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129B1 -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129B1
KR101510129B1 KR20130081270A KR20130081270A KR101510129B1 KR 101510129 B1 KR101510129 B1 KR 101510129B1 KR 20130081270 A KR20130081270 A KR 20130081270A KR 20130081270 A KR20130081270 A KR 20130081270A KR 101510129 B1 KR101510129 B1 KR 10151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ray
body profile
dimensional
dimensional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184A (ko
Inventor
김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보
Priority to KR2013008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1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53Display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26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for obtaining three-dimensional pi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대상이 서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스탠드부; 상기 촬영 대상이 눕거나 엎드리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촬영 대상을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실링부;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테이블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 X축 카메라; 상기 촬영 대상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Y축 좌측 카메라 및 Y축 우측 카메라; 평균 신장 및 남녀 성별에 따른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 상기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과 상기 X축 카메라와 상기 Y축 좌측 카메라와 상기 Y축 우측 카메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조사량에 조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하여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부;를 포함하는,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THREE-DIMENSIONAL POSITIONING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촬영 대상이 되는 인체나 동물에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정한 조사량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계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고,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간단한 알고리즘으로도 계산이 가능한,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X-ray)는 빠른 전자를 물체에 충돌시킬 때 방출되는 투과력이 강한 복사선(전자기파)을 말하며, 이와 같은 엑스레이를 이용하여 인체를 투과시켜 촬영하는 검사를 엑스선 촬영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엑스선 촬영은 몇 가지 위험성과 촬영 대상이 되는 일반인들에게 거부감이 일정 부분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붕괴 사고 등을 통해서 방사선 피폭의 위험성이 부각되는 사건이 벌어질 때마다 엑스선 촬영은 일반인들에게 거부감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임산부, 어린아이, 노약자의 경우 그 위험성에 취약할 수 있다.
나아가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방사선사의 경우, 경험과 경력이 많아서 엑스레이 촬영에 적합한 엑스레이 조사량을 조절하는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방사선사가 있는 반면에, 경험과 경력이 많지 않아서 엑스레이 촬영에 적합한 엑스레이 조사량을 조절하는 노하우가 없어서 의료영상 확보를 위해서 적정 조사량 이상의 조사량을 갖는 엑스레이 촬영을 해버려 방사선 피폭의 위험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초래할 위험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위험을 낮추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677호(2012.08.23 공개)에서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그 오차를 보정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및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위치보정 방법을 개시하고, 의료용 엑스레이(X-ray)촬영시스템은 센서를 구비하며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피촬영체를 지지하며 상기 센서가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비컨(Beacon)을 구비하는 촬영테이블과,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테이블 간의 위치를 비교하여 그 위치 오차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보정된 위치로 상기 촬영장치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고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촬영 대상이 되는 인체나 동물에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정한 조사량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간단한 계산 방법을 통해서 이와 같은 조사량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677호(2012.08.23 공개),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및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위치보정 방법(X-RAY IMAGING SYSTEM AND POSITION CALIB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촬영 대상이 되는 인체나 동물에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정한 조사량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계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고,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간단한 알고리즘으로도 계산이 가능한,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은, 촬영 대상이 서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스탠드부; 상기 촬영 대상이 눕거나 엎드리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촬영 대상을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실링부;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테이블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 X축 카메라; 상기 촬영 대상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 평균 신장 및 남녀 성별에 따른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 상기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과 상기 X축 카메라와 상기 제 1 Y축 카메라와 상기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조사량에 조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하여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엑스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엑스레이의 촬영 각도와,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여 엑스레이 조사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엑스레이 조사영역을 조리개 조절을 통해서 조절하는 콜리메이터의 방향과, 엑스레이 촬영 영역을 입력받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엑스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조사량에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서의 촬영 위치와 해당 부위의 두께를 계산하여, 상기 엑스레이 조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X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Y축 카메라 및 상기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촬영 대상이 되는 인체나 동물에 유해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정한 조사량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계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고,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존에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변형하는 방식으로, 즉 간단한 알고리즘으로도 계산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엑스레이 방사선사가 경험이나 경력이 적어서 촬영 노하우가 없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촬영 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도 최적의 방사선량을 조사함으로써 엑스레이 촬영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피해나 위험을 최소화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사회경제적으로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하여 사회경제적인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서 X축 카메라와 제 1 Y축 카메라와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서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과 X축 카메라와 제 1 Y축 카메라와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의 알고리즘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서 입력부로서 3차원 위치선정 커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한 촬영 영역 및 좌표의 선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서 X축 카메라와 제 1 Y축 카메라와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서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과 X축 카메라와 제 1 Y축 카메라와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의 알고리즘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에서입력부로서 3차원 위치선정 커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의한 촬영 영역 및 좌표의 선정에 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은, 스탠드부와, 테이블부와, 실링부와, X축 카메라와,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와,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와,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엑스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는 Y축 좌측 카메라 및 Y축 우측 카메라를 각각 의미할 수도 있고, Y축 우측 카메라 및 Y축 좌측 카메라를 의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탠드부는, 촬영 대상,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이 해당 스탠드부의 위치에 서서 엑스레이(X-ray) 촬영을 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테이블부는, 촬영 대상인 사람이나 동물이 뒤로 눕거나 옆으로 눕거나 엎드리는 등의 자세를 취해서 엑스레이 촬영이 가능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실링(ceiling)부는 천장에 매달려 있는 구성으로, 위에서 설명한 테이블부에 누워있거나 옆드려 있는 촬영 대상인 사람이나 동물에 대해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X축 카메라는 스탠드부와 테이블부 사이를 X축 카메라 레일을 통해서 스탠드부와 테이블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부의 위치에서의 엑스레이 촬영과 테이블부의 위치에서의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는, 촬영 대상인 인체나 동물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여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구성으로, 촬영 대상의 눕거나 엎어지는 동작, 돌아서는 동작에 따라서 좌우측이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카메라와 Y축 좌측 카메라 및 Y축 우측 카메라를 통해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한 영상의 처리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는 촬영 대상의 평균 신장 및 남녀 성별에 따른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의 결과에 기초하여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를 업데이트 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과 X축 카메라와 Y축 좌측 카메라와 Y축 우측 카메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인 인체나 동물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는, 위에서 설명한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엑스레이부는,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조사량에 조절하여, 촬영 대상인 인체나 동물에 대하여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엑스레이부는 실링부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탠드부를 향해 회전 설정하는 경우 스탠드부와 연동하여 촬영 대상을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테이블부를 향해 회전 설정하는 경우 테이블부와 연동하여 촬영 대상을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엑스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택일적으로,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엑스레이의 촬영 각도와,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여 엑스레이 조사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엑스레이 조사영역을 조리개 조절을 통해서 조절하는 콜리메이터의 방향과, 엑스레이 촬영 영역을 입력받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엑스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입력부로서 3차원 위치선정 커서를 이용하는 경우와, 이 경우 촬영 영역 및 좌표의 선정에 대한 예시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조사량에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서의 촬영 위치와 해당 부위의 두께를 계산하여, 상기 엑스레이 조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X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Y축 좌측 카메라 및 상기 Y축 우측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계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고, Y축 좌측 카메라 및 Y축 우측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존에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변형하는 방식으로, 즉 간단한 알고리즘으로도 손쉽게 계산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정면과 측면의 2D 영상의 계측점에서 사영 투영을 이용하여 인체의 3차원 계측점의 위치를 추정하는 개념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하면, 절대 좌표인 기구물의 끝단과 수평의 교차점, 카메라 높이를 3D 인체의 원점 O(X, Y, Z)으로 하고, 가상 수직면에서도 같은 점을 원점 o(X0, Y0)으로 한다. 카메라는 기구물의 끝단에서 Z만큼 떨어져 있다. 또 인체 표면상의 어깨 높이점을 Pf(Xf, Yf, Zf), 가상 수직면상에 투영된 점을Pf(Xf, Yf)라 한다. 나아가서 원점을 중심으로 높이는 H, 너비는 W, 두께를 D라 하면, 가상 수직면에 투영된 높이는 hf, 너비는 wf이다. 인체의 측면 영상에서 H는 hs에, D는 ds에 투영된다고 가정한다. 정면과 측면의 영상에서 사영투영을 고려하여 실제거리와 투영거리의 관계를 아래아 같이 정식화할 수 있다.
즉, 이것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Figure 112013062260576-pat00001
식 (1)과 식 (2)를 연립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3062260576-pat00002
카메라의 거리(Z), 정면과 측면의 투영거리(wf, ds)를 알면, 식 (3) 내지 식 (6)을 통해서 계측점의 3차원 위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투영거리는 기구물의 절대 위치, 절대 크기와 화소 거리를 비교하여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관계를 이용하여 2D 영상의 계측점에서 사영 투영을 이용하여 인체의 3차원 계측점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일례이며, 다른 변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촬영 대상이 서서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스탠드부;
    상기 촬영 대상이 눕거나 엎드리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의 촬영 대상을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실링부;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테이블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 X축 카메라;
    상기 촬영 대상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제 1 Y축 카메라 및 제 2 Y축 카메라;
    평균 신장 및 남녀 성별에 따른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
    상기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저장부에 저장된 평균적인 3차원 인체 프로파일과 상기 X축 카메라와 상기 제 1 Y축 카메라와 상기 제 2 Y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3차원 인체 프로파일 생성부;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서의 촬영 위치와 해당 부위의 두께를 계산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엑스레이 조사량을 조절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하여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부;를 포함하는,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하고자 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엑스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엑스레이의 촬영 각도와, 내부에 램프를 구비하여 엑스레이 조사 영역을 표시하며 상기 엑스레이 조사영역을 조리개 조절을 통해서 조절하는 콜리메이터의 방향과, 엑스레이 촬영 영역을 입력받는 것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서, 상기 생성된 촬영 대상의 3차원 인체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엑스레이부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엑스레이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절대 위치와 크기를 대비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키와 두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좌측 카메라 및 상기 Y축 우측 카메라의 촬영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관절의 좌표를 인식하고, 상기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의 기구물의 면적에 비례하여 상기 촬영 대상의 부위별 면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KR20130081270A 2013-07-10 2013-07-10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KR10151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270A KR101510129B1 (ko) 2013-07-10 2013-07-10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270A KR101510129B1 (ko) 2013-07-10 2013-07-10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84A KR20150007184A (ko) 2015-01-20
KR101510129B1 true KR101510129B1 (ko) 2015-04-08

Family

ID=5257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270A KR101510129B1 (ko) 2013-07-10 2013-07-10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856B1 (ko) * 2016-07-28 2017-08-21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KR20180013821A (ko) * 2017-08-08 2018-02-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1524S1 (en) 2018-03-06 2020-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766A (ja) 2006-01-23 2007-08-09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顔画像記録装置
JP2009530037A (ja) 2006-03-24 2009-08-27 ストライ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患者の体との関係で手術器具を三次元トラ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93677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및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위치보정 방법
KR20130010425A (ko) * 2011-07-18 2013-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9766A (ja) 2006-01-23 2007-08-09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顔画像記録装置
JP2009530037A (ja) 2006-03-24 2009-08-27 ストライカー・コーポレーション 患者の体との関係で手術器具を三次元トラ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93677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및 엑스레이 촬영시스템의 위치보정 방법
KR20130010425A (ko) * 2011-07-18 2013-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조사영역 조절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856B1 (ko) * 2016-07-28 2017-08-21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WO2018021845A1 (ko) * 2016-07-28 2018-02-01 (주)오스테오시스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88929A (zh) * 2016-07-28 2019-05-21 株式会社澳思托 Dexa方式的骨密度和身体成份的检测系统及其方法
KR20180013821A (ko) * 2017-08-08 2018-02-07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KR101890154B1 (ko) * 2017-08-08 2018-08-21 주식회사 오스테오시스 체형 사전 감지를 이용한 덱사 방식의 골밀도 및 신체조성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84A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478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field of view for exposure of an X-ray system, and an X-ray system
KR101695267B1 (ko) 환자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유닛, 영상 획득 장치, 및 위치결정 보조물을 광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EP2887876B1 (en) Patient-specific and automatic x-ray system adjustment based on optical 3d scene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US11464475B2 (en) Self-calibrating technique for x-ray imaging scanners
US201703725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omposition
JP5837261B2 (ja) マルチカメラ装置追跡
US201700146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tient position monitoring
CN110740687B (zh) X射线照相装置
US1178347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field-of-view preview
TW201542170A (zh) 結合深度攝影機的x光機曝光參數自動控制裝置及方法
JP6970203B2 (ja) 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および撮像されるべき解剖学的構造の位置決め
KR101510129B1 (ko) 3차원 위치설정 실링 시스템
JP6732489B2 (ja) X線撮影機器のアライメント調整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54862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medical device, and treatment system
US20180168535A1 (en) X-ray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432789B2 (en) Self-calibrating technique for x-ray imaging scanners
JP2015077251A (ja) X線撮影装置及びx線検出器収納容器
JP6518250B2 (ja) 生体構造の部分ボリュームの位置決め
KR102526490B1 (ko) 전산화 단층촬영 및 이미징될 체적의 위치설정
JP2019180799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27651A (ja) 情報処理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031001A1 (en) Object visualisation in x-ray imaging
JP2022147527A (ja) 計測システム、計測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