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548B1 - 댐퍼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548B1
KR101811548B1 KR1020167000007A KR20167000007A KR101811548B1 KR 101811548 B1 KR101811548 B1 KR 101811548B1 KR 1020167000007 A KR1020167000007 A KR 1020167000007A KR 20167000007 A KR20167000007 A KR 20167000007A KR 101811548 B1 KR101811548 B1 KR 101811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magnetic
electromagnetic coil
connecting member
side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353A (ko
Inventor
아츠시 오가와
게이지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rubber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0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F16F1/361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omprising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M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댐퍼 마운트 장치는, 자성 입자를 내포하고, 댐퍼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는 자성 고무 마운트와, 자성 입자에 자장을 부여하는 전자기 코일과, 전자기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댐퍼 마운트 장치 {SHOCK ABSORBER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댐퍼를 차체에 연결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JP7-266821A에는, 댐퍼의 댐퍼 로드에 고정되는 스프링 시트와, 차체에 고정되는 외통과, 스프링 시트와 외통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고무제의 완충 부재를 구비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댐퍼 마운트 장치에서는, 댐퍼 로드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서 완충 부재가 탄성 변형되고, 댐퍼 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의 댐퍼 마운트 장치에서는, 완충 부재의 강성에 의해 그 감쇠 특성이 정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댐퍼 로드로부터 차체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충분히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감쇠 특성을 가변으로 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느 형태에 의하면,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를 상기 차체에 연결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이며, 자성 입자를 내포하고, 상기 댐퍼와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는 자성 고무 마운트와, 상기 자성 입자에 자장을 부여하는 전자기 코일과, 상기 전자기 코일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댐퍼 및 댐퍼 마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댐퍼 마운트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댐퍼(완충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륜(15)의 차축(16)에 연결되는 실린더(13)와, 실린더(13)로부터 돌출되어 차체(12)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11)를 구비한다. 댐퍼(10)로서 신축식의 실린더 댐퍼가 사용된다.
차축(16)과 차체(12) 사이에는, 댐퍼(10)와 함께 현가 스프링(도시 생략)이 설치된다. 현가 스프링은, 차량의 주행 시에 차륜(15)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신축함으로써 흡수한다. 댐퍼(10)는 현가 스프링과 함께 신축 작동하고, 그 내부에 발생한 오일의 흐름에 의한 저항에 의해 현가 스프링의 진동을 감쇠한다.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댐퍼는, 리니어 모터 등에 의해 신축 작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현가 스프링이 불필요하게 된다.
차량에는, 댐퍼(10)의 피스톤 로드(11)를 차체(12)에 연결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100)가 설치된다.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 마운트 장치(100)는 댐퍼(10)로부터 차체(12)에 전해지는 진동을 감쇠하는 자성 고무 마운트(완충 부재)(21)와,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차체(12)에 연결하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댐퍼(10)에 연결하는 댐퍼측 연결 부재(25)를 구비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는 고무재, 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에 자성 입자를 내포한다. 자성 입자는, 예를 들어 철분 등의 자성체의 입자가 사용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자장이 인가되면, 자성 입자가 자기적으로 분극하여 자력선의 쌍방향으로 정렬하고, 분극한 입자 간의 자기적 결합이 증가한다. 이에 의해,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자성 고무 마운트(21)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서 자성 입자의 배향이 바뀜으로써, 그 강성이 변화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로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고무 재료에, 자성 입자를 분산시킨 것이 사용된다. 자성 입자로서는, 네오디뮴이나 사마륨에 철이나 질소 등을 첨가한 희토류 자성분이나, 철분, 페라이트 등이 사용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피스톤 로드(11)가 삽입 관통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한쪽의 단부면(21B)에는, 차체측 연결 부재(23)가 결합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다른 쪽의 단부면(21A)에는, 댐퍼측 연결 부재(25)가 결합된다.
차체측 연결 부재(23)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에 의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체(12)에 대하여 볼트(도시 생략) 등을 개재하여 체결된다.
댐퍼측 연결 부재(25)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에 의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11)에 너트(17)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차체측 연결 부재(23) 및 댐퍼측 연결 부재(25)는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개재하여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자성 고무 마운트(21), 차체측 연결 부재(23) 및 댐퍼측 연결 부재(25)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여 결합하도록 해도 된다.
댐퍼 마운트 장치(100)는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자장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외주를 포위하는 전자기 코일(31)을 구비한다.
전자기 코일(31)은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외주를 따라서 다수 회 감기는 선재(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된다. 선재는, 예를 들어 구리선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플랜지부를 갖는 통 형상의 보빈에 전자기 코일(31)의 선재를 권회하고, 보빈의 내측에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댐퍼 마운트 장치(100)는 전자기 코일(31)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컨트롤러(40)를 구비한다. 전자기 코일(31)의 선재 양단에는 리드선(41)이 접속되고, 이 리드선(41)이 컨트롤러(40)에 접속된다.
댐퍼 마운트 장치(100)는 전자기 코일(31)의 외주를 포위하는 요크 부재(27)를 구비한다. 요크 부재(27)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에 의해 플랜지가 설치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요크 부재(27)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의 외주부(23A)에 결합되는 단부(27A)와, 댐퍼측 연결 부재(25)의 외주부(25A)에 간극(29)을 갖고서 대치하는 단부(27B)를 갖는다.
차체측 연결 부재(23)의 외주부(23A)와 요크 부재(27)의 단부(27A)에는, 서로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요크 부재(27)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에 체결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요크 부재(27)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에 접착이나 감합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요크 부재(27)의 단부(27B)와 댐퍼측 연결 부재(25)의 외주부(25A) 사이에 간극(29)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전자기 코일(31)이 발생하는 자장이 요크 부재(27)의 외측으로 누출하는 것을 억제해도 된다. 또한, 요크 부재(27)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댐퍼측 연결 부재(25)와 차체측 연결 부재(23)의 외경은,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외경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고, 댐퍼(10)로부터 차체에 전해지는 진동이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전체에 전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체측 연결 부재(23), 댐퍼측 연결 부재(25) 및 요크 부재(27)는 전자기 코일(31)의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한 자력선을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유도하는 자로를 구성한다. 또한, 피스톤 로드(11)는 비자성체로 형성되고, 자속이 피스톤 로드(11)가 아니라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집중하도록 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11)의 일부, 또는 댐퍼측 연결 부재(25)의 일부를 비자성체로 형성하여, 자로를 단락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전자기 코일(31)이 만드는 자장은, 도 2에 자력선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측 연결 부재(23), 자성 고무 마운트(21), 댐퍼측 연결 부재(25) 및 요크 부재(27)를 통하여 루프 형상으로 유도된다.
차체측 연결 부재(23), 자성 고무 마운트(21), 댐퍼측 연결 부재(25), 요크 부재(27) 및 전자기 코일(31)은 댐퍼(10)의 중심축 O과 동축 상에 배치된다.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댐퍼측 연결 부재(25)는,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중심축 O 방향에 대하여 끼우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자기 코일(31)의 둘레에 발생하는 자력선은,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대하여 댐퍼(10)의 중심축 O 방향으로 유도된다. 즉, 댐퍼(10)와 차체(12) 사이에 진동 등에 의한 힘이 작용했을 때에 자성 고무 마운트(21)가 신축하는 방향으로 자력선이 유도된다.
전자기 코일(31)로부터의 자력선이,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대하여 댐퍼(10)의 중심축 O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내포되는 자성 입자가 중심축 O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에 의해,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중심축 O 방향에 대하여 높여진다. 즉, 자성 고무 마운트(21)가 신축하는 방향으로 자력선을 유도함으로써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을 효율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댐퍼(10)의 실린더(13)에는, 댐퍼 가속도를 검지하는 댐퍼 가속도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댐퍼 가속도 센서는, 실린더(13)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댐퍼 가속도에 따른 신호를 컨트롤러(40)에 송신한다.
컨트롤러(40)는 댐퍼(10)의 댐퍼 가속도의 검지 신호와, 차량 주행 속도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검지 신호에 따라서 전자기 코일(31)에 유도되는 여자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댐퍼 가속도 센서는, 차축(16)과 함께 동작하는 서스펜션 아암(도시 생략) 등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11)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 센서를 설치하고, 변위 센서의 출력을 2단 미분한 신호를 댐퍼 가속도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댐퍼 가속도 센서는, 댐퍼(10)의 상하 가속도로서 실린더(13)와 피스톤 로드(11)의 상대 가속도를 검출해도 된다.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요철이 작은 상태에서는, 차체에 전해지는 진동도 작고, 댐퍼 가속도의 검출 신호도 작아진다.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요철이 큰 상태에서는, 차체에 전해지는 진동도 크고, 댐퍼 가속도의 검출 신호도 커진다.
컨트롤러(40)는 댐퍼 가속도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고, 댐퍼 가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기 코일(31)에 유도되는 여자 전류를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컨트롤러(40)는 댐퍼 가속도가 감소되면, 그에 따라, 전자기 코일(31)에 유도되는 여자 전류를 증가시킨다.
상기 제어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요철이 작은 상태에서는,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높게 유지된다. 그리고, 노면의 요철이 커지는 것에 수반하여,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낮아진다.
이에 의해, 노면 상태에 따른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이 얻어지고, 댐퍼(10)로부터 차체(12)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유효하게 억제된다. 따라서,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40)는 차량의 주행 속도 검지 신호를 수신하고, 주행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자기 코일(31)에 유도되는 여자 전류를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주행 속도가 감소하면, 그에 따라, 전자기 코일(31)에 유도되는 여자 전류를 감소시킨다.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는, 컨트롤러(40)에 설치해도 되고, 미리 차량에 설치된 차속 센서의 출력 신호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제어에 의해, 차량의 주행 속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낮게 유지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 속도가 높아지는 것에 수반하여,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높여진다.
이에 의해,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른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이 얻어지고, 차륜(15)의 접지성을 높여 조종성,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댐퍼 마운트 장치(100)는 자성 입자를 내포하고, 댐퍼(10)와 차체(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자성 고무 마운트(21)와, 자성 입자에 자장을 부여하는 전자기 코일(31)과,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전자기 코일(31)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하면, 전자기 코일(31)이 자성 입자에 부여하는 자장의 변화에 따라서 자성 고무 마운트(21) 내에서의 자성 입자의 배향이 바뀜으로써,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변화한다. 컨트롤러(40)가 차량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전자기 코일(31)에 여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전자기 코일(31)이 자성 입자에 부여하는 자장이 발생하여,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을 바꿀 수 있다.
또한, 댐퍼 마운트 장치(100)는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차체(12)에 연결하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댐퍼(10)에 연결하는 댐퍼측 연결 부재(25)와,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댐퍼측 연결 부재(25) 사이에서 전자기 코일(31)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을 유도하는 요크 부재(27)를 구비한다. 자성 고무 마운트(21)는 상기 전자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댐퍼측 연결 부재(25)와 요크 부재(27)로 전자기 코일(31)을 덮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하면, 전자기 코일(31)의 둘레에 발생하는 자력선이, 차체측 연결 부재(23), 댐퍼측 연결 부재(25) 및 요크 부재(27)를 통하여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유도된다. 따라서, 전자기 코일(31)의 자장을,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자성 입자에 유효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댐퍼(10)는 신축식의 실린더 댐퍼이며, 전자기 코일(31)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이,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대하여 댐퍼(10)의 신축 방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하면, 전자기 코일(31)로부터의 자력선이,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대하여 댐퍼(10)의 축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자장의 강도에 따라서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댐퍼(10)의 축방향에 대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을 유효하게 바꿀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는 댐퍼(10)의 상하 가속도가 커지면, 전자기 코일(31)에 공급되는 여자 전류를 저감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하면, 컨트롤러(40)가 댐퍼 가속도에 따라서 전자기 코일(31)에 흐르는 여자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상태에 따라서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강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노면 상태에 따른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차체의 주행 속도가 커지면, 전자기 코일(31)에 공급되는 여자 전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하면, 컨트롤러(40)가 차체의 속도에 따라서 전자기 코일(31)에 흐르는 여자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차체의 속도에 따른 댐퍼 마운트 장치(100)의 감쇠 특성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댐퍼 마운트 장치의 감쇠 특성을 바꾸도록 해도 된다. 일례로서, 컨트롤러(40)에, 전자기 코일(31)에 공급하는 전류를 전환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운전자가 스위치를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이것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측 연결 부재(25)와 차체측 연결 부재(23)가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양 단부면(21A, 21B)에 결합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자성 고무 마운트(21)의 내주, 외주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댐퍼 마운트 장치는, 차량에 한하지 않고, 다른 기계, 설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원은 2013년 7월 24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53506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5)

  1. 차축(16)과 차체(12) 사이에 설치되는 댐퍼(10)를 상기 차체(12)에 연결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100)이며,
    자성 입자를 내포하고, 상기 댐퍼(10)와 상기 차체(12) 사이에 설치되는 자성 고무 마운트(21)와,
    상기 자성 입자에 자장을 부여하는 전자기 코일(31)과,
    상기 전자기 코일(31)에 여자 전류를 공급하는 컨트롤러(40)와,
    상기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상기 차체(12)에 연결하는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상기 자성 고무 마운트(21)를 상기 댐퍼(10)에 연결하는 댐퍼측 연결 부재(25)와,
    상기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상기 댐퍼측 연결 부재(25) 사이에서 상기 전자기 코일(31)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을 유도하는 요크 부재(27)를 구비하고,
    상기 자성 고무 마운트(21)는, 상기 전자기 코일(3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체측 연결 부재(23)와 상기 댐퍼측 연결 부재(25)와 상기 요크 부재(27)로 상기 전자기 코일(31)을 덮는, 댐퍼 마운트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10)는, 신축식의 실린더 댐퍼이며,
    상기 전자기 코일(31)로부터 발생하는 자장이, 상기 자성 고무 마운트(21)에 대하여 상기 댐퍼(10)의 신축 방향으로 발생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1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댐퍼(10)의 상하 가속도가 커지면, 상기 전자기 코일(31)에 공급되는 여자 전류를 저감시키도록 제어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상기 차체(12)의 주행 속도가 커지면, 상기 전자기 코일(31)에 공급되는 여자 전류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댐퍼 마운트 장치(100).
  5. 삭제
KR1020167000007A 2013-07-24 2014-07-24 댐퍼 마운트 장치 KR101811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3506A JP6166975B2 (ja) 2013-07-24 2013-07-24 ダンパマウント装置
JPJP-P-2013-153506 2013-07-24
PCT/JP2014/069562 WO2015012351A1 (ja) 2013-07-24 2014-07-24 ダンパマウン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353A KR20160015353A (ko) 2016-02-12
KR101811548B1 true KR101811548B1 (ko) 2017-12-21

Family

ID=5239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007A KR101811548B1 (ko) 2013-07-24 2014-07-24 댐퍼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16727B2 (ko)
JP (1) JP6166975B2 (ko)
KR (1) KR101811548B1 (ko)
CN (1) CN105378327A (ko)
DE (1) DE112014003436T5 (ko)
WO (1) WO2015012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011A1 (ja) * 2015-03-16 2016-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イナミックダンパ、防振装置、及び磁気粘弾性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WO2018008425A1 (ja) * 2016-07-05 2018-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能動型騒音振動制御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02587B (zh) * 2016-12-16 2020-02-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悬置系统、悬置结构和电动汽车及其减震控制方法
JP6576412B2 (ja) * 2017-11-17 2019-09-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用のマウント
JP2019120275A (ja) * 2017-12-28 2019-07-22 Kyb株式会社 マウント装置
CN109305009B (zh) * 2018-10-30 2020-07-31 西南交通大学 一种面向路噪控制的交联磁浮式悬架外连接套
JP2020133699A (ja) * 2019-02-15 2020-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マウント
CN111016453B (zh) * 2020-01-07 2021-12-17 苏州三湘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喷涂件打标方法
KR102403638B1 (ko) * 2020-08-28 2022-05-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력을 이용하여 운동량을 감쇠하는 부유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106A (ja) 2005-01-12 2006-08-24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
WO2012026332A1 (ja) * 2010-08-25 2012-03-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磁気応答型弾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7004U (ja) * 1983-04-22 1984-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棒状サスペンシヨン部材の緩衝連結構造
JPH05296283A (ja) 1992-04-13 1993-11-09 Bridgestone Corp 緩衝装置
JPH07266821A (ja) 1994-03-29 1995-10-17 Fuji Heavy Ind Ltd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とマウントブラケットとの結合構造
US5816587A (en) * 1996-07-23 1998-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brake shudder
JP3696358B2 (ja) * 1996-12-27 2005-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減衰力可変式ダンパ
US5814999A (en) * 1997-05-27 1998-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splacement and force
US5974856A (en) * 1997-05-27 1999-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llowing rapid evaluation of chassis elastomeric devices in motor vehicles
JP4500471B2 (ja) * 2001-07-10 2010-07-1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機能付きショックアブソーバ
DE10206927B4 (de) * 2002-02-19 2004-11-18 Trelleborg Automotive Technical Centre Gmbh Hydraulisch dämpfendes Lager
DE10213996A1 (de) * 2002-03-27 2003-10-16 Freudenberg Carl Kg Schaltbares Aggregatelager mit hydraulischer Dämpfung
US6896109B2 (en) * 2003-04-07 2005-05-24 Csa Engineering, Inc. Magnetorheological fluid vibration isolator
US20050205364A1 (en) * 2004-03-12 2005-09-22 Browne Alan L Variable resistance strut assemblies and articles containing the same
CN1803484A (zh) * 2005-01-12 2006-07-19 东洋橡胶工业株式会社 悬架支承件
US7284644B2 (en) * 2005-03-16 2007-10-23 Bfs Diversified Products, Llc Multiple load path air spring assembly
CN1324248C (zh) * 2005-04-01 2007-07-04 中国科学技术大学 刚度和阻尼均可控的减振器
US20080302024A1 (en) * 2007-06-05 2008-1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unable impedance load-bearing structures
US8210547B2 (en) * 2009-06-16 2012-07-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ctive magneto-rheological spring assemblies and vehicle suspension systems incorporating the same
US9328791B2 (en) 2011-08-29 2016-05-03 Honda Motor Co., Ltd.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US20130087985A1 (en) * 2011-10-05 2013-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gneto-rheological elastomer-based vehicle suspension
DE102013109006B4 (de) * 2013-08-20 2017-07-27 Trelleborgvibracoustic Gmbh Hydrola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106A (ja) 2005-01-12 2006-08-24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
WO2012026332A1 (ja) * 2010-08-25 2012-03-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磁気応答型弾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6975B2 (ja) 2017-07-19
JP2015024672A (ja) 2015-02-05
US20160152108A1 (en) 2016-06-02
US9616727B2 (en) 2017-04-11
DE112014003436T5 (de) 2016-05-04
KR20160015353A (ko) 2016-02-12
WO2015012351A1 (ja) 2015-01-29
CN105378327A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48B1 (ko) 댐퍼 마운트 장치
US11001120B2 (en) Suspension with hydraulic preload adjust
EP231218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damper
JP6329693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防振装置、及び磁気粘弾性エラストマの製造方法
US201502319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damping
JP6058527B2 (ja) トルクロッドの振動低減装置
JP2003156099A (ja) 再生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5547000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システム
JPH06312616A (ja) 防振支持装置
JP2019120275A (ja) マウント装置
US7102474B2 (en) Adaptable vibration absorber employing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with variable gap length and methods and systems therefor
KR100347554B1 (ko) 엠알유체를이용한반능동마운트
KR101222912B1 (ko) 자기 유변 유체 스프링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서스펜션 구조체
JP2008298269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用吸振機
JP2023161998A (ja) 防振装置
KR20190084792A (ko) 자기 유변 쇼크 업소버의 피스톤 위치와 속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H0544758A (ja) 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20040027137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및 현가장치용 자기 충전식 액티브쇽업소버
JP2011094744A (ja) サスペンションおよび制振装置
SU1750998A1 (ru) Подвеска сидень машиниста крана
KR20180114288A (ko) 자기장을 이용한 차량용 엠알(mr) 댐퍼
CN110848304A (zh) 一种永磁汽车减震系统
KR100398185B1 (ko) 리니어모터를 이용한 차량의 쇽업소버
JP2007028713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防振装置
JPH04203635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