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660B1 -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660B1
KR101604660B1 KR1020140155809A KR20140155809A KR101604660B1 KR 101604660 B1 KR101604660 B1 KR 101604660B1 KR 1020140155809 A KR1020140155809 A KR 1020140155809A KR 20140155809 A KR20140155809 A KR 20140155809A KR 101604660 B1 KR101604660 B1 KR 10160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cret key
unit
door loc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채호
Original Assignee
윤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호 filed Critical 윤채호
Priority to KR102014015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과,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상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Exit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mart}
본 발명은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열쇠키나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열쇠키나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비밀 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며, 도어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그리고, 종래의 출입구 개폐장치는 열쇠키를 이용하거나, 키패드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하거나, 생체인증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지정된 행위는 사용자 입장에서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쇠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정당한 권리자라도 원천적으로 출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비밀번호 입력방식의 경우 비밀번호를 잃어버리거나 타인에 의해 부정한 방법으로 유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생체인증 방식은 정확한 생체인식 및 인식처리 기술을 요하는 만큼 도어록 장치에 적용시 제조단가가 높아져 실제 시장에서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도어가 개방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것으로서 도어의 개방동작이 어려웠다.
특히, 도어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연속적인 동작은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들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방문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다음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얻어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또는 긴급한 피난을 요하는 화재, 홍수 등의 비상사태발생시 사용자가 당황하게 되면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신속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제품의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폐동작이 부드럽지 못하고 개폐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055269 (공고일 2011.08.09) 한국등록특허: 10-0596690 (공고일 2006.07.0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신호를 통해 비밀 키 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비밀 키 정보를 무선 송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록장치의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에 기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비밀 키 인증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손잡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부품을 크게 감소시켜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상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키 인증이 통과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잠금 신호를 입력하는 잠금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이 수행되도록 상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는 비밀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좌,우 회전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며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좌,우 회전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며 상기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1차 절곡되고, 경사진 상단이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게 2차 절곡되며, 그 하단부가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평이 되게 3차 절곡되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작동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부재를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도어의 내부를 가로지르고 그 양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저면을 가로질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활주안내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샤프트와 슬라이더와 래치의 외측을 커버하고 상기 래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하부에 상기 래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볼트조립되는 고정구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의 중앙에 눌림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재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항균물질이 분사되는 항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항균물질은 손 소독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프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도어록 장치의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무선 컨트롤 유닛인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주요 구성요소를 요부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어록 해정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1의 (a),(b)는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신호가 인가될 때 도어록 해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의 (a),(b)는 본 발명의 도어록장치에서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에 잠금 해제 신호가 인가될 때 도어록 해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항균부가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로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100)과, 무선 컨트롤 유닛(100)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여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고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컨트롤 유닛(100)은 스마트 키(110), 이동통신단말기(130), 홈네트워크 서버(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200)는 무선 컨트롤 유닛(100)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210)와,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220)와, 인증부(220)의 비밀키 인증이 통과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230)와,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도어록장치(200)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0)와, 전원공급부(50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510)와,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부(5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500)는 배터리이고, 배터리의 방전시 비상전원공급단자(510)에 비상 건전지를 접촉시켜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110)에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가 내장된다. 무선인식 태그는 비밀키 정보가 저장된 태그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더로부터 RF로 태그 정보 제공 요청을 받으면 태그가 보유한 정보를 리더에 제공한다.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스마트 키(110)의 태그로부터 제공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20)에 비밀 키 정보를 송신하는 RFID 리더(211)를 포함한다.
RFID 리더(211)는 접촉식과 비접촉식이 있으며, 접촉식의 경우, 스마트 키(110)를 접촉하여 비밀 키 정보를 읽어들이고, 비접촉식의 경우, 광신호나 무선 주파수신호 등 무선통신 접속방식을 이용하여 스마트 키(110)에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읽어 들인다. 이때, RFID 리더(211)의 유효감지거리는 저주파수 대역의 경우 1M 이하이며, 유효감지거리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인증부(220)는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이때, 인증부(220)는 비밀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인증부(220)로부터 인증신호를 전달받으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
도어록 해정부(400)는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즉, RF신호를 통해 비밀 키 정보를 송출하는 스마트 키(110)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RFID 리더(211)가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고, 비밀 키 인증 과정을 거쳐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때, RFID 리더(211)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키(110)는 분실시 제조사 또는 판매자로부터 재구매할 수 있고, 재구매한 스마트 키(110)는 도어록장치(200)의 인증부(220)에 등록시켜 RFID 리더가 읽어들인 스마트 키의 비밀키 정보가 인증부(220)에 등록된 비밀키 정보와 일치하도록 등록절차를 수행한 다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스마트 키(110)를 분실하였거나, 스마트 키(110)를 몸에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이동통신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131)과,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132)과,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와 근거리통신을 통해 비밀 키를 전달하는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210)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근거리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212)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비밀키 제공자 서버(14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도어록장치(200)는 제조과정에서 제품일련번호가 부여된다.
그리고,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제조된 도어록장치(200)의 제품일련번호를 제조사 측으로부터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록장치(200)를 구입한 후 도어록장치(200)에 부여된 제품일련번호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 키를 이용하여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이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제품일련번호 또는 비밀 키를 웹사이트로 전달하여 도어록장치(200)의 등록 요청을 수행한다.
이때,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요청하고,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사용자 정보를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에 전달한다.
이어,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제품일련번호 및 비밀 키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비밀 키 제공자 서버(14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전달한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30)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133)을 실행하여 로그인하면 암호화된 비밀 키 창이 디스플레이되고, 비밀키 정보가 근거리통신모듈(134)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된다.
이어, 도어록장치의 제 1 통신부(212)는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20)에 비밀 키 정보를 전달한다.
인증부(220)는 제 1 통신부(212)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며, 제어부(23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또한,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51)와,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160)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전송하는 컨트롤러부(152)와, 컨트롤러부(152)에서 전송된 비밀키 정보를 도어록장치(200)에 송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어록장치(200)의 무선통신부(210)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16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일 수도 있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PC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접속하여 홈네트워크 서버(150)에서 요구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기(160)로부터 전송된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어,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는 전송된 비밀 키 정보를 받아서 저장하고 인증부(220)에 비밀 키 정보를 전달한다.
인증부(22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송된 비밀 키 정보와 기 설정된 비밀 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며, 제어부(23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400)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이에 더하여 도어에는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60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카메라(600)는 도어록장치(200)의 제 2 통신부(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외출시 방문자가 벨을 누르면 카메라(600)는 방문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213)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전송하며,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제 2 통신부(213)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150)에 기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홈네트워크 서버(15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보고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160)를 통해 도어의 잠금 해제에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하고,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메모리부(151)에 저장된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한다.
이어, 도어록장치(200)는 비밀 키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신호를 제어부(230)에 전달하며, 제어부(230)는 도어록 해정부(4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어, 도어록 해정부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한다.
이와 같이, 홈네트워크 서버(150)는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기(160)를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장치(200)에 전송하고, 도어록장치는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신원이 확인된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어록장치는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는 잠금버튼부(240)를 포함한다.
잠금버튼부(240)는 제어부에 잠금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는 잠금버튼부의 잠금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도어록 해정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서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어의 손잡이부와 도어록 해정부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어록 해정부의 주요 구성요소를 요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310)과, 고정브라켓(310)에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320)로 구성된다.
고정브라켓(310)은 중앙에 중공의 수용부(311)가 형성되고, 수용부(311)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과 도어의 이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10)은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는 고정핀(3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파지부(32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지부(32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목부가 고정브라켓의 수용부(311) 내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되면서 수용부(31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이러한 손잡이부(300)에는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연동되어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400)가 결합된다.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는 구동부(410)와, 샤프트(420)와, 슬라이더(430)와, 래치(450) 결합형 활주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410)는 손잡이부의 파지부(320) 내에 구비되고 제어부(230)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한다. 여기서, 구동부(410)는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일 수 있다.
샤프트(420)는 구동부(410)와 연결되어 도어의 내부를 관통하고, 구동부(410)의 구동에 따라 좌,우 회전되며, 도어의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된다. 또한, 샤프트의 일 지점에는 구동부(410)의 구동 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1)가 형성된다.
동력전달부(421)는 샤프트(4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 슬라이더(43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돌기는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20)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420)의 일 지점에서 길이방향의 기준으로 경사지게 1차 절곡시키고, 경사진 상단을 아래로 수직이 되게 2차 절곡시키며, 그 하단을 수평이 되게 3차 절곡시켜 삼각형상의 가압돌기가 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430)는 동력전달부(421)의 전방에 위치되어 샤프트(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동력전달부(421)의 방향에 따라 동력전달부(421)에 걸림될 수도 있고, 걸림해제될 수도 있다.
슬라이더(430)는 동력전달부(421)에 걸림되는 경우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 힘이 동력전달부(421)를 통해 전달되어 구간 이동되고, 슬라이더(430)의 일단부에는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30)의 일측에는 도어의 내부를 가로지르고 그 양단이 손잡이부(300)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440)가 구비되고, 슬라이더(300)는 가이드부재(4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부재(44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6,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가이드부재(440)는 양단이 손잡이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샤프트(420)는 가이드부재(440)의 내부를 관통하고, 가이드부재(4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430)는 샤프트(420)의 저면을 가로질러 샤프트(420)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활주안내부(431)는 슬라이더(430)의 자유단에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더(430)에서 동력전달부(421)로부터 힘을 전달받는 면은 힘의 전달이 우수하도록 단턱(432)이 형성되고 활주안내부(431)는 구간 이동의 원활한 안내를 위하여 단턱(432)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래치 결합형 활주부(460)는 슬라이더(430)에 형성된 활주안내부(431)에 접촉된다.
활주부(460)는 슬라이더(430)의 구간 이동시 활주안내부(431)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50)를 구간 이동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활주안내부(431)는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 일체형 활주부(460)는 롤러로 이루어져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60)인 롤러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31)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50)를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활주안내부(431)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60)는 롤러로 이루어져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60)인 롤러가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활주안내부(431)를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구간 이동하여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50)를 구간 이동시킨다. 이때, 자유곡면은 롤러의 구간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롤러의 구름 동작이 힘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손에 느껴져 도어의 개방동작이 감지되게 된다. 또한, 자유곡면에서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6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50)의 인출입을 빠르게 동작시킨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활주안내부(431)는 직선의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활주부(460)는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 활주부(460)인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면서 구간 이동하여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래치(450)를 구간 이동시킨다.
한편, 슬라이더(430)의 후방에는 슬라이더(430)를 지지시키는 가이드부재(440)에서 돌설되는 고졍편(441)에 일단이 고정되고 슬라이더(430)의 후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복귀스프링(442)이 구비된다.
복귀스프링(442)은 슬라이더(430)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구간 이동시의 힘이 제거되면 슬라이더(430)를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한다.
래치(450)는 샤프트(420)와 교차되도록 샤프트(420)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작동부재(451)와, 작동부재(451)에 결합되는 래치볼트(4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래치와 일체를 이루는 활주부(460)는 래치의 작동부재(451)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부재(451)는 샤프트(420)가 중앙을 관통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래치볼트(453)가 결합되는 결합공(4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의 결합공(452)에는 래치볼트(453)와 일체로 이루어진 고정바(454)가 결합되고, 래치볼트(453)는 래치커버(455) 내에 수용된다. 래치커버(455)는 도어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도어에 내설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래치볼트(453)가 외측으로 인출입될 수 있게 일면이 개방된다.
그리고, 도어의 내부에는 샤프트(420)와 슬라이더(430)와 래치(450)를 보호하고, 래치(4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470)가 더 구비된다.
커버(470)는 중앙에 샤프트(420)와 가이드부재(440)가 통과되는 관통공(471)이 형성되고, 관통공(471)의 상,하부에 래치(4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편(472)이 형성되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에 볼트조립되는 고정구(473)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51)의 타측면과 커버(470)의 내측벽에는 작동부재(45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작동부재(451)의 이동을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456)이 구비된다.
복귀스프링(456)은 작동부재(451)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451)에 결합된 래치볼트(453)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되게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록 해정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의 (a)는 잠금버튼부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길 때 도어록 해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의 (a)는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도어록 해정부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길 때 손잡이부와 연동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록 해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출입구 개폐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사용자가 외출을 할 때 도어록장치에 구비된 잠금버튼부를 누르면, 잠금 신호가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잠금버튼부의 신호를 받아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10)는 일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410)에 연결된 샤프트(4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420)의 회전으로 동력전달부(421))가 슬라이더(43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동력전달부(421)는 슬라이더(430)와 어긋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샤프트(200)가 구간 이동하게 되고 샤프트(200)에 구비된 동력전달부(210)가 슬라이더(300)를 가압하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300)는 동력전달부(210)로부터 힘을 전달받지 않아 움직이지 않게 되고, 아울러 래치 일체형 활주부(410)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래치볼트(430)가 돌출된 상태 즉, 도어의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00)를 누르거나 당겨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잠금 해제는 제어부(23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받은 도어록 해정부(400)의 구동부(410)가 타 방향으로 구동하여 구동부(410)에 연결된 샤프트(42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샤프트(420)의 회전으로 동력전달부(421))가 슬라이더(430)와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동력전달부(421)는 슬라이더(430)와 걸림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를 누르거나 당기면 손잡이부의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샤프트(420)에 전달되고, 샤프트(420)는 손잡이부(30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된다. 이때, 샤프트(300)에 구비된 동력전달부(421)는 슬라이더(430)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동력전달부(421)가 슬라이더(430)를 가압하게 되고, 슬라이더(430)는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으로 샤프트(420)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게 된다.
이어 슬라이더(430)의 구간 이동으로 활주안내부(431)에 접촉된 활주부(460)가 활주안내부(431)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활주부(460)와 일체로 이루어진 래치(450)가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래치(450)의 구간 이동으로 래치커버(45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있던 래치볼트(453)가 래치커버(455) 내측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도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더(430)의 후방에 탄설된 복귀스프링(442)은 슬라이더(430)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작동부재의 후방에 탄설된 복귀스프링(442)은 작동부재(451)의 구간 이동으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활주안내부(431)의 자유곡면은 활주부(460)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의 래치볼트(453)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460)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의 (b)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손잡이부(300)로부터 손을 놓게 되면 샤프트(420) 및 슬라이더(430)를 구간 이동시키던 힘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442,456)이 복원되면서 슬리이더(430) 및 작동부재(451)를 이동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슬라이더(430)는 동력전달부(421)에 복귀스프링(442)의 복원력을 전달하여 샤프트(420)를 이동 전 위치로 복귀시키고, 아울러 슬라이더(430)의 활주안내부(431)를 따라 이동한 래치 일체형 활주부(460)는 역으로 슬라이더의 활주안내부(431)를 따라 샤프트(42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작동부재(451)는 이동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래치커버(455)의 내측에 인입되어있던 래치볼트(453)를 밀어내고, 래치볼트(453)는 래치커버(455)의 외측 즉,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이 이루어지는 도 12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활주부 및 활주안내부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요부확대 도면이다.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슬라이더(430)에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60)가 형성되고, 래치(450)에 활주부(46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31)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일 실시 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짐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430)의 활주부(46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50)의 활주안내부(431)가 직선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60)인 원형봉의 구간 이동시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31)의 경사면이 원형봉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50)를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활주부(460)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50)의 활주안내부(431)가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60)인 원형봉의 구간 이동시 원형봉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31)의 자유곡면이 원형봉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50)를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의 활주부(460)가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래치(450)의 활주안내부(431)가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활주부(460)인 제 1 경사면의 구간 이동시 제 1 경사면에 접촉된 활주안내부(431)의 제 2 경사면이 제 1 경사면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450)를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킨다.
이처럼, 도어록 해정부의 다른 실시 예는 슬라이더(430)에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460)가 형성되고, 래치(450)에 일체로 활주부(431)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431)가 형성되어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 래치(450)를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에 항균부가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의 손잡이부(300)는 도어의 개방시 손잡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파지부(320)가 눌러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에 몸을 기대거나 부딪침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게 손잡이부의 파지부(320)가 눌러지게 되면 도어의 열림과 동시에 도어에 기대거나 부딪치는 힘에 의해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도어의 일면에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손잡이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파지부(320)가 눌러지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푸시부재(321)를 눌렀을 때 도어가 열리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게 손잡이부가 눌러짐으로 인하여 도어가 열리게 되거나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일면에 누름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는 파지부(320)가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고, 파지부(320)의 중앙에 푸쉬부재(321)가 눌림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부의 파지부(320)가 눌러지는 것이 아니라 파지부(320)의 중앙에 구비된 푸쉬부재(321)가 눌러져 구간 이동되게 하며, 푸시부재(321)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샤프트(420)에 전달되어 도어가 열리도록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손잡이부가 눌러짐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내부에 항균물질을 분사하는 항균부(480)를 구비하여 손잡이부(30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샤프트(420)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손잡이부(300)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해 항균물질이 분사되어 사용자의 손 및 손잡이부를 소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항균물질에는 손 소독제 및 실내의 공기를 개선시키는 방향제가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생에 관련한 소독제 및 항균제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지정된 유효감지거리에 접근하였을 때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열쇠 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조작할 필요가 없고,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스마트 키를 분실하였거나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도어를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홈네트워크 서버에 기 저장된 비밀 키 정보를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외출시 사용자가 방문자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어록 해정부는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와,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는 활주부에 의해 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정확한 동작으로 인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활주부가 활주안내부를 타고 구름 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동작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활주안내부의 자유곡면은 활주부가 경사진 면을 타고 오르는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래치볼트가 도어의 내측으로 빠르게 삽입되어 도어를 개방함에 있어 걸리는 느낌이 전혀 없고, 이러한 상태에서 활주부가 자유곡면을 타고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러움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의도하지 않게 손잡이부가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항균물질이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분사되게 하여 세균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무선 컨트롤 유닛 110: 스마트 키
130: 이동통신단말기 131: 이동통신모듈
132: USIM 133: 비밀 키 어플리케이션
134: 근거리통신모듈 140: 비밀키 제공자 서버
150: 홈네트워크 서버 151: 메모리부
152: 컨트롤러부 153: 근거리통신모듈
160: 단말기 200: 도어록장치
210: 무선통신부 211: RFID 리더
212: 제 1 통신부 213: 제 2 통신부
220: 인증부 221: 제 2 출력부
230: 제어부 240: 잠금버튼부
300: 손잡이부 310: 고정브라켓
311: 수용부 312: 고정핀
320: 파지부 321: 푸시부재
400: 도어록 해정부 410: 구동부
420: 샤프트 421: 동력전달부
430: 슬라이더 431: 활주안내부
432: 단턱 440: 가이드부재
441: 고정편 442: 복귀스프링
450: 래치 451: 작동부재
452: 결합공 453: 래치볼트
454: 고정바 455: 래치커버
456: 복귀스프링 460: 활주부
470: 커버 471: 관통공
472: 가이드편 473: 고정구
480: 항균부 500: 전원공급부
510: 비상전원공급단자 520: 제 1 출력부
600: 카메라

Claims (23)

  1.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상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여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키 인증이 통과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좌,우 회전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며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간 이동하면서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 결합형 활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1차 절곡되고, 경사진 상단이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게 2차 절곡되며, 그 하단부가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평이 되게 3차 절곡되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비밀키 정보를 무선 송신하여 도어록장치의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 유닛; 및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으로부터 상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여 비밀키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밀키 인증을 통과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무선컨트롤유닛으로부터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비밀키 정보가 기 등록된 비밀키 정보인지 확인하는 인증부와, 상기 인증부의 비밀키 인증이 통과되면, 도어의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를 받아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부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록 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좌,우 회전되고 상기 도어의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되어 구간 이동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 방향에 따라 구간 이동시의 힘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구간 이동하며 상기 구간 이동시 힘을 전달하기 위한 활주부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활주부의 구간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동력을 변환하기 위한 활주안내부가 형성되어 상기 활주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하는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샤프트의 구간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샤프트의 일 지점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1차 절곡되고, 경사진 상단이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이 되게 2차 절곡되며, 그 하단부가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평이 되게 3차 절곡되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도어의 잠금 신호를 입력하는 잠금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버튼부로부터 잠금신호가 인가되면 도어의 잠금이 수행되도록 상기 도어록 해정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인식 태그를 내장한 스마트 키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무선인식 태그가 송출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키의 무선인식 태그를 판독하는 유효 감지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제공자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비밀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비밀키 정보를 근거리통신을 통해 상기 도어록장치에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비밀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컨트롤 유닛은 비밀키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망 또는 인터넷망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원격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비밀키 정보를 상기 도어록 장치에 전송하는 홈네트워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비밀 키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벨을 누르는 방문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도어록장치의 제 2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 2 통신부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는 제 2 통신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를 홈네트워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방문자를 확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비밀키 인증이 통과될 때 음원 또는 광을 출력하는 제 1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는 상기 구성들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전원공급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소진시 음원 또는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안내부는 경사를 이루는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 1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활주부는 활주안내부를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이거나 또는 활주안내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원형봉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부는 상기 래치 또는 슬라이더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6. 삭제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작동부재의 후방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구간 이동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구간 이동 시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작동부재를 이동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도어의 내부를 가로지르고 그 양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저면을 가로질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활주안내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자유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 해정부는 상기 샤프트와 슬라이더와 래치의 외측을 커버하고 상기 래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하부에 상기 래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에 볼트조립되는 고정구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부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의 중앙에 눌림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시부재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구간 이동시의 힘이 가해지면 항균물질이 분사되는 항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항균물질은 손 소독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40155809A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0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9A KR101604660B1 (ko)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09A KR101604660B1 (ko)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660B1 true KR101604660B1 (ko) 2016-04-01

Family

ID=5579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09A KR101604660B1 (ko) 2014-11-11 2014-11-11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524A (ko) * 2016-08-22 2018-03-05 김세환 스마트박스 잠금/잠금해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스마트박스
KR102662033B1 (ko) * 2021-09-13 2024-04-30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009A (ko) * 1993-12-31 1995-07-22 하재우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KR19990009306A (ko) * 1997-07-09 1999-02-05 유경희 도어 록장치
KR200204780Y1 (ko) * 2000-06-26 2000-12-01 주식회사풀베이스 도어 잠금장치
KR20060086051A (ko) * 2005-01-25 2006-07-31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00028587A (ko) * 2007-06-05 2010-03-12 알티튜드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손 세정 촉진 장치
KR100969594B1 (ko) * 2009-10-29 2010-07-14 (주)라우즈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7950A (ko) * 2009-06-24 2010-12-31 엄태준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이 구비된 도어
KR101191925B1 (ko) * 2012-03-29 2012-10-17 주식회사 넥스트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KR20130113151A (ko) * 2012-04-05 2013-10-15 윤병만 출입구 개폐장치
KR20130117459A (ko) * 2012-04-17 2013-10-28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40115631A (ko) * 2013-03-21 2014-10-0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009A (ko) * 1993-12-31 1995-07-22 하재우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KR19990009306A (ko) * 1997-07-09 1999-02-05 유경희 도어 록장치
KR200204780Y1 (ko) * 2000-06-26 2000-12-01 주식회사풀베이스 도어 잠금장치
KR20060086051A (ko) * 2005-01-25 2006-07-31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00028587A (ko) * 2007-06-05 2010-03-12 알티튜드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손 세정 촉진 장치
KR20100137950A (ko) * 2009-06-24 2010-12-31 엄태준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이 구비된 도어
KR100969594B1 (ko) * 2009-10-29 2010-07-14 (주)라우즈미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1925B1 (ko) * 2012-03-29 2012-10-17 주식회사 넥스트 푸쉬타입의 레버형 도어록
KR20130113151A (ko) * 2012-04-05 2013-10-15 윤병만 출입구 개폐장치
KR20130117459A (ko) * 2012-04-17 2013-10-28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140115631A (ko) * 2013-03-21 2014-10-01 삼성전기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ockButton(2013.04.0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1524A (ko) * 2016-08-22 2018-03-05 김세환 스마트박스 잠금/잠금해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 스마트박스
KR102662033B1 (ko) * 2021-09-13 2024-04-30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151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bidirectional transmitters
US20150128667A1 (en) Digital entrance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0800619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transmitter having a range limitation to control a movable barrier operator
US20140245798A1 (en) Add-Lock
JP5956355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TWI550435B (zh) 使用行動裝置操作的管制系統
KR101604660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WM506183U (zh) 門禁系統
KR20160056000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TWI737660B (zh) 用以操作入口之控制系統的方法及用以控制入口之系統
US20060055510A1 (en) Access control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0800050B1 (ko) 도어락을 이용한 보안 설정/해제 시스템
JP7181710B2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KR101810486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JP6148026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1810483B1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JP201414180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60056001A (ko)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9B1 (ko) 푸시풀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JP7197373B2 (ja) リモコン装置、開閉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制御方法
JP2007162310A (ja) 住宅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6186153A (ja) 錠前用端末キーの施・解錠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建物の錠前用端末キー
JP6140254B2 (ja) 自動ドア装置用送信機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