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486B1 -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486B1
KR101810486B1 KR1020160046849A KR20160046849A KR101810486B1 KR 101810486 B1 KR101810486 B1 KR 101810486B1 KR 1020160046849 A KR1020160046849 A KR 1020160046849A KR 20160046849 A KR20160046849 A KR 20160046849A KR 101810486 B1 KR101810486 B1 KR 10181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unit
shaf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111A (ko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6004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48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컨트롤유닛; 및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정보가 기등록된 비밀키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비밀키정보가 일치하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도어의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유닛과, 상기 도어에 구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을 포함한 도어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유닛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래치하우징과,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며 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본 발명은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열쇠키나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열쇠키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키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록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제어하며,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고 부드럽게 개폐시킬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개폐장치는 열쇠키를 이용하거나, 키패드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하거나, 생체인증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였다. 또한, 도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회전식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헤드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정된 행위는 사용자 입장에서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쇠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정당한 권리자라도 원천적으로 출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경우 비밀번호를 잃어버리거나 타인에 의해 부정한 방법으로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생체인증 방식은 정확한 생체인식 및 인식처리 기술을 요하는 만큼 도어록 장치에 적용시 제조단가가 높아져 실제 시장에서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도어가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웠다.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조는 래치유닛만으로 도어를 잠그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외부인이 출입하는 현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래치유닛은 도어의 닫힘시와 개방시를 고려하여 래치헤드의 형상이 직선면과 호형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형상의 래치헤드는 도어의 개방시 래치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여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래치헤드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기 전까지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래치헤드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는 순간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 동작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055269 (공고일 2011.08.09) 한국등록특허: 10-0596690 (공고일 2006.07.0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신호를 통해 비밀키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비밀키정보를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키정보의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며, 도어록장치의 비밀키정보의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에 기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도어록장치에 전송하고 도어록장치의 비밀키정보의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래치유닛의 래치바의 이동에 따라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 내로 인입되다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함으로써 종래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고, 아울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컨트롤유닛; 및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정보가 기등록된 비밀키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비밀키정보가 일치하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도어의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유닛과, 상기 도어에 구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을 포함한 도어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유닛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래치하우징과,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며 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바에는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래치바의 걸림턱에 걸림되고 타단이 상기 래치하우징의 내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 2 결합부에 핀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의 타단은 핀의 중심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기울기를 갖으며, 상기 래치하우징에는 상기 스토퍼 이동 구간의 후방부에 상기 스토퍼의 타단이 래치하우징의 내면에 걸림되지 않고 핀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도록 허용하는 회전유도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하우징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이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구멍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단부에 형성된 제 1 요입홈과 상기 제 1 요입홈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2 요입홈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타고 구름 운동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와 제 2 결합부에는 스토퍼의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면과 래치하우징의 후방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헤드가 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제 1 결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바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면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래치헤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을 갖는 안내편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이면 하단부에는 가이드 몸체의 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록장치에는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잠금 신호를 입력하는 잠금버튼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잠금버튼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수행되도록 상기 데드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은 비밀키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며,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등록된 비밀키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비밀키 정보가 인증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록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유닛은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상기 개폐유닛의 제 1 실시 예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활주체가 결합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유닛의 제 2 실시 예는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가 구비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체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체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체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구성은 개폐유닛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된다.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체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주체는 래치이송부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이송부는 구간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구간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드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에 연동되어 구간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도어록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이 부드럽고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며,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유닛의 활주체가 자유곡면의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방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되는 래치유닛의 래치바가 이동되면서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가 수용부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에 따라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드유닛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래치유닛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컨트롤유닛인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컨트롤유닛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컨트롤유닛인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개폐유닛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체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개폐유닛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체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래치유닛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래치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의 래치유닛을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래치바의 이동이 제한되어 래치헤드가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스토퍼가 회전되어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게 되는 동작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어부로부터 데드유닛의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데드유닛의 데드볼트와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제어부로부터 데드유닛의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데드유닛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장치의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의 (a),(b)는 제어부로부터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데드유닛의 잠금 동작 및 데드유닛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개폐유닛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의 (a),(b)는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데드유닛의 잠금해지 동작 및 데드유닛의 잠금해지시 동력전달부가 개폐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에서 데드유닛의 잠금동작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장치에서 데드유닛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도 27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고, 도 2를 참고로 하여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며,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며, 도 4를 참고로 하여 홈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크게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컨트롤유닛(100)과,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비밀키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록장치(200)를 포함한다.
무선컨트롤유닛(100)은 스마트 키(110), 이동통신단말기(130), 홈네트워크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200)는 무선컨트롤유닛(100)으로부터 비밀키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210)와, 무선통신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정보가 기등록된 비밀키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비밀키정보가 일치하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220)와, 도어에 구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개폐유닛(400)과,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500)과,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도어의 해정을 수행하는 데드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도어록장치(200)는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버튼부(230)를 포함한다. 잠금버튼부(230)는 제어부(220)에 잠금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220)는 잠금버튼부(230)의 잠금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데드유닛(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도어록장치(200)는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0)와, 전원공급부(24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250)와,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부(2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240)는 배터리이고,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공급단자(250)에 비상 건전지를 접촉시켜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컨트롤유닛인 스마트 키(110)에는 비밀키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가 내장된다. 무선인식 태그는 비밀키정보가 저장된 태그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더로부터 RF로 태그 정보 제공 요청을 받으면 태그가 보유한 정보를 리더에 제공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스마트 키(110)의 태그로부터 제공된 비밀키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제어부(220)에 비밀키정보를 송신하는 RFID 리더(211)를 포함한다.
RFID 리더(211)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있으며, 접촉식의 경우, 스마트 키(110)를 접촉하여 비밀키정보를 읽어들이고, 비접촉식의 경우, 광신호나 무선 주파수신호 등 무선통신 접속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키(110)에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때, RFID 리더(211)의 유효감지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의 경우 1M 이하이며, 유효감지거리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인증(221)부를 포함하고, 인증부(221)는 비밀키정보가 인증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222)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220)는 인증부(221)를 통해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정보와 기설정된 비밀키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비밀키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 2 출력부(222)는 비밀키정보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한다.
데드유닛(600)은 제어부(22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으면 도어의 해정 동작을 수행한다.
즉, RF신호를 통해 비밀키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110)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RFID 리더(211)가 비밀키정보를 수신하고, 비밀키정보 인증 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정보가 기 설정된 비밀키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데드유닛은 해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어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키(110)는 분실시 제조사 또는 판매자로부터 재구매할 수 있고, 재구매한 스마트 키(110)는 도어록장치(200)의 제어부(220)에 등록시켜 RFID 리더가 읽어들인 스마트 키의 비밀키정보가 제어부(220)에 등록된 비밀키정보와 일치하도록 등록절차를 수행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110)를 분실하였거나, 스마트 키(110)를 몸에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이동통신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131)과,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132)과,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와 근거리통신을 통해 비밀키정보를 전달하는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212)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도어록장치(200)는 제조과정에서 제품일련번호가 부여됨과 아울러 제어부(2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밀키정보가 설정된다.
그리고,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는 제조된 도어록장치(200)의 제품일련번호 및 비밀키정보를 제조사 측으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록장치(200)를 구입한 후 도어록장치(200)에 부여된 제품일련번호 또는 비밀키정보를 이용하여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제품일련번호 또는 비밀키정보를 웹사이트로 전달하여 도어록장치(200)의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사용자 정보를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에 전달한다.
이어,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제품일련번호, 비밀키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밀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전달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저장된 비밀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로그인하면 암호화된 비밀키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비밀키정보가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통해 도어록장치(220)에 전송된다.
이어, 도어록장치의 제 1 통신부(212)는 전송된 비밀키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제어부(220)에 비밀키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제 1 통신부(212)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키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데드유닛(6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 제어부(220)로부터 신호를 받은 데드유닛(600)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비밀키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1)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16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52)와, 컨트롤러부(152)에서 전송된 비밀키정보를 도어록장치(200)에 송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16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도 있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PC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송된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어,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는 전송된 비밀키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제어부(220)에 비밀키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22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송된 비밀키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키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데드유닛(6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 제어부(220)로부터 신호를 받은 데드유닛은(6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이에 더하여 도어에는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27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카메라(270)는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외출시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카메라(270)는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213)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전송하며,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기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보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고,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어, 도어록장치(200)의 제어부(220)는 전송된 비밀키정보의 인증을 수행한 후, 데드유닛(6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로부터 신호를 받은 데드유닛(600)은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160)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기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하고, 도어록장치(200)는 제어부를 통해 전송된 비밀키정보의 인증을 수행한 후 데드유닛의 구동을 제어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데드유닛의 구성 및 동작과,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및 래치유닛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어의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구간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10)과, 고정브라켓(310)에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320)로 구성된다.
고정브라켓(310)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311)가 형성되고, 수용부(311)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3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파지부(32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지부(3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목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311)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용부(3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의 내부에는 손잡이부(300)의 동작과 연동되는 개폐유닛(400)과, 개폐유닛에 결합되는 래치유닛(500)과, 제어부(220)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데드유닛(600)이 설치되고, 개폐유닛(400)과 데드유닛(60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700)가 구비된다.
커버(700)에는 개폐유닛과 데드유닛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부품에 대응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일면에는 래치유닛의 래치헤드와 데드유닛의 데드볼트가 각각 출입하는 제 1, 제 2 출입공(710,720)이 형성된다.
먼저, 개폐유닛(400)은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개폐유닛(400)의 제 1 실시 예는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0)와,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420)와,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활주체(430)가 결합되는 래치이송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샤프트(410)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절개되어 개방되고, 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의 가이드홀(411)이 형성되며, 그 양단이 손잡이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겨서 수평 이동시키면 누름 및 당김 동작에 따른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손잡이부(300)와 연동하여 구간이동된다.
슬라이더부(420)는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이동대(421)와, 이동대(421)에 결합되고 일면에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캠블록(422)과, 캠블록(422)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블록(422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4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대(421)는 후술되는 데드유닛(600)의 제 2 샤프트(6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0)의 가이드홀(411)을 통해 제 1 샤프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캠블록(422)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대(421)의 구간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일면에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패드(424)는 캠블록(422)의 후면에 부착되어 캠블록(422)의 구간이동시 캠블록(422)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에는 래치이송부(440)에 결합되는 활주체(430)가 접촉된다.
래치이송부(440)는 제 1 샤프트(41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래치유닛(500)이 결합되는 결합공(441)이 형성되며, 제 1 샤프트(410)와 교차되도록 제 1 샤프트(410)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그리고, 래치이송부(440)의 내측에는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활주체(430)가 결합된다.
활주체(430)는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440)를 구간이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은 개폐유닛의 캠블록에 형성된 활주안내부 및 래치이송부에 구비된 활주체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의 활주체(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이동시 활주체(43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440)를 구간이동시킨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체(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이동시 활주체(43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440)를 구간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이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체(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44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체(43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이동시 활주체(43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이송부(440)를 구간이동시킨다.
그리고, 개폐유닛(400)의 제 2 실시 예는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0)와,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구간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430)가 형성된 슬라이더부(420)와, 활주체(43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활주체(4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래치이송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유닛(400)의 제 2 실시 예는 개폐유닛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캠블록(422)에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 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430)가 형성되고, 래치이송부(440)에 활주체(43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개폐유닛의 제 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캠블록에 형성된 활주체 및 래치이송부에 형성된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체(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이동되면 활주체(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경사면이 활주체(430)의 구간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이송부(440)를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시킨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체(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이동되면 활주체(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이 활주체(43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이송부(440)를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시킨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체(43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이송부(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이동되면 활주체(430)인 제 1 경사면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제 2 경사면이 활주체(43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이송부(440)를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시킨다.
이처럼 개폐유닛(400)의 제 2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제 1 샤프트(410)의 수평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430)가 형성되고, 래치이송부(440)에 일체로 활주체(4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캠블록(420)의 구간이동시 래치이송부(440)를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시킨다.
그리고, 래치이송부(440)는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귀스프링(442)에 탄지된다.
복귀스프링(442)은 일단이 커버(700)의 내벽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이송부(440)의 결합되어 래치이송부(4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래치이송부(440)의 구간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래치이송부(440)를 구간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래치이송부(440)의 결합공(441)에는 래치유닛(500)이 결합된다.
도 14 내지 도 19는 래치유닛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유닛(500)은 래치하우징(510)과, 가이드 몸체(520)와, 래치헤드(530)와, 래치바(540)와, 스토퍼(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하우징(510)은 내부에 수용부(517)가 구비되고, 수용부(517)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518)가 형성되며, 개구부(518)가 커버(700)에 형성된 제 1 출입공(710)에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래치하우징(510)은 일면에 개구부(518)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511)와, 중공의 몸체(511) 내에 가이드 몸체(520), 래치헤드(530), 래치바(540), 스토퍼(550)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중공의 몸체(511)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513)이 결합되어 수용부(517)가 형성된다.
이때, 중공의 몸체(511) 후단부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제 1 요입홈(512)이 형성되고, 후면판(513)에는 제 1 요입홈(512)과 대응하여 수직으로 제 2 요입홈(514)이 형성되는데, 제 1 요입홈(512)과 제 2 요입홈(514)은 중공의 몸체(511)와 후면판(513)의 결합으로 인하여 후술되는 스토퍼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유도구멍(515)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후면판(513)의 중앙에는 회전유도구멍(515)과 연결되거나 또는 분리되는 형태로 후술되는 래치바(540)가 통과되는 관통공(5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래치하우징(510)의 수용부(517) 내에 가이드 몸체(520)가 삽입된다.
가이드 몸체(520)는 외면이 래치하우징의 수용부(517) 내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부(517)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수용부(517)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당기거나 미는 힘의 가해지면 수용부(517) 내면을 따라 접촉되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몸체(520)는 일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521)가 구비되고, 이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522)가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래치바(540)가 통과되는 중앙홀(523)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몸체(520)의 이면에는 가이드 몸체(520)의 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돌기(524)가 돌출된다. 규제돌기(524)는 가이드 몸체(520)가 이동할 때 래치하우징(510)의 후면판(513)에 먼저 닿아 가이드 몸체(520)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가이드 몸체(520)의 제 1 결합부(521)에는 래치헤드(530)가 결합된다.
래치헤드(530)는 도어의 닫힘시와 개방시를 고려하여 직선면과 호형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래치헤드(530)의 일측 상단 즉, 직선면의 일단에는 가이드 몸체의 제 1 결합부(521)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531)이 형성된다.
래치헤드(530)의 제 1 결합편(531)은 가이드 몸체(520)의 제 1 결합부(521)와 힌지(532)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는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힌지(532)에는 일단이 제 1 결합부(521)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헤드(530)의 제 1 결합편(531)에 결합되는 스프링(533)이 감기며, 스프링(533)은 래치헤드(530)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한다.
또한, 래치헤드(530)에는 가이드 몸체의 제 1 결합부(521)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531a)이 형성된다. 곡면의 홈(531a)은 래치헤드(530)의 회전시 제 1 결합부(521)와 마찰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또한, 래치바(540)가 결합되는 면에는 래치바(540)와의 핀(535)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534)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몸체(520)의 이면과 래치하우징(510)의 후면판(513) 사이에는 가이드 몸체(520)를 탄성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536)이 장착된다.
탄성스프링(536)은 가이드 몸체(520)의 이면에 형성된 홈(536a)과 후면판(513)에 형성된 돌기(536b)에 끼움되어 장착되고, 탄성력으로 가이드 몸체(520)를 밀어서 래치헤드(530)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518)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 몸체(520)의 제 1 결합부(521)에 결합된 래치헤드(530)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518)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헤드(530)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518) 내측 턱에 걸리는 단턱(537)이 형성되고, 단턱(537)은 래치헤드(53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나 복귀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래치헤드(530)가 개구부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래치헤드(530)의 제 2 결합편(534)에는 래치바(540)가 결합된다.
래치바(540)는 일단이 래치헤드(530)의 제 2 결합편(534)에 핀(535)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 몸체의 중앙홀(523)과 래치하우징의 후면판(513)에 형성된 관통공(516)을 관통하여 래치이송부의 결합공(542)에 결합된다.
여기서, 래치바(540)의 일단에는 제 2 결합편(534)과의 핀(535) 결합을 위한 결합공(535a)이 형성되는데, 결합공(535a)은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치헤드(530)의 제 2 결합편(534)에 결합된 래치바(54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핀(535)의 유동거리를 확보하는 장홀로 형성된다.
그리고, 래치바(540)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이에 연동하는 개폐유닛(400)의 동작과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된다.
즉,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F2)이 작용하여 래치바(540)가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래치바(540)에 결합된 래치헤드(530)가 래치바(540)의 이동방향으로 이끌려 가게 되는데 이때, 래치헤드(530)가 결합된 가이드 몸체(520)도 함께 이끌려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530)가 래치하우징의 수용부(517)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가이드 몸체(520)의 이면에 돌출된 규제돌기(524)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513)에 걸려 가이드 몸체(5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54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이때, 래치헤드(530)의 회전시 래치헤드의 제 2 결합편(534)과 래치바(540)를 연결시키는 핀(535)이 장홀의 결합공(535a) 내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래치바(540)는 래치헤드(530)를 따라 회전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가이드 몸체(520)의 하단부에는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래치헤드(53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안내편(525)이 일체로 구비된다.
안내편(525)은 래치헤드(530)의 회전각과 동일한 곡면의 유도경사면(526)을 형성하여 힌지(532)를 중심으로 젖혀지는 래치헤드(53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한다.
여기서,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동작은 래치바(540)가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바(540)가 래치헤드(53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젖혀질 수도 있지만 역으로 래치헤드(530)의 직선면에 힘(F1)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 인해 래치바(540)가 이동되는 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려는 의도가 아닌 도어에 외력이 가해져 래치헤드(53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도어가 임의로 열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래치헤드(530)에 외력이 가해질 때는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기 때문에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5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50)가 구비된다.
스토퍼(550)는 가이드 몸체(520)의 제 2 결합부(522)에 결합되어 래치헤드(530)에 힘(F1)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540)의 이동을 제한하고,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400)의 연동에 따른 래치바(540)의 이동에 따라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래치바(540)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래치바(540)에는 스토퍼(5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542)을 갖는 걸림턱(5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550)는 일단이 래치바(540)의 걸림턱(541)에 걸림되고 타단이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림되도록 제 2 결합부(522)에 핀(551) 결합되되, 스토퍼(550)의 타단이 핀(551)의 중심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기울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550)의 일단은 래치바(540)의 이동시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타고 구름 운동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토퍼(550)의 타단에는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552)가 결합된다. 여기서, 롤러(552)는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밀착력을 제공하여 스토퍼(550)의 회전을 방지하고, 스토퍼(550)의 이동시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여 스토퍼(55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스토퍼(550)와 제 2 결합부(522)에는 일단이 스토퍼(5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결합부(522)에 결합되어 스토퍼(550)의 회전시 스토퍼(55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553)이 결합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50)는 일단이 래치바의 걸림턱(541)에 걸림되고 타단이 핀의 중심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림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져도 핀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5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래치바(540)가 이동되지 않게 되며, 아울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의 연동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F2)이 작용하면 래치바(540)가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바(540)에 결합된 래치헤드(530)와 함께 가이드 몸체(520)가 이끌려 래치바(54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가이드 몸체의 제 2 결합부(522)에 결합된 스토퍼(550)도 이동하여 래치하우징(510)의 후방부에 형성된 회전유도구멍(515)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50)가 회전유도구멍(515)에 위치하게 되면 스토퍼(550)의 타단이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스토퍼(550)의 일단은 계속되는 래치바(540)의 이동에 따라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542)을 타고 구름운동을 하면서 핀(55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래치바(540)의 이동을 허용한다.
다시, 도 7로 되돌아가서 데드유닛(600)은 제어부(220)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610)와,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620)와,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630)와,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작동부재(640)와,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6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부(610)는 손잡이부의 파지부(320) 내에 구비되고 제어부(2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는 구동부(610)에 결합되어 구동부(610)의 좌,우 회전시 구동부(610)와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고, 손잡이부(3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구간이동되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630)는 제 2 샤프트(620)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64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631)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631)의 끝단부에는 돌출부(632)가 형성되고, 돌출부(632)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6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640)는 중앙면에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641)이 삽입되어 직선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64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631)가 걸림되는 요입홈(643)이 형성되며, 요입홈(64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631)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64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핀(641)에는 회전부재의 레버(6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631)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64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645)은 지지핀(64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7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631)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633)을 경유하여 커버(700)의 내측벽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데드유닛과 개폐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은 제어부로부터 데드유닛의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제어부로부터 데드유닛의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되는 래치유닛의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 상태는 데드유닛(600)의 데드볼트(650)가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외출을 할 때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잠금버튼부(230)를 누르면, 잠금 신호가 제어부(220)에 인가되고, 제어부(22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데드유닛(600)의 구동부(61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610)에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를 회전시키고, 회전부재(630)의 회전은 작동부재(640)의 요입홈(643)에 삽입된 레버(631)를 회전시키며, 레버(63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640)가 레버(6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640)의 가이드홀(642)에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64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6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4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640)에 결합된 데드볼트(650)는 커버의 제 2 출입공(7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이때, 스마트 키(110)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잠금버튼부(230)를 누른 경우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110)의 지정된 유효감지거리를 벗어났을 때 구동부(610)에 잠금 신호가 인가되어 도어의 잠금이 수행된다.
그리고, 데드유닛의 데드볼트(650)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겼을 때 개폐유닛(400)이 동작하더라도 도어는 개방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신호를 받은 데드유닛의 구동부(610)는 타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부(610)와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620)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를 타방향을 회전시키고, 회전부재(630)의 회전은 작동부재(640)의 요입홈(643)에 삽입된 레버(63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작동부재(640)는 레버(6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640)에는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641)이 가이드홀(64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6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4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631)는 요입홈(643)의 일측벽 걸림홈(64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630)의 레버(631)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64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64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640)에 결합된 데드볼트(650)는 작동부재(640)의 이동에 의해 커버(700)의 제 2 출입공(7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파지부(320)가 구간이동되고, 파지부(320)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개폐유닛의 제 1 샤프트(410)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은 제 2 샤프트(6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0)의 가이드홀(411)을 통해 제 1 샤프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이동대(421)를 구간이동시키며, 이동대(421)의 이동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캠블록(422)을 구간이동시킨다.
이어 캠블록(422)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체(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활주체(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440)가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되며 아울러 래치이송부(440)에 결합된 래치유닛의 래치헤드(530)가 커버(700)의 제 1 출입공(7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래치이송부(440)를 탄지시키고 있던 복귀스프링(442)은 래치이송부(440)의 구간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래치유닛은 래치이송부(440)의 구간이동에 연동되어 래치바(540)가 구간이동되고, 래치바(540)의 이동으로 래치바(540)에 결합된 래치헤드(530)와 함께 가이드 몸체(520)가 이끌려 래치바(54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가이드 몸체의 제 2 결합부(522)에 결합된 스토퍼(550)도 이동하여 래치하우징(510)의 후방부에 형성된 회전유도구멍(515)에 위치하게 된다.(도 18 참조)
이어, 회전유도구멍(515)에 위치한 스토퍼(550)는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계속되는 래치바(540)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550)의 일단이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542)을 타고 구름운동을 하면서 핀(55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래치바(540)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어, 래치헤드(530)는 래치바(540)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하우징의 수용부(517) 내로 인입되고 가이드 몸체(520)의 이면에 돌출된 규제돌기(524)가 래치 하우징의 후면판(513)에 걸려 가이드 몸체(52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54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53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면서 도어를 개방시킨다.
이때, 래치이송부(440)의 후방에 탄설된 복귀스프링(442) 및 래치유닛의 가이드 몸체(520)를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536)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도 19 참조)
이와 같이 개폐유닛은 활주체가 활주안내부의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개방시 래치이송부 및 래치바를 빠르게 이송시키게 되고, 활주체가 슬라이더의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방동작의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래치유닛은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젖혀짐으로써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2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제 1 샤프트(410) 및 슬라이더부(420)를 구간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이동한 활주체(430)는 역으로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제 1 샤프트(4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래치이송부(440)는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442)의 복원력으로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된다.
래치이송부(440)의 복귀는 래치바(540)에 작용하던 힘(F2)이 제거되는 상태가 되므로 압축된 상태가 되어 있던 탄성스프링(536)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 몸체(520)가 원위치로 이동하고 아울러 회전된 래치헤드(530)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533)에 의해 래치헤드(530)가 원위치로 회전을 하여 래치하우징(510)의 개구부(518)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가이드 몸체(520)의 이동으로 스토퍼(550)가 다시 래치하우징(510) 내부로 이동되어 래치하우징(510)의 내면과 래치바의 걸림턱(541)에 걸리게 되면서 래치바(5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가 된다(도 17 참조). 즉, 래치헤드(530)가 래치하우징(510)의 외측 즉, 커버의 제 1 출입공(71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는 도 21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21의 상태가 되면, 래치유닛(500)은 도 17에서 설명했듯이 스토퍼(550)의 일단이 래치바의 걸림턱(541)에 걸림되고 타단이 핀(551)의 중심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림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스토퍼에 외력이 가해져도 핀(55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5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래치바(540)가 이동되지 않게 되어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래치헤드(53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록장치의 잠금버튼부(230)를 누르면, 잠금 신호가 제어부(220)에 인가되고, 제어부(22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데드유닛(600)의 구동부(61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610)에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와 회전부재(630)와 일체로 구비된 레버(631)를 회전시켜 작동부재를 직선이동시킨다. 아울러 작동부재(640)에 결합된 데드볼트(650)는 작동부재의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커버의 제 2 출입공(720)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도어를 잠금시킨다.
즉, 도어는 래치유닛의 래치헤드와 데드유닛의 데드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출입문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 구성에서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여기서, 동력전달부(800)는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에 연동되어 구간이동되고, 구동부(6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부(8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제 2 샤프트(620)가 관통되는 삽입홈(810)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820)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제 1 샤프트(410)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800)의 개방된 일측면 전방에는 슬라이더부(420)가 위치되고, 동력전달부(8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830)이 장착된다.
이때, 동력전달부(800)는 제 1 샤프트(410)에 형성된 가이드홀(411)의 일측 단부보다 슬라이더부의 이동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800)를 통해 슬라이더부(420)에 전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는 동력전달부(800)의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810)으로 삽입되어 관통되고, 삽입홈(810)을 관통한 제 2 샤프트(620)의 끝단부에 구동부(610)가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800)는 구동부(6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2 샤프트(620)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회전되고, 좌, 우 회전방향에 따라 원통체에 형성된 슬롯(820)이 슬라이더부(420)의 이동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또는 대응되게 위치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4의 (a),(b)는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데드유닛의 잠금 동작에 따라 동력전달부가 개폐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5의 (a), (b)는 구동부에 잠금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데드유닛의 잠금해제 동작에 따라 동력전달부가 개폐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데드유닛(600)의 구동부(61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610)에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를 회전시키고, 회전부재(630)의 회전은 작동부재(640)의 요입홈(643)에 삽입된 레버(631)를 회전시키며, 레버(63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640)가 레버(6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640)의 가이드홀(642)에 커버(7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641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6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4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640)에 결합된 데드볼트(650)는 커버의 제 2 출입공(72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620)로부터 구동부(6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800)는 제 2 샤프트(6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800)에 형성된 슬롯(8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0)를 통해 동력전달부(8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800)의 구간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8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가 동력전달부(800)에 형성된 슬롯(820)으로 삽입되어 동력전달부(8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는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유닛의 래치헤드(530)는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유닛의 래치헤드(530)가 돌출된 상태에서 스토퍼(550)는 일단이 래치바의 걸림턱(541)에 걸림되고 타단이 핀(551)의 중심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림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핀(55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5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래치바(540)가 이동되지 않게 되어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래치헤드(53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래치헤드(530)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헤드(530)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530)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이때, 동력전달부(800)는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부(800)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830)이 압축되고,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를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830)의 복원력에 의해 구간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로부터 도어의 잠금 해제신호를 받은 구동부(610)는 타방향으로 구동되어 구동부와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를 타방향을 회전시키고, 회전부재(630)의 회전은 작동부재(640)의 요입홈(643)에 삽입된 레버(63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63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작동부재(640)는 레버(6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640)의 가이드홀(642)에는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64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6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64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640)에 결합된 데드볼트(650)는 커버(700)의 제 2 출입공(7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620)로부터 구동부(6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800)는 제 2 샤프트(6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800)에 형성된 슬롯(8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0)를 통해 동력전달부(8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800)의 구간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동력전달부(800)의 구간이동은 동력전달부(8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슬라이더부(420)를 구간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으로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체(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아울러 활주체(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440)가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되어 래치유닛의 래치바(540)를 이동시킴에 따라 래치바(540)에 결합된 래치헤드(530)가 커버(700)의 제 1 출입공(7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과 동시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써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어록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록킹부(9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록킹부(900)는 개폐유닛의 제 1 샤프트(410)에 록킹홈(910)이 형성되고, 데드유닛의 회전부재(630)의 외측면에 록킹돌기(920)가 구비되어 회전부재(6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돌기(920)가 제 1 샤프트(410)의 록킹홈(9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것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데드유닛(600)의 구동부(61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610)에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620)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를 회전시키며, 회전부재(630)의 회전은 작동부재(640)의 요입홈(643)에 삽입된 레버(631)를 회전시키며, 레버(63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640)가 레버(6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650)가 커버의 제 2 출입공(7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때, 회전부재(630)에 구비된 록킹돌기(920)는 회전부재(6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0)의 록킹홈(910)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와 같이 구간이동되는 제 1 샤프트(410)가 록킹돌기(920)에 걸림되어 구간이동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300)는 물론 제 1 샤프트(410)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손잡이부(300)는 눌러지지도 않고 당겨지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개폐유닛(400)은 동작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유닛의 래치헤드(530)는 커버의 제 1 출입공(710)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유닛의 래치헤드(530)가 돌출된 상태에서 스토퍼(550)는 일단이 래치바의 걸림턱(541)에 걸림되고 타단이 핀(551)의 중심보다 외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래치하우징(510)의 내면에 걸림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핀(551)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530)에 외력(F1)이 가해지더라도 래치헤드(530)가 힌지(532)를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래치바(540)가 이동되지 않게 되어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즉,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래치헤드(53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래치헤드(530)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헤드(530)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530)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한편,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받은 데드유닛(600)의 구동부(610)는 타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610)에 연결된 제 2 샤프트(6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 2 샤프트(620)의 회전은 제 2 샤프트(620)의 외측에 구비된 회전부재(63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부재(630)의 회전은 작동부재(640)의 요입홈(643)에 삽입된 레버(631)를 회전시키며, 레버(631)의 회전으로 작동부재(640)가 레버(631)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650)가 커버의 제 2 출입공(7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회전부재(630)에 구비된 록킹돌기(920)는 회전부재(630)를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0)의 록킹홈(910)으로부터 빠져나와 록킹홈(910)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410)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이 이루어지고,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은 제 1 샤프트(410)의 가이드홀(642)을 통해 제 1 샤프트(4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420)를 가압하여 구간이동시킨다.
이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체(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이동하고, 활주체(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이송부(440)가 제 1 샤프트(410)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되어 래치유닛의 레치헤드(530)가 커버의 제 1 출입공(7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과 동시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써 도어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도 2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도어록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일 방향 회전으로 데드유닛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을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이 개폐장치에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래치헤드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래치헤드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헤드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어록장치의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타 방향 회전으로 데드유닛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허용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이 개폐유닛에 전달되어 래치유닛의 래치바를 이동시킴으로써 래치헤드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과 동시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써 도어를 부드럽게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사용자가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이 부드럽고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며,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유닛의 활주체가 자유곡면의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운동 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부드러운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방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개폐유닛의 동작에 연동되는 래치유닛의 래치바가 이동되면서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가 수용부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에 따라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또한, 데드유닛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래치유닛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컨트롤유닛 110: 스마트 키
130: 이동통신단말기 131: 이동통신모듈
132: USIM 133: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
134: 근거리통신모듈 140: 비밀키 제공자 서버
150: 홈네트워크 서버 151: 메모리부
152: 컨트롤러부 153: 근거리통신모듈
160: 단말기 200: 도어록장치
210: 무선통신부 211: RFID 리더
212: 제 1 통신부 213: 제 2 통신부
220: 제어부 221: 인증부
222: 제 2 출력부 230: 잠금버튼부
240: 전원공급부 250: 비상전원공급단자
260: 제 1 출력부 270: 카메라
300: 손잡이부 310: 고정브라켓
311: 수용부 312: 고정핀
320: 파지부 400: 개폐유닛 410: 제 1 샤프트 411: 가이드홀
420: 슬라이더부 421: 이동대
422: 캠블록 423: 활주안내부
424: 쿠션패드 430: 활주체
440: 래치이송부 442: 복귀스프링
500: 래치유닛 510: 래치하우징
511: 몸체 512: 제 1 요입홈
513: 후면판 514: 제 2 요입홈
515: 회전유도구멍 516: 관통공
517: 수용부 518: 개구부
520: 가이드 몸체 521: 제 1 결합부
522: 제 2 결합부 523: 중앙홀
524: 규제돌기 525: 안내편
526: 유도경사면 530: 래치헤드
531: 제 1 결합편 532: 힌지
533: 스프링 534: 제 2 결합편
535: 핀 536: 탄성스프링
537: 단턱 540: 래치바
541: 걸림턱 542: 경사면
550: 스토퍼 551: 핀
552: 롤러 553: 복원스프링
600: 데드유닛 610: 구동부
620: 제 2 샤프트 630: 회전부재
631: 레버 632: 돌출부
633: 안내홈 640: 작동부재
641: 지지핀 642: 가이드홀
643: 요입홈 644: 걸림홈
645: 텐션스프링 650: 데드볼트
700: 커버 710,720: 제 1, 제 2 출입공
800: 동력전달부 810: 삽입홈
820: 슬롯 830: 탄성스프링
900: 록킹부 910: 록킹홈
920: 록킹돌기

Claims (30)

  1. 저장된 비밀키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컨트롤유닛; 및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정보가 기등록된 비밀키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비밀키정보가 일치하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도어의 해정동작을 수행하는 데드유닛과, 상기 도어에 구간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개폐유닛에 결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래치유닛을 포함한 도어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유닛은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래치하우징과,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와,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유닛과 결합되며 도어의 개방시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래치바와,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헤드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상기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에는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위치에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래치바의 걸림턱에 걸림되고 타단이 상기 래치하우징의 내면에 걸림되도록 상기 제 2 결합부에 핀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의 타단은 핀의 중심보다 외측에 위치되어 기울기를 갖으며,
    상기 래치하우징에는 상기 스토퍼의 타단이 래치하우징의 내면에 걸림되지 않고 핀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도록 허용하는 회전유도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이 결합되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유도구멍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단부에 형성된 제 1 요입홈과 상기 제 1 요입홈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2 요입홈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단은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부드러운 상승 곡선의 경사면을 타고 구름 운동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제 2 결합부에는 스토퍼의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면과 래치하우징의 후방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헤드가 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제 1 결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바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일면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래치헤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을 갖는 안내편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몸체의 이면 하단부에는 가이드 몸체의 이동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에는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잠금 신호를 입력하는 잠금버튼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잠금버튼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수행되도록 상기 데드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은 비밀키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등록된 비밀키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비밀키 정보가 인증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활주체가 결합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체가 구비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체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체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래치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체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1.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체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2.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체는 래치이송부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3.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이송부는 구간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구간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4. 제 1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에 연동되어 구간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이동시의 동력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을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60046849A 2016-04-18 2016-04-18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849A KR101810486B1 (ko) 2016-04-18 2016-04-18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849A KR101810486B1 (ko) 2016-04-18 2016-04-18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11A KR20170119111A (ko) 2017-10-26
KR101810486B1 true KR101810486B1 (ko) 2017-12-20

Family

ID=6030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849A KR101810486B1 (ko) 2016-04-18 2016-04-18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4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81B1 (ko) 2009-03-17 2009-12-31 윤병만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81B1 (ko) 2009-03-17 2009-12-31 윤병만 푸쉬 풀 타입의 도어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11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20180088554A (ko)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TWI550435B (zh) 使用行動裝置操作的管制系統
JP6020748B1 (ja) 扉用虹彩認証装置、及び虹彩認証システム
TWM506183U (zh) 門禁系統
TWM513256U (zh) 使用行動裝置操作的管制系統
KR101810486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56000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3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04660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JP6765070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190752B1 (ko)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KR102220133B1 (ko) 락커락 시스템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2019002269A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EP3506215A1 (en) Smart lock having an electromechanical key
KR102237742B1 (ko) 밀폐 및 이중 잠금 기능이 부여된 pvc 도어용 디지털 도어록
KR20160056001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JP2003521786A (ja) 指紋認証システム
JP4823492B2 (ja) 自動ドア装置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KR102041925B1 (ko) 인체 통신 기반의 출입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자 인증방법
KR101810482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