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218B1 - 직류 모터 - Google Patents

직류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218B1
KR101811218B1 KR1020110001558A KR20110001558A KR101811218B1 KR 101811218 B1 KR101811218 B1 KR 101811218B1 KR 1020110001558 A KR1020110001558 A KR 1020110001558A KR 20110001558 A KR20110001558 A KR 20110001558A KR 101811218 B1 KR101811218 B1 KR 10181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motor housing
connection module
bearing
direc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781A (ko
Inventor
아놀드 테이멜
Original Assignee
맥슨 모터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슨 모터 아게 filed Critical 맥슨 모터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08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64Motors specially adapted for running on DC or AC by cho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하우징과 상기 모터 하우징 상에 설치되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직류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고, 고객 요구 사항들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또한 좁은 설치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직류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모듈 상의 센터링 홈 또는 센터링 돌출부와 결합하는 전면 센터링 돌출부 또는 센터링 홈을 포함하는 모터 하우징과, 탑재 중 상태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지 않게 연결된 상기 연결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직류 모터{DIRECT CURRENT MOTOR}
본 발명은 모터 하우징(motor housing)과 상기 모터 하우징 상에 설치되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모듈(connection module)을 포함하는 직류 모터(direct current motor: DC motor)에 관한 것이다.
이전의 통상적인 소형 전력 DC 모터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주로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의 자기장을 위한 외부 요크(outside yoke)의 기능들을 통합한 부분과 정의된(또는 결정되거나 기설정된) 드릴 패턴(drill pattern)을 갖는 연결 플랜지(connection flange)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입체물(solid)로부터 형성된다. 요구 정밀도가 다소 낮은 경우에, 모터 하우징을 디프 드로잉(deep-drawing)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연결 나사를 위한 작업을 더 수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영구 자석의 자기장을 위한 외부 요크 및 기설정된 드릴 패턴을 갖는 연결 플랜지가 고정된 각 위치(angular position)에서 프레싱(pressing), 용접(welding), 나사 조립, 볼트 조립 또는 유사한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분리된 부분들인 경우에, 이러한 방식의 모터 하우징을 위한 디자인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든 모터 하우징들은 고정된 디자인과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만약 고객이 모터를 원하는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드릴 패턴을 필요로 한다면, 이는 모터 하우징이 해당 방식으로 조정되거나, 연결 플랜지가 고객의 스펙(specification)에 맞게 조정되어야 하므로, 이는 모터가 수작업으로 재조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경들을 구현하기 위해, 그래서 고객에 의해 요구되는 드릴 패턴을 갖는 어댑터 플레이트(adapter plate)를 모터 하우징의 전면(front side)에 부착하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해당 어댑터 플레이트가 단지 부착될 이미 완성된 모터를 구매할 수 있으므로, 이는 빠른 배송을 허용한다. 어댑터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수고와, 어댑터 플레이트로 인한 전체 길이의 증가와, 추가적인 어댑터 플레이트를 위한 비용 증가는 이러한 방식의 단점들에 해당한다.
미국특허번호 US 4,227,101은 어댑터 링(adapter ring)을 갖는 스텝퍼 모터(stepper motor)를 개시한다. 상기 어댑터 링은 상기 스텝퍼 모터를 설치 장소에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결 드릴 패턴을 갖는다. 스텝퍼 모터의 모터 하우징의 전면에는 정렬(aligning) 또는 센터링 돌출부(centering projection)와 어댑터 링과의 연결을 위한 나사 홀들(threaded holes)이 제공된다. 상기 어댑터 링에는 중앙 구멍과 그 둘레에 형성된 3개의 아치형 길쭉한 홀들(arcuate elongated holes)이 제공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의 센터링 돌출부가 상기 어댑터 링의 중앙 구멍을 통해 돌출되도록, 상기 어댑터 링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부착된다. 상기 모터의 나사 홀들에 삽입되고 약하게 조여진 나사들은 상기 어댑터 링의 아치형 길쭉한 홀들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탑재 위치에서, 상기 어댑터 링은 상기 나사들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에 느슨하게 고정된다. 상기 탑재 위치에서, 상기 어댑터 링은 여전히 상기 길쭉한 홀들에 의해 허용되는 정도까지 회전 가능하다. 상기 어댑터 링은 제한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모터 샤프트(motor shaft)는 상기 어댑터 링의 연결 드릴 패턴에 대해 원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나사들은 상기 길쭉한 홀들 내에 단단하게 조여지므로, 탑재된 상태에서 어댑터 링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어댑터 링은 제한된 각도로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오직 상기 연결 드릴 패턴의 특정 위치들만이 설정될 수 있다.
독일 특허번호 DE 690 25 317 C2는 마운팅 플랜지를 갖는 소형 전력 전기 모터를 개시한다. 상기 소형 전력 전기 모터는 원하는 설치 장소에서 상기 마운팅 플랜지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랜지는 상기 소형 전력 전기 모터의 모터 하우징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포트 형태의 섹션(pot-shaped sect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마운팅 플랜지와 상기 모터 하우징은 서로 접착된다. 이러한 방식의 단점은, 상기 소형 전력 전기 모터는 꽤 큰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단점은, 브러시드 DC 모터들(brushed DC motor)의 경우에, 브러시 리드(brush lid)는 정류자(commutation)를 설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영구 자석이 그 내부에 탑재된 고정자(stator)에 대해 회전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연결 플랜지의 드릴 패턴에 대해 전기 커넥터들(electrical connections)의 각 위치는 결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모터들에서 + 25°까지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좁은 설치 공간을 갖는 응용 예들이나, 여러 모터들이 근접하여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에 위와 같은 모든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이하, 각 위치라고 함은 각도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해결책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특히 소형이고,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또한 좁은 설치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DC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연결 모듈 상의 센터링 홈(centering recess) 또는 센터링 돌출부(centering elevation)와 결합하는 전면 센터링 돌출부 또는 센터링 홈을 포함하는 모터 하우징과, 탑재 중 상태(mounting state)에서 모터 하우징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탑재된 상태(mounted state)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과 회전 가능하지 않게 연결된 연결 모듈이 제공된다. 이때, 탑재 중 상태는 탑재 완료되지 않은 상태, 즉 결합되었지만 회전 가능한 상태를 말하고, 탑재된 상태는 탑재 완료된 상태, 즉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상기 모터를 원하는 설치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옵션들(fastening options)(또는 부가적 고정 수단들)을 제공하는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상에 탑재된다. 즉, 상기 연결 모듈은 연결 플랜지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DC 모터의 전면에 부착되므로, 상기 연결 모듈의 센터링 돌출부 또는 센터링 홈은 상기 DC 모터의 센터링 홈 내로 결합되거나 상기 DC 모터의 센터링 돌출부를 둘러싼다. 상기 연결 모듈은 탑재 중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므로,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 상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 모듈은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은 연결 구멍을 갖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벽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을 수 있으므로, 최소 길이의 하우징이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DC 모터를 소형이면서도 저가로 만들 수 있게 한다. 상기 DC 모터의 조립 라인(assembly line)에서, 연결 기하 구조(connection geometry)와 관련한 어떠한 변형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조립 장치들은 보강될 필요가 없고, 상기 DC 모터의 조립에 오직 작은 수고만이 필요할 것이다. 고객 특정(customer-specific) 연결 기하 구조는 해당 모듈이 탑재된 조립 완료된 DC 모터 상에 구현된다. 이는 고객 특정 수정들을 위한 짧은 작업 처리 시간을 가져온다. 상기 DC 모터는 브러시드 DC 모터이거나, 또한 브러시리스(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다. 이때, 브러시드 DC 모터는 브러시를 구비한 것이고, 브러시리스 DC 모터는 브러시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C 모터의 모터 샤프트를 위한 베어링(bearing)은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위로 돌출되고, 센터링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베어링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전체 길이의 추가 단축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은 오직 상기 DC 모터의 베어링 상에 정렬된다. 이는 정밀도 및 허용 오차(tolerance)를 각각 향상시킨다.
편의상, 상기 모터 하우징의 전면 상에 베어링 시트(bearing seat)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시트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그 내부에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베어링 시트의 높이는 상기 베어링의 높이보다 작다. 즉, 상기 모터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이 단순화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다는 것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른 변형 예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접착(gluing), 용접(welding) 또는 성형(forming) 공정에 의해 상기 모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용이하게 고정되고, 탑재된 상태에서, 후속 조정(예를 들어, 이송 중에)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때, 성형은 프레싱, 몰딩, 공작기계 가공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모듈은 상기 DC 모터의 전기 커넥터들에 대해 정밀한 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브러시드 DC 모터의 경우에서 특히 중요하다. 상기 연결 모듈은 정류자가 이미 설치된 조립 완료된 모터 상에 탑재된다. 그래서, 상기 모터의 전기 커넥터들의 각 위치는 상기 연결 모듈의 설치 동안에 이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 모듈은 탑재 중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기 커넥터들은 상기 DC 모터의 고정, 즉 상기 연결 모듈에 대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DC 모터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은 적절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의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상기 DC 모터들은 근접하게,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모듈은 연결 포인트(connection point)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드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볼트 조립을 통해 상기 DC 모터를 원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모듈은 연결 포인트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리브(fastening ri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상기 DC 모터의 매우 용이한 고정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류 모터는, 소형이고, 고객 요구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또한 좁은 설치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DC 모터의 분해도;
도 2는 DC 모터의 전면도; 그리고
도 3은 연결 모듈이 탑재된 DC 모터의 모터 하우징의 전면을 지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및 동작 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DC 모터(1)의 분해 예시도이다. 상기 DC 모터는 브러시드 DC 모터 또는 브러시리스 DC 모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경우는 브러시드 DC 모터와 관련된다. 상기 DC 모터(1)는 모터 하우징(3) 및 연결 모듈(2)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3)은 바람직하게는 포트 형태이다. 이는 상기 모터 하우징(3)이 모터 하우징 하단(motor housing bottom, 5)과 일체로 연결되는 외주면(4)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하단은 바닥 또는 기저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 시트(6)는 모터 하우징 몸체 내에 형성된다. 모터 샤프트(8)의 끝단(또는 단부)이 지지되는 베어링(7)은 베어링 시트(6) 내에 배치된다.
즉,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은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3)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과는 반대편인 DC 모터(1)의 후면(또는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상단)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들(10)이 탑재된 브러시 리드(9)는 여기에 고정된다.
DC 모터(1)의 모터 하우징(3)의 전면 및 모터 하우징 하단(5) 각각 상의 베어링 시트(6)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그 높이가 베어링 시트(6) 내에 탑재된 베어링(7)의 높이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베어링(7)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 위로 외향 돌출되면서 센터링 돌출부를 형성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은 상기 베어링 시트(6)를 제외하고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갖고, 특히 DC 모터(1)를 연결 포인트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구멍을 갖지 않는다.
그 후면 상에, 상기 연결 모듈(2)은 센터링 홈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링 홈은 근사적으로 원이고, 상기 센터링 홈의 외경은 상기 베어링(7)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DC 모터(1)의 모터 하우징(3) 상의 모터 샤프트(8)에 대해 동축으로 부착된다. 상기 베어링(7)은 상기 연결 모듈(2)의 센터링 홈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모터 하우징(3)과 중심 정렬(centering)된다. 상기 연결 모듈(2)의 센터링 홈의 직경이 베어링(7)의 외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상기 모터 하우징(3)에 부착된 이후에도 상기 연결 모듈(2)은 여전히 회전 가능하다. 이하, 부착이라고 함은 홈 내에 돌기가 삽입되는 것과 같은 기구적 결합, 설치, 고정 등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으로부터 밖으로 향하는 그 전면(11) 상에,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DC 모터(1)를, 예를 들어 승용차 내, 원하는 설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옵션들(즉, 부가적 고정 수단들)을 구비한다. 예시된 경우에서, 구멍들(bores, 12)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상기 구멍들(12)에 의해 형성된 드릴 패턴은 고객 특정 요구 사항들에 따른다. 즉, 상기 구멍들(12)의 위치는 고객 요구 사항들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고정 리브들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DC 모터(1)의 모터 하우징(3)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모듈(2)은 용접, 접착, 프레싱 또는 수축(shrinking)에 의해 상기 모터 하우징(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연결 모듈(2)이 탑재된 DC 모터(1)를 그 전면으로부터 나타낸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DC 모터(1)가, 예를 들어 자동차 내, 원하는 설치 장소에 이를 이용하여 탑재되는 3개의 구멍들(12)을 포함한다. 상기 DC 모터(1)의 모터 하우징(3)과 같이, 상기 연결 모듈(2)은 원형 단면을 갖지만, 상기 전면이 접근 가능하지 않은 경우의 설치 환경 하에서, 그 후면으로부터의 고정 조작을 또한 허용하는 상기 모터 직경 외측의 구멍들을 갖는 사각형, 삼각형 또는 타원 형태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2)에는 상기 모터 샤프트(8)를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구멍(bore, 13)이 그 중심에 제공된다. 상기 구멍(13)의 직경은 상기 모터 샤프트(8)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베어링(7)이 또한 보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 상에서, 상기 구멍(13)의 직경은 증가하고, 상기 베어링(7)에 부착되는 센터링 수용 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 모듈(7)은 상기 모터 하우징(3) 상의 상기 DC 모터(1)의 전기 커넥터들에 대해 정밀한 각 위치로 탑재된다. 상기 구멍들(12)과 상기 전기 커넥터들(10) 사이의 각도 α는 약 + 2°의 정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2) 상의 구멍들(12, 13)은 중앙(또는 중심) 구멍(13)과 주변 구멍들(12)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연결 모듈(2)이 고정된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전면, 즉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을 지나는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 베어링 시트(6)는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의 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를 위한 베어링(7)은 상기 베어링 시트(6) 내에 탑재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베어링 시트(6)의 높이 H1은 상기 베어링(7)의 높이 H2보다 작다. 그래서, 상기 베어링(7)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 위로 외향 돌출된다. 즉, 상기 베어링(7)은 센터링 돌출부를 형성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3) 내 상기 베어링(7)의 양호한 유지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시트(6)의 높이 H1은 상기 베어링(7)의 높이 H2의 절반과 적어도 일치해야 한다. 이는 H1 > 0.5·H2인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센터링 돌출부가 상기 베어링(7)에 의해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의 전면 상에 또한 형성되도록, 상기 베어링 시트(6)의 높이 H1은 또한 너무 커서는 안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시트(6)의 높이 H1은 상기 베어링 높이 H2의 약 2/3~4/5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중앙 구멍(13)을 구비한다. 상기 구멍(13)은 계단 형태이다. 이는 상기 구멍이 그 가상의 길이 방향 연장선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들을 갖는 2 부분들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을 향한(또는 이에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구멍(13)은 직경 D2를 갖는다. 이러한 직경 D2는 상기 베어링(7)의 직경과 거의 근사적으로 일치한다. 즉, 이러한 부분에서, 상기 구멍(13)은 센터링 홈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모터 하우징(3)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구멍(13)의 직경 D2를 갖는 부분은 상기 베어링(7)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 모듈(2)의 전면을 향한(또는 이에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구멍(13)의 직경 D1은 더 작다. 즉, 상기 베어링(7)을 위한 스탑(stop)(또는 걸림 턱)은 여기에 형성된다. 즉, 상기 구멍(13)의 큰 직경 부분과 작은 직경 부분의 경계면에 상기 스탑이 형성되거나, 상기 경계면이 스탑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DC 모터(2)의 모터 샤프트가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상기 직경 D1은 충분히 크다.
또한, 상기 고정 구멍들(12)은 상기 연결 모듈(2) 내에 형성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하우징(3) 및 연결 모듈(2)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그 외측 단,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에서, 작은 숄더(shoulder, 15)가 상기 모터 하우징(3)에 형성된다. 그래서, 이러한 부분에서의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직경은 그 중앙 부분에서의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직경보다 작다. 그 외주 상에, 상기 연결 모듈(2)은 돌출 리브(14)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14)의 내경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의 가늘어진 끝단(15)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그래서, 상기 연결 모듈(2)의 리브(14)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의 가늘어진 부분(15)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연결 모듈(2)은 추가로 상기 모터 하우징(3)과 중심 정렬되고 그 위에서 안정화된다. 즉,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 상에 돌출된 리브(14)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의 외측면에 형성된 숄더(15)가 결합하게 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리브(14) 및 숄더(15)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하우징(5)의 일부가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 상에 구획된 공간(즉, 상기 리브(14)와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 내로 삽입된다.
상기 연결 모듈(2)을 상기 DC 모터(1)의 모터 하우징(3) 상에 탑재하는 과정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제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먼저, 상기 DC 모터(1)가 탑재된다. 예시된 DC 모터는 브러시드 DC 모터이기 때문에, 상기 DC 모터(1)의 조립을 완료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들이 제공된 브러시 리드(9)가 상기 DC 모터(1)의 모터 하우징(3) 상에 탑재된다. 상기 DC 모터(1)의 정류자를 설치하기 위해, 영구 자석들이 고정자 내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3) 내에 배치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브러시 리드는 회전된다. 상기 브러시 리드(9)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DC 모터(1)의 전기 커넥터들의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베어링(7)은 상기 모터 하우징(3)의 베어링 시트(6) 내로 삽입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 위로 외향 돌출된다.
이후,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에 의해 형성된 상기DC 모터(1)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8)는 상기 연결 모듈(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13)을 관통한다.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 상에, 상기 구멍(13)은 확대된 직경을 갖고, 직경 D2를 갖는 센터링 홈을 형성한다. 상기 센터링 홈의 직경 D2는 상기 베어링(7)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이미 전술한 것처럼, 상기 베어링(7)은 상기 DC 모터(1)의 전면 위로 돌출된다. 이는 상기 전면 또는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에 형성된 상기 베어링 시트(6)의 높이 H1이 상기 베어링(7)의 높이 H2보다 작기 때문이다. 상기 베어링(7) 및 상기 연결 모듈의 후면 상의 센터링 홈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DC 모터(1)와 중심 정렬된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연결 모듈(2)의 후면이 상기 모터 하우징 하단(5)에 안착할 정도로 상기 모터(1)에 부착된다. 상기 연결 모듈은 여전히 탑재 중인 상태에 있다. 상기 연결 모듈(2)의 센터링 홈의 직경이 상기 베어링(7)의 외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상기 연결 모듈(2)은 여전히 탑재 중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모듈(2)은 이제 상기 구멍들(12) 또는, 예를 들어 고정 리브와 같은, 상기 연결 모듈(2) 상에 형성된 다른 고정 수단이 상기 DC 모터(1)의 전기 커넥터들(10) 또는 상기 DC 모터의 설치 장소에서의 고정 포인트들에 대해 원하는 각 위치를 가질 정도까지 회전된다. 상기 연결 모듈(2)이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모터 하우징(3)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모터 하우징(3) 상에 용접, 접착, 프레싱 또는 수축될 수 있다. 그래서, 모터 하우징(3) 및 연결 모듈(2)은 탑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3) 및 이에 탑재된 상기 연결 모듈(2)을 구비한 상기 DC 모터(1)의 전체 길이는 추가의 어댑터 플레이트를 갖지 않는 이전에 알려진 소형 전력 DC 모터들이 또한 갖는 길이와 근사적으로 대응된다.
1: DC 모터, 2: 연결 모듈, 3: 모터 하우징, 5: 모터 하우징 하단, 6: 베어링 시트, 7: 베어링, 8: 모터 샤프트, 9: 브러시 리드

Claims (7)

  1. 모터 하우징(3) 및 상기 모터 하우징(3) 상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모듈(2)을 포함하는 직류 모터(1)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3)은 상기 연결 모듈(2) 상의 센터링 홈과 결합하는 전면 센터링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모듈(2)은 탑재 중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 하우징(3) 상에서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고, 탑재된 상태에서는 상기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지 않게 상기 모터 하우징(3)에 연결되며,
    상기 직류 모터(1)의 모터 샤프트(8)를 위한 베어링(7)은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전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전면(5)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센터링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모듈(2)은 상기 베어링(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3)의 전면(5)에는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고 그 내부에 상기 베어링(7)이 배치된 베어링 시트(6)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시트(6)의 높이는 상기 베어링(7)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2)은 접착, 용접 또는 성형법에 의해 상기 모터 하우징(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2)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직류 모터(1)의 전기 커넥터들(10)에 대해 정밀한 각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2)은 연결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드릴 패턴(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듈(2)은 연결 포인트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모터.
  7. 삭제
KR1020110001558A 2010-01-08 2011-01-06 직류 모터 KR10181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0334.0 2010-01-08
EP10150334.0A EP2343793B1 (de) 2010-01-08 2010-01-08 Anschlussmodul für Gleichstrommoto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781A KR20110081781A (ko) 2011-07-14
KR101811218B1 true KR101811218B1 (ko) 2017-12-22

Family

ID=4379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558A KR101811218B1 (ko) 2010-01-08 2011-01-06 직류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42639B2 (ko)
EP (1) EP2343793B1 (ko)
JP (1) JP6004303B2 (ko)
KR (1) KR101811218B1 (ko)
CN (1) CN1021228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2481A1 (de) * 2012-11-19 2014-05-22 Sew-Eurodrive Gmbh & Co Kg Elektromotor mit einem Stator
DE102013222402A1 (de) 2013-11-05 2015-05-21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mit einem Befestigungsflansch
JP6316035B2 (ja) * 2014-03-14 2018-04-25 山洋電気株式会社 モータ構造
DE102015207548A1 (de) * 2015-04-24 2016-10-27 Robert Bosch Gmbh Motorgehäuse für einen Elektromotor,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ischen Lenkmotor
JP6457920B2 (ja) * 2015-11-26 2019-01-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動機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8009527A1 (de) * 2018-12-07 2020-06-10 Wilo Se Elektromotor mit Montageflansch
DE102020200280A1 (de) * 2020-01-11 2021-07-1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ehäuse eines Elektromo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040A (ja) * 2006-01-06 2007-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08095862A1 (de) * 2007-02-05 2008-08-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Gleichstrommo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2342A (en) * 1928-06-04 1931-09-08 Electric Auto Lite Co Frame structure for dynamo-electric machines
US3760209A (en) * 1972-05-25 1973-09-18 Vernco Corp Split end bell for motor housing
US3830595A (en) * 1972-08-16 1974-08-20 Tappan Co Motor mounting support
US3787014A (en) * 1973-04-30 1974-01-22 R Story Replacement motor mounting
US3941339A (en) * 1975-04-25 1976-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Mounting arrangement for fan motor
US4076197A (en) * 1976-06-18 1978-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Torsional vibration isolating motor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227101A (en) * 1978-06-05 1980-10-07 Transicoil, Inc. Stepper motor and adaptor ring
DE3635987A1 (de) * 1986-10-23 1988-05-05 Biro Elektromotorenfabrik Gmbh Elektrische maschine
JPH0294450U (ko) * 1989-01-13 1990-07-26
US5113104A (en) * 1989-10-19 1992-05-12 General Electric Company Structured product dynamoelectric machine
US5172022A (en) * 1991-09-23 1992-12-15 Ketola Dana A Motorcycle alternator with alternative mounting
ES2158972T3 (es) * 1995-10-20 2001-09-16 Mannesmann Vdo Ag Motor electrico y mecanismo de medida, especialmente para instrumentos indicadores en vehiculos automoviles.
US5905320A (en) * 1997-10-08 1999-05-18 Siemens Canada Limited Housing for an ultra quiet electric motor
JP2000324761A (ja) * 1999-05-06 2000-11-24 Nikki Denso Kk 同期型回転機のエンコーダ連結構造
JP2003189531A (ja) * 2001-12-11 2003-07-04 Asmo Co Ltd 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US6720693B2 (en) * 2002-07-24 2004-04-13 Emerson Electric Co. Fluid management system for a housing of an electrical device
DE20302174U1 (de) 2003-02-11 2004-09-09 Minebea Co., Ltd. Wellend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und Elektromotor, insbesondere für ein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US7077736B2 (en) * 2003-03-03 2006-07-18 Credo Technology Corporation Angle attachment for power tool
DE102004011666A1 (de) 2003-09-22 2005-04-21 Nanotec Electronic Vertriebs G Linearaktuator
DE102004021537A1 (de) * 2004-05-03 2005-12-08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 und Getriebe-Antriebseinheit für Stellantriebe im Kraftfahrzeug
JP3957704B2 (ja) * 2004-05-27 2007-08-15 偉中 蘇 モーターケース
DE102005030217A1 (de) 2005-06-29 2007-01-04 Robert Bosch Gmbh Elektromotor und Getriebe-Antriebseinheit für Stellantriebe im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040A (ja) * 2006-01-06 2007-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08095862A1 (de) * 2007-02-05 2008-08-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Gleichstrom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42803A (ja) 2011-07-21
CN102122856A (zh) 2011-07-13
CN102122856B (zh) 2015-11-25
EP2343793B1 (de) 2020-09-16
EP2343793A1 (de) 2011-07-13
JP6004303B2 (ja) 2016-10-05
KR20110081781A (ko) 2011-07-14
US8742639B2 (en) 2014-06-03
US20110169362A1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218B1 (ko) 직류 모터
US11585458B2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7057317B2 (en) Electric motor
JP6543999B2 (ja) 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630141B2 (en) Driving apparatus
JPH0753402Y2 (ja) ブラシ装置
US20180198351A1 (en) Inverter-integrated motor
KR100769840B1 (ko) 전기식 구동 유니트
US9488506B2 (en) Resolver
JP2016226176A (ja) モータ
JP2016195503A (ja) モータ
KR20150050556A (ko) 자동차에서 가동 부품을 모터로 조정하기 위한 전기 기기, 그리고 상기 전기 기기의 제조 방법
KR20010071466A (ko) 전기 모터 구동 장치, 특히 차량의 파워 윈도 구동 장치
JP2018182912A (ja) 回転電機
JP2021027620A (ja) モータ
JPWO2006120934A1 (ja) 電動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ホルダ
CN107836074B (zh) 用于电动机的磁式的探测器磁轮
JPH1028349A (ja) 電動モータの防水構造
EP3719966B1 (en) Motor
JP200629599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2027542A (ja) 電気モータ用のガイドエレメント
JP2008151527A (ja) レゾルバロータの取付方法
WO2016068074A1 (ja) 駆動装置
CN108242869B (zh) 用于将传感器磁体固定在马达轴上的磁体架
JPH09121500A (ja) 電気的な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