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3151A - 출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출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3151A
KR20130113151A KR1020120035510A KR20120035510A KR20130113151A KR 20130113151 A KR20130113151 A KR 20130113151A KR 1020120035510 A KR1020120035510 A KR 1020120035510A KR 20120035510 A KR20120035510 A KR 20120035510A KR 20130113151 A KR20130113151 A KR 2013011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losing device
lin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3148B1 (ko
Inventor
윤병만
이은숙
윤채호
Original Assignee
윤병만
이은숙
윤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만, 이은숙, 윤채호 filed Critical 윤병만
Priority to KR102012003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148B1/ko
Priority to PCT/KR2013/002833 priority patent/WO2013151366A1/ko
Priority to CN201380017061.2A priority patent/CN104204383B/zh
Publication of KR2013011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48B1/ko
Priority to US14/498,370 priority patent/US955664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5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the handle being a pushbutt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05B13/108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the lock coaxial with spi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제 2 손잡이부와, 상기 도어에 내설된 도어록 하우징 내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제 1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손잡이부와 결합되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에 걸림되어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되는 회전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내지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는 래치부, 및 상기 회전축에 감김되고 일단이 상기 도어록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고, 구조의 단순화로 조립의 용이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출입구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본 발명은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에 내설된 잠금장치의 회전을 통해 도어록 장치의 잠금/해제를 구현할 수 있는 출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록 장치는 도어의 개방 시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한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은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방문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잡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타인에 도움의 얻어 방문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09560 (공고일 2009.07.27)
한국등록특허: 10-0934781 (공고일 2009.12.3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손잡이부와 결합된 이동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작동부재에 결합된 래치부가 도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도어록의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고, 도어록의 구조가 단순화되며, 작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길 때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어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도어록장치의 잠금/해제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며, 고장의 우려가 없는 출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출입구 개폐장치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제 2 손잡이부; 상기 도어에 내설된 도어록 하우징 내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제 1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손잡이부와 결합되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에 걸림되어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내지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는 래치부; 및 상기 회전축에 감김되고 일단이 상기 도어록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단이 제 1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지점에 돌설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회전방향에 따라 돌기에 걸림 또는 걸림이 해제되는 개폐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조절부재는 중앙부에 이동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을 고정시키며 양단부가 제 1, 제 2 손잡이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는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쉽게 눌림 및 당김되다가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어 블럭을 밀어내고, 블럭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며, 회전부재가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에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가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장치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잠금장치는 열쇠가 삽입되는 키뭉치이거나,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고 파지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공간에 일단부가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이루어지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이동부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일체로 연결되는‘ㄴ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는‘ㄴ자’형상의 링크가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는 도어록 하우징 일측면을 관통하여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래치결합부와, 상기 래치결합부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래치볼트와, 상기 래치볼트를 수용하는 래치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출입구 개폐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손잡이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고, 구조의 단순화로 조립의 용이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 개폐 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해제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잠금/해제 동작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가 없으며, 잠금장치의 정확한 동작으로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회전식이 아닌 눌림식으로 작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 시 도어부분이 녹는 경우 회전작동이 불가능한데, 눌림식의 경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도어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도어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출입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는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 이동부재(200), 회전부재(300), 작동부재(400), 래치부(500) 및 복귀스프링(600)을 포함한다.
먼저, 도어(100)에는 일면과 이면이 관통되도록 중공형상의 도어록 하우징(101)이 내설되고, 도어(100)의 일면 및 이면에는 제 1 손잡이부(110) 및 제 2 손잡이부(120)가 설치된다.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는 각각 도어(10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21)과, 고정브라켓(121)에 끼움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125)로 구성된다.
고정브라켓(121)은 내부에 파지부(125)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전, 후 이동될 수 있는 수용부(122)가 형성되고, 도어(100)와 접촉되는 면의 중앙부에 수용부(122)와 연통되는 구멍(123)이 형성되며, 구멍(123)의 외주면에는 도어(100)의 면에 박음될 수 있는 뾰족한 형상의 고정돌기(124)가 복수개 형성된다. 여기서, 구멍(123)은 이동부재의 가이드바(234)가 삽입되도록 이동부재의 가이드바(234)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돌기(124)는 접촉되는 도어(100)의 면에 박음되어 고정브라켓이(121)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파지부(125)는 일면의 중앙이 돌출연장되어 고정브라켓의 수용부(122)에 끼움되고 수용부(122) 내에서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파지부(125)는 일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구멍(123)과 동일한 형상의 삽입홈(126)이 형성되며, 삽입홈(126)과 대응되게 잠금장치(130)가 내설된다. 여기서, 잠금장치(130)는 키뭉치 또는 조작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잠금장치(1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키뭉치의 키삽입홈 또는 조작레버의 조작면이 파지부(125)의 이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잠금장치(130)에는 고정브라켓의 구멍(123) 및 파지부의 삽입홈(126)으로 삽입되는 이동부재의 이동대(210)가 결합된다.
이동부재(200)는 도어록 하우징(101) 내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제 1 손잡이부(110)에 내설된 잠금장치(130)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손잡이부(120)에 내설된 잠금장치(130)에 결합되는 이동대(210)와, 이동대(210)의 일지점에 돌설되는 돌기(220)와, 돌기(220)의 후방에 설치되고 돌기의 회전에 따라 돌기(220)에 걸림/해제되는 개폐조절부재(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대(210)는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고, 잠금장치(130)의 조작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 역시 이동대(210)의 회전에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개폐조절부재(230)는 돌기(220)에 걸림되는 블럭(231)과, 블럭(231)을 고정시키며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114,124)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바(234)로 구성된다. 그리고, 블럭(231)은 중앙부에 이동대(210)가 관통되는 관통홀(23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232)과 연통되는 개구부(2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는 잠금장치(130)의 조작에 따라 수직으로 세워져 관통홀(232)에 걸림되거나, 또는 잠금장치(130)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블럭(23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33)와 대응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조절부재(230)는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가 블럭(231)의 관통홀(232)에 걸림되는 경우 이동대(220)의 수평이동시 돌기(220)에 밀림되어 이동대(21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가 블럭의 개구부(233)와 대응되는 경우, 이동대(210)의 이동시 돌기(220)가 블럭의 개구부(233)를 통과함으로써 움직이지 않게 된다.
회전부재(300)는 이동부재(200) 일측에 회전축(310)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전축(310) 상에는 링크(3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회전축(310)은 도어록 하우징(101)의 내측 상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록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회전축(31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상하면을 편평하게 하는 보조구(102)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링크(320)는 제 1 링크(321)와 제 2 링크(322)가 일체로 연결되는‘ㄴ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제 2 링크가 연결되는 중앙이 회전축에 끼워지게 된다. 제 1 링크(321)의 일단부는 블럭(231)의 후면과 접촉되고, 제 2 링크(322)의 일단부는 후술되는 작동부재(40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ㄴ자’형상의 링크(320)는 블럭(231) 및 작동부재(400)와의 접촉면이 크도록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부재(300)의 링크(320)는 이동대(210)의 수평이동시 돌기(220)에 밀림되는 블럭(231)의 이동에 제 1 링크(321)가 가압되면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작동부재(400)는 링크(320)의 회전시 제 2 링크(322)에 걸림되는 범위에 위치되고, 이동대(210) 및 가이드바(234)가 관통되도록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동대(210)와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00)의 일측면 즉, 이동대(210)와 수직이 되는 일면에는 래치부(500)가 결합되는 결합홈(410)이 형성되고, 작동부재(400)의 타측면에는 도어록 하우징(101)의 내벽과 연결되는 탄성스프링(420)이 결합된다.
이러한 작동부재(400)는 링크(320)의 회전시 제 2 링크(322)에 걸림되어 링크(32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대(2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래치부(500)는 도어록 하우징(101) 일측면을 관통하여 작동부재(400)의 결합홈(410)에 결합되는 래치결합부(510)와, 래치결합부(510)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래치볼트(520)와, 래치볼트(520)를 수용하는 래치케이스(530)로 구성된다. 래치케이스(530)는 도어(10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도어(100)에 내설되고 내부에 수용되는 래치볼트(520)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다.
래치볼트(520)는 작동부재(400)의 이동에 따라 도어(100)의 외측으로 돌출 내지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진다. 즉, 래치볼트(520)가 도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도어(100)의 잠금이 이루어지고, 래치볼트(520)가 도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어(1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한편, 회전부재(300)의 회전축(310) 상에는 복귀스프링(600)이 감김된다.
복귀스프링(600)은 회전축(310)에 감김되고 일단이 도어록 하우징(101)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 1 링크(321)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복귀스프링(600)은 링크(32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링크(320)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 전 상태로 복원되면서 링크(320)를 회전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개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어(10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도어(100)의 닫힘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어(10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도어 닫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어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에 구비된 잠금장치(13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 레버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장치(130)와 연결된 이동대(210)의 돌기(220)가 블럭(231)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의 파지부(125)를 누르거나 당기면 이동대(210)가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는 블럭(231)을 가압하게 되며 블럭(231)은 돌기(220)에 밀림되어 이동대(21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블럭(231)을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바(234)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블럭(231)의 후방에 접촉되어 있던 회전부재(300)의 제 1 링크(312)가 블럭(231)의 이동으로 가압되면서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고, 제 1 링크(321)와 일체로 이루어진 제 2 링크(322)도 회전되면서 제 2 링크(322)에 걸림되는 작동부재(400)를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제 2 링크(322)에 밀림되어 이동되는 작동부재(400)는 이동대(2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며 작동부재(400)에 결합된 래치볼트(520)는 작동부재(400)의 이동에 의해 래치케이스(530) 내측으로 수용됨과 동시에 도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도어(1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축(310)에 감김되어 있는 복귀스프링(600)은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되고, 아울러 작동부재(400)와 도어록 하우징(101) 사이에 구비된 탄성스프링(420)도 작동부재(400)의 이동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의 상태에서 누르거나 당기고 있던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를 놓게 되면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에 가해졌던 외력이 제거됨으로 인하여 압축되었던 복귀스프링(600)이 복원되면서 링크(320)를 회전 전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제 1 링크(321)는 회전 전 상태로 복귀되면서 블럭(231)을 가압하여 밀어내고, 블럭(231)의 밀림에 의해 블럭(231)에 걸림된 돌기(220)도 밀림되면서 이동대(210)를 이동 전 위치로 복귀시킨다. 아울러 제 2 링크(322)는 회전 전 상태로 복원되면서 가압하고 있던 작동부재(400)를 가압하지 않게 되고, 제 2 링크(322)의 가압력이 제거된 작동부재(400)는 압축되었던 탄성스프링(42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부재(400)의 이동에 의해 래치케이스(530)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래치볼트(520)가 도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어(100)의 닫힘이 이루어지게 되는 도 4의 상태가 된다.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는 출입구 개폐장치의 래치볼트가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 상태는 도 4의 상태에서 제 1, 제 2 손잡이부(1110,120)에 구비된 잠금장치(130)에 열쇠를 넣어서 키이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조작 레버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장치(130)와 연결된 이동대(21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220)가 블럭(231)의 개구부(233)와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의 파지부(125)를 누르거나 당기면 이동대(210)가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는 이동대(210)의 이동에 따라 블럭(231)의 개구부(233)에 삽입되어 블럭(231)을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돌기(220)에 가압되지 않은 블럭(231)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블럭(231)이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회전부재(300) 및 작동부재(400)도 움직이지 않게 되며, 래치볼트(520)가 돌출된 상태 즉 도어(100)의 닫힘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즉,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가 눌림 또는 당김 되어도 도어(100)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의 상태에서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에 구비된 잠금장치(1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장치(130)와 연결된 이동대(2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가 블럭(231)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가 블럭(231)에 걸림되는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를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제 1, 제 2 손잡이부(110,120)와 결합된 이동대(2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대(210)에 돌설된 돌기(220)가 블럭(231)을 밀어내고, 블럭(231)의 이동에 의해 회전부재(300)가 회전되며, 아울러 회전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400)가 이동대(2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작동부재(400)에 결합된 래치볼트(520)가 도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어 도어(10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출입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도어(100)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의 파지부(125)를 밀게 되면 파지부(125)는 가압력에 의해 눌러지면서 이동부재(2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200)의 돌기(220)가 블럭(231)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파지부(125)가 쉽게 눌러지다가 이동부재(200)의 돌기(220)가 블럭(231)에 걸림되어 블럭(231)을 밀어내고 아울러 블럭(231)이 링크(320)를 회전시키며, 링크(320)가 작동부재(400)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파지부(125)의 눌림 속도가 가감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125)가 눌림되는 속도 즉, 가감되는 속도를 손으로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어(100)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손잡이부가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를 손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도어 개폐동작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손잡이부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구조의 단순화로 부품이 감소되고, 조립의 용이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출입구 개폐장치의 잠금/ 해제의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잠금장치의 잠금/해제 동작으로 인한 고장의 우려가 없으며, 정확한 동작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관공서나 공연장 등에서 많은 인파가 몰리는 경우 회전식이 아닌 눌림식으로 작동되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 시 도어부분이 녹는 경우 회전작동이 불가능한데, 눌림식의 경우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도어 101: 도어록 하우징
102: 보조구 110: 제 1 손잡이부
120: 제 2 손잡이부 121: 고정브라켓
122: 수용부 123: 구멍
124: 고정돌기 125:파지부
126: 삽입홀 130: 잠금장치
200: 이동부재 210: 이동대
220: 돌기 230: 개폐조절부재
231: 블럭 232: 관통홀
233: 개구부 234: 가이드바
300: 회전부재 310: 회전축
320: 링크 321: 제 1 링크
322: 제 2 링크 400: 작동부재
410: 결합홀 420: 탄성스프링
500: 래치부 510: 래치결합부
520: 래치볼트 530: 래치케이스
600: 복귀스프링

Claims (10)

  1.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결합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제 2 손잡이부; 상기 도어에 내설된 도어록 하우징 내측을 관통하여 일단이 제 1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손잡이부와 결합되며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 상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에 걸림되어 이동부재의 수평이동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걸림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되어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 내지 내측으로 삽입이 이루어는 래치부; 및 상기 회전축에 감김되고 일단이 상기 도어록 하우징 내벽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압축되었다가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회전부재를 회전 전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단이 제 1 손잡이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제 2 손잡이부와 결합되어 손잡이부의 누름 및 당김 동작에 의해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의 일지점에 돌설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의 회전방향에 따라 돌기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개폐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조절부재는 중앙부에 이동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을 고정시키며 양단부가 제 1, 제 2 손잡이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는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기 전까지는 쉽게 눌림 및 당김되다가 이동부재의 돌기가 블럭에 걸림되어 블럭을 밀어내고, 블럭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며, 회전부재가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때에 눌림 및 당김되는 속도가 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대의 양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잠금장치가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열쇠가 삽입되는 키뭉치이거나,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손잡이부는 도어의 일면 및 이면에 고정되고 파지부의 일단부가 수용되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 공간을 갖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공간에 일단부가 끼움되어 누름 및 당김 동작이 이루어지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이동부재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일체로 연결되는‘ㄴ자’형상으로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ㄴ자’형상의 링크가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도어록 하우징 일측면을 관통하여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래치결합부와, 래치결합부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래치볼트와, 래치결합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래치볼트가 수용되는 래치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개폐장치.
KR1020120035510A 2012-04-05 2012-04-05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6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10A KR101363148B1 (ko) 2012-04-05 2012-04-05 출입구 개폐장치
PCT/KR2013/002833 WO2013151366A1 (ko) 2012-04-05 2013-04-05 출입구 개폐장치
CN201380017061.2A CN104204383B (zh) 2012-04-05 2013-04-05 出入口开闭装置
US14/498,370 US9556644B2 (en) 2012-04-05 2014-09-26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ntr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510A KR101363148B1 (ko) 2012-04-05 2012-04-05 출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3151A true KR20130113151A (ko) 2013-10-15
KR101363148B1 KR101363148B1 (ko) 2014-02-13

Family

ID=4930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510A KR101363148B1 (ko) 2012-04-05 2012-04-05 출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56644B2 (ko)
KR (1) KR101363148B1 (ko)
CN (1) CN104204383B (ko)
WO (1) WO2013151366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88B1 (ko) * 2013-12-31 2015-02-05 윤정원 문 손잡이
KR101517536B1 (ko) * 2013-12-31 2015-05-06 윤정원 문 손잡이
KR101593328B1 (ko) * 2014-10-20 2016-02-12 윤병만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329B1 (ko) * 2014-10-20 2016-02-12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47B1 (ko) * 2014-11-11 2016-02-26 윤채희 손잡이 교체형 출입구 개폐장치
KR20160022548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04660B1 (ko) * 2014-11-11 2016-04-01 윤채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WO2017073817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WO2017073818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7610B2 (en) 2013-09-16 2016-09-20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a first axis or a second axis
US9212507B2 (en) 2013-09-16 2015-12-15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a first axis or a second axis
WO2016033793A1 (en) * 2014-09-05 2016-03-10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Keyed lockset operable by pivoting actuator about first axis or second axis
WO2016033805A1 (en) 2014-09-05 2016-03-10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Cylindrical latch bolt assembly having beleved blocking surface
US10619387B2 (en) 2014-09-05 2020-04-14 Hampton Products International Corporation Handle set having latch bolt actuable by pushing handle
US10603128B2 (en) * 2014-10-07 2020-03-31 Covidien Lp Handheld electromechanical surgical system
EP3271533B1 (en) * 2015-03-16 2020-08-26 Vander Industries Pty. Ltd. Push and/or pull handle lockset
CN207277997U (zh) * 2017-06-19 2018-04-27 希美克(广州)实业有限公司 一种喇叭锁壳体
CN111417278B (zh) * 2019-01-08 2021-04-30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电子装置及托盘
US11236526B2 (en) 2019-12-13 2022-02-01 Schlage Lock Company Llc Pushbutton mechanisms for locksets
DE102021107339A1 (de) 2021-03-24 2022-09-29 Steinbach & Vollmann Gmbh Schließmechanismus für eine Kühlraumtü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4099A (en) * 1937-05-11 1938-07-19 Zagrzejewski Stanley Door lock
US2504483A (en) * 1946-09-30 1950-04-18 Charles R Abraham Locking device
US2547108A (en) * 1947-05-22 1951-04-03 Carl E Anderson Door latch
US3561803A (en) * 1967-05-12 1971-02-09 Schlage Lock Co Door pull lock
US5157953A (en) * 1990-09-24 1992-10-27 Hung Sheng Hu Push and pull type cylinder lock
US5564759A (en) * 1993-11-29 1996-10-15 Hufcor, Inc. Push-pull latch mechanism
US5516163A (en) * 1994-09-30 1996-05-14 Baker; John R. Single motion, quick relese latch mechanism
US5947535A (en) * 1996-10-18 1999-09-07 Baker; John R. Dual motion, quick release latch mechanism
US6139072A (en) * 1999-10-07 2000-10-31 Lee; Pyung-Kuk Push-pull door lock
CN2462043Y (zh) * 2001-02-16 2001-11-28 薛广东 一种双向推拉门锁
CN2685480Y (zh) * 2004-01-22 2005-03-16 李宝坚 一种推拉锁
KR100636688B1 (ko) * 2004-08-17 2006-10-20 김종일 도어 록크
KR100921200B1 (ko) * 2009-02-17 2009-10-13 주식회사 씨엔 도어락
KR100909560B1 (ko) * 2009-04-01 2009-07-27 윤병만 도어록 장치
KR101060000B1 (ko) 2009-07-30 2011-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의 2차 방벽 검사치구
KR20110085081A (ko) * 2010-01-19 2011-07-27 주식회사 이디엘 도어 개폐장치
WO2013036542A1 (en) * 2011-09-05 2013-03-14 Milocon, Inc. Improvements for apparatus for a door latch
KR101436676B1 (ko) * 2011-11-04 2014-09-12 주식회사 이지라이프 도어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888B1 (ko) * 2013-12-31 2015-02-05 윤정원 문 손잡이
KR101517536B1 (ko) * 2013-12-31 2015-05-06 윤정원 문 손잡이
KR20160022548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328B1 (ko) * 2014-10-20 2016-02-12 윤병만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329B1 (ko) * 2014-10-20 2016-02-12 윤병만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93147B1 (ko) * 2014-11-11 2016-02-26 윤채희 손잡이 교체형 출입구 개폐장치
KR101604660B1 (ko) * 2014-11-11 2016-04-01 윤채호 스마트 출입구 개폐장치
WO2017073817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WO2017073818A1 (ko) * 2015-10-30 2017-05-04 주식회사 터치원 출입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4383B (zh) 2017-03-29
WO2013151366A1 (ko) 2013-10-10
US20150007620A1 (en) 2015-01-08
CN104204383A (zh) 2014-12-10
US9556644B2 (en) 2017-01-31
KR101363148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14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200456588Y1 (ko) 창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4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312239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95610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EP3660247A1 (en) Lock and button mechanism for use in a door or a window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1312234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72326B1 (ko) 도어록 장치
GB2482064A (en) Support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frame
KR20170025549A (ko) 초기 개폐 기능을 갖는 미닫이문용 수동 잠금장치
KR101648343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101509537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101962898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891784B1 (ko) 래치볼트가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록 모티스
KR101810482B1 (ko) 현관용 출입구 개폐장치
KR101810487B1 (ko)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KR101810481B1 (ko) 출입구 개폐장치
KR200331148Y1 (ko) 도어용 자물쇠
KR101524358B1 (ko) 출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