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837A -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 Google Patents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837A
KR20210034837A KR1020190116671A KR20190116671A KR20210034837A KR 20210034837 A KR20210034837 A KR 20210034837A KR 1020190116671 A KR1020190116671 A KR 1020190116671A KR 20190116671 A KR20190116671 A KR 20190116671A KR 20210034837 A KR20210034837 A KR 2021003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room
terminal
fingerpri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387B1 (ko
Inventor
강혜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Priority to KR102019011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해제 지문의 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와 상기 룸의 사용을 허락받기 위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소비자의 상기 룸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잠금 해제 지문의 설정을 위한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지문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지문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문설정부; 및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지문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지문을 상기 스마트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지문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지문의 입력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지문전송부;를 포함하도록 한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Door lock authentication system for using room of public use space and Smart door lock thereof}
본 발명은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출입을 허용하도록 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룸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이 설치되는데, 레버타입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록킹 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종래의 룸도어용 레버타입의 도어락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516150호의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인 외부 손잡이, 축 부재, 제1 연동아암, 제2 연동아암, 핀 연결부재, 내부 손잡이로 구성된다. 외부 손잡이는 도어 외측에서 설치되고, 도어 내측의 축 부재와 연동된다. 축 부재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몸체 상/하단에 돌출되는 상/하단 회동축과, 상단 회동축의 하부 외경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도록 형성한 고정키로 구성된다. 축 부재는 상/하단 회동축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더 형성하고, 관통공에 외부손잡이가 고정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축 부재는 외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상태로 백셋 내부에 설치되는데, 내측에 제1 연동아암이 결합된다. 제1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상단 회동축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과, 삽입공 내주연에 고정키가 결합되도록 형성하는 키홈과, 삽입공의 바깥 외주연의 적정 구간 내에 핀 연결부재가 관통되어 회동이 제한되도록 돌출 형성하는 좌/우 회동 제한턱으로 이루어진 축 고정부를 구성한다. 축 고정부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홀더 및 래치홀더와 연동되는 래치볼트를 이동시키도록 된 래치홀더 구동부를 구성한다. 제1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일측 외경에 삽입 고정되어 축 부재와 함께 회동되면서, 래치볼트의 문틀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제2 연동아암은 축 부재의 상단 회동축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힌지홀과, 힌지홀의 바깥 외주연의 대향면에 각각 핀 연결부재가 정합되도록 형성하는 핀홀로 이루어진 축 회동부를 구성한다. 축 회동부의 일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치볼트 및 데드볼트를 동시에 잠금 해제시키도록 하는 데드볼트 구동부를 구성한다. 제2 연동아암은 제1 연동아암에 대면하도록 축 부재에 관통 삽입되고, 축 부재에 관통된 상태로 자유 회동되도록 핀 연결부재와 정합된다. 핀 연결부재는 제2 연동아암의 외주연과 정합되는 한 쌍의 대향핀과, 대향핀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에 내부 손잡이가 결합되도록 형성한 결합홀로 구성된다.
한편,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손잡이 회전에 어려움을 갖는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출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이 경우 타인이 도와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를 개선한 푸시풀(push-pull) 도어락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푸시풀 도어락은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이러한 푸시풀 도어락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22760호의 "스마트 도어락"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레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와 연동되어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제1작동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설치부재;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가 푸시풀 동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손잡이의 푸시풀 동작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되는 제1회동부를 포함하는 제1작동레버; 및 상기 모티스와 결합되는 제1레버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제1회동부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의 푸시풀 동작시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티스와 연동되어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제2작동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작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설치부재;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가 푸시풀 동작되도록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손잡이의 푸시풀 동작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제2작동레버; 및 상기 모티스와 결합되는 제2레버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제2회동부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레버의 푸시풀 동작시 상기 제2회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모듈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미리 정해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위치로 회동되는 잠금버튼부; 상기 제1설치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버튼부와 결합되되, 상기 잠금버튼부가 잠금되어 상기 제1작동레버가 푸시풀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일방향 회전되며 상기 잠금버튼부를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제2설치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해제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잠금버튼부가 잠금되는 경우 상기 제2작동레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가 푸시풀되는 경우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2작동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룸 도어에 레버타입의 도어락 또는 푸시풀 도어락을 설치할 경우, 현관도어의 사용과는 다른 룸 사용에 특화된 보안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 및 국외적으로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산업이 국가 정책 및 다양한 산업의 연관성으로 인해,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의 도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나, 그 밖의 기존 기술에 해당하는 도어락을 설치할 경우, 거주시설에서 일부 공간에 한정된 기간 동안 사용이 허락되는 소비자에 대한 보안성과 편의성을 크게 해치게 됨으로써,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등의 룸에 최적화된 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지문 인식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하며, 유효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문 인식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 상기 룸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소비자에 제공하는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를 등록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등록된 룸과 상기 제공기간 내에서 사용기간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룸의 사용료를 결제하도록 하고, 상기 결제를 마친 룸의 사용기간을 이후 소비자의 단말기의 선택으로부터 배제시키는 룸선택결제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등록된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 상기 결제 정보, 상기 소비자가 선택한 룸과 사용기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룸선택결제부에 의해 결제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인증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결제한 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지문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지문등록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룸을 출입시,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룸의 사용기간 내에서 출입이 허용되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출입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출입 제한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출입 제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소비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개방한 이후부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룸의 내측으로부터 개방될 때까지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출입통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으로서, 상기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록킹과 록킹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통신부; 지문을 입력하도록 설치되는 지문입력부; 상기 제 1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에 제공하면,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하고,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면, 상기 록킹부가 록킹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지문입력부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되는 지문 정보와 상기 지문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는 메모리부;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이 제공된다.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접속하여, 미리 요구되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권한을 획득하면,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출입을 허용하는 본인 또는 타인 지문의 입력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원격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록킹부의 록킹 시점과 록킹 해제 시점을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한 이후부터 상기 사용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한 제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권한위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NF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와 NFC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의하면,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지문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10)은 서비스서버(11), 룸선택결제부(12), 데이터베이스부(13), 인증데이터제공부(14) 및 지문등록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1)는 지문 인식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1), 룸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단말기(2), 그리고 스마트 도어락(20,30)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운영자의 단말기(1)가 소비자에 제공하는 룸과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를 등록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기(1,2)는 어플레이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함과 아울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처리 및 통신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비롯하여, PC 또는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서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서비스서버(11)로부터 제공되는 등록페이지에서 자신의 룸 모두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룸 각각에 대한 제공기간과 사용료를 각각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룸선택결제부(12)는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2)가 등록된 룸과 제공기간 내에서 사용기간을 선택함과 아울러, 룸의 사용료를 결제하도록 하고, 결제를 마친 룸의 사용기간을 이후 소비자의 단말기(2)의 선택으로부터 배제시키도록 한다. 룸선택결제부(12)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한 결제를 위하여, 외부의 은행 송급 시스템이나 카드 결제 시스템 등과의 통신에 의해, 송금이나 카드 결제 등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료의 결제를 통해 얻어지는 수익은 정해진 수수료를 제외하고, 운영자에게 입금된다. 또한, 룸선택결제부(12)는 소비자의 단말기(2)가 선택할 사용기간을 다른 소비자의 단말기(2)가 재차 선택하지 못하도록 배제하게 된다.
데이터베이스부(13)는 서비스서버(11)에 등록된 룸과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 결제 정보, 소비자가 선택한 룸과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이 밖에도 스마트 도어락(20,30)의 관리 및 이와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그리고 운영자 및 소비자의 인적 및 관련 정보와 함께, 그 밖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한다.
인증데이터제공부(14)는 룸선택결제부(12)에 의해 결제한 소비자의 단말기(2)에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한다. 인증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되거나, 정해진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숫자 데이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인증을 위한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지문등록제어부(15)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스마트 도어락(20,30)이 결제한 룸을 사용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지문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해당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지문 등록 절차의 수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지문등록제어부(15)는 이 밖에도 스마트 도어락(20,30)의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10)은 룸에 대한 소비자가 특정시, 운영자의 출입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모니터링부(16)와, 룸에 대한 사용이 확정된 소비자가 특정 시간이나 재실의 경우 운영자가 출입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출입통제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모니터링부(16)는 스마트 도어락(20,30)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룸을 출입시, 스마트 도어락(20,30)으로부터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을 전달받아, 룸의 사용기간 내에서 출입이 허용되는 소비자의 단말기(2)에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되어 필요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출입통제부(17)는 스마트 도어락(20,30)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출입 제한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출입 제한 시간 동안 스마트 도어락(20,30)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스마트 도어락(20,30)이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함으로써, 스마트 도어락(20,3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소비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스마트 도어락(20,30)을 개방한 이후부터 스마트 도어락(20,30)이 룸의 내측으로부터 개방될 때까지 스마트 도어락(20,30)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20)은 록킹부(21), 제 1 통신부(22), 제 2 통신부(23), 지문입력부(24), 제어부(25), 메모리부(26) 및 전원공급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20)은 일례로서 푸시풀(push-pull)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서 레버 타입의 도어락(3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도어락으로서 역할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20,30)에서 외부 하우징에 해당하는 본체는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후술하게 될 록킹부(21)의 동작에 의한 래치 등의 걸림부재 움직임에 의해, 도어에 대한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록킹부(21)는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도어가 개폐되도록 록킹과 록킹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레버타입이나 푸시풀타입 등에 따라 해당하는 개폐구조 및 동작이 적용될 수 있고,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도록 모터나 솔레노이드 또는 실린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공지된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래치 등의 록킹부재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술로서 사용되는 구성들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 통신부(22)는 소비자의 단말기(2) 및 운영자의 단말기(1)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NFC 태그로 이루어지고, 소비자의 단말기(2)와 NFC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3)는 서비스서버(11)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블루투스, Wi-Fi, 3G, LTE, 5G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지문입력부(24)는 지문을 입력하도록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손가락 접촉시, 접촉한 손가락에 대한 지문의 인식을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부(25)는 제 1 통신부(22)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인증데이터를 제 2 통신부(23)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지문등록제어부(15)에 제공하면, 지문등록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지문입력부(24)에 입력되는 지문을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하도록 하고, 지문입력부(24)에 입력되는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면, 록킹부(21)가 록킹 해제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26)는 지문입력부(24)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되는 지문 정보와 지문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제어부(25)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며, 그 밖에도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7)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건전지 등이 본체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건전지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하도록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권한위임부(28)는 운영자의 단말기(1)가 제 1 통신부(22)를 통해 접속하여 터치패널 등을 사용하여 미리 요구되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권한을 획득하면, 운영자의 단말기(1)의 제어에 의해 출입을 허용하는 본인 또는 타인 지문의 입력을 허용함과 아울러, 스마트 도어락(20,30)을 원격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고, 록킹부(21)의 록킹 시점과 록킹 해제 시점을 제 2 통신부(23)를 통해서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10)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지문등록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지문입력부(24)에 입력되는 지문을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한 이후부터 사용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한 제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룸의 사용 권한을 획득시, 운영자로부터 정해진 사용기간 동안 자유롭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에 따르면,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지문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운영자의 단말기 2 : 소비자의 단말기
10 : 도어락 인증 시스템 11 : 서비스서버
12 : 룸선택결제부 13 : 데이터베이스부
14 : 인증데이터제공부 15 : 지문등록제어부
16 : 출입모니터링부 17 : 출입통제부
21 : 록킹부 22 : 제 1 통신부
23 : 제 2 통신부 24 : 지문입력부
25 : 제어부 26 : 메모리부
27 : 전원공급부 28 : 권한위임부
29 : 입력부

Claims (5)

  1. 지문 인식에 의해 개방되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 상기 룸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소비자에 제공하는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를 등록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등록된 룸과 상기 제공기간 내에서 사용기간을 선택함과 아울러, 상기 룸의 사용료를 결제하도록 하고, 상기 결제를 마친 룸의 사용기간을 이후 소비자의 단말기의 선택으로부터 배제시키는 룸선택결제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등록된 룸과 상기 룸의 제공기간 및 사용료, 상기 결제 정보, 상기 소비자가 선택한 룸과 사용기간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룸선택결제부에 의해 결제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인증데이터제공부;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결제한 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사용하기 위한 지문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지문등록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통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룸을 출입시,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운영자의 출입 여부와 출입 시간을 전달받아, 상기 룸의 사용기간 내에서 출입이 허용되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출입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통신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제공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출입 제한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출입 제한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소비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의해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개방한 이후부터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룸의 내측으로부터 개방될 때까지 상기 스마트 도어락이 운영자가 등록한 지문 인식에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출입통제부를 더 포함하는,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으로서,
    상기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폐되도록 록킹과 록킹해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록킹부;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및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서비스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2 통신부;
    지문을 입력하도록 설치되는 지문입력부;
    상기 제 1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증데이터를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에 제공하면,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하고,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이 등록된 지문과 일치하면, 상기 록킹부가 록킹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지문입력부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되는 지문 정보와 상기 지문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기간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의 요청시 제공하도록 하는 메모리부; 및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도어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가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접속하여, 미리 요구되는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권한을 획득하면,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의 제어에 의해 출입을 허용하는 본인 또는 타인 지문의 입력을 허용함과 아울러,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원격으로 록킹 및 록킹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록킹부의 록킹 시점과 록킹 해제 시점을 상기 제 2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지문등록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문입력부에 입력되는 지문을 상기 사용기간 동안 출입 허용을 위해 등록한 이후부터 상기 사용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한 제어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권한위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부는,
    NFC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와 NFC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마트 도어락.
KR1020190116671A 2019-09-23 2019-09-23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102251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71A KR102251387B1 (ko) 2019-09-23 2019-09-23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671A KR102251387B1 (ko) 2019-09-23 2019-09-23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37A true KR20210034837A (ko) 2021-03-31
KR102251387B1 KR102251387B1 (ko) 2021-05-12

Family

ID=7523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671A KR102251387B1 (ko) 2019-09-23 2019-09-23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20170018128A (ko) * 2015-08-05 2017-0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7978B1 (ko)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IoT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55B1 (ko) * 2006-08-31 2007-07-23 신요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인증 도어락 개폐 및 이를위한 사용자 등록방법
KR20170018128A (ko) * 2015-08-05 2017-0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7978B1 (ko) * 2017-04-26 2018-08-13 우용성 IoT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387B1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9672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11893850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283051A1 (en) Wireless controlled fingerprint smart lock
US9947158B2 (en) Access control device commissioning
WO2006003661A2 (en) Intelligent interactive lock and locking system
JP6935965B1 (ja) 鍵システム
JP5686269B1 (ja) 錠開閉装置及び錠開閉システム
US9691203B1 (en) Door access control system permitting electronic and mechanical unlocking
WO2017142098A1 (ja) 鍵ユニット、鍵管理システム、鍵管理方法
KR102190752B1 (ko)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CN202711348U (zh) 一种远程控制开、关的门
JP6411903B2 (ja) ゲート制御システム
KR102251387B1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102291627B1 (ko) 공유 사용 공간의 방문에 적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KR102190753B1 (ko) 출입에 대한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US11715339B1 (en) Electronic lockbox with key retainer subassembly
KR102073494B1 (ko) 사용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용 스마트 도어락을 가지는 방범 룸도어
KR102073493B1 (ko) 사용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용 스마트 도어락
TWM534768U (zh) 允許電子與機械方式解鎖的門禁裝置
Tatarnikova et al. Access Control System for the Premises Using the" Smart Home" Technology
US20230046991A1 (en) A vandal-proof mechatronic lock system
JP2020139391A (ja) ドアの施解錠システム
JP2020139355A (ja) ドアの施解錠システム
WO2022149160A1 (en) Digital lock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