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546B1 -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546B1
KR101682546B1 KR1020150030495A KR20150030495A KR101682546B1 KR 101682546 B1 KR101682546 B1 KR 101682546B1 KR 1020150030495 A KR1020150030495 A KR 1020150030495A KR 20150030495 A KR20150030495 A KR 20150030495A KR 101682546 B1 KR101682546 B1 KR 10168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door lock
message
unit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576A (ko
Inventor
박은민
정상우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to KR102015003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54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락 장치가 외부 서버나 휴대단말로부터 광고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어락 장치에 휴대단말이 접속하면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로 광고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메시지 수신자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과 상기 근거리 통신부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메시지 수신자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Door lock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락 장치가 외부 서버나 휴대단말로부터 광고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어락 장치에 휴대단말이 접속하면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로 광고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식 도어락의 경우 열쇠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는 대부분 비밀번호나 지문 입력을 통해 문을 열 수 있는 전기 작동식 도어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일반적으로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본체, 본체와 연결되는 외측 레버 및 내측 레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에는 도어락의 잠금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 작동식 도어락은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잠금 해제를 위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등록특허 제10-1414773호를 보면 휴대단말과 도어락 간 페어링이 연결되어 휴대단말이 도어락으로 인식정보를 전송하면 도어락이 인식정보를 비교하여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도 도어락의 개폐 동작을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에만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도어락의 개폐 동작 외에 도어락의 사용자나 관리자 측면에서 유용하고 획기적인 부가적 기능을 추가하여 도어락 장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도어락 장치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도어락 장치에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하여 도어락 장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락 사용자에게 메시지나 광고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도어락 장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어락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메시지 수신자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과 상기 근거리 통신부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휴대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메시지 수신자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또는 광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휴대단말과 상기 근거리 통신부 간에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 또는 광고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에러 처리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에러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외기부에 내장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도어락 장치의 내기부에 내장된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휴대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상기 휴대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복수의 도어락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서, 공동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출입 정보를 가공하여 공동구역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 관리부와, 외부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공동 출입구 또는 개인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제공부와, 공동 출입구 또는 개인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로부터 에러 처리 요청을 수신하면 유지보수업체로 에러 처리를 요청하는 에러 처리 요청부와, 유지보수업체나 광고업체로부터 광고를 입력받아 공동 출입구 또는 개인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로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관리 방법은 복수의 도어락 장치를 관리하는 도어락 관리 방법으로서, 관리 서버가 상기 도어락 장치로 메시지 또는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또는 광고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휴대단말로 기 저장된 메시지 또는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외부 서버나 휴대단말로부터 광고나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도어락 장치에 휴대단말이 접속하면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로 광고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 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가 로컬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도어락 장치에서 관리 서버로 에러 처리를 요청하거나 도어락 장치의 출입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됨으로써 복수의 도어락 장치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가 휴대단말부터 사용자정보(식별정보나 도어락 키정보)를 수신할 때 메시지나 광고 전송을 위한 식별정보 처리는 외기부가 담당하고 도어락 잠금 해제를 위한 도어락 키정보 처리는 내기부가 담당하도록 이원화하여, 메시지 전송과 도어락 잠금 해제의 2가지를 동시 수행해야 하는 도어락의 신호 처리 부하를 경감시키고 처리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이원화 처리 구조는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공용 문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구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메시지 제공 기능에서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를 도어에 설치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는 크게 내기부(100), 외기부(200) 및 잠금부(300)로 구성된다.
내기부(100)는 도어(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110), 내측 레버 고정구(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부품 및 배터리를 내장한 내측 레버(120), 내측 레버(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내측 레버 고정구(11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 내측 회전 바(130) 등을 포함한다.
외기부(200)는 도어(400)의 외측에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내기부(100)의 구성과 유사하다. 외기부(200)는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210), 외측 레버 고정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종 전자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을 내장한 외측 레버(220), 외측 레버(2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외측 레버 고정구(210)의 내측 중심에 설치된 외측 회전 바(230) 등을 포함한다.
잠금부(300)는 도어 모서리에 마련된 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래치(10)의 전진 또는 후진 동작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 잠금을 푸는 역할을 수행한다. 잠금부(300)는 내기부(100) 및 외기부(200)와 연결되어 내측 레버(120) 및 외측 레버(220)의 회전에 연동한다.
내기부(100)와 외기부(200)가 도어(400)의 내외측에 설치될 때 내측 회전 바(130) 및 외측 회전 바(230)가 잠금부(300)의 연동 구멍(305)에 삽입되고, 연동 구멍(305)에 마련된 전원단자와 회전 바(130, 230)에 마련된 전원단자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내기부(10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압이 외기부(200)의 전자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기부(2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 입력부(204), 제어부(206), 도어락 구동부(208), 서버 통신부(209) 등을 포함하고, 내기부(100)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 인증부(104), 배터리(106) 등을 포함한다.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과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이 도어락 장치(50)의 근거리 통신부(109)를 구성한다.
외기부(200)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은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은 하나의 통신모듈에만 접속하는 슬레이브 모듈로서 오직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다른 단말과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못한다.
입력부(204)는 도어락의 비밀번호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으로 푸시버튼이나 정전용량식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204)는 외측 레버(220)에 숫자 및 기호 버튼이 일렬로 배치된 구성이며, 도어락의 에러 처리를 요청할 수 있는 버튼이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206)는 도어락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부분이다. 제어부(206)는 기본적으로 입력부(204)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구동부(208)로 개방 명령을 출력하고 도어의 닫힘이 확인되면 도어락 구동부(208)로 폐쇄 명령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06)는 후술하는 내기부(100)의 인증부(104)로부터 인증신호를 받으면 도어락 구동부(208)로 개방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06)는 메시지나 광고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에러 처리를 요청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6)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락 구동부(208)는 제어부(206)의 제어 명령에 따라 잠금부(30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다. 도어락 구동부(208)는 제어부(206)로부터 개방 명령을 받으면 잠금부(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어부(26)로부터 폐쇄 명령을 받으면 잠금부(300)를 잠금 상태로 만든다.
서버 통신부(209)는 도어락 장치(50)와 관리 서버(150)(도 4 참조) 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 통신부(209)는 인트라넷 등의 로컬망을 통해 관리 서버(150)와 연결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 또는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통신부(209)는 도어락 장치(50)의 사용자 출입정보, 상태정보, 에러 처리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15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50)로부터 메시지나 광고를 수신한다.
내기부(100)의 각 부분을 살펴보면,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은 외기부(200)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은 여러 개의 통신모듈에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마스터 모듈로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동시에 주변의 휴대단말(250)(도 4 참조)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은 휴대단말(250)로부터 설정된 메시지 및 메시지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외기부(200)로 전송하고, 외기부(200)로부터 메시지나 광고를 수신하여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
인증부(104)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2)에 접속한 휴대단말(25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받아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생성한다. 인증부(104)가 제2 근거리 통신 모듈(102)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는 휴대단말(250)에서 전송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의미한다. 즉, 인증부(104)는 휴대단말(250)로부터 받은 번호정보와 기 저장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인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번호를 근거리 통신부(109)를 통해 제어부(206)로 전달한다.
배터리(106)는 도어락 장치의 각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배터리(106)로는 건전지나 2차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106)의 전력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300)의 연결 구조를 통해 외기부(2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아파트나 공동 건물에 복수의 도어락 장치(50)가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공동 출입구(160)에도 도어락 장치(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락 장치(50)는 로컬망을 통해 관리 서버(150)와 연결되어 있다.
관리 서버(150)는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광고업체(180), 유지보수업체(190), 관리자 단말(170) 등과 연결되어 있다. 관리 서버(150)는 광고업체(180), 유지보수업체(190) 또는 관리자 단말(170)로부터 광고나 메시지를 입력받아 도어락 장치(50)로 전송하거나, 도어락 장치(50)로부터 에러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유지보수업체(190)에 전달한다.
도어락 장치(50)는 휴대단말(250)과 내기부(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을 통해 연결되어 휴대단말(250)로부터 메시지 및 메시지 수신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50)는 관리 서버(150)로부터 메시지나 광고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50)는 휴대단말(250)과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단말(250)로 기 저장된 메시지나 광고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에러 처리 요청 신호 및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관리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50)는 복수의 도어락 장치(50)를 관리하는 부분으로 출입 관리부(152), 에러 처리 요청부(154), 메시지 제공부(156), 광고 제공부(158) 등을 포함한다.
출입 관리부(152)는 공동 출입구(160)의 도어락 장치(50)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출입 정보를 가공하여 공동구역의 출입을 관리한다. 출입 관리부(152)는 개인집마다 설치된 도어락 장치(50)로부터도 출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버시 문제로 개인집마다 설치된 도어락 장치(50)로부터는 출입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에러 처리 요청부(154)는 공동 출입구(160) 또는 개인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50)로부터 에러 처리 요청을 수신하여 유지보수업체(190)로 에러 처리를 요청한다.
메시지 제공부(156)는 외부의 관리자 단말(170)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아 공동 출입구(160) 또는 개인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5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제공부(156)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메시지를 생성하여 도어락 장치(50)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58)는 유지보수업체(190)나 광고업체(180)로부터 광고를 입력받아 공동 출입구(160) 또는 개인 출입구의 도어락 장치(50)로 광고를 전송한다. 또한 광고 제공부(158)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광고를 생성하여 도어락 장치(50)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에서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도어락 장치(50)는 관리 서버(150)와 로컬망을 통해 연결되어 관리 서버(150)로부터 메시지나 광고를 수신한다(S10). 도 6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어락 장치(50)는 다른 휴대단말로부터 메시지 수신자 정보 및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50)가 다른 휴대단말 또는 관리 서버(150)로부터 메시지나 광고를 수신하면 이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S12).
이후 도어락 장치(50)에 휴대단말(250)이 접속하여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S14), 도어락 장치(50)는 휴대단말(250)로 메시지나 광고를 전송한다(S16).
도어락 장치(50)가 휴대단말(250)로 메시지나 광고를 전송하는 과정을 공용메시지/광고와 개인용 메시지로 나누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용 메시지나/광고를 전송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50)와 휴대단말(250) 간에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06)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공용 메시지나 광고를 추출하여 근거리 통신부(109)를 통해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 근거리 통신부(109)에서 공용메시지나 광고를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을 통해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로 전달하고,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이 공용 메시지나 광고를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
개인용 메시지인 경우, 도어락 장치(50)와 휴대단말(250) 간에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휴대단말(250)의 사용자 정보가 제2 근거리 통신모듈(102)을 통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202)로 전달된다. 제어부(206)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02)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와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메시지 수신자 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가 일치하면 메시지 수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부(109)를 통해 휴대단말(250)로 전송한다.
여기서 휴대단말(250)의 사용자 정보는 휴대단말(2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로서 휴대단말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와 혼동 방지를 위해, 제어부(206)가 입력받은 휴대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제1 사용자 정보로, 전술한 인증부(104)가 수신한 휴대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제2 사용자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6)는 개인용 메시지를 전송할 때 개인용 메시지와 함께 기 저장된 광고를 함께 휴대단말(2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250)은 메시지와 함께 부가된 광고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어락 장치(50)가 입력부(204)로부터 에러 처리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에러 처리 요청 신호를 서버 통신부(209)를 통해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S18). 도어락 장치(50)로부터 에러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150)는 유지보수업체(190)로 에러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20).
또한 도어락 장치(50)는 사용자의 출입정보를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관리 서버(150)의 요청 시 출입정보를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S22). 도어락 장치(50)로부터 출입 정보를 수신하면 관리 서버(150)는 출입 정보를 가공하여(S24), 건물 관리자는 각 도어락 장치(50)의 출입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메시지 제공 기능에서 휴대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은 도어락 장치가 개인용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고, 도 8은 공용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휴대단말(250)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여 메시지 작성 모드로 들어간다. 메시지 작성 모드는 공용 메시지 작성 모드 및 개인 메시지 작성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개인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도 7의 (a)와 같이, 메시지를 작성하고 메시지 전달 대상(메시지 수신자 정보) 및 전달 기간을 입력하여 '전달'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 등의 데이터가 도어락 장치(50)로 전송된다.
도어락 장치(50)는 내부의 메모리에 메시지, 메시지 전달 대상(메시지 수신자 정보), 전달 기간 등을 저장하고, 메시지 수신자 정보와 일치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하는 휴대단말(25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7의 (b)에서, 전달 대상자로 지정된 아들의 휴대단말(250)에 엄마가 작성한 메시지가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용 메시지 작성 모드에서 도 8의 (a)와 같이, 메시지를 작성하고 메시지 전달 대상(메시지 수신자 정보) 및 전달 기간을 입력하여 '전달'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 등의 데이터가 관리 서버(150)로 전송된다.
관리 서버(150)는 휴대단말(15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등의 정보를 각 도어락 장치(50)로 전송하고, 각 도어락 장치(50)는 메시지 등의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도어락 장치(50)는 전달 대상자와 일치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250)이 인지되면 그 휴대단말(25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8의 (b)에서, 전달 대상자로 지정된 313동 주민의 휴대단말(250)에 313동 대표가 작성한 메시지가 팝업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에서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또는 메시지가 표시될 때 화면의 일부에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50)로부터 제공되는 것으로 메시지에 부가되어 표시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래치 50: 도어락 장치
100: 내기부 200: 외기부
102: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104: 인증부
106: 배터리 109: 근거리 통신부
120: 내측 레버 150: 관리 서버
152: 출입 관리부 154: 에러 처리 요청부
156: 메시지 제공부 158: 광고 제공부
202: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204: 입력부
206: 제어부 208: 도어락 제어부
209: 서버 통신부 220: 외측 레버 250: 휴대단말 300: 잠금부
400; 도어

Claims (7)

  1.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제1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외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 회로기판을 내장한 외측 레버로 구성된 외기부와,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제2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내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 회로기판을 내장한 내측 레버로 구성된 내기부와, 상기 외측 레버 또는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외기부의 제1 회로기판에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기부의 제2 회로기판에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인증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휴대단말과 연결되어 휴대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가 제1 사용자 정보가 기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면 제1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휴대단말로부터 제2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부로 전달하여, 상기 인증부가 제2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면 인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정보는 휴대단말의 식별정보이고, 상기 제2 사용자 정보는 도어락 장치의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3. 도어 외벽에 부착되며 제1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외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외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 회로기판을 내장한 외측 레버로 구성된 외기부와, 도어 내벽에 부착되며 제2 회전 구조체를 내장한 내측 레버 고정구 및 상기 내측 레버 고정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 회로기판을 내장한 내측 레버로 구성된 내기부와, 상기 외측 레버 또는 상기 내측 레버의 회전에 연동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외기부의 제1 회로기판에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서버 통신부 및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기부의 제2 회로기판에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인증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휴대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단말로 기저장된 공용 메시지 또는 광고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이 휴대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인증부로 전달하여, 상기 인증부가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가 일치하면 인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에러 처리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 에러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030495A 2015-03-04 2015-03-04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1682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95A KR101682546B1 (ko) 2015-03-04 2015-03-04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495A KR101682546B1 (ko) 2015-03-04 2015-03-04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76A KR20160107576A (ko) 2016-09-19
KR101682546B1 true KR101682546B1 (ko) 2016-12-06

Family

ID=5710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495A KR101682546B1 (ko) 2015-03-04 2015-03-04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5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442B1 (ko) * 2011-12-07 2012-07-30 주식회사 세원테크 스마트폰 기능의 통합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JP2012197567A (ja) * 2011-03-18 2012-10-18 Miwa Lock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034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에스원 무선경비시스템의 작동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자가 방범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7567A (ja) * 2011-03-18 2012-10-18 Miwa Lock Co Ltd 情報配信システム
KR101169442B1 (ko) * 2011-12-07 2012-07-30 주식회사 세원테크 스마트폰 기능의 통합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KR101296863B1 (ko) * 2013-06-04 2013-08-14 주식회사 아이콘트롤스 Nfc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인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576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3902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US11295568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ihods
US9805534B2 (en) Increased security electronic lock
US20180108192A1 (en) Access management system
US10176655B2 (en) Controlling lockable devices using electronic key
US8749382B2 (en) Portable security container
KR101699964B1 (ko)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운용 방법
JP2021179173A (ja) 鍵システム
JP6411903B2 (ja) ゲート制御システム
US20120200387A1 (en) Digital access control system
KR101682546B1 (ko)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KR20170015955A (ko) 사용자 콜백에 의한 2차인증수행 디지털 도어락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JP7352669B2 (ja) オートロック解錠システムと携帯端末と携帯端末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662033B1 (ko) 공간 공유 관리 시스템
KR20060013718A (ko) 휴대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 시스템
JP2020139391A (ja) ドアの施解錠システム
JP2020139355A (ja) ドアの施解錠システム
KR101505880B1 (ko)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KR20210034837A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20160104260A (ko) 데이터 통신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JP2016136353A (ja) ゲート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