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051A -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051A
KR20060086051A KR1020050006864A KR20050006864A KR20060086051A KR 20060086051 A KR20060086051 A KR 20060086051A KR 1020050006864 A KR1020050006864 A KR 1020050006864A KR 20050006864 A KR20050006864 A KR 20050006864A KR 20060086051 A KR20060086051 A KR 20060086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home
digital door
server terminal
hom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200B1 (ko
Inventor
신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Priority to KR1020050006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2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Abstract

본 발명의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출입문에 디지털도어락을 설치하고 댁내에 홈서버 단말장치를 설치하되, 디지털도어락과 홈서버 단말장치간은 홈네트워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디지털 도어락은, 카메라부와, 초인종 버튼과, 태양전지모듈과, 스피커폰부를 장착하며, 태양전지모듈의 태양열판넬로 집광한 태양에너지를 충전지에 광전변환 충전시켜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가, 버튼 입력시 카메라부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홈서버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댁내통화채널을 형성하여 방문자가 스피커폰부를 통해 홈서버 단말장치의 내입자와 통화하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도어오픈제어 및 홈서버 단말장치로부터의 도어오픈제어중 하나에 따라 출입문을 도어오픈한다.
디지털도어락, 카메라부, 초인종, 홈네트워크 무선통신방식, 홈서버 단말장치

Description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WITH DIGITAL DOOR LO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홈서버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도어락과 도어폰기능을 홈오토메이션으로 접목하는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거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대부분 인터폰이나 비디오폰과 같은 도어폰을 댁내에 설치하고 있고, 출입문 사용의 편리를 위해서 도어락(door lock)을 선 택적으로 추가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어락에는 비밀번호 입력방식이나 지문인식, 홍채인식, 음성인식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인 디지털 도어락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방식과 겸용한 겸용방식도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도어락과 도어폰를 각각 설치하므로 설치비용이 각각을 설치한 만큼 더 들어가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또한 서로가 연동이 되지 않아 설치한 가정에서는 각자가 별도의 작동하고 있어 여러가지 불편함이 많았다. 여러가지 불편함의 일 예를 들면,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 열림기능만 하므로 방문자가 초인종을 누르면 댁내에 있는 사람이 인터폰이나 비디오폰으로 확인 또는 직접 육성으로 확인을 하고 본인이 직접 출입문까지가서 출입문을 열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은 건전지 교환시기를 디지털 도어락 본체에서만 알려주므로 장기 외출시 건건지 교환시기가 되면 외부에서 조치를 취해야되는 불편함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폰 기능을 디지털 도어락에 탑제하여 설치 시공 및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는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의 건전지 교환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디지탈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댁내에서 방문자 영상확인, 통화기능, 충전지 교체시기 통보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도어락 출입문의 현재 상태확인 및 원격제어(원격 방문자 확인 및 통화기능, 원격 문열림, 원격 비밀번호 변경, 원격 충전지교체시기 통보기능)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에 디지털도어락을 설치하고 댁내에 홈서버 단말장치를 설치하되, 디지털도어락과 홈서버 단말장치간은 홈네트워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카메라부와, 초인종 버튼과, 태양전지모듈과, 스피커폰부를 장착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태양열판넬로 집광한 태양에너지를 충전지에 광전변환 충전시켜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가, 버튼 입력시 카메라부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홈서버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댁내통화채널을 형성하여 방문자가 스피커폰부를 통해 홈서버 단말장치의 내입자와 통화하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도어오픈제어 및 홈서버 단말장치로부터의 도어오픈제어중 하나에 따라 출입문을 도어오픈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구성도로서, 크게 출입문에 설치되는 디지털 도어 락(2)과, 댁내에 설치되는 홈서버 단말장치(4)와, 홈서버 단말(4)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6)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6)은 예컨대, 홈서버 단말장치(4)의 국선에 병렬 연결된 댁내 유선전화기(6c)나, 공중망(5)을 통해서 홈서버 단말장치(4)에 연결되는 피가입자 유선전화기(6a)나, 공중망(5)과 이동통신망(7)을 통해서 홈서버 단말장치(4)에 연결되는 휴대폰(6b)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락(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가 내장되고 초인종 버튼(16)이 구비되어 방문자 영상 확인기능과 아울러 방문자에게 편리한 초인종버튼 위치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4-6개월마다 건전지를 교환해야하는 기존의 번거러움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도어락(2)의 핸들(11)의 전면부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열 판넬(12)이 설치된다. 태양열 판넬(12)은 디지털 도어락(2)에 내장된 태양열 충전하는 태양전지모듈의 일부 부품이다. 또한 방문자와의 댁내 도어폰 통화를 위한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가지는 스피커폰부(32)가 디지털 도어락(2)의 핸들(11)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 락(2)은 홈서버 단말장치(4)와 IEEE(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802.15.4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IEEE 802.15.4 무선통신은 저속(데이터 전송속도: 20kbps∼250kbps)의 저전력을 목표로 하는 프로토콜로서 홈 네트워크 구현에 가장 적합한 통신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2)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 락(2)은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30)가 있으며, 방문자 영상 확인용 카메라부(10)와, 태양열 충전을 위한 태양전지모듈(11)이 구비된다. 태양전지모듈(11)은 2차전지인 충전지(14)와, 집광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열 판넬(12)과, 태양열 판넬(12)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충전지(14)로 충전하기 위한 전원충전부(13)로 구성한다. 충전지(14)에 충전된 전원은 디지털 도어락(2)의 동작전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2)은 방문자의 초인종버튼 누름에 대응된 키데이터를 출력하는 초인종버튼부(14)와,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무선통신(IEEE 802.15.4)을 수행하는 RF부(18) 및 RF 안테나(20)를 구비한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2)에는 디지털 도어 락(2)의 사용안내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음성멘트 메모리(22)가 구비되며, 도어 오픈시 요구되는 비밀번호 입력용 키입력부(24)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메모리(26)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오픈모터(door open motor)(28)도 구비된다. 또한 음성통화를 위한 음성처리부(29)와,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가지는 스피커폰부(32)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2)은 홈서버 단말장치(4)와는 IEEE 802.15.4통신방식의 홈네트워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도 3은 디지털 도어락(2)와 홈네트워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도 1의 홈서버 단말장치(4)의 블록 구성도이다. 홈서버 단말장치(4)는 홈서버기능과 비디오 폰 기능이 복합된 단말장치로서, 와이드 LCD(42)와 터치스크린패드(TSP)(44)가 채용된 대형 터치스크린부(48)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홈서버 단말장치(4)는 대형 터치스크린부(48), 방범입력부(50), 화재 및 가스검출부(52), 키버튼부(54) 및 메모리부(68)를 포함한다. 외부통신부(55)는 피가입자측 유선전화기(6a)나 댁내 유선전화기(6c)와 같은 사용자 단말(6)에 연결되는 국선인터페이스부(62)와, ADSL/VDSL모뎀을 통해서 인터넷에 연결되는 VoIP통신부(64)와, 전력선통신, USB통신, RS-232C통신, 게이트웨이통신과 같은 통신인터페이스를 위한 기타 통신부(66)를 포함하고 있다.
방범입력부(50)에는 인체감지기 및 문열림 감지기 등과 같은 감지기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화재 및 가스 검출부(52)에서는 가스밸브 열림 및 잠금검출, 가스누출감지나 화재 검출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홈서버 단말장치(4)는 화재감지, 가스누출감지, 침입자 감지, 출입문 제어, 홈게이트웨이 기능, PLC가전제어 기능, 방범/방재 및 출동경비 기능, 방문자 영상확인기능 등을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F무선통신부(IEEE 802.15.4)를 탑재하여 도 1의 디지털도어락(2)에 대한 댁내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댁내 유선전화기(6c)나 공중망(5)을 통한 피가입자측 유선단말(6a)이나 휴대폰(6b)에 의한 원격제어 및 원격지로의 모니터링도 가능하게 해준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열림 기능만을 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디지털 도어락의 기존 기능과 더불어 원격제어 기능 및 현상태 확인 기능, 태양열 충전기능이 탑재된다. 또한 종래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건전지 교환시기를 디지털 도어 락 본체에서 알려주지만 본 발명에서는 충전지 교체시기가 되면 홈서버 단말장치(4)로나 홈서버 단말장치(4)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6)로 알려주므로 사용자가 미리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어락 비밀번호를 아는 사람이 출입문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락(2)의 키입력부(24)를 이용하여 도어락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디지털 도어락(2) 및 홈서버 단말장치(4)는 도 4의 92단계 내지 98단계를 수행한다.
디지털도어락(2)의 키입력부(24)를 통해서 도어락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도 4의 92단계),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입력된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메모리(26)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도어락 해제제어도 수행하지만(도 4의 99단계), 우선적으로는 카메라부(10)를 활성화시켜 방문자를 촬영케한다(도 4의 94단계). 그 후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카메라부(10)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포함 출입제어신호를 댁내 설치된 홈서버 단말장치(4)로 홈네트워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서 전송하고(도 4의 96단계), 홈서버 단말장치(4)의 홈서버 제어부(40) 는 이를 수신하여 비프음을 발생해 줌과 동시에 촬영화상을 와이드 LCD(42)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하게된다.
이러한 제어는 내입자가 비밀번호를 누르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바로 확인케해주어 그 사람을 반갑게 맞이할 수 있게해 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비밀번호를 모르는 방문자가 디지털 도어락(2)의 초인종 버튼(16)을 누르게 되면(도 4의 100단계),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카메라부(10)를 활성화시켜 방문자를 촬영케한다(도 4의 102단계). 그 후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카메라부(10)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보포함 방문신호를 댁내 설치된 홈서버 단말장치(4)로 홈네트워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하고(도 4의 104단계), 홈서버 단말장치(4)의 홈서버 제어부(40)는 이를 수신하여 초인종 음을 발생해 줌과 동시에 촬영화상을 와이드 LCD(42)상으로 디스플레이하게된다. 또한 촬영화상을 캡춰하여 캡춰 정지화상을 메모리부(68)에 저장해 놓은 후 도 4의 110단계로 진행한다.
도 4의 110단계에서 홈서버 단말장치(4)의 홈서버제어부(40)는 외출모드로 설정되었는지를 메모리부(68)의 설정플래크(set flag)를 체크하여 판단하는데,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디지털 도어락(2)과 댁내통화채널을 형성하여(도 4의 112단계), 방문자가 디지털도어락(2)의 스피커폰부(32)을 이용해 내입자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내입자는 방문자를 영상확인하고 도어오픈 입력을 할 수 있는데, 도어오픈 입력은 키버튼부(54)나 홈서버 단말장치(4)에 딸린 리모콘을 이용해서 수행할 수 있다. 내입자로부터 도어오픈 입력이 있게되면(도 4의 114단계), 홈서버 단말장치 (4)의 홈서버 제어부(40)는 도어오픈 제어신호를 디지털 도어락(2)으로 무선전송하고(도 4의 116단계),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도어오픈모터(28)를 제어하여 출입문 도어오픈이 되게 한다(도 4의 118단계).
홈서버 단말장치(4)는 도 4의 110단계의 판단에서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홈서버 제어부(40)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6)로 발신메시지를 전송한다(도 4의 120단계). 만일 사용자 단말(6)이 정지화상 수신가능한 단말이라면 카메라 촬영된 후 캡춰된 정지화상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홈서버 제어부(40)는 지금 외출중이며 통화연락을 바로 취하고 있으므로 잠시 기다려 달라는 등의 취지가 담긴 음성멘트신호를 디지털 도어락(2)으로 전송한다. 그래서 방문자가 현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 단말(6)이 착신을 하게 되면, 홈서버 단말장치(4)를 매개로 방문자가 있는 디지털 도어락(2)과 등록자의 사용자 단말(6)간에 원격지 통화채널이 형성되어 쌍방간에 통화를 할 수 있으며(도 4의 124단계), 등록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6)을 이용하여 출입문 도어오픈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충전지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원격통보와 원격지에서의 비밀번호 변경제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2)은 태양열 판넬(12)로 집광하여 태양전지모듈(11)의 충전지(14)에 태양열 충전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건전지가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충전지(14)의 충전성능이 열화되어 충전지(14) 를 교체해야될 시기가 되면 이를 사전에 홈서버 단말장치(4)로 알려주거나 홈서버 단말장치(4)를 경유해 사용자 단말(6)로 알려주게 된다.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충전지(14)의 전압을 체크하여(도 5의 130단계), 충전지(14)를 교체해야될 정도인지를 판단한다(도 5의 132단계). 만약 충전지(14)를 교체해야될 정도이면 충전지교체 요구메시지를 홈서버 단말장치(4)로 홈네트워크 무선통신방식으로 전송한다(도 5의 134단계).
홈서버 단말장치(4)의 홈서버 제어부(40)는 현재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도 5의 136단계), 외출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충전지 교체 메시지를 홈서버단말장치(4)의 와이드 LCD(42)상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교체안내멘트를 제공한다. 충전지 교체요구메시지의 전송주기는 충전지교체의 긴급정도에 관계되는데, 초기 충전지교체 긴급성이 낮을 경우에는 예컨대 수시간의 주기로 충전지교체 요구메시지가 전송되다가 그래도 충전지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충전전압레벨이 점차 떨어지면 충전지 교체 긴급성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게되고 아울러 충전지 교체메시지의 전송주기는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도 5의 136단계에서 외출모드로 설정이 되어 있으면 홈서버 단말장치(4)의 홈서버 제어부(40)는 충전지 교체 메시지를 홈서버 단말장치(4)의 스크린부(42)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충전지 체크한 전압레벨이 충전지 긴급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5의 141단계)에는 지금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단말(6)로 충전지 긴급교체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주어(도 5의 142단계), 사용자가 집으로 돌아올 때 충전지(14)를 구입해서 가져올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나 댁내에서 디지털 도어락(2)의 비밀번호를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비밀번호 변경 제어는 홈서버단말장치(4) 또는 사용자 단말(6)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리자모드에서 진행된다.
사용자 단말(6)을 이용해서 관리자 모드에서 비밀번호 변경요구를 하게되면(도 5의 150단계), 사용자 단말(6)은 비밀번호 변경메시지를 홈서버 단말장치(4)로 전송한다. 홈서버단말장치(4)는 비밀번호 변경요구가 홈서버단말장치(4)의 키버튼부(54)나 터치스크린패드(44)로 입력되거나 사용자단말(6)로부터 수신되면(도 5의 154단계), 비밀번호 변경메시지를 IEEE 802.15.4 홈네트워크 무선통신으로 디지털도어락(2)에 전송한다(도 5의 156단계).
디지털 도어락(2)의 제어부(30)는 비밀번호 변경메시지가 수신되면 비밀번호 메모리(26)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수신된 새로운 비밀번호로 갱신하고(도 5의 158단계), 그 후 홈서버 단말장치(4)로 갱신완료 메시지를 전송하게된다(도 5의 160단계).
홈서버 단말장치(4)는 비밀번호 갱신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게되면 자신이 비밀번호 변경요구 주체자인지 아니면 전달자인지를 판단하여(도 5의 162단계), 주체자이면 홈서버단말장치(4)의 와이드 LCD(42)상에 비밀번호 교체완료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해 준다(도 5의 164단계). 만약 주체자가 아니고 전달자이면 홈서버 단말장치(4)는 수신한 비밀번호 갱신완료메시지를 사용자 단말(6)로 전송하고(도 5의 166단계), 사용자 단말(6)는 이에 따라 비밀번호 교체 완료메시지를 단말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해준다(도 5의 168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홈서버 단말장치(4)와의 연동으로 원격지에서도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좀더 확실한 출입통제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비밀번호 변경과 같은 원격제어와 같은 방식으로 원격지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6)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디지털도어락(2)에 대한 원격 작동정지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폰 기능을 디지털 도어락에 탑제함으로써 설치 시공 및 원가 절감에 효과가 있으며, 디지털 도어락에 사용하는 건전지 교환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댁내에서 출입자 및 방문자 영상확인, 통화기능, 출입문 열림제어 등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디지털 도어락 출입문의 상태확인 및 원격제어(원격 방문자 확인 및 통화기능, 원격 문열림, 원격 비밀번호 변경, 원격 충전지교체 통보기능)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문에 디지털도어락을 설치하고 댁내에 홈서버 단말장치를 설치하되, 디지털도어락과 홈서버 단말장치간은 홈네트워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은,
    카메라부와, 초인종 버튼과, 태양전지모듈과, 스피커폰부를 장착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태양열판넬로 집광한 태양에너지를 충전지에 광전변환 충전시켜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며, 디지털 도어락의 제어부가, 버튼 입력시 카메라부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홈서버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댁내통화채널을 형성하여 방문자가 스피커폰부를 통해 홈서버 단말장치의 내입자와 통화하고,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도어오픈제어 및 홈서버 단말장치로부터의 도어오픈제어중 하나에 따라 출입문을 도어오픈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 단말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더 구비하며, 홈서버 단말장치를 매개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도어락 출입문의 상태확인 및 원격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홈서버 단말장치는 디지털 도어락과의 IEEE 802.15.4 홈네트워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RF무선통신부를 구비하며, 홈서버 단말장치의 홈서버 제어부는, 홈네트워크 무선통신방식으로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초인종 버튼입력에 따른 방문신호가 전송되면 초인종음을 발생하고, 터치스크린부에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촬영화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촬영화상을 캡춰하여 정지화상을 메모리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20050006864A 2005-01-25 2005-01-25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064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64A KR100644200B1 (ko) 2005-01-25 2005-01-25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64A KR100644200B1 (ko) 2005-01-25 2005-01-25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271U Division KR200380869Y1 (ko) 2005-01-25 2005-01-25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051A true KR20060086051A (ko) 2006-07-31
KR100644200B1 KR100644200B1 (ko) 2006-11-14

Family

ID=3717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864A KR100644200B1 (ko) 2005-01-25 2005-01-25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660B1 (ko) * 2014-11-11 2016-04-01 윤채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970B1 (ko) 2009-09-28 2011-09-15 주식회사 레드코어 얼굴인식 도어개폐 시스템
KR101684622B1 (ko) * 2014-12-17 2016-12-07 마송훈 사무용 가구의 보안을 위한 원격 관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3091B1 (ko) * 1997-10-14 2000-12-01 김성기 전자식 도어록
KR20020081168A (ko) * 2002-09-02 2002-10-26 김석균 전자식 도어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660B1 (ko) * 2014-11-11 2016-04-01 윤채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200B1 (ko)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0009B (zh) 一种多功能门禁装置
US20080092610A1 (en) Protective lock structure
JP3794343B2 (ja) 集合住宅用監視制御システムのセンターサーバー
CN102708612A (zh) 基于无线通讯的住宅单元门禁装置和小区门禁系统
KR100576797B1 (ko) 홈오토메이션용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US9679460B2 (en) Monitoring system
CN101695100A (zh) 智能家居安防系统及其控制方法
CN202736139U (zh) 基于无线通讯的住宅单元门禁装置和小区门禁系统
CN102075801A (zh) 机顶盒、自动救助系统及利用机顶盒的自动救助方法
WO2009117880A1 (zh) 无线门禁对讲系统
KR20060125237A (ko) 비디오폰과 휴대폰과의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시스템 및 통신방법
KR100644200B1 (ko)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06005376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도어폰 원격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1055992A1 (fr) Systeme d'informations utilisant un circuit telephonique, et un terminal de surveillance
CN202634629U (zh) 带电话转接功能的人脸识别楼宇对讲系统
KR200380869Y1 (ko) 디지털도어락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CN201804421U (zh) 智能家居安防系统
JP200413520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210864867U (zh) 人脸识别门禁改造设备和系统
JP2006032998A (ja) 無線ドアフォンシステム
CN113496562A (zh) 一种基于树莓派的智能门锁控制系统
CN105389869A (zh) 一种手机拨号门禁操作方法及系统
KR20070118844A (ko) 도어 제어 장치
KR100834127B1 (ko) 도어 제어 장치
KR100407450B1 (ko) 무선 영상 도어 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