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536B1 - 문 손잡이 - Google Patents

문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536B1
KR101517536B1 KR1020130168790A KR20130168790A KR101517536B1 KR 101517536 B1 KR101517536 B1 KR 101517536B1 KR 1020130168790 A KR1020130168790 A KR 1020130168790A KR 20130168790 A KR20130168790 A KR 20130168790A KR 101517536 B1 KR101517536 B1 KR 101517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bracket
casing
push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원
Original Assignee
윤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원 filed Critical 윤정원
Priority to KR102013016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돌출되지 않도록 제조하여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한 문 손잡이를 제공한다. 문 손잡이는, i) 제1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길게 뻗어 있으며, 일단이 고정된 신축 부재, ii)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축 부재와 대향하며, 편평한 면을 가지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푸쉬 부재들, iii) 신축 부재가 수납되고, 그 양측면에 푸쉬 부재가 결합되고, 신축 부재의 신장에 따라 신축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형 케이싱, iv) 케이싱을 덮어서 신축 부재를 고정하고, 신축 부재의 신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용된 브라켓, v) 브라켓과 연결된 탄성 부재, 및 vi) 탄성 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적용된 걸쇠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 손잡이 {DOOR KNOB}
본 발명은 문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돌출되지 않도록 제조하여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한 문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분리하기 위하여 문이 사용된다. 문을 개폐하여 상호 격리되어 있던 공간을 연결하거나 상호 연결되어 있던 공간을 격리시킬 수 있다. 문을 쉽게 개폐하기 위하여 문 손잡이를 사용하며, 문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파지하기가 쉽다.
그러나 아이들 또는 어른들이 닫힌 문 앞에 있는 경우, 문이 갑자기 열리거나 닫힐 수 있기 때문에 문 손잡이에 맞아서 다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문 손잡이는 주로 금속으로 제조되어 높은 강도를 가지고, 문을 여는 힘이 매우 크므로, 문 손잡이에 맞는 경우 아이들이 심하게 다칠 수 있다. 나아가, 문 손잡이가 문으로부터 튀어나오고 그 모서리가 상당히 각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다치지 않도록 하면서 조작이 간편한 문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는, i) 제1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길게 뻗어 있으며, 일단이 고정된 신축 부재, ii)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축 부재와 대향하며, 편평한 면을 가지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푸쉬 부재들, iii) 신축 부재가 수납되고, 그 양측면에 푸쉬 부재가 결합되고, 신축 부재의 신장에 따라 신축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형 케이싱, iv) 케이싱을 덮어서 신축 부재를 고정하고, 신축 부재의 신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용된 브라켓, v) 브라켓과 연결된 탄성 부재, 및 vi) 탄성 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적용된 걸쇠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고정형 케이싱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고, 걸쇠는 브라켓과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은, i) 신축 부재의 위에 위치하고 제1 고정홈과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브라켓부, ii) 신축 부재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1 브라켓부와 대향하며, 제2 고정홈과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브라켓부, 및 iii) 제1 브라켓부와 제2 브라켓부를 연결하고, 걸쇠와 대향하며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제3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 부재의 일단이 제1 고정홈 및 제2 고정홈에 의해 고정되고, 신축 부재는 제1 가이드홈 및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고정형 케이싱은, i) 브라켓 아래에 위치하고, 제1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제3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케이싱부, ii) 브라켓 위에 위치하고, 제2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제4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케이싱부, 및 iii) 제1 케이싱부와 제2 케이싱부를 연결하고, 신축 부재의 신장에 따라 신축 부재를 지지하는 제3 케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 부재는, i) 길게 뻗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신축부들, ii) 복수의 제1 신축부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제1 신축부들이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신축부들, 및 iii) 제1 신축부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신축부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에 삽입되어 제1 신축부들과 제2 신축부들이 상호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신축부들과 복수의 제2 신축부들은 각각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는 i) 한 쌍의 푸쉬 부재들 중 한 푸쉬 부재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 및 ii) 커버 부재의 하측에 부착되고, 커버 부재와 이격되어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는, i) 한 쌍의 푸쉬 부재들 중 또다른 푸쉬 부재에 이웃한 또다른 커버 부재, 및 ii) 그 일단은 상기 또다른 커버 부재에 힌지 고정되고, 그 타단은 또다른 푸쉬 부재와 접촉하며 또다른 푸쉬 부재를 향하여 오목한 곡선형 푸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문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은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아이들이 문 근처에 놀더라도 다칠 위험이 없고, 각진 손잡이에도 다칠 위험이 없다. 또한, 문을 쉽게 조작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문의 개폐가 용이하다. 또한, 문 손잡이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현하면서도 그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 손잡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문 손잡이의 내부 부품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문 손잡이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문 손잡이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문 손잡이의 반대편에서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 손잡이(100)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의 문 손잡이(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문 손잡이(100)의 형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손잡이(100)는 커버 부재들(71, 75), 푸쉬 커버(202) 및 파지부들(711, 73)을 포함한다. 이외에, 문 손잡이(100)는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문에 설치되는 문 손잡이(100)에서 푸쉬 커버(202)는 편평한 면을 가지므로, 아이들이 푸쉬 커버(202)에 맞아서 다칠 위험성이 없다. 따라서 종래의 문 손잡이에 비해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커버 부재들(71, 75)은 각각 문의 양측에 위치하여 문을 프레싱하여 고정된다. 한편, 커버 부재(71)는 푸쉬 커버(202)를 고정한다. 푸쉬 커버(202)를 누르면 걸쇠(4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문이 열린다. 또한, 문을 쉽게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커버 부재(71)의 아래에는 파지부(711)가 부착된다. 파지부(711)는 커버 부재(71)와의 사이에 파지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손을 파지 공간에 삽입하여 파지부(711)를 잡아당기면 걸쇠(40)가 문틀에 걸리면서 자동으로 -x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문을 쉽게 닫을 수 있다. 또한, 문의 반대편에는 파지부(73)가 커버 부재(75)와의 사이에 또다른 파지 공간을 형성한다. 파지부(73)를 당겨서 걸쇠(4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문을 열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문 손잡이(100)를 분해하여 나타낸다. 도 2의 문 손잡이(100)의 내부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이니다. 따라서 문 손잡이(100)의 내부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 손잡이(100)는 신축 부재(10), 푸쉬 부재들(201, 203), 브라켓(30), 걸쇠(40), 걸쇠 가이드(42), 탄성 부재(50), 고정형 케이싱(60), 푸쉬 커버(202), 커버 부재들(71, 75), 파지부들(73, 711) 및 곡선형 푸쉬부(80)를 포함한다. 이외에, 문 손잡이(100)는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들(71, 75)은 문 손잡이(100)의 내부 부품들을 y축 방향으로 덮는다. 또한, 파지부들(711, 73)은 각각 커버 부재들(71, 75)의 외측에 부착된다. 한편, 커버 부재(71)에 의해 고정된 푸쉬 커버(202)는 푸쉬 부재(201)를 눌러서 걸쇠(40)를 작동시키고, 곡선형 푸쉬부(80)는 커버 부재(75)의 하단 및 파지부(711, 73)에 힌지 고정되어 회전 운동한다. 곡선형 푸쉬부(80)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걸쇠 가이드(42)는 걸쇠(40)가 x축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걸쇠(40)를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문 손잡이(100)의 내부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문 손잡이(100)의 내부 부품들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서는 편의상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의 신축 부재(10), 푸쉬 부재들(201, 203), 브라켓(30), 걸쇠(40), 걸쇠 가이드(42), 탄성 부재(50) 및 고정형 케이싱(60)만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의 문 손잡이(100)는 신축 부재(10), 브라켓(30), 걸쇠(40), 걸쇠 가이드(42), 탄성 부재(50) 및 고정형 케이싱(60)을 포함한다. 이외에, 도 2의 문 손잡이(100)는 필요에 따라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축 부재(10)는 x축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길게 뻗으며, 일단이 고정된다. 신축 부재(10)는 자바라형으로 되어 있다. 즉, 신축 부재(10)는 복수의 제1 신축부들(101), 복수의 제2 신축부들(103) 및 힌지축(105)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신축부들(101)은 길게 뻗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제2 신축부들(103)은 제1 신축부들(101)이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또한, 힌지축(105)은 제1 신축부들(101)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제2 신축부들(103)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는 연통되어 형성된다. 그 결과, 힌지축(105)을 이용하여 제1 신축부들(101)과 제2 신축부들(103)을 상호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신축부들(101)과 제2 신축부들(103)은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 평행하지 않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과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푸쉬 부재들(201, 203)은 y축 방향, 즉 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축 부재(10)를 덮는다. 한 쌍의 푸쉬 부재들(201, 203)은 상호 이격되어 대향한다. 한 쌍의 푸쉬 부재들(201, 203)은 y축 방향으로 신축 부재(10)를 프레싱하고, 이에 따라 신축 부재(10)가 고정된 브라켓(30)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 부재(50)를 수축 또는 팽창시키면서 걸쇠(40)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킨다. 즉, 브라켓(30)은 신축 부재(10)가 뻗은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탄성 부재(50)가 수축될 수 있다. 브라켓(30)은 걸쇠(40)와 인접하여 그 왕복 운동에 따라 문을 개폐한다.
브라켓(30)은 제1 브라켓부(311), 제2 브라켓부(313) 및 제3 브라켓부(315)를 포함한다. 신축 부재(10)와 결합시 제1 브라켓부(311)는 신축 부재(10)의 위에 위치한다. 제1 브라켓부(311)에는 제1 고정홈(3111)과 제1 가이드홈(3113)이 형성된다. 제21 브라켓부(313)는 신축 부재(10)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브라켓부(313)에는 제2 고정홈(3131)과 제2 가이드홈(3133)이 형성된다. 제3 브라켓부(315)는 제1 브라켓부(311) 및 제2 브라켓부(313)과 연결된다. 제3 브라켓부(315)는 걸쇠(40)와 인접한다. 제3 브라켓부(315)와 케이싱(60)과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50)가 고정된다.
신축 부재(10)의 일단은 제1 고정홈(3111)과 제2 고정홈(3131)에 고정된다. 또한, 신축 부재(10)는 제1 가이드홈(3113) 및 제2 가이드홈(3133)을 따라 고정되어 이동한다. 그 결과, 신축 부재(10)의 작동의 재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고정형 케이싱(60)의 상면과 하면은 브라켓(30)에 의해 둘러싸인다. 신축 부재(10)는 고정형 케이싱(60) 내부에 수납된다. 고정형 케이싱(60)은 제1 케이싱부(601), 제2 케이싱부(603), 제3 케이싱부(605) 및 제4 케이싱부(607)를 포함한다. 이외에, 고정형 케이싱(60)은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싱부(601)는 브라켓(30) 아래에 위치한다. 제1 케이싱부(601)에는 제3 가이드홈(6011)이 형성되어 신축 부재(10)와 브라켓(30)을 상호 연결한다. 한편, 제2 케이싱부(603)는 브라켓(30) 위에 위치한다. 제2 케이싱부(603)에는 제4 가이드홈(6031)이 형성된다. 제4 가이드홈(6031)을 통하여 신축 부재(10)와 브라켓(30)이 상호 연결된다.
제3 케이싱부(605)는 제1 케이싱부(601)와 제2 케이싱부(603)를 상호 연결한다. 제3 케이싱부(605)는 신축 부재(10)의 신장에 따라 신축 부재(10)를 지지한다. 그 결과, 신축 부재(10)는 제3 케이싱부(605)에 막혀서 +x축 방향으로 뻗지 못하고, -x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그 결과, 신축 부재(10)는 브라켓(30)도 -x축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걸쇠(40)를 -x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한편, 제3 케이싱부(605)의 외측에는 탄성부재 고정부(6051)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 고정부(6051)를 이용하여 탄성 부재(5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60)은 y축 방향을 따라 오픈되어 그 측면에 각각 푸쉬 부재들(201, 203)을 결합시킨다. 즉, 케이싱(60)에 포함된 제1 케이싱부(601), 제2 케이싱부(603), 제3 케이싱부(605) 및 제4 케이싱부(607)는 각각 푸쉬 부재들(201, 203)을 고정시킨다. 그 결과, 푸쉬 부재들(201, 203)이 y축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도 3의 부품들의 결합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문 손잡이(1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의 문 손잡이(100)의 내부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4의 내부 구조를 다른 형태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50)는 고정형 케이싱(60)과 브라켓(30) 사이에 위치한다. 걸쇠(40)는 브라켓(30)과 연결된다. 따라서 푸쉬 부재들(201, 203)을 눌러서 신축 부재(10)를 프레싱하는 경우, 신축 부재(10)가 -x축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이와 연결된 브라켓(30)이 -x축 방향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푸쉬 부재들(201, 203)을 눌러서 걸쇠(40)를 -x축 방향으로 잡아당겨 문을 열 수 있다. 이 경우, 고정형 케이싱(60)과 브라켓(30)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된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50)는 브라켓(3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수축되면서 걸쇠(4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걸쇠(40)는 탄성 부재(50)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푸쉬 부재들(201, 203)이 제자리로 돌아오면 탄성 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걸쇠(40)는 다시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자리로 돌아온다. 한편,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탄성 부재(50)를 브라켓(30)과 걸쇠(40)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문 손잡이(100)의 내부 부품들의 작동 과정을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문 손잡이(100)의 내부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은 문 손잡이(100)의 반대편, 즉 뒤에 위치한 푸쉬 부재(203)와 곡선형 푸쉬부(80)를 이용하여 신축 부재(201)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5는 신축 부재(10)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신축 부재(10)가 작동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 푸쉬부(80)가 푸쉬 부재(203)를 +y축 방향으로 밀기 전까지 신축 부재(10)는 아직 신장되지 않은 상태로 위치한다. 그리고 신축 부재(10)는 브라켓(30)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 푸쉬부(80)가 푸쉬 부재(203)를 밀면 신축 부재(10)의 우측 일단이 케이싱(6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신축 부재(10)는 푸쉬 부재(203)가 미는 힘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x축 방향을 따라 펴지면서 브라켓(30)을 -x축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브라켓(30)과 연결된 걸쇠(40)(도 3에 도시)도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문이 열리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문 손잡이(100)의 반대편에서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7은 도 1의 문 손잡이(100)의 반대편에서 파지부(73)를 당기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파지부(73)를 당긴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73)는 푸쉬 부재(203)와 이웃하여 위치한다. 곡선형 푸쉬부(80)의 일단은 커버 부재(75)와 파지부(73)에 힌지 고정된다. 또한, 곡선형 푸쉬부(80)의 타단은 푸쉬 부재(203)와 접촉한다. 즉, 파지부(73)를 잡아당기면 힌지 연결된 곡선형 푸쉬부(80)가 푸쉬 부재(203)를 밀어낸다. 이를 위해 곡선형 푸쉬부(80)는 푸쉬 부재(203)를 향하여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곡선형 푸쉬부(80)의 일단이 파지부(73)에 힌지 고정되므로, 파지부(73)가 당기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곡선형 푸쉬부(80)가 전진하면서 푸쉬 부재(203)를 밀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73)를 당기면 곡선형 푸쉬부(80)가 푸쉬 부재(203)를 누르면서 걸쇠(4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문을 쉽게 열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곡선형 푸쉬부(80)의 일단이 커버 부재(73)에 힌지 고정되는 경우, 스프링 등이 삽입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73)를 당겨서 문을 연 후에 커버 부재(73)를 릴리스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문 손잡이(100)를 이용하여 아이들이 문 주위에서 놀 때 다치지 않도록 하면서 문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0. 문 손잡이
10. 신축 부재
101, 103. 신축부
105. 힌지축
201, 203. 푸쉬 부재
202. 푸쉬 커버
30. 브라켓
3111, 3131. 고정홈
3113, 3133, 6011, 6031. 가이드홈
311, 313, 315. 브라켓부
40. 걸쇠
42. 걸쇠 가이드
50. 탄성 부재
60. 고정형 케이싱
601, 603, 605. 케이싱부
71, 75. 커버 부재
73, 711. 파지부
80. 곡선형 푸쉬부

Claims (7)

  1. 제1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길게 뻗은 신축 부재,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신축 부재와 대향하며, 편평한 면을 가지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푸쉬 부재들,
    상기 신축 부재가 수납되고, 그 양측면에 상기 푸쉬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신축 부재의 신장에 따라 상기 신축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을 덮어서 상기 신축 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신축 부재의 신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용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연결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왕복 운동하도록 적용된 걸쇠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신축 부재의 위에 위치하고 제1 고정홈과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브라켓부,
    상기 신축 부재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브라켓부와 대향하며, 제2 고정홈과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브라켓부, 및
    상기 제1 브라켓부와 상기 제2 브라켓부를 연결하고, 상기 걸쇠와 대향하며 상기 탄성 부재가 고정되는 제3 브라켓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신축 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제2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적용된 문 손잡이.
  2. 제1항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형 케이싱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걸쇠는 상기 브라켓과 연결된 문 손잡이.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형 케이싱은,
    상기 브라켓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제3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케이싱부,
    상기 브라켓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제4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케이싱부, 및
    상기 제1 케이싱부와 상기 제2 케이싱부를 연결하고, 상기 신축 부재의 신장에 따라 상기 신축 부재를 지지하는 제3 케이싱부
    를 포함하는 문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부재는,
    길게 뻗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신축부들,
    상기 복수의 제1 신축부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1 신축부들이 뻗은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뻗고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2 신축부들, 및
    상기 제1 신축부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신축부들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신축부들과 상기 제2 신축부들이 상호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축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신축부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신축부들은 각각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문 손잡이.
  6. 제1항에서,
    상기 한 쌍의 푸쉬 부재들 중 한 푸쉬 부재를 고정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의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커버 부재와 이격되어 파지 공간을 형성하는 파지부
    를 더 포함하는 문 손잡이.
  7. 제6항에서,
    상기 한 쌍의 푸쉬 부재들 중 또다른 푸쉬 부재에 이웃한 또다른 커버 부재, 및
    그 일단은 상기 또다른 커버 부재에 힌지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또다른 푸쉬 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또다른 푸쉬 부재를 향하여 오목한 곡선형 푸쉬부를 더 포함하는 문 손잡이.
KR1020130168790A 2013-12-31 2013-12-31 문 손잡이 KR101517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90A KR101517536B1 (ko) 2013-12-31 2013-12-31 문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90A KR101517536B1 (ko) 2013-12-31 2013-12-31 문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536B1 true KR101517536B1 (ko) 2015-05-06

Family

ID=5339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90A KR101517536B1 (ko) 2013-12-31 2013-12-31 문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5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151A (ko) * 2012-04-05 2013-10-15 윤병만 출입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151A (ko) * 2012-04-05 2013-10-15 윤병만 출입구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9080B (zh) 延伸機構及具有延伸機構之控制器
US11039680B2 (en) Pull-out carrying handle
US10982466B2 (en) Canopy frame with an auxiliary opening mechanism
US3467116A (en) Pick-up walking stick
US11085201B2 (en) Button-type central locking device for folding tent
JP5869647B2 (ja) ステッキチェア
US20090172879A1 (en) Playpen that is Movable and Foldable Easily and Quickly
US9681713B2 (en) Foldable chair and cane, with a locking structure
US2705967A (en) Self opening umbrella
WO2005102097A3 (en) Electrical umbrella and canopy mechanism
JP2020526688A5 (ko)
TWM491361U (zh) umbrella
CN112638204A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可伸展设备
KR101517536B1 (ko) 문 손잡이
WO2016165452A1 (zh) 一种折叠床
EP3510316B1 (en) Improved spreader for video-photographic tripod
JP4746684B2 (ja) 伸縮装置
US8726920B2 (en) Telescopic tube structure for automatic umbrellas
KR102442413B1 (ko) 우산
KR102299341B1 (ko)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JP5270262B2 (ja) 傘の下ろくろ
NL2021678B1 (en) Child seat and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comprising the same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JP5503721B2 (ja) 傘の骨組み及びこの骨組みを用いてなる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