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2436A -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2436A
KR20220092436A KR1020210186523A KR20210186523A KR20220092436A KR 20220092436 A KR20220092436 A KR 20220092436A KR 1020210186523 A KR1020210186523 A KR 1020210186523A KR 20210186523 A KR20210186523 A KR 20210186523A KR 20220092436 A KR20220092436 A KR 20220092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image
radiographic
area
radiograph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택
이창규
김종우
성천경
강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텍
Priority to JP202353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0519A/ja
Priority to EP21911626.6A priority patent/EP4268724A4/en
Priority to US18/269,328 priority patent/US20240057952A1/en
Priority to PCT/KR2021/019892 priority patent/WO2022139561A1/ko
Priority to CN202180093962.4A priority patent/CN116963669A/zh
Publication of KR2022009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35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source being combined with a filter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5Source units specially adapted to modify characteristics of the beam during the data acquisition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5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automatic set-up of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Abstract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조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사선의 선속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피조사체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가 구현되도록 상기 방사선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Radiation imaging device and radiation flux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엑스선과 같은 방사선을 이용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는 인체 또는 동물의 몸체의 환부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투과되는 방사선을 입사받아 환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 장치이다. 이러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지속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환부에 대한 방사선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환부의 진단이나 판독, 다양한 의료 시술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과 같은 방사선을 피검자에 조사하기 때문에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방사선 선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C암 형태의 방사선 촬영 장치는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엑스선 촬영을 수행하기 때문에 엑스선 선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정밀한 고해상도의 실시간 영상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방사선 영상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방사선 피폭량의 증가 역시 수반된다.
특히 최근의 의료영상분야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정밀한 고해상도의 실시간 영상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는 C암 형태의 형광투시 장치, 고화질 X선 촬영장치, 다양한 단층 영상 및 3차원 재구성 영상을 제공하는 CT 장치 등과 같은 영상장치가 개발되고 있고, 3차원 영상(CT)과 투시영상(fluoroscopy)을 이용한 중재적 시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시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엑스선 영상의 화질이 우수해야 하고 고화질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방사선 피폭량이 증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사선 촬영 장치, 특히 C암 X선 영상장치에서는 노출되는 X선 선량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는 방사선의 선속을 조절하기 위한 콜리메이터(collimator)가 구비되며, 방사선의 선속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측에 두 개의 리프 콜리메이터(leaf collimator)가 움직여서 방사선의 선속의 일부를 차단시킬 수 있었다.
방사선 영상의 중앙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영상 또는 관심 영역이 방사선 영상의 중앙이 아닌 변두리 측에 있는 경우 관심영역 이외의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피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 방사선 조사기의 위치를 재조정하고 다시 방사선 밝기조절을 위한 촬영을 해야 하므로 방사선 피폭량이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콜리메이터의 위치를 설정한 후 환자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콜리메이터의 위치를 재설정해야 하는 경우, 환자와 촬영자 모두 추가적인 방사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501086호(2015.03.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사선영상에서 선택영역에 대한 국소적인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사선속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조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사선의 선속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피조사체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가 구현되도록 상기 방사선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사선영상 상에서 상기 선택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사선영상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선택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 각각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 각각은 상호간에 비대칭적 또는 비연동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사선의 선속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방사선영상에서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어 피조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신하여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방사선영상 상에서 원하는 선택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선택영역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선택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구현하고 상기 구현된 조사범위에 의한 방사선의 조사 및 영상신호의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방사선조사부와 상기 영상획득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선조사부는 상기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콜리메이터는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방사선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택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터치 제스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는 드래그 터치, 탭 터치, 더블 탭 터치, 그리고 프레스 터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영역의 설정은 제1 터치 제스처에 의해 기본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제2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기본 선택영역을 변경하여 변경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그리고 제3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변경 선택영역을 상기 선택영역으로 확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설정 과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방사선 조사범위에 의해 획득된 방사선영상을 이미지 핏팅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속 제어방법은 피조사체에 대한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표시과정;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입력받아서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선택영역설정과정;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콜리메이터로 차단시키는 콜리메이터 구동과정; 및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이 상기 피조사체에 조사되어 얻어지는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표시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상표시과정에서 상기 제2 방사선영상에서 상기 선택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방법은 피조사체에 대한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사선영상 상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입력받아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방사선 선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조사범위를 갖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조사된 방사선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피조사체에 대한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조사범위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조사부의 콜리메이터를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영역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방사선영상 상에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부의 화면 상에 이미지 핏팅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국소적 부위인 선택영역에 한정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여 방사선영상을 얻음으로써 방사선의 피폭량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선영상의 중앙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영상 또는 사용자의 관심영역이 방사선 영상의 중앙이 아니나 가장자리 측에 있는 경우 관심영역 이외의 부분에 대한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술 중 방사선 생성장치의 움직임 없이도 수술을 계속하여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방사선조사부의 위치를 재조정하고 다시 방사선 밝기조절을 위한 촬영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도 해소될 수 있으며, 콜리메이터의 위치를 재조정하는 경우 콜리메이터의 위치 조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시술 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 조사부에서 방사선의 선속과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속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얻어진 방사선 영상의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얻어진 방사선 영상 상에서 선택영역을 나타낸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콜리메이터에 의해 선택영역 이외의 부분이 가려진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얻어진 방사선 영상에서 선택영역이 확대되어 표시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표시부의 화면 상에 표시된 이미지 상에서 선택영역을 설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a)의 선택영역에 따라 얻어진 방사선 영상이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조사부(110), 영상획득부(120), 판단제어부(130), 표시부(140)를 포함한다. 방사선조사부(110)는 피조사체로 조사되는 방사선 선속의 단면에서 비대칭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한다. 콜리메이터는 방사선의 선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원하는 방사선 조사범위가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선조사부(110)는 방사선, 예를 들어 X선을 생성하기 위한 방사선 소스, 예를 들어 X선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20)는 피조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한다. 영상획득부(120)는 피조사체를 투고한 방사선, 예를 들어 X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디텍터, 예를 들어 X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한다. 판단제어부(130)는 방사선 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속의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방사선 선속 부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정보를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한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방사선 영상 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사용자로부터 방사선 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부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되지만, 터치스크린과 같은 표시부(140)를 통해 입력이 가능한 경우에도 마우스, 키보드, 제어패널 등과 같은 입력부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방사선조사부(110)에 구비되는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는 복수 개이며,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 각각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조사부(110)에 구비되는 콜리메이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콜리메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방사선 선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방사선 조사범위를 변경 또는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 각각은 상호간에 비대칭적으로 또는 비연동적으로 이동하여 방사선 선속(200)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방사선 영상에서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방사선을 피조사체로 조사사는 방사선조사부(110)의 예로서 X선생성장치를 들 수 있다. X선생성장치는 진공관 내에 구비되는 필라멘트 형상의 캐소드로부터 가속된 전자빔이 고 에너지 상태로 애노드 상의 타겟물질에 입사되어 원추형 빔 형태의 X선을 생성한다. 방사선조사부(110)는 방사선 출력 조건에 따라 방사선을 출력하여 피조사체로 조사한다. 여기서 방사선 출력 조건은 방사선인 X선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선 출력 조건은 판단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방사선 출력 조건이 판단제어부(130)로부터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판단제어부(1300와 방사선조사부(1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방사선조사부(110)는 판단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방사선 출력 조건에 따라 X선을 출력하여 피조사체로 조사한다. 그리고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도 판단제어부(130)로부터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인 차단정보에 따라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방사선조사부(110)의 전방 측에는 X선 형태 및 조사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가 구비된다. 즉 방사선조사부(110)는 피조사체로 조사되는 방사선 선속의 단면에서 비대칭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를 구비한다. 방사선조사부(110)는 판단제어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 즉 방사선 선속의 차단정보에 따라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조사부에서 방사선 선속과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가 방사선 선속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도 3은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 각각이 방사선 선속의 일부를 차단하는 상태에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방사선조사부(110)에서 방사선인 X선이 진행하는 방향이 전방 측에 4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가 구비된다. 제1 콜리메이터(210), 제2 콜리메이터(220), 제3 콜리메이터(230), 제4 콜리메이터(240) 각각은 제어신호, 즉 차단정보에 따라 도 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선속(200)의 중심을 향해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선속(200)의 일부분을 각각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 콜리메이터(210), 제2 콜리메이터(220), 제3 콜리메이터(230), 제4 콜리메이터(240) 각각의 이동은 차단정보에 따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 콜리메이터(210), 제2 콜리메이터(220), 제3 콜리메이터(230), 제4 콜리메이터(240) 각각의 이동은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콜리메이터(210), 제2 콜리메이터(220), 제3 콜리메이터(230), 제4 콜리메이터(240)가 방사선 선속(200)의 일부분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방사선조사부(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콜리메이터(210), 제2 콜리메이터(220), 제3 콜리메이터(230), 제4 콜리메이터(240)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방사선 선속 부분(200)은 후술할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피조사체로 조사된다.
영상획득부(120)는 피조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한다. 즉, 영상획득부(120)는 피조사체를 투과하여 입사된 X선을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얻는다. 영상획득부(120)는 X선 생성장치에 대향하게 위치되며 피조사체를 투과한 X선을 가시광선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영상획득부(1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판단제어부(130)로 영상신호를 전달한다.
판단제어부(130)로 전달된 영상신호는 표시부(140)로 전달되며, 표시부(140)에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토대가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영상획득부(120)에서 획득된 영상신호를 토대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40)의 예로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형태 또한 표시부(140)로 바람직하다. 표시부(140)는 필요에 따라 별도로 마우스와 같은 입력부가 구비할 수도 있다.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형태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펜에 의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입력된 정보가 판단제어부(130)로 전달되고, 판단제어부(130)는 입력된 정보를 반영하여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판단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방사선의 조사조건 또는 출력조건을 설정하거나 방사선조사부(110)의 제1 콜리메이터(210), 제2 콜리메이터(220), 제3 콜리메이터(230), 제4 콜리메이터(240) 각각에 대한 제어를 통해 X선 조사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판단제어부(130)는 영상획득부(120), 방사선조사부(110) 그리고 표시부(14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판단제어부(130)는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 선속 부분(205)을 제외한 나머지 방사선 선속 부분을 차단시킬 수 있는 차단정보를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한다. 다시 말해, 판단제어부(130)는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선속 부분(205)만 통과시키는 차단정보를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한다고 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의한 선택영역의 설정 및 그에 따라 획득된 방사선 영상을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9의 (a)를 참조하면, 표시부(140)의 화면 상에 표시된 방사선영 상에서 선택영역(405)을 선택하고 선택영역(405)은 경계 라인에 의해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선택영역(405)이 선택된 상태에서 해당 선택영역으로 촬영을 수행하고 이를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부(140) 상에 구비된 확대 명령 영역(407)을 터치하여 해당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해당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조사범위가 구현되도록 콜리메이터의 위치를 조정한 후 방사선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방사선조사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획득된 새로운 방사선영상이 도 9의 (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확대된 방사선영상이 표시부(140)에 표시된다.
표시부(140)는 선택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 입력이 이루어지는 제1 방사선영상과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며, 이를 위해 표시부(140)는 선택영역의 입력을 위해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입력 디스플레이와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조건으로 촬영하여 얻어진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스플레이는 모바일 C암 X선 장비의 모바일 카트에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일 디스플레이는 별도의 오퍼레이팅 콘솔(operating console)에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속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방사선속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 또는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를 이용한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은 피조사체에 대한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표시과정(S110),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입력받아서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선택영역 설정과정(S120),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콜리메이터로 차단시키는 콜리메이터 구동과정(S130), 그리고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이 피조사체에 조사되어 얻어지는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표시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상표시과정(S140)에서 제2 방사선영상에서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영상표시과정(S110)은 피조사체에 대한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이다. 즉 제1 영상표시과정(S110)에서는 피조사체로 방사선인 X선을 조사하고 피조사체를 투과한 X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신호를 사용자 등이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토대로 방사선영상, 즉 X선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방사선조사부(110)는 피조사체로 방사선, 예를 들어 X선을 조사한다. X선이 방사선조사부(110)에서 피조사체로 조사되면 X선이 피조사체를 투과하여 영상획득부(120)로 입사된다.
영상획득부(120)는 입사된 X선으로부터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신호를 판단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판단제어부(130)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40)로 전달하고, 표시부(140)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하여 방사선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얻어진 방사선영상의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의 화면 상에 방사선영상인 X선영상이 표시된다. 참고로 도 5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은 표시부(140)의 화면상의 픽셀좌표 또는 영상좌표를 나타내기 위한 좌표축이다. 따라서 화면의 가운데, 즉 X선영상의 가운데 중심좌표는 (512, 512)로 표시될 수 있다.
선택영역 설정과정(S120)은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입력받아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선택영역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선영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되는 영역이다.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사용자의 손이나 터치펜을 이용하여 선택영역을 드래그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부가 구비된 경우 마우스의 커서를 어느 한 지점에서 드래그하기 시작하여 다른 한 지점에서 드래그를 끝내는 방식으로 선택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얻어진 방사선영상 상에서 선택영역을 나타낸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표지점(20, 110)에서 사용자의 손, 터치펜 또는 마우스의 커서를 위치시킨 후 드래그를 시작하여 좌표지점(630, 710)에서 드래그를 종료하였다면, 4개의 좌표지점 (20, 110), (20, 710), (630, 110), (630, 710)을 잇는 사각형의 영역이 선택영역(405)으로 선택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선택영역(405)을 변경하여 다시 재지정할 수도 있으며, 선택영역(405)을 확정할 수도 있다. 선택영역(405)의 변경을 위한 재지정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지점에서 드래그를 시작하여 다른 한 지점에서 드래그를 종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영역(405)의 확정의 경우 선택영역의 확정을 위한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아도 가능하지만, 위와 같이 드래그를 통해 선택영역(405)을 선택한 후 저장버튼(도시되지 않음)을 터치함으로써 선택영역(405)을 확정하는 형태로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택영역 설정과정(S120)에서 선택영역(405)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목표영역, 즉 확대를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와 같은 터치 제스쳐 입력을 통해 원하는 범위, 크기 및 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영역이 표시부(140) 상에 표시(도 6에서 점선으로 구획된 영역)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선택영역 표시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선택영역을 표시된 영상 상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조작에 의해 표시된 선택영역을 확정할 것인지 아니면 선택영역을 다시 설정할 것인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촬영 과정을 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다.
선택영역의 설정은 위에서 설명한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드래그 동작이나 마우스를 이용한 드래그 동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영역의 설정은 탭, 더블 탭, 프레스 터치 제스쳐 등과 같은 다양한 터치 제스쳐 입력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선택영역의 설정, 확인, 변경, 재설정 및 확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부(140)에 표시된 영상 상의 특정 지점을 탭(tap) 터치하면 해당 부분을 중심으로 화면 상의 정해진 크기와 정해진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갖는 기본 선택영역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표시된 기본 선택영역을 터치 드래그하여 크기 및 형태를 조절하여 조절 선택영역을 설정하고, 그리고 나서 조절 선택영역을 선택영역으로 확정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 예를 들어 더블 탭 터치를 입력하면 조절 선택영역이 최종적인 선택영역으로 설정되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해당 선택영역에 대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 예를 들어 소정 시간 범위 내의 프레스 터치를 입력하면 해당 선택영역의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140)를 통해 다양한 터치 제스처 입력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영역 설정, 및 그에 따른 콜리메이터의 이동에 의한 방사선 조사범위의 제어, 그리고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영역의 픽셀좌표 또는 영상좌표 (20, 110), (20, 710), (630, 110), (630, 710)는 판단제어부(130)로 전달되며, 판단제어부(130)에서 선택영역(405)에 대응되는 콜리메이터의 좌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영역(405)에 대응되는 콜리메이터 좌표는 앞서 언급한 차단정보에 포함되어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된다.
콜리메이터 구동과정(S130)은 선택영역(405)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콜리메이터로 차단하는 과정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영역의 픽셀좌표 또는 영상좌표 (20, 110), (20, 710), (630, 110), (630, 710)는 판단제어부(130)로 전달되며, 판단제어부(130)에서 선택영역(405)에 대응하는 콜리메이터 좌표로 변경된다.
선택영역(405)에 대응하는 콜리메이터 좌표는 앞서 언급한 차단정보에 포함되어 방사선조사부(110)로 전달된다. 이러한 차단정보를 전달받은 방사선조사부(110)에서 4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 각각은 차단정보에 포함된 콜리메이터 좌표정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되고, 방사선속(200)의 일부 부분이 콜리메이터에 의해 차단된다. 차단되지 않은 방사선 선속 부분(205)은 선택영역(405)에 대응한다.
4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는 각기 독립적으로 위치이동되며, 동시적으로 위치이동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가 방사선속(200)의 일부분을 차단하기 위해 위치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4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가 콜리메이터 좌표정보에 따라 위치이동되면, 방사선인 X선 조사 시 방사선속(200), 즉 X선 선속(200)의 일부분이 차단되므로 환자 또는 사용자의 피폭량이 감소된다.
제2 영상표시과정(S140)은 선택영역(405)에 대응하는 방사선 선속 부분(205)이 피조사체에 조사되어 얻어지는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이다.
위와 같이 4개의 콜리메이터의 위치이동이 완료된 후 제2 영상표시과정(S140)에서는 피조사체로 X선을 조사하고 피조사체를 투과한 X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신호를 사용자 등이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토대로 제2 방사선영상, 즉 제2 X선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즉, 방사선조사부(110)가 피조사체로 방사선인 X선을 조사한다. 선택영역(405)에 대응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205)이 방사선조사부(110)에서 피조사체로 조사되면, 방사선인 X선은 선택영역(405)에 대응하는 피조사체 부분을 투과하여 영상획득부(120)로 입사된다. 영상획득부(120)는 입사된 X선으로부터 영상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신호를 판단제어부(130)로 전달한다. 판단제어부(130)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40)로 전달하고 표시부(140)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하여 제2 방사선영상인 제2 X선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4개의 콜리메이터에 의해 선택영역 이외의 부분이 가려진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선택영역(405) 이외의 부분은 4개의 콜리메이터(210, 220, 230, 240)에 의해 X선 선속이 차단되었기 때문에 해당 영역의 이미지는 표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선택영역(405)에 해당하는 부분이 표시부(140)의 화면에서 치우쳐 있으므로 표시부(140)의 화면 중심에 선택영역(405)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위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선택영역(405)의 가운데 영상좌표(305, 300)가 화면의 중심좌표(512, 512)에 위치하도록 선택영역(405)의 X선 영상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선택영역(405)의 X선영상의 위치조정은 좌표변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X선영상의 선택영역(405)이 표시부(140)의 화면을 채우는 형태로 확대 표시될 수도 있다.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제2 X선영상이 표시부(140)의 화면에 이미지 핏팅되어 표시부(14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X선영상이 확대 핏팅되어 표시부(14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서 얻어진 제2 방사선영상에서 선택영역이 확대되어 표시된 이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방사선영상에서 선택영역(405)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영역(405)의 확대표시의 구현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영역(405)에서 가장 길이가 긴 변의 길이와 표시부(140)의 화면 상에서 X선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서의 길이의 비율을 확대율로 환산하여 확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방사선영상에서 선택영역(405)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선택영역(405)이 확대 표시됨에 따라 방사선영상의 밝기가 감소하거나 방사선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방사선속의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방사선영상의 밝기를 보완하거나 방사선영상의 선명도를 보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과정들(S110, S120, S130, S140)의 실행 순서는 위에서 설명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과정 별로 반복적인 수행도 가능하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10: 방사선 조사부
120: 영상 획득부
130: 판단제어부
140: 표시부
200: 방사선 선속
210, 220, 230, 240: 콜리메이터
405: 선택영역

Claims (18)

  1. 피조사체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사선의 선속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피조사체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을 입사받아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가 구현되도록 상기 방사선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판단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 제1항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사선영상 상에서 상기 선택영역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사선영상 상에서 선택되는 상기 선택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콜리메이터를 복수 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 각각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콜리메이터 각각은 상호간에 비대칭적 또는 비연동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방사선의 선속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방사선영상에서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7.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사되는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어 피조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신하여 영상신호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영상신호를 기초로 방사선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방사선영상 상에서 원하는 선택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선택영역이 설정된 경우에 상기 선택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구현하고 상기 구현된 조사범위에 의한 방사선의 조사 및 영상신호의 획득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방사선조사부와 상기 영상획득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판단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방사선조사부는 상기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는 상기 판단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방사선의 조사범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방사선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터치 제스처에 의해 설정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는 드래그 터치, 탭 터치, 더블 탭 터치, 그리고 프레스 터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선택영역의 설정은 제1 터치 제스처에 의해 기본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제2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기본 선택영역을 변경하여 변경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과정, 그리고 제3 터치 제스처에 의해 상기 변경 선택영역을 상기 선택영역으로 확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설정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사선 촬영 장치.
  12. 제7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방사선 조사범위에 의해 획득된 방사선영상을 이미지 핏팅을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3. 피조사체에 대한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제1 영상표시과정;
    방사선영상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입력받아서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선택영역설정과정;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콜리메이터로 차단시키는 콜리메이터 구동과정; 및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되는 방사선의 선속 부분이 상기 피조사체에 조사되어 얻어지는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제2 영상표시과정;을 포함하는 방사선속 제어 방법.
  14. 제12항에서,
    상기 제2 영상표시과정에서 상기 제2 방사선영상에서 상기 선택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사선속 제어 방법.
  15. 피조사체에 대한 제1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방사선영상 상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입력받아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방사선 선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조사범위를 갖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조사된 방사선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피조사체에 대한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영역에 대응하는 방사선 조사범위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방사선조사부의 콜리메이터를 조절하여 구현되는 방사선 촬영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선택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택영역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방사선영상 상에서 터치 제스처에 의해 설정되는 방사선 촬영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 방사선영상을 표시부의 화면 상에 이미지 핏팅을 통해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방법.
KR1020210186523A 2020-12-24 2021-12-23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KR20220092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39078A JP2024500519A (ja) 2020-12-24 2021-12-24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放射束制御方法
EP21911626.6A EP4268724A4 (en) 2020-12-24 2021-12-24 RADIOGRAPHIC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RADIATION FLOW
US18/269,328 US20240057952A1 (en) 2020-12-24 2021-12-24 Radiographic device and radiation flux control method
PCT/KR2021/019892 WO2022139561A1 (ko) 2020-12-24 2021-12-24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CN202180093962.4A CN116963669A (zh) 2020-12-24 2021-12-24 放射线成像装置及放射线束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83468 2020-12-24
KR1020200183468 2020-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436A true KR20220092436A (ko) 2022-07-01

Family

ID=8239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523A KR20220092436A (ko) 2020-12-24 2021-12-23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24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86B1 (ko) 2013-03-20 2015-03-10 (주)제노레이 X선 투시촬영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086B1 (ko) 2013-03-20 2015-03-10 (주)제노레이 X선 투시촬영장치의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1423B2 (en) X-ray CT apparatus and X-ray radiographic method
EP3510929B1 (en) X-r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x-ray irradiation area using the same
US8649480B2 (en) X-ray CT apparatus and tomography method
JP2020072957A (ja) X線低減システム
KR101407904B1 (ko) X선 촬영 장치
US9888899B2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US20140037057A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imaging area of x-ray imaging apparatus
JP6091769B2 (ja) X線診断装置
JP2019198375A (ja) X線診断装置およびx線診断方法
US9161728B2 (en) X-ray diagnosis apparatus and X-ray diagnosis assisting method
JP2017063839A (ja) X線診断装置
US20200359977A1 (en) X-ray imaging apparatus
KR20220092436A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선속 제어방법
KR20170012043A (ko) 엑스선 장치 및 동작 방법
JP2023063424A (ja) X線診断装置
US20240057952A1 (en) Radiographic device and radiation flux control method
KR102216436B1 (ko)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CN116963669A (zh) 放射线成像装置及放射线束的控制方法
JP7199958B2 (ja) アンギオct装置
JP7267727B2 (ja) X線診断装置
JP2023028952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45511A (ja) 線量調整方法及びx線システム
JP2021133036A (ja)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3073627A (ja) X線診断装置およびx線画像収集方法
JP2005111152A (ja) 外科用x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