) 2021-01-05
EP3510929A1 (en) 2019-07-17
ES2743928T3 (es) 2020-02-21
US20170258429A1 (en) 2017-09-14
EP2548509B2 (en) 2023-03-15
US20130022172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019B1 (ko)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US20140037057A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imaging area of x-ray imaging apparatus
JP7130427B2 (ja) X線診断装置およびx線診断方法
JP6632847B2 (ja) X線診断装置
JP2014144053A (ja) X線診断装置
KR101983996B1 (ko)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US20200359977A1 (en) X-ray imaging apparatus
CN103281960B (zh) 荧光透视系统和方法
JP4534459B2 (ja) 外科用x線装置
KR20220092436A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CN116963669A (zh) 放射线成像装置及放射线束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