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372A -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 Google Patents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372A
KR20160066372A KR1020140170677A KR20140170677A KR20160066372A KR 20160066372 A KR20160066372 A KR 20160066372A KR 1020140170677 A KR1020140170677 A KR 1020140170677A KR 20140170677 A KR20140170677 A KR 20140170677A KR 20160066372 A KR20160066372 A KR 20160066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device
ray sensor
photographer
voic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근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 레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17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372A/ko
Priority to PCT/KR2015/013063 priority patent/WO2016089112A2/ko
Publication of KR2016006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선 센서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센서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콘솔(console)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회로부와;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 및/또는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Interface device for X-ray sensor and X-ray sensor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이나 동작을 인식하는 기능을 내장된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X선 센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의료나 공업용 X선 촬영에서 기존에는 필름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필름 방식의 경우 촬영된 필름의 현상 및 보관상의 문제 등에 기인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의 이미지센서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디지털 센서는 구강내 센서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구강내 센서는 일반적으로 유선케이블을 통해 영상처리시스템인 콘솔(console)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강내 센서에는 신호처리와 통신을 수행하는 회로모듈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회로모듈을 통해 X선 촬영에 의해 이미지센서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신호 처리된 후 콘솔로 전송된다.
한편, 최근에는 구강내 센서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신호처리와 통신을 수행하는 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강내 센서 외부에 외장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는 유선케이블을 통해 구강내 센서와 콘솔 사이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에서 신호 처리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X선 촬영이 차폐실 환경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촬영자는 차폐실 밖으로 이동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게 되는데, 수진자는 촬영 진행 상황을 알 수 없어 심리적 부담을 갖게 된다.
또한, X선 촬영이 진료실 환경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촬영자는 구강내 센서를 손으로 파지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게 되는데,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통신 상태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즉각적 대응이 용이하지 않아, 원활한 촬영이 진행될 수 없게 된다.
또한, X선 촬영시 수진자가 인터페이스 장치를 파지하거나 인터페이스 장치가 주변 선반 등에 놓여지게 되는데, 수진자는 촬영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블 걸림 등에 의해 단선이 발생하거나 인터페이스 장치 낙하에 의해 제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수진자가 촬영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사용 편의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는, 구강내 센서뿐만 아니라 외장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X선 센서의 촬영시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 센서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센서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콘솔(console)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회로부와;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 및/또는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인식모듈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인식모듈은 동작 입력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자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X선 촬영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X선 센서와; 상기 X선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X선 센서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콘솔(console)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회로부와,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 및/또는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X선 센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에 음성이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내장함으로써, 촬영 상태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스피커를 내장함으로써, 촬영 상태가 손쉽게 확인되고 수진자는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향기를 분출하는 디스펜서를 장착함으로써, 수진자의 심리적 안정감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상당한 정도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용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X선 센서(10)와 영상 처리 시스템인 콘솔(20) 사이에서 이들과 케이블(31, 3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따라 X선 촬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X선 센서(10)로서는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통해 콘솔(20)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X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강내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한편, 경우에 따라,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콘솔(20)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블(32)을 통해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구동회로부(110)와, 음성인식모듈(120)과, 음성출력수단(130)과, 상태표시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부(110)는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신호처리를 수행하며, X선 센서 및 콘솔(10, 2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부(110)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X선 센서 및 콘솔(10, 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회로부(110)는 제어회로(111)와, 신호처리회로(112)와 통신회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111)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신호처리회로(112)는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X선 센서(10)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된 전기적 신호는 콘솔(20)로 전송되어 영상으로 표시되고 저장될 수 있게 된다.
통신회로(113)는 콘솔(20)과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케이블(32)을 통해 콘솔(20)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콘솔(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통신회로(113)는 X선 센서(1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케이블(31)을 통해 X선 센서(10)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X선 센서(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음성인식모듈(12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통해 촬영자는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인식모듈(12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인 마이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모듈(120)을 사용함으로써, 음성 명령으로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상태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X선 촬영을 위한 준비(ready) 상태를 설정함에 있어, 촬영자는 이를 명령하는 멘트(예를 들면, "촬영 준비"와 같은 멘트)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인식모듈(120)은 촬영자의 준비 명령 멘트를 인식하게 되고, 인식결과는 구동회로부(110)로 전달될 수 있다.
인식결과에 응답하여, 구동회로부(110)의 제어회로(111)는 X선 촬영을 위해 X선 센서(10)와 콘솔(2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촬영준비명령 신호를 X선 센서(10)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촬영준비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촬영준비완료 신호를 콘솔(20)로 출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촬영준비명령 신호에 응답하여, X선 센서(10)는 촬영 준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X선 센서(10)는 리셋(reset)되어, X선 센서(10) 내에 구성된 모든 화소들은 초기 상태를 갖게 된다. 즉, X선 센서(10)를 리프레쉬(refresh)하여, 촬영 전 화소 내에 축적된 전하를 방출하여 초기화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X선 센서(10)는 촬영 준비가 완료된다.
한편,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X선 센서(10)의 촬영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촬영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면 촬영준비완료 신호를 콘솔(20)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X선 센서(10)의 촬영 준비 완료 상태를 확인한 후에,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콘솔(20)로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콘솔(20)은, 촬영준비완료 신호를 전송받게 되면, X선 촬영을 지시하는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을 조사해 주십시오."와 같은 음성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영 명령에 따라 촬영자는 X선 조사 장치를 조작하여 X선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X선 조사 장치로부터 X선이 조사되면, X선 센서(10)에는 조사량에 따라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통신회로(113)를 통해 인터페이스 장치(100)로 입력된다.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신호처리회로(112)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게 되고, 처리된 전기적 신호는 통신회로(113)를 통해 콘솔(20)로 출력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인식모듈(120)을 통해 음성 명령을 인식하고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음성출력수단(130)은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상태나 촬영 상태 등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스피커(speaker)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장치(100)나 X선 센서(10)가 오작동 하는 경우에 이를 촬영자에게 알려주거나, 촬영 준비 상태를 촬영자에게 확인시켜주거나, 촬영자가 차페실 내의 수진자에게 촬영 상황을 안내하거나 촬영 준비 사항 등을 지시하는 등, X선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촬영자나 수진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자는 인터페이스 장치(100)나 X선 센서(10)의 상태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수진자는 촬영 상황을 음성으로 안내 받음으로써 심리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음성출력수단(130)을 통해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수진자에게 촬영 상황을 안내함에 있어, 촬영자는 차폐실 외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사용하여 안내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이와 연동된 음성출력수단(130)을 통해 안내 음성이 수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출력수단(130)을 통해 촬영자에게 출력되는 안내 음성은,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구비된 메모리와 같은 저장소자에 사전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 장치(100)에는, 전술한 음성출력수단(130)과 유사하게, X선 촬영 상태 정보를 촬영자나 수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각적 수단인 상태표시수단(1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표시수단(140)으로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표시장치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태표시수단(140)은 통신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 X선 촬영 준비 상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 등, 인터페이스 장치(100)나 X선 센서(10)의 동작 상태를 촬영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처럼, 상태표시수단(140)을 통해 X선 촬영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더욱 참조하여, 전술한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사용하여 X선 촬영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촬영자는 X선 촬영의 사전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촬영자는 콘솔(20)에서 X선 촬영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X선 센서(10)로서 구강내 센서를 수진자의 구강내 원하는 부분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사전 단계가 완료된 후, 촬영자는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음성인식모듈(120)의 마이크(121)에 촬영 준비 명령을 음성으로 입력한다 (S10).
이와 같은 준비 명령에 따라 X선 촬영 준비 동작이 실행되어,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X선 센서(10)는 X선 촬영 준비 상태에 놓이게 된다 (S20).
이처럼, 촬영자의 준비 명령에 따라, X선 센서(10)는 다수의 프레임 동안 반복적으로 리셋되어 초기화되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X선 센서(1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한편, 촬영자의 준비 명령이나 X선 센서(10)의 준비 상태 확인에 따라, 촬영준비완료 신호가 콘솔(20) 측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콘솔(20)은 촬영 지시 명령과 같은 사전에 설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준비 명령에 따른 X선 센서(10)의 리셋과 관련하여, 이는 콘솔(20)의 X선 촬영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없이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콘솔(20)의 X선 촬영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의해 X선 센서(10)가 리셋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X선 조사 장치로부터 X선이 조사되면 (S30), X선 센서(10)는 전기적 신호 즉 영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발생된 영상 신호를 적어도 1개의 프레임 동안 읽어 들이고(read out)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콘솔(20)로 전송하게 된다 (S40).
한편, 콘솔(20)에 전송된 영상 신호는, X선 촬영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합성되어 모니터 화면에 영상으로 표시되고, 또한 콘솔(20)의 저장소자에 저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성인신모듈을 사용하여 음성 명령으로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동작인식모듈을 사용하여 동작 명령으로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도 1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모듈(150)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촬영자는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동작인식모듈(150)은 사용자의 동작을 포착하기 위한 수단인 카메라(15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명령을 위한 촬영자의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손동작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모듈(150)을 사용함으로써, 상태 설정시 조작 버튼을 사용한 번거로운 조작 없이, 음성 명령으로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상태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음성인식모듈(120)이나 동작인식모듈(150)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2가지 모듈(120, 150) 모두를 사용하도록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음성인식모듈 및/또는 동작인식모듈에 더하여 향기 디스펜서(dispenser)가 인터페이스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실시예에 따른 X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는 전술한 제1 및 2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2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음성인식모듈(120)이 내장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예로서 동작인식모듈(도 3의 150)이 사용될 수도 있고, 음석인식모듈 및 동작인식모듈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장치(100)에는 향기를 분출하는 수단인 향기 디스펜서(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향기 디스펜서(160)는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향기로서 아로마 향기나 허브 향기 등을 분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X선 촬영시 향기 디스펜서(160)를 동작시켜 향기를 분출하도록 함으로써, 수진자는 보다 더 심리적 안정을 갖게 되어 원활할 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에 음성이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내장함으로써, 촬영 상태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스피커를 내장함으로써, 촬영 상태가 손쉽게 확인되고 수진자는 심리적 안정감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향기를 분출하는 디스펜서를 장착함으로써, 수진자의 심리적 안정감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 편의성이 상당한 정도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0: X선 센서 20: 콘솔
100: 인터페이스 장치 110: 구동회로부
111: 제어회로 112: 신호처리회로
113: 통신회로 120: 음성인식모듈
121: 마이크 130: 음성출력수단
140: 상태표시수단 150: 동작인식모듈
151: 카메라

Claims (7)

  1. X선 센서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센서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콘솔(console)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회로부와;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 및/또는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
    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인식모듈은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에, 상기 인식모듈은 동작 입력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자의 음성을 출력하거나 X선 촬영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향기를 분출하는 향기 디스펜서
    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7. X선 센서와;
    상기 X선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X선 센서에서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고, 콘솔(console)과 통신을 수행하는 구동회로부와, 촬영자의 음성을 인식 및/또는 촬영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를 포함하는 X선 센서 모듈.
KR1020140170677A 2014-12-02 2014-12-02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KR20160066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677A KR20160066372A (ko) 2014-12-02 2014-12-02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PCT/KR2015/013063 WO2016089112A2 (ko) 2014-12-02 2015-12-02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677A KR20160066372A (ko) 2014-12-02 2014-12-02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372A true KR20160066372A (ko) 2016-06-10

Family

ID=5609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677A KR20160066372A (ko) 2014-12-02 2014-12-02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66372A (ko)
WO (1) WO20160891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381A (ko) * 2018-05-10 2019-11-20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인식을 이용한 방사선 발생기의 2중 제어 장치 및 방사선 발생기의 2중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0354B (zh) * 2020-04-17 2023-11-21 绵竹市人民医院 一种医用x线摄影语音控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218A (ja) * 1996-02-16 1997-08-26 Hitachi Medical Corp X線診断装置
JP4230709B2 (ja) * 2002-03-15 2009-02-25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
JP2007233850A (ja) * 2006-03-02 2007-09-13 Gifu Univ 医療処置評価支援装置、医療処置評価支援システム、及び医療処置評価支援プログラム
EP3495816A1 (fr) * 2011-04-08 2019-06-12 Roquette Freres Methodes de detection de contaminants dans des solutions contenant des polymeres de glucose
KR20130010425A (ko) * 2011-07-18 2013-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381A (ko) * 2018-05-10 2019-11-20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인식을 이용한 방사선 발생기의 2중 제어 장치 및 방사선 발생기의 2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112A3 (ko) 2016-10-13
WO2016089112A2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181B1 (ko) 치과용 구강스캐너 시스템
CN107708569B (zh) 放射线照射装置、放射线照射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EP3050512A1 (en) Intra-oral image aquisition alignment
US115897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near infrared-based diagnostic images of teeth
EP3571662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ynamic range compression
KR20150001178A (ko) 의료 기기를 통한 대상체의 위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6372A (ko) 엑스선 센서용 인터페이스 장치와 이를 포함한 엑스선 센서 모듈
JP6132984B2 (ja)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及びその撮像方法
EP3287076B1 (en) X-ray irradiating device including motion sensor and x-ray imaging method using same
JP2006521131A (ja) 電子センサを有するx線システム
JP6540348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101708115B1 (ko) 휴대용 엑스선 영상획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획득 방법
JPWO201822106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90040826A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엑스선 디텍터 및 엑스선 영상 촬영 시스템
US10506997B2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US11321880B2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specifying an important region of an operation target in a moving image
US11523729B2 (en) Surgical controll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surgical system
JP6972810B2 (ja) 放射線制御装置
JP5570351B2 (ja) コンソール、入力端末、および、x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10211918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together with a superimposed light component representing a code
US20220273256A1 (en) Imaging suppor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for the same
JP7298742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コンソール
JP6860050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撮影制御装置、放射線撮影方法及び放射線撮影プログラム
US11013477B2 (en) Positioning guidance system for x-ray exams
JP6906945B2 (ja) X線診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