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033B1 -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033B1
KR102662033B1 KR1020210121510A KR20210121510A KR102662033B1 KR 102662033 B1 KR102662033 B1 KR 102662033B1 KR 1020210121510 A KR1020210121510 A KR 1020210121510A KR 20210121510 A KR20210121510 A KR 20210121510A KR 102662033 B1 KR102662033 B1 KR 10266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user
information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8880A (ko
Inventor
조종운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어앤쉐어
Priority to KR102021012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03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간들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대한 사용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상기 사용 요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공간에 대한 스마트 키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 제어 장치; 및 상기 공간의 도어의 도어락에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 키에 따라 상기 공간의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 잠금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SPACE SHA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특히 일반적인 도어에 결합된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 잠금을 제어하고, 사용자 별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공유 사무실의 집무실 도어, 회의실 도어, 화장실 도어, 건물의 출입문, 세대의 도어 등에 설치된다.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높은 보안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전자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키패드와 같은 인터페이스에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지문을 인식함으로써,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고 출입할 수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쉐어오피스 또는 쉐어하우스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다수의 회의실 또는 방을 갖는 쉐어오피스 또는 쉐어하우스가 확산됨에 따라, 불특정 다수 인원들에 대하여 공간 사용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하게 되면, 회의실 사용자가 바뀔 때마다 패스워드를 계속해서 변경해야 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에 따라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제품이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으로 구축된 보안 인프라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적으로 부담이 큰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99987호 '도어락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2021.08.13.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291627호 '공유 사용 공간의 방문에 적용되는 스마트 도어락'(2021.06.3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으로 일반적인 도어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3자에게 공유 공간의 이용 권한을 공유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유 공간의 이용을 시간표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간들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대한 사용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상기 사용 요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공간에 대한 스마트 키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 제어 장치; 및 상기 공간의 도어의 도어락에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 키에 따라 상기 공간의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 잠금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 요청은, 사용자 정보, 공간 식별 정보, 공간 이용 정보 및 공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공간을 식별하여 상기 공간 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 식별부; 및 공간 이용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공간 이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유 제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 수신부; 상기 복수의 공간들을 공유하는 회원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부; 상기 공간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회원 목록에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공간 이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에 대한 상기 스마트 키를 생성하기 위한 키 생성부; 및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키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공유자 명단을 입력받아 상기 공유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유 제어 장치는, 상기 공유자 정보를 상기 회원 목록에 매칭하여 공유자를 인증하기 위한 공유자 인증부; 및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공유자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공유자에게 공유하기 위한 키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공유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스마트 키를 갖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도어락의 제어 버튼을 푸시하기 위한 구동부; 및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한 인원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유 제어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 내에 밀집도를 산출하기 위한 밀집도 산출부; 및 상기 밀집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경고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 상기 구동 에너지를 기초로 회전 운동하기 위한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특정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어 버튼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공간 이용 시간 동안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스마트 키를 갖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도어락의 제어 버튼을 푸시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간 내에 위치한 인원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 상기 구동 에너지를 기초로 회전 운동하기 위한 모터부; 상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구동 에너지를 상기 모터부로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특정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어 버튼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면,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동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원격으로 일반적인 도어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제3자에게 공유 공간의 이용 권한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유 공간의 이용을 시간표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10)은 사용자 장치(100), 공유 제어 장치(200),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 및 데이터 베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복수의 공간(11)들 중 어느 하나의 공간(11)에 대한 사용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공간을 공유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 컴퓨팅 장치(예컨대, 개인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 및 웨어어블 장치(예컨대,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글래스 등)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에서 사용자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간(11)은 벽과 문으로 외부와 분리되어 구분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예컨대, 공간(11)은 사무실, 회의실, 침실, 주방, 아이방, 복도, 개인방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 요청은, 사용자 정보, 공간 식별 정보, 공간 이용 정보 및 공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식별 코드, 연락처, 메일 주소 및 I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식별 정보는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공간의 식별 코드, 이름, 위치, 크기, 최대 사용 인원 및 설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이용 정보는 사용자가 공간을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 시간, 날짜 및 예약 사항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자 정보는 사용자와 공간(11)을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공유자들에 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제어 장치(200)는 사용 요청을 기초로 사용자 장치를 인증하고, 공간에 대한 스마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공유 제어 장치(200)는 사용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대하여 스마트 키를 발행하여, 사용자가 공간(11)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공유 제어 장치(200)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도 3에서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2개의 공간(11)들이 도시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10)은 3개 이상의 공간(11)들에 대한 공유를 관리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는 공유되기 위한 공간(11)의 도어(12)의 도어락(13)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어락(13)은 문의 손잡이에 장착하는 디지털 방식의 도어락을 의미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키에 따라 공간의 도어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는 스마트 키를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도어(12)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400)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서버일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베이스(400)는 복수의 공간(11)들에 대한 사용자 및 공유자들의 사용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 공유 제어 장치(200),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 및 데이터 베이스(400) 중 적어도 둘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이동 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공간 식별부(110), 제1 정보 입력부(120) 및 제2 정보 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식별부(110)는 공간(11)을 식별하여 공간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공간 식별부(110)는 광학 센서(예컨대, 카메라 등)를 이용하여 공간(11)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공간 식별부(110)는 공간(11), 도어(12), 도어락(13) 및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하여 공간(11)을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간 식별부(110)는 식별 코드(예컨대, 시리얼 넘버 또는 QR 코드 등)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공간(11)에 대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공간(11)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식별 코드는, 도어락(13) 또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에 기재될 수 있다.
제1 정보 입력부(120)는 공간 이용 시간을 입력받아 공간 이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정보 입력부(120)는 사용 시작 시간 및 사용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공간 이용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정보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공유자 명단을 입력받아 공유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정보 입력부(130)는 공간(11)을 사용자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공유자들에 대한 명단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정보 입력부(120) 및 제2 정보 입력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 예컨대, 터치 센서(touch sensor), 마이크(mic), 마우스(mouse), 키보드(key board)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제어 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유 제어 장치(200)는 요청 수신부(210), 회원 관리부(220), 사용자 인증부(230), 키 생성부(240), 키 전송부(250), 공유자 인증부(260), 키 공유부(270), 밀집도 산출부(280) 및 경고 신호 생성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2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 장치(100)(도 1 참조)로부터 생성된 사용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220)는 복수의 공간(11)들을 공유하는 회원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회원 관리부(220)는 복수의 공간(11)들을 이용 가능한 회원 목록을 관리하며, 신규 회원을 추가하거나 기존 회원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관리부(220)는 회원들 별로 이용 가능한 복수의 공간(11)들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30)는 공간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회원 목록에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부(230)는 사용자 정보를 회원 목록과 매칭하여, 사용자가 회원 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회원인 경우, 사용자 인증부(230)는 상기 사용자가 공간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공간(11)을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2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간(11)을 사용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키 생성부(240)는 사용자 인증부(230)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공간 이용 정보를 기초로 공간에 대한 스마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키는, 공간 이용 시간 동안 유효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키 전송부(25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키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요청 수신부(210) 및 키 전송부(250)는 통합되어 하나의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공유자 인증부(260)는 공유자 정보를 회원 목록에 매칭하여 공유자를 인증할 수 있다. 즉, 공유자 인증부(260)는 공유자 정보에 포함된 공유자들에 대한 목록을 회원 목록과 매칭하고, 사용자 인증부(230)의 인증 방식과 유사하게 공유자를 인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증부(230) 및 공유자 인증부(260)는 통합되어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키 공유부(270)는 스마트 키를 공유자 인증부(260)에 의해 인증된 공유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키 공유부(270)는 인증된 공유자에게 키 전송부(250)를 통해 스마트 키를 전송함으로써 공유할 수 있다.
밀집도 산출부(280)는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공간 내에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밀집도 산출부(280)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공간 내에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밀집도는 공간(11)에 대한 전체적 또는 부분적인 밀집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집도 산출부(28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공간(11)의 전체 또는 부분에 대한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경고 신호 생성부(290)는 밀집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경고 신호 생성부(290)는 공간(11) 내에 모여 있는 인원들이 과도하게 밀집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 장치(100) 및 공유자들의 단말 장치로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10)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 가능한 공유 공간을 관리하면서, 실시간으로 인원들의 밀집도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경고함으로써,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의 전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구동부(330), 위치 감지부(340), 고정부(350) 및 구동 버튼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310)는 사용자 장치(100), 공유 제어 장치(200) 및 데이터 베이스(4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이동 통신(mobile tele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스마트 키를 갖는 사용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320)는 스마트 키를 갖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발생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12)를 오픈하기 위해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330)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도어락(13)의 제어 버튼을 푸시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330)는 제어부(320)로부터 생성된 구동 신호에 따라, 도어락(13)의 제어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공간(11)으로 진입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감지부(340)는 공간(11) 내에 위치한 인원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감지부(340)는 센서(예컨대, 3차원 거리 센서 및 라이다(LiDAR) 등)를 이용하여 공간(11) 내에 위치한 인원들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공간(11)의 천장 또는 벽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부(350)는 도어락(13)의 일측에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350)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의 케이스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버튼부(360)는 외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푸시되면,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버튼부(360)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의 외측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공간(11) 내부에서 밖으로 나갈 때, 구동부(330)에 의해 가려진 도어락(13)의 제어 버튼을 누르는 대신, 구동 버튼부(360)를 누름으로써 도어(12)를 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330)는 배터리부(331), 스위치부(332), 모터부(333), 및 푸시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331)는 구동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부(331)는 적어도 하나의 건전지들 또는 착탈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332)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구동 에너지를 모터부(333)로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부(332)는 배터리부(331) 및 모터부(333) 사이에 배치되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턴-온될 수 있다.
모터부(333)는 구동 에너지를 기초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부(333)는 상기 구동 에너지가 인가되면 회전하는 구동 모터 및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334)는 모터부(333)의 회전에 따라 특정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제어 버튼을 푸시할 수 있는 푸시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푸시부(334)는 모터부(333)로부터 발생한 힘으로 제어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서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가 결합된 도어락(13) 및 도어(12)의 일부분이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락(13)은 도어(1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락(13)은 제어 버튼(131) 및 잠금 걸쇠(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버튼(131)은, 푸시되는 경우 도어(12)의 잠금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제할 수 있다.
잠금 걸쇠(132)는 도어(12)가 설치된 문틀에 형성된 걸쇠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어(12)는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어 버튼(131)이 푸시되면, 잠금 걸쇠(132)는 걸쇠 홈으로부터 도어(12)의 내측을 이동하며, 도어(12)는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락(13)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는 푸시 암(301) 및 위치 센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암(301)은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의 외측으로부터 도어락(13)의 제어 버튼(131)으로 연장된 암 구조를 가지며,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가 구동됨에 따라, 제어 버튼(131)을 푸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2)의 잠금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또는 공유자는 도어(12)를 통해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서는 푸시 암(301)의 형상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에서, 푸시 암(301)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센서(302)는 공간에 있는 인원들(예컨대, 사용자 및 공유자 등)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센서(302)는 도어 잠금 제어 장치(300)의 외부 케이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위치 센서(302)는 공간 내부 인원의 위치를 잘 감지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방식을 통하여,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원격으로 일반적인 도어의 잠금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제3자에게 공유 공간의 이용 권한을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공간들에 대한 이용을 시간표에 따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공간 내부의 인원들의 밀집도를 분석하여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은 실내에서 호흡기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11: 공간
12: 도어
13: 도어락
100: 사용자 장치
110: 공간 식별부
120: 제1 정보 입력부
130: 제2 정보 입력부
131: 제어 버튼
132: 잠금 걸쇠
200: 공유 제어 장치
300: 도어 잠금 제어 장치
301: 푸시 암
302: 위치 센서
400: 데이터 베이스

Claims (15)

  1. 복수의 공간들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대한 사용 요청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
    상기 사용 요청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공간에 대한 스마트 키를 생성하기 위한 공유 제어 장치; 및
    상기 공간의 도어의 도어락에 결합되며, 상기 스마트 키에 따라 상기 공간의 상기 도어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한 인원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을 공유하여 같이 사용하는 공유자들의 회원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회원 관리부;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 내에 밀집도를 산출하기 위한 밀집도 산출부; 및
    상기 밀집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경고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여 상기 밀집도 산출부로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한 인원들의 밀집도를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상기 밀집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 및 상기 공간 내에 위치한 모든 인원들의 단말 장치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청은, 사용자 정보, 공간 식별 정보, 공간 이용 정보 및 공유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공간을 식별하여 상기 공간 식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 식별부; 및
    공간 이용 시간을 입력받아 상기 공간 이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제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요청 수신부;
    상기 공간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회원 목록에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공간 이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간에 대한 상기 스마트 키를 생성하기 위한 키 생성부; 및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키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공유자 명단을 입력받아 상기 공유자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제어 장치는,
    상기 공유자 정보를 상기 회원 목록에 매칭하여 공유자를 인증하기 위한 공유자 인증부; 및
    상기 스마트 키를 상기 공유자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공유자에게 공유하기 위한 키 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공유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스마트 키를 갖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도어락의 제어 버튼을 푸시하기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부;
    상기 구동 에너지를 기초로 회전 운동하기 위한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특정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하여 상기 제어 버튼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공간 이용 시간 동안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121510A 2021-09-13 2021-09-13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KR10266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10A KR102662033B1 (ko) 2021-09-13 2021-09-13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10A KR102662033B1 (ko) 2021-09-13 2021-09-13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880A KR20230038880A (ko) 2023-03-21
KR102662033B1 true KR102662033B1 (ko) 2024-04-30

Family

ID=8580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510A KR102662033B1 (ko) 2021-09-13 2021-09-13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0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12B1 (ko) * 2013-04-10 2013-08-21 엠넥스텍 주식회사 객실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객실관리시스템과 방법
KR101604660B1 (ko) * 2014-11-11 2016-04-01 윤채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64A (ko) * 2018-02-08 2019-08-19 주식회사 디사인플러스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2247522B1 (ko) * 2019-04-12 2021-04-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Qr코드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2291627B1 (ko) 2019-12-20 2021-08-19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공유 사용 공간의 방문에 적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20210099987A (ko) 2020-02-05 2021-08-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도어락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112B1 (ko) * 2013-04-10 2013-08-21 엠넥스텍 주식회사 객실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객실관리시스템과 방법
KR101604660B1 (ko) * 2014-11-11 2016-04-01 윤채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880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14797B (zh) 具有基于定位的意图检测的物理访问控制系统
US10176655B2 (en) Controlling lockable devices using electronic key
US11893850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165325B1 (ko) 일회용 바코드를 이용한 도어락 개폐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도어락 장치
Jadon et al. Comfy smart home using IoT
US20220254212A1 (en) Systems and techniques to provide smart access capabilities in a smart system environment
KR102483794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79173A (ja) 鍵システム
KR20160045308A (ko) Iot기반의 비콘을 활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운영방법
TW201527999A (zh) 藉由分散系統內之裝置所執行之方法及分散系統內之裝置
KR102662033B1 (ko)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Aluri Smart lock systems: An overview
KR20200112333A (ko)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KR102365675B1 (ko) 복합 IoT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공유서비스 제공방법
Yashwant et al. iLock: State-of-the-art sophisticated door lock for wireless devices
KR20150142914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Harun et al. Development of Face Recognition Smart Door Lock System Using ESP32-CAM and Telegram Application As Media Control and Monitoring
KR101682546B1 (ko)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Sharma et al. A Review on Internet of Things Based Door Security
Tripathi et al. Intelligent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Through Three-Stage Verification Using IoT
TWM630694U (zh) 智慧型手勢辨識門鎖系統
KR20200112334A (ko) 출입에 대한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KR20200085710A (ko) 비가청 음파 기반의 도어락 관리서버, 도어락 장치, 도어 개폐 인증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