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33A -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 Google Patents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33A
KR20200112333A KR1020190032625A KR20190032625A KR20200112333A KR 20200112333 A KR20200112333 A KR 20200112333A KR 1020190032625 A KR1020190032625 A KR 1020190032625A KR 20190032625 A KR20190032625 A KR 20190032625A KR 20200112333 A KR20200112333 A KR 20200112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ttern
operator
unlocking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752B1 (ko
Inventor
강혜란
Original Assignee
강혜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란 filed Critical 강혜란
Priority to KR102019003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7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푸시풀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와 상기 룸의 사용을 허락받기 위한 소비자의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소비자의 상기 룸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위한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패턴설정부; 및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패턴전송부;를 포함하도록 한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Room-use authentication system for public use space and smart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패턴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하도록 하는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룸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레버타입의 도어락이 설치되는데, 레버타입의 도어락에 설치되는 록킹 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의 록킹 및 록킹해제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룸도어의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현관도어용 도어락에 비하여, 현관도어에 의해 1차적으로 보호되는 실내에 설치되는 특성상, 강력한 보안이나 견고한 록킹을 요구하지 않는다.
한편, 레버타입의 도어락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손잡이 회전에 어려움을 갖는 노약자나 어린아이들은 출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이 경우 타인이 도와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를 개선한 푸시풀(push-pull) 도어락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푸시풀 도어락은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방시키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이러한 푸시풀 도어락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822760호의 "푸시풀 도어락"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레치볼트가 구비된 모티스와 연동되어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제1작동모듈을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제1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설치부재; 제1손잡이와, 상기 제1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손잡이가 푸시풀 동작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손잡이의 푸시풀 동작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되는 제1회동부를 포함하는 제1작동레버; 및 상기 모티스와 결합되는 제1레버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제1회동부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의 푸시풀 동작시 상기 제1회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티스와 연동되어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제2작동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작동모듈은, 상기 도어의 타측면에 설치되며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설치부재; 제2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손잡이가 푸시풀 동작되도록 상기 제2결합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2손잡이의 푸시풀 동작시 상부 또는 하부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를 포함하는 제2작동레버; 및 상기 모티스와 결합되는 제2레버샤프트의 일단이 결합되되, 상기 제2회동부의 회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2설치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레버의 푸시풀 동작시 상기 제2회동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모듈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장치는, 미리 정해진 잠금 또는 잠금 해제위치로 회동되는 잠금버튼부; 상기 제1설치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버튼부와 결합되되, 상기 잠금버튼부가 잠금되어 상기 제1작동레버가 푸시풀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일방향 회전되며 상기 잠금버튼부를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제2설치부재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잠금해제부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잠금버튼부가 잠금되는 경우 상기 제2작동레버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되고, 상기 제1작동레버가 푸시풀되는 경우 상기 제2동력전달부재와 걸림 해제되어 상기 제2작동레버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푸시풀 도어락에 대한 다른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66764호의 "푸시풀형 도어락"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중심부에 설치공을 형성하여 도어의 실내측과 실외측에서 상호 대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설치공과 연통하는 안내공을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안내공 내부에서 회전과 슬라이딩이 가능케 설치하는 동력전환부재와; 상기 동력전환부재의 선단부와 피벗 결합하여 동력전환부재의 회전과 슬라이딩을 가능케 하는 도어핸들과; 상기 동력전환부재와 함께 회전하거나, 동력전환부재의 슬라이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전환부재와 나선결합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설치공 내부에서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회전체와; 일단부는 상기 회전체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모티스의 동작을 가능케 하는 작동로드와 결합하여 회전체의 회전력을 작동로드로 전달하는 로드결합체와; 상기 베이스에 코일스프링으로 탄설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 상기 로드결합체가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하는 리턴링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룸 도어에 편의성을 고려하여 푸시풀 도어락을 설치할 경우, 현관도어의 사용과는 다른 룸 사용에 특화된 보안성과 편의성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 및 국외적으로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산업이 국가 정책 및 다양한 산업의 연관성으로 인해 폭발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의 도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나, 그 밖의 기존 기술에 해당하는 푸시풀 도어락을 설치할 경우, 거주시설에서 일부 공간에 한정된 기간 동안 사용이 허락되는 소비자에 대한 보안성과 편의성을 크게 해치게 됨으로써, 게스트하우스나 쉐어하우스 등의 룸에 최적화된 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패턴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하며, 유효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푸시풀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 상기 룸의 사용을 허락받기 위한 소비자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푸시풀 도어락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소비자의 상기 룸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위한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패턴설정부; 및 상기 유효기간과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유효기간 내에서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패턴전송부;를 포함하는,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패턴설정부는,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다수의 마커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 이후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과는 비연속적으로 터치 입력면의 임의 영역을 부가 잠금 해제 패턴으로서 추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잠금 해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오입력하는 경우, 상기 푸시풀 도어락으로부터 오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잠금 해제 가이드를 요구하는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잠금 해제 패턴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힌트를 제공하며, 상기 힌트를 제공한 이후,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정해진 횟수만큼 잠금 해제 패턴이 오입력되면,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잠금 해제 키정보를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잠금해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설정부는,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시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시,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및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각각에 서로 상이하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및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잠금 해제 패턴이 특정의 마커와 상기 특정의 마커 둘레에서 특정의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을 동시에 터치하도록 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푸시풀 도어락으로서, 상기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잠금부의 동작에 의한 래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며, 파지를 위한 파지홈이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파지홈을 통해서 푸시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전면에 상기 잠금부의 동작에 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부가 마련되는 터치패널;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및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패턴설정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시, 잠금 해제를 위한 상기 잠금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잠금제어부;을 포함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이 제공된다.
상기 패턴설정모듈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다수의 마커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 이후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과는 비연속적으로 터치 입력면의 임의 영역을 부가 잠금 해제 패턴으로서 추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잠금 해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오입력하는 경우, 잠금 해제 가이드를 요구하는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잠금 해제 패턴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힌트를 제공하고, 상기 힌트를 제공한 이후, 상기 입력부에 정해진 횟수만큼 잠금 해제 패턴이 오입력됨과 아울러,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가 정해진 인증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잠금해제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듈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잠금부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잠금 해제 패턴의 오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잠금해제가이드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 의하면,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패턴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요구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으며, 유효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서 운영자의 단말기 사용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서 소비자의 단말기 사용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10)은 서비스서버(11), 인증번호발급부(12), 패턴설정부(13) 및 패턴전송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1)는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푸시풀 도어락(20)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1)와 룸의 사용을 허락받기 위한 소비자의 단말기(2), 그리고 푸시풀 도어락(20)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한다. 서비스서버(11)는 운영자의 단말기(1), 소비자의 단말기(2) 및 푸시풀 도어락(20)이 접속시, 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설정 및 입력이나, 기타 특정 식별 정보의 입력 또는 신용카드나 휴대폰 인증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본인 인증 절차의 수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2)는 어플레이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를 통해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함과 아울러,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처리 및 통신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비롯하여, PC 또는 노트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증번호발급부(12)는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서, 소비자의 룸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운영자의 단말기(1)로부터 요청시, 푸시풀 도어락(20)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위한 인증번호를 발급하도록 한다. 인증번호발급부(12)로부터 발급되는 인증번호는 해당 푸시풀 도어락(20)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부(16)에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소비자의 단말기(2)로부터 제공되는 인증번호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시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6)는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 등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그리고 운영자 및 소비자의 인적 및 관련 정보와 함께, 그 밖에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한다.
패턴설정부(13)는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서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2)에 의해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전, 또는 수행후, 소비자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유효기간에 해당하는 정해진 룸 사용 비용의 결제를 수행하도록 결제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결제부(17)는 외부의 입출금 시스템이나 카드 시스템 등을 통해서 소비자의 단말기(2)가 해당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은 운영자가 해당 룸의 출입을 위해 푸시풀 도어락(20)의 잠금 해제에 사용되도록 하는 패턴으로서,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과는 별개로 설정된다.
패턴설정부(13)는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다수의 마커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고, 메인 잠금 해제 패턴 이후 메인 잠금 해제 패턴과는 비연속적으로 터치 입력면의 임의 영역을 부가 잠금 해제 패턴으로서 추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연속 부가 잠금 해제 패턴의 부가에 의해서, 패턴 입력을 통한 출입에 대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패턴전송부(14)는 유효기간과 함께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푸시풀 도어락(20)에 전송하여, 상기의 유효기간 내에서 푸시풀 도어락(20)에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10)은 푸시풀 도어락(20)의 잠금 해제를 가이드하기 위한 잠금해제가이드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해제가이드부(15)는 푸시풀 도어락(20)에 잠금 해제 패턴을 정해진 횟수, 예컨대 5~7회 만큼 오입력하는 경우, 푸시풀 도어락(20)으로부터 오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정해진 조작에 의해 잠금 해제 가이드를 요구하는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에 잠금 해제 패턴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힌트를 제공하며, 힌트를 제공한 이후에도, 푸시풀 도어락(20)에 정해진 횟수, 예컨대 3~7회 만큼 잠금 해제 패턴이 오입력되면,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인증,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본인 인증 절차를 마친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가 근거리 무선통신, 일례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해 잠금 해제 키정보를 푸시풀 도어락(20)에 제공하도록 하여, 푸시풀 도어락(20)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힌트는 예컨대 잠금 해제 패턴을 기억나도록 하는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패턴설정부(13)는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시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시, 운영자의 단말기(1) 및 소비자의 단말기(2) 각각에 서로 상이하면서 유효기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고, 푸시풀 도어락(20)에 잠금 해제를 위한 키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운영자의 단말기(1) 및 소비자의 단말기(2) 각각에 해당하는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턴설정부(13)는 상기의 부가 잠금 해제 패턴이 특정의 마커와 특정의 마커 둘레에서 특정의 방향, 예컨대 특정의 마커를 기준으로 3시, 6시, 9시 또는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을 동시에 터치하도록 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가 잠금 해제 패턴의 경우수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보안성과 함께 터치의 편의성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서 운영자의 단말기 사용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서 소비자의 단말기 사용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10)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20)은 본체(21), 터치패널(22), 통신모듈(23), 인증번호발급모듈(24), 패턴설정모듈(25) 및 잠금제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1)는 룸의 도어(3)에 설치되고, 잠금부(21b)의 동작에 의한 래치의 동작에 의해 도어(3)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며, 파지를 위한 파지홈(21a)이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체(21)의 잠금부(21b) 및 래치 등을 비롯하여 도어락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은 종래 기술에서 제시하거나,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사용되는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터치패널(22)은 본체(21)의 전면에 파지홈(21a)을 통해서 푸시풀(push-pull)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푸시풀 동작에 의해 잠금부(21b)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전면에 잠금부(21b)의 동작에 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부(22a)가 마련된다.
통신모듈(23)은 운영자의 단말기(1) 및 소비자의 단말기(2)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도록 하고, 서비스서버(11)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NFC 기능과 함께, 블루투스, Wi-Fi, 3G, LTE, 5G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번호발급모듈(24)은 통신모듈(23)을 통해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서 상기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운영자의 단말기(1)로부터 요청시, 인증번호를 발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증번호는 메모리부(27)에 저장되어, 인증 확인시 패턴설정모듈(25)에 제공될 수 있다.
패턴설정모듈(25)은 통신모듈(23)을 통해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1)를 통해서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통신모듈(23)을 통해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2)에 의해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설정된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과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은 메모리부(27)에 저장되어, 잠금 해제 과정시 잠금제어부(26)에 제공될 수 있다.
패턴설정모듈(25)은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다수의 마커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고, 메인 잠금 해제 패턴 이후 메인 잠금 해제 패턴과는 비연속적으로 입력부(22a)의 터치 입력면의 임의 영역을 부가 잠금 해제 패턴으로서 추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은 부가 잠금 해제 패턴과 함께 메모리부(27)에 저장되어, 잠금 해제 과정시 잠금제어부(26)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연속적인 부가 잠금 해제 패턴의 사용으로 인해 보안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잠금제어부(26)는 통신모듈(23)을 통해 수신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메모리부(27)에 저장하도록 하고, 입력부(22a)에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시, 잠금 해제를 위한 잠금부(21b)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20)은 잠금 해제 가이드를 위하여 잠금해제가이드모듈(28)과, 동작 전원을 위한 전원공급부(29) 및 비용의 결제를 위한 결제모듈(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해제가이드모듈(28)은 입력부(22a)에 잠금 해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오입력하는 경우, 잠금 해제 가이드를 요구하는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에 잠금 해제 패턴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힌트를 제공하고, 힌트를 제공한 이후, 입력부(22a)에 정해진 횟수만큼 잠금 해제 패턴이 오입력됨과 아울러,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가 정해진 인증절차를 수행하면, 잠금부(21b)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잠금제어부(26)는 통신모듈(23)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의 잠금 해제 키정보를 메모리부(27)에 저장하도록 하고, 서비스서버(11)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운영자의 단말기(1)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2)가 통신모듈(23)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면, 잠금부(21b)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20)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잠금 해제 패턴의 오입력에 대한 정보를 잠금해제가이드부(15)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9)는 일례로 본체(21) 내에 수용되는 건전지일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동작 전원의 공급을 가능하도록 충전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결제모듈(31)은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전 또는 수행후, 소비자의 단말기(2)를 통해서 유효기간에 해당하는 정해진 룸 사용 비용의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결제모듈(31)은 외부의 입출금 시스템이나 카드 시스템 등을 통해서 소비자의 단말기(2)가 해당 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에 따르면, 게스트룸이나 쉐어하우스 등에서 프라이빗공간으로 사용하는 룸에 인증받은 사람만 정해진 패턴 입력을 통해 출입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에 최적화된 기능 및 동작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 발생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안전한 공공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생활 및 사유물 보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안 기능이 뛰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기간의 설정과 함께 정당 소비자의 사용 허용을 운영자가 손쉽게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소비자와 운영자간의 신뢰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운영자의 단말기 2 : 소비자의 단말기
3 : 도어
10 :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11 : 서비스서버 12 : 인증번호발급부
13 : 패턴설정부 14 : 패턴전송부
15 : 잠금해제가이드부 16 : 데이터베이스부
17 : 결제부 20 :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21 : 본체 21a : 파지홈
21b : 잠금부 22 : 터치패널
22a : 입력부 23 : 통신모듈
24 : 인증번호발급모듈 25 : 패턴설정모듈
26 : 잠금제어부 27 : 메모리부
28 : 잠금해제가이드모듈 29 : 전원공급부
31 : 결제모듈

Claims (6)

  1.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에 의해 개방되는 푸시풀 도어락이 설치된 룸의 사용 허가권을 가진 운영자의 단말기, 상기 룸의 사용을 허락받기 위한 소비자의 단말기, 그리고 상기 푸시풀 도어락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하는 서비스서버;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소비자의 상기 룸 사용을 허용하는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위한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부;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 사용되는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패턴설정부; 및
    상기 유효기간과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전송하여, 상기 유효기간 내에서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시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는 패턴전송부;
    를 포함하는,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설정부는,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다수의 마커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 이후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과는 비연속적으로 터치 입력면의 임의 영역을 부가 잠금 해제 패턴으로서 추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잠금 해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오입력하는 경우, 상기 푸시풀 도어락으로부터 오입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잠금 해제 가이드를 요구하는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잠금 해제 패턴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힌트를 제공하며, 상기 힌트를 제공한 이후,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정해진 횟수만큼 잠금 해제 패턴이 오입력되면,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잠금 해제 키정보를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잠금해제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턴설정부는,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시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시,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및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각각에 서로 상이하면서 상기 유효기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푸시풀 도어락에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및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부가 잠금 해제 패턴이 특정의 마커와 상기 특정의 마커 둘레에서 특정의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을 동시에 터치하도록 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에 사용되는 푸시풀 도어락으로서,
    상기 룸의 도어에 설치되고, 잠금부의 동작에 의한 래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며, 파지를 위한 파지홈이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파지홈을 통해서 푸시풀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푸시풀 동작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전면에 상기 잠금부의 동작에 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잠금 해제 패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입력부가 마련되는 터치패널;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및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로부터 요청시, 상기 인증번호를 발급하는 인증번호발급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한 운영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접속한 소비자의 단말기에 의해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의 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패턴설정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및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을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부에 상기 운영자의 잠금 해제 패턴 또는 상기 소비자의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시, 잠금 해제를 위한 상기 잠금부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잠금제어부;
    을 포함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턴설정모듈은,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다수의 마커를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메인 잠금 해제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 이후 상기 메인 잠금 해제 패턴과는 비연속적으로 터치 입력면의 임의 영역을 부가 잠금 해제 패턴으로서 추가적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잠금 해제 패턴을 정해진 횟수만큼 오입력하는 경우, 잠금 해제 가이드를 요구하는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에 잠금 해제 패턴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힌트를 제공하고, 상기 힌트를 제공한 이후, 상기 입력부에 정해진 횟수만큼 잠금 해제 패턴이 오입력됨과 아울러, 상기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가 정해진 인증절차를 수행하면,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잠금해제가이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마친 운영자의 단말기 또는 소비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모듈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키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잠금부에 의한 푸시풀 도어락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잠금 해제 패턴의 오입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잠금해제가이드부에 제공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KR1020190032625A 2019-03-21 2019-03-21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KR102190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25A KR102190752B1 (ko) 2019-03-21 2019-03-21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25A KR102190752B1 (ko) 2019-03-21 2019-03-21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33A true KR20200112333A (ko) 2020-10-05
KR102190752B1 KR102190752B1 (ko) 2020-12-14

Family

ID=7280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25A KR102190752B1 (ko) 2019-03-21 2019-03-21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250A (ko) * 2020-11-26 2022-06-03 (주) 듀얼아이 결제기능이 구비된 출입통제장치
KR20220084855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생체 정보를 활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551A (ja) * 1996-12-17 1998-06-30 Nec Shizuoka Ltd 情報処理装置のパスワード処理システム
KR20150131753A (ko) * 2014-05-16 2015-11-25 이효섭 잠금장치 해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14964A (ko) * 2015-03-25 2016-10-06 경태원 지능형 잠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와 도어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551A (ja) * 1996-12-17 1998-06-30 Nec Shizuoka Ltd 情報処理装置のパスワード処理システム
KR20150131753A (ko) * 2014-05-16 2015-11-25 이효섭 잠금장치 해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14964A (ko) * 2015-03-25 2016-10-06 경태원 지능형 잠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와 도어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250A (ko) * 2020-11-26 2022-06-03 (주) 듀얼아이 결제기능이 구비된 출입통제장치
KR20220084855A (ko) *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엘앤에스153 생체 정보를 활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752B1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19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10755509B2 (en) Access management and resource sharing platform based on biometric identity
CN107889536B (zh) 用于冗余接入控制的锁和方法
US9672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k systems with redundant access control
US11893850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80359635A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WO2007126375A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system
US9437061B2 (en) Arrangement for the authorised access of at least one structural element located in a building
JP6935965B1 (ja) 鍵システム
JP5686269B1 (ja) 錠開閉装置及び錠開閉システム
KR102190752B1 (ko)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JP2016184875A (ja) 鍵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2190753B1 (ko) 출입에 대한 신뢰성을 높인 공공 사용 공간의 룸 사용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푸시풀 도어락
JP2008250923A (ja) 認証処理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認証処理方法
JP4902856B2 (ja) 移動情報保持装置及び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51387B1 (ko) 공공사용 공간의 룸용 도어락 인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스마트 도어락
US1179833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lock device
KR20200080893A (ko) 스마트 도어락
CN108990043A (zh) 一种基于核心网通信的远程开锁方法及其智能门锁
KR101007804B1 (ko) 이동전화 망 및 아이알디에이 포트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670A (ko) 지능형 문 개폐장치
KR20220063406A (ko) 숙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