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001A -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001A
KR20160056001A KR1020140155811A KR20140155811A KR20160056001A KR 20160056001 A KR20160056001 A KR 20160056001A KR 1020140155811 A KR1020140155811 A KR 1020140155811A KR 20140155811 A KR20140155811 A KR 20140155811A KR 20160056001 A KR20160056001 A KR 2016005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secret key
shaft
ke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호
Original Assignee
윤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호 filed Critical 윤채호
Priority to KR102014015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6001A/ko
Publication of KR2016005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only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비밀 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 키 정보 또는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 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 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 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본 발명은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고,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키며, 이중 잠금장치를 통해 보안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개폐장치는 열쇠키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어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손잡이를 회전시켜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열쇠키를 이용한 도어의 잠금 해제는 열쇠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정당한 권리자라도 원천적으로 출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도어가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웠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은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이 쉽지 않아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구조는 래치볼트만으로 도어를 잠그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하여 외부인이 출입하는 현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055269 (공고일 2011.08.09) 한국등록특허: 10-0596690 (공고일 2006.07.0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신호를 통해 비밀 키 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밀 키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디지털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디지털 도어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손잡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부품을 크게 감소시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비밀 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 키 정보 또는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 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 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 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 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 키 정보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비밀 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구성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모두 적용된다.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 신호가 전송되어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록 해정부에는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 장치에는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오픈버튼부가 더 구비되고, 비상열쇠 삽입시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비상키홀이 더 구비되며,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화제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키입력부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도어록 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 및 검출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록 해정부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고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100) 및 무선 컨트롤 유닛(100)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여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고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폐하는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컨트롤 유닛(100)은 스마트 키(110), 이동통신단말기(130), 홈네트워크 서버(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는 무선 컨트롤 유닛(100)으로부터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210)와, 비밀 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20)와,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 키 정보 또는 키입력부(220)에 입력된 비밀 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 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230)와, 인증부(230)의 비밀 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0)와, 전원공급부(25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251)와,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부(25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250)는 배터리이고,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공급단자(251)에 비상 건전지를 접촉시켜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110)에는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가 내장된다. 무선인식 태그는 비밀 키 정보가 저장된 태그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더로부터 RF로 태그 정보 제공 요청을 받으면 태그가 보유한 정보를 리더에 제공한다.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스마트 키(110)의 태그로부터 제공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30)에 비밀 키 정보를 송신하는 RFID 리더(211)를 포함한다.
RFID 리더(211)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있으며, 접촉식의 경우, 스마트 키(110)를 접촉하여 비밀 키 정보를 읽어들이고, 비접촉식의 경우, 광신호나 무선 주파수신호 등 무선통신 접속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키(110)에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때, RFID 리더(211)의 유효감지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의 경우 1M 이하이며, 유효감지거리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인증부(230)는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한다. 이때, 인증부(230)는 비밀 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인증부(230)로부터 인증신호를 전달받으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도어록 해정부(400)는 제어부(240)로부터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즉, RF신호를 통해 비밀 키 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110)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RFID 리더(211)가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 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키(110)는 분실시 제조사 또는 판매자로부터 재구매할 수 있고, 재구매한 스마트 키(110)는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의 인증부(230)에 등록시켜 RFID 리더가 읽어들인 스마트 키의 비밀 키 정보가 인증부(230)에 등록된 비밀 키 정보와 일치하도록 등록절차를 수행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110)를 분실하였거나, 스마트 키(110)를 몸에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이동통신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131)과,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132)과,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와 근거리통신을 통해 비밀 키를 전달하는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212)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는 제조과정에서 제품일련번호가 부여된다.
그리고,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제조된 도어록장치(200)의 제품일련번호를 제조사 측으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를 구입한 후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 부여된 제품일련번호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 키를 이용하여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제품일련번호 또는 비밀 키를 웹사이트로 전달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의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사용자 정보를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에 전달한다.
이어,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제품일련번호 및 비밀 키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전달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로그인하면 암호화된 비밀 키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비밀 키 정보가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통해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 전송된다.
이어,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제 1 통신부(212)는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30)에 비밀 키 정보를 전달한다.
인증부(230)는 제 1 통신부(212)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하며, 제어부(24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1)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16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52)와, 컨트롤러부(152)에서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 송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16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도 있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PC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송된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어,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는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30)에 비밀 키 정보를 전달한다.
인증부(23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하며, 제어부(24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26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카메라(260)는 제 2 통신부(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외출시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카메라(260)는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213)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전송하며,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보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하고,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어,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는 비밀 키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하며, 제어부(24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어,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이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160)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하고,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는 비밀 키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도어록장치(200)는 비밀 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220)가 구비된다.
키입력부(22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하우징(201)에 구비된다.
키입력부(220)는 실외측 하우징(201)에 구비되고, 비밀키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과 특수키 버튼이 조합된 키패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키입력부(220)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220)는 인증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된 비밀키를 인증부(230)에 전송한다.
인증부(230)는 키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40)에 전달하며, 제어부(24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손잡이부(300)는 하우징(201)의 하단부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각각 결합되어 하우징(201)의 전면부로 돌출되는 고정브라켓(310)과, 고정브라켓(310)에 일단부가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320)로 구성된다.
고정브라켓(310)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311)가 형성되고, 수용부(311)는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3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파지부(32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지부(3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목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311)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용부(3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에 내설되어 손잡이부(300)와 연결된다. 도어록 해정부(400)는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부(240)의 제어신호를 받아 도어의 해정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40)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는 제 1 잠금장치(410)와, 구동부(450)와, 제 2 잠금장치(460)와, 개폐감지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의 외측에는 상기 구성들을 보호하는 커버(500)가 포함된다.
먼저, 커버(500)는 제 1, 제 2 잠금장치(410,46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구성들이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제 1 잠금장치(410)의 래치볼트가 출입되는 제 1 출입공(510)과,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가 출입되는 제 2 출입공(520)과,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가 출입되는 제 3 출입공(530)이 형성된다.
제 1 잠금장치(410)는 제 1 실시 예와 제 2 실시 예로 구분된다.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420)와,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 결합형 활주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샤프트(411)는 일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절개되어 개방되고, 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의 가이드홀(412)이 형성되며, 그 양단이 손잡이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겨서 수평 이동시키면 누름 및 당김 동작에 따른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손잡이부(3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
슬라이더부(42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421)와, 이동대(421)에 결합되고 일면에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는 캠블록(422)과, 캠블록(422)의 후면에 구비되어 캠블록(42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424)로 구성된다.
이동대(421)는 후술되는 제 2 잠금장치(460)의 제 2 샤프트(4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캠블록(422)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이동대(421)의 구간 이동에 의해 이동되고 일면에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패드(424)는 캠블록(422)의 후면에 부착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캠블록(422)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충격시의 소음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에는 활주부(430)가 접촉된다. 여기서 활주부(430)는 래치(4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래치(4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활주부(430)는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롤러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이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의 활주안내부(423)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3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 이동하여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이동시킨다.
여기서, 래치(440)는 활주부(430)가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부재(442)와,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되어 커버(5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출입공(51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441)와, 가이드부재(442)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커버(500)의 내벽에 타단부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4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귀스프링(443)으로 구성된다.
복귀스프링(443)은 평상시 가이드부재(442)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복원력으로 가이드부재(442)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430)가 형성되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4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430) 및 활주안내부(423)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411)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된 슬라이더부(420)와,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활주부(43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잠금장치의 제 2 실시 예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캠블록(422)에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 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활주부(43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블록(422)에 형성된 활주부(43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4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23)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캠블록(422)이 구간 이동되면 활주부(430)인 제 1 경사면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23)의 제 2 경사면이 활주부(43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이처럼,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2 실시 예는 슬라이더부의 캠블록(422) 일면에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30)가 형성되고, 래치(440)에 일체로 활주부(43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23)가 형성되어 캠블록(420)의 구간 이동시 래치(440)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한편,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50)는 손잡이부의 파지부(320) 내에 구비되고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부(450)는 제어부(24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일 수 있다.
또한, 제 2 잠금장치(460)는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동부(4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461)와,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제 2 샤프트(46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462)와, 회전부재(462)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제 2 샤프트(46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470)와, 작동부재(470)에 결합되어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4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샤프트(461)는 구동부(450)에 결합되어 구동부(450)의 좌,우 회전시 구동부(450)와 연동하여 좌,우 회전되고, 손잡이부(3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하여 구간 이동되도록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부재(462)는 제 2 샤프트(461)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제 2 샤프트(461)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작동부재(470)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463)가 구비된다. 이때, 레버(463)의 끝단부에는 돌출부(464)가 형성되고, 돌출부(464)의 외주면을 따라 안내홈(465)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는 중앙면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472)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회전부재의 레버(463)가 걸림되는 요입홈(473)이 형성되며, 요입홈(473)의 상단 양 측벽에 레버(463)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4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핀(471)에는 회전부재의 레버(46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레버(46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텐션스프링(475))이 감김된다. 텐션스프링(475)은 지지핀(471)에 감김되는 일단이 커버(50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레버(463)의 돌출부에 형성된 안내홈(465)을 경유하여 커버의(500) 내측벽에 고정된다.
도 1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장치에서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하는 개폐감지부(480) 및 검출센서(485)를 설명하기 위한 도어록 해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감지부(480)는 커버(500)의 제 3 출입공(530)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지볼트(481)와, 감지볼트(481)를 수용하는 수용부(482)와, 수용부(482) 내측에 구비되어 감지볼트(481)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483)과, 감지볼트(481)의 이동을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84)로 구성된다.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는 도어의 개방시 커버의 제 3 출입공(530) 외측으로 돌출되고 도어의 닫힘시 출입문의 측벽에 가압되어 제 3 출입공(530)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감지센서(484)는 감지볼트(481)의 인입과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닫힘 여부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감지센서(484)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는 수동개방버튼부(241)가 구비된다. 수동개방버튼부(241)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신호를 제어부(240)에 인가한다. 즉, 제어부(240)는 수동개방버튼(241)부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개폐감지부(480)의 감지센서(484)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가 전송되어도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동부(4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더하여 도어록 해정부(400)에는 제 2 잠금장치(460)의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48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는 검출센서(485)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42)가 더 구비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는 비상키홀(243)이 더 구비된다. 비상키홀(243)은 제어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비상열쇠 삽입시 제어부(240)에 잠금 해제 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는 오픈버튼부(244)가 더 구비된다. 오픈버튼부(244)는 실내측 하우징의 전면부 구비되어 제어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실내에서 실외로 나가고자 할 때 오픈버튼부(244)를 누르면 제어부(240)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장치(200)에는 화제감지센서(245)가 더 구비된다. 화제감지센서(245)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제어부(240)는 키입력부(220), 수동개방버튼부(241), 비상키홀(243), 오픈버튼부(244), 화제감지센서(245), 전원공급부(250),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4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비상키홀(243)에 열쇠가 삽입되어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400)를 해정시킨다. 또한, 오픈버튼부(244)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400)를 해정시킨다. 또한, 화재감지센서(245)로부터 전송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여 기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록 해정부(400)를 해정시킨다.
이에 더하여,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수단이란 CMOS 또는 CCD로 구성된 도어폰 카메라, 지문인식기, 홍체인식기 등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 외의 목소리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방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수단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어록 해정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와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지부가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잠금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개폐감자부가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제 2 잠금장치(460)의 데드볼트(476)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220)를 통해 비밀키를 입력하거나 무선컨트롤 유닛을 통해 비밀키 정보가 전송되면 인증부(230)는 비밀 키 정보가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와 일치하는 확인하고,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40)에 인증신호를 전송하며, 제어부(240)는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45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제 2 잠금장치(460)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에는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가이드홀(472)에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회전되는 레버(463)는 요입홈(473)의 일측벽 걸림홈(474)에 걸림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462)의 레버(463)는 지지하고 있는 텐션스프링(475)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역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470)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작동부재(470)의 이동에 의해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아울러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242)를 통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도 16의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가 구간 이동되고,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잠금장치(410)의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2 샤프트(4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이동대(421)를 구간 이동시키며, 이동대(421)의 이동은 이동대(421)의 상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캠블록(422)을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캠블록(422)의 구간 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의 가이드부재(442)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며 아울러 가이드부재(442)에 결합된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부재(442)를 지지시키고 있던 복귀스프링(443)은 가이드부재(442)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활주안내부(423)의 자유곡면은 활주부(430)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441)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430)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감지센서(484)가 감지볼트(481)의 돌출을 센싱하여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한편, 도 17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제 1 샤프트(411) 및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이동한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는 역으로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가이드부재(442)는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443)의 복원력으로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커버(500)의 내측에 인입되어있는 래치볼트(441)를 밀어내고, 래치볼트(441)는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이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돌출된 감지볼트(48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81)를 감지센서(484)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를 구동시킨다.
이어,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도 15의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방향으로 회전된 회전부재(462)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잠금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242)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그러나, 수동개방버튼부(241)를 눌러 제어부(240)에 수동개방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 2 잠금장치(4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는 관공서나 공연장 등 인파가 많은 곳에서 도어의 닫힘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면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신속한 출입을 위하여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게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실내 측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때는 실내측 하우징(201)에 구비된 오픈버튼부(244)를 누르면, 제어부(240)가 오픈버튼부(244)의 신호를 받아 구동부(450)를 구동시키고 구동부(450)의 구동과 연동되는 제 2 잠금장치(460)의 잠금을 해정시킨다. 이어 손잡이부(300)를 당기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에 제 1 잠금장치(410)가 연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에서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여기서,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구동부(45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슬라이더부(42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부(6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 중앙에 제 2 잠금장치의 제 2 샤프트(461)가 관통되는 삽입홈(610)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620)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제 1 샤프트(411)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전방에는 슬라이더부(420)가 위치되고, 동력전달부(600)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630)이 장착된다.
이때, 동력전달부(600)는 제 1 샤프트(411)에 형성된 가이드홀(412)의 일측 단부보다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600)를 통해 슬라이더부(420)에 전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샤프트(461)는 동력전달부(600)의 개방된 일측면 중앙을 통해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610)으로 삽입되어 관통되고, 삽입홈(610)을 관통한 제 2 샤프트(461)의 끝단부에 구동부(450)가 결합된다.
또한, 동력전달부(600)는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에 의해 좌,우 회전되고, 좌, 우 회전방향에 따라 원통체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420)의 이동대(421)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또는 대응되게 위치된다.
도 19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동작 및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동력전달부가 제 1 잠금장치에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에 삽입된 레버(463)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는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242)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은 음성출력부(242)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61)로부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은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를 가압하여 슬라이더부(420)를 구간 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으로 슬라이더부(420)의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아울러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슬라이더부(42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500)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는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돌출된 감지볼트(48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81)를 감지센서(484)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으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작동부재(470)의 가이드홀(472)에 커버(50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된 지지핀(471)이 삽입되어 있어 작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므로 작동부재(470)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242)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제 2 샤프트(461)로부터 구동부(45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600)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동력전달부(600)에 형성된 슬롯(620)이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샤프트(411)를 통해 동력전달부(600)에 전달되어 동력전달부(600)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동력전달부(600)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부의 이동대(421)가 동력전달부에 형성된 슬롯(620)으로 삽입되어 동력전달부(60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부(420)는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볼트(441)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아울러, 동력전달부(600)는 슬라이더부(420)가 동력전달부(60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동력전달부(600) 내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630)이 압축되고,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를 놓게 되면 탄성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해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는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일 방향 회전으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슬라이더부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됨으로써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 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가 제어부로부터 잠금 신호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의 타 방향 회전으로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부의 슬롯 위치가 제 1 잠금장치의 슬라이더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동력전달부에 전달되더라도 슬라이더부가 동력전달부의 슬롯 내부로 인입되어 동력을 전달받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어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해지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서 이탈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도 21의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면 제 1 샤프트의 구간이동시의 힘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에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시 회전부재의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의 록킹홈에 삽입되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는 일 실시 예의 구성에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록킹부(700)가 더 부가된 것이다. 따라서, 록킹부 이외의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록킹부(700)는 제 1 잠금장치의 제 1 샤프트(411)에 록킹홈(710)이 형성되고, 제 2 잠금장치의 회전부재(462)의 외측면에 록킹돌기(720)가 구비되어 회전부재(462)의 회전방향에 따라 록킹돌기(720)가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지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게 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50)는 일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일 방향 회전시키고,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는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일 방향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부재(462)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2)를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으로부터 빠져나와 록킹홈(710)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이어, 레버(463)의 회전시의 힘을 전달받은 작동부재(470)가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작동부재(470)에 결합된 데드볼트(476)는 커버(500)의 제 2 출입공(52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0)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인입 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열림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242)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은 음성출력부(242)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 1 샤프트(411)에 전달되어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이 이루어지고,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은 제 1 샤프트(411)의 가이드홀(412)을 통해 제 1 샤프트(4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슬라이더부(420)를 가압하여 구간 이동시킨다.
이어, 슬라이더부(420)의 구간이동으로 활주안내부(423)에 접촉된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따라 구간 이동하고, 활주부(43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40)가 제 1 샤프트(411)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되어 래치볼트(441)가 커버의 제 1 출입공(5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다. 이때, 개폐감지부(480)의 감지볼트(481)는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일 실시 예와 동일한 동작으로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져 도 2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아울러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면 돌출된 감지볼트(481)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되고, 인입되는 감지볼트(481)를 감지센서(484)가 감지하여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개폐감지부(480)로부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로부터 신호를 받은 구동부(450)는 타 방향으로 구동되어 제 2 샤프트(461)를 타 방향 회전시킨다. 아울러 제 2 샤프트(461)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부재(462)가 제 2 샤프트(461)와 동일하게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작동부재(470)의 요입홈(473)에 삽입된 레버(463)를 회전시키며, 레버(463)의 회전으로 작동부재(470)가 레버(463)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476)가 커버의 제 2 출입공(520)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1차 잠금시킨다.
이때, 회전부재(462)에 구비된 록킹돌기(720)는 회전부재(462)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어 제 1 샤프트(411)의 록킹홈(710)에 삽입된다.
아울러, 회전부재의 레버(463)는 검출센서(485)에 접지되고, 검출센서(485)는 레버(463)의 회전을 센싱하여 데드볼트(476)의 돌출상태를 감지하며, 도어의 닫힘 신호를 제어부(24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스피커와 연계된 음성출력부(242)를 통해 “도어가 잠금 되었습니다”라는 음성멘트 또는 알람, 경보음 등을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300)와 같이 구간 이동되는 제 1 샤프트(411)가 록킹돌기(720)에 걸림되어 구간 이동이 차단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300)는 물론 제 1 샤프트(411)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즉 손잡이부(300)는 눌러지지도 않고 당겨지지도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300)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지 않은 제 1 잠금장치(410)는 래치볼트(441)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슬라이더부(420)가 움직이지 않아 래치 일체형 활주부(430)가 활주안내부(423)를 타고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래치볼트(441)를 밀어 넣으려 해도 래치볼트(441)가 움직이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래치볼트(441)가 도어를 2차 잠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록 해정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허용되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슬라이더부에 전달되고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일체형 활주부가 이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2 잠금장치의 데드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드볼트의 1차 잠금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회전부재에 구비된 록킹돌기가 제 1 샤프트에 형성된 록킹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이 제 1 잠금장치에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래치볼트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래치볼트의 2차 잠금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데드볼트와 래치볼트의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사용자가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록 해정부는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에 연동되어 제 1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이 이루어져 신속한 작동성과 이중 잠금을 통한 보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관공서나 공연장 등 많은 인파가 출입하는 곳에서는 도어가 닫히더라도 자동으로 도어가 잠금되는 것은 차단하여 신속한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도어의 잠금이 해지되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컨트롤 유닛 110: 스마트 키
130: 이동통신단말기 131: 이동통신모듈
132: USIM 133: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
134: 근거리통신모듈 140: 비밀 키 제공자 서버
150: 홈네트워크 서버 151: 메모리부
152: 컨트롤러부 153: 근거리통신모듈
160: 단말기 200: 디지털 도어록장치
210: 무선통신부 211: RFID 리더
212: 제 1 통신부 213: 제 2 통신부
220: 키입력부 230: 인증부
231: 제 2 출력부 240: 제어부
241: 수동개방버튼부 242: 음성출력부
243: 비상키홀 244: 오픈버튼부
245: 화제감지센서 250: 전원공급부
251: 비상전원공급단자 252: 제 1 출력부
260: 카메라 300: 손잡이부
310: 고정브라켓 311: 수용부
312: 고정핀 320: 파지부
400: 도어록 해정부 410: 제 1 잠금장치
411: 제 1 샤프트 412: 가이드홀
420: 슬라이더부 421: 이동대
422: 캠블록 423: 활주안내부
424: 쿠션패드 430: 활주부
440: 래치 441: 래치볼트
442: 가이드부재 443: 복귀스프링
450: 구동부 460: 제 2 잠금장치
461: 제 2 샤프트 462: 회전부재
463: 레버 464: 돌출부
465: 안내홈 470: 작동부재
471: 지지핀 472: 가이드홀
473: 요입홈 474: 걸림홈
475: 텐션스프링 476: 데드볼트
480: 개폐감지부 481: 감지볼트
482: 수용부 483: 스프링
484: 감지센서 485: 검출센서
500: 커버 510,520,530: 제1, 제2, 제3 출입공
600: 동력전달부 610: 삽입홈
620: 슬롯 630: 탄성스프링
700: 록킹부 710: 록킹홈
720: 록킹돌기

Claims (26)

  1.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비밀 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 키 정보 또는 상기 키입력부에 입력된 비밀 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 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 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 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 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 키 정보를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비밀 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1 잠금장치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연동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제 2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라이더부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고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부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활주부가 구비되는 캠블록과, 상기 캠블록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캠블록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에 결합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와 도어의 내벽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6.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장치는 상기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간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2 샤프트와, 상기 제 2 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어 도어의 일측면으로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는 데드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샤프트는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구간 이동이 가능하고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삽입되는 사각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외측면에 외향 돌출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직선 이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중앙면에 상기 도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설되는 지지핀이 삽입되어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가 걸림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의 상단 양 측벽에 상기 레버의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핀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레버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텐션 스프링이 감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타측면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는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이 상기 슬라이더부와 어긋나게 위치되거나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동력을 상기 슬라이더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와 결합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부가 슬롯을 통해 내부에 수용될 때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동력전달부를 구간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구간 이동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한 쌍의 록킹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에 구비되는 록킹홈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도어의 폐쇄 신호가 전송되어도 상기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인가하는 수동개방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에는 상기 제 2 잠금장치의 해정 동작을 감지하는 검출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상기 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도어의 해정 여부를 스피커와 연계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장치에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갈 때,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오픈버튼부가 더 구비되고, 비상열쇠 삽입시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비상키홀이 더 구비되며,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해정 신호를 인가하는 화제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40155811A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56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11A KR20160056001A (ko)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11A KR20160056001A (ko)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01A true KR20160056001A (ko) 2016-05-19

Family

ID=5610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11A KR20160056001A (ko)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60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8299B2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6020748B1 (ja) 扉用虹彩認証装置、及び虹彩認証システム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025830B1 (ko) 지문인식 방범시스템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KR101604660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WI737660B (zh) 用以操作入口之控制系統的方法及用以控制入口之系統
KR20160056000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56001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3808796B2 (ja) 自動ドア装置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JP2007191915A (ja) 電子錠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810486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3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49B1 (ko) 손잡이 교체형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329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2019002269A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20190046031A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KR102220133B1 (ko) 락커락 시스템
JP2006128824A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ホームコントロール方法およびホームコントローラ用プログラム
JP2016211282A (ja) ドアシステム
KR101232814B1 (ko) 다수의 스마트키의 인증이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수의 스마트키 인증 방법
JP4932541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