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554A -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554A
KR20180088554A KR1020170012599A KR20170012599A KR20180088554A KR 20180088554 A KR20180088554 A KR 20180088554A KR 1020170012599 A KR1020170012599 A KR 1020170012599A KR 20170012599 A KR20170012599 A KR 20170012599A KR 20180088554 A KR20180088554 A KR 2018008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ace
door lock
lock
securit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석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8554A/ko
Publication of KR2018008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7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한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전송하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록; 및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아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보안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Face Recognition Security System}
본 발명은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한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 Lock)은 주택, 오피스텔 및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역할로서, 막대식 열쇠를 사용하는 기계식 도어록, 카드/반도체를 이용하는 카드/반도체키 도어록, 숫자키 입력디지털 도어록 등의 다양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계식이나 카드/반도체 키 도어록은 열쇠나 카드/반도체 키를 분실, 도난, 복제 등의 우려가 있고, 숫자 키 입력 디지털 도어록은 특정 비밀번호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특정키의 문자인쇄가 지워지거나 닳는 것에 의해 비밀번호의 누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범죄수법이 다양하고 지능화됨에 따라 보안 기능이 향상된 도어록에 대한 수요가 증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지털 도어록에 생체인식기술을 접목시킨 편의성과 보안성이 향상된 디지털 도어록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생체인식기술은 사람마다 고유하고, 기존의 분실, 도난, 복제, 노출 등의 염려가 없는 장점으로 인해서 생체의 일부인 지문, 홍채, 정맥, 얼굴 등을 이용하여 사용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체인식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많은 생체정보 중에서 얼굴인식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센서에 접촉시키는 불편한 과정이 없는 장점으로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가장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생체인식기술은 주거용 신축아파트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나 업무용 건물의 대형사무실의 출입통제 관리시스템에 접목시켜 상용화되다 보니, 기존아파트나 오피스텔의 각 세대나 소규모 개인사무실의 보안에는 적합하지 않게 되고, 설령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네트워크 구성 및 단말장치, 개폐장치, 도어폰 등, 패키지형식의 제품 구입비용과 새로운 전기배관, 통신배관 설치비용 등의 부담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에 기존아파트, 오피스텔, 개인사무실, 연구실 등에 편의성과 보안성이 향상된 디지털 도어록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8162호(2006.09.28.)는 왼손 사용자와 오른손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도어의 내ㅇ외측에 핸들과 함께 설치되는 인바디와 아웃바디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아웃바디는 핸들과 결합하여 좌우로 함께 회동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걸림턱에 결합하기 위해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인바디는 핸들을 좌, 우측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이 대칭으로 결합된 회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록의 아웃바디와 인바디 내측에 핸들의 좌우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회전판이 구비되어 탄성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왼손 사용자와 오른손 사용자가 설치된 하나의 디지털 도어록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974호(2012.01.05.)는 실내 레버를 돌려 래치 볼트를 열 때, 데드 볼트를 함께 해제하는 패닉 동작 시, 기어 클러치부와 연계된 기어 박스에까지 외부의 힘을 전달하여 모터를 회전시켜야 했던 힘이 필요치 않아 사용자가 가벼운 힘으로 데드볼트까지 해제할 수 있는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홈을 구비하며 실내 레버의 조작시에 후퇴하는 데드볼트; 상기 도어가 스스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에 접촉시 인입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실내 레버 또는 실외 레버의 조작시에 후퇴하도록 설치된 래치 볼트; 상기 실내 레버에 의해 회전하는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회전할 때에 회전하는 레버플레이트; 상기 데드볼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해 상기 데드볼트의 상기 홈에 결합되는 바를 구비하고 도어록케이스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레버플레이트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하는 메인레버;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를 갖는 제1 기어 클러치; 상기 메인레버의 상기 기어에 기어물림하여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의 상기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제1 기어 클러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와 동일 회전축선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데드볼트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되, 일측에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의 동력 전달 부재가 안착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동력 전달 부재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 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기어 클러치;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와 상기 제2 기어 클러치 사이에서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와 상기 제2 기어 클러치를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러치 스프링; 상기 실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와 상기 제2 기어 클러치를 상호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레버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실내 레버를 회전조작시키면 상기 레버 스프링이 상기 제2 기어 클러치에 형성된 상기 턱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와 상기 제2 기어 클러치가 이격되면서 상기 제1 기어 클러치의 동력 전달 부재가 상기 제2기어 클러치의 가이드 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제1 기어 클러치로부터 상기 제2 기어 클러치로의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되고, 상기 실내 레버의 회전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레버 스프링이 상기 제2 기어 클러치에 형성된 상기 턱을 밀어 상기 제2 기어 클러치가 상기 제1 기어 클러치로 접근함으로써 상기 제2 기어 클러치의 걸림턱이 상기 제1 기어클러치의 동력 전달 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제1 기어 클러치로부터 상기 제2 기어 클러치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록은, 사용자가 도어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에 가서 손가락을 대고 지문을 등록해 두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지문인식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지문정보가 외부인에게 누출되거나 지문인식센서가 오염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얼굴인식 도어록은, 얼굴 인식을 위한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용자의 출입을 위하여, 키패드의 비밀번호 입력에 의한 출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비밀번호의 노출이나 해킹 등에 의해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816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97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한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전송하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록; 및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아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보안서버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들의 얼굴윤곽정보를 사용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록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부; 잠금해제신호를 전달받을 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안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보안서버로부터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수신 받을 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잠금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을 시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판독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동화상 여부를 판독하며, 동화상인 경우에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록은,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여 이에 대응하는 열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데이터가 동화상인 경우에도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데이터가 인체의 체온의 범위 내인 경우에 한하여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촬영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해 주기 위한 촬영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안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은 경우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보안서버로부터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대기상태로 진입하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사용자판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보안서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한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에 가서 손가락을 대고 지문을 등록해 두어야 하므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문인식센서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지문정보가 외부인에게 누출되거나 지문인식센서가 오염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굴을 인식하여 출입 여부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학교 등에 출입통제 시스템으로 출입 허가된 교직원 및 방문자를 선별 출입시킴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되며, 보안체계 일원화 및 대외 비밀 및 자산 보호/보안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효율적인 출입통제로 출입인원의 보안의식을 고취할 수 있으며, 각 층 및 각 사무실의 정확한 인원 파악이 가능하여 정확한 재실 여부 판단에 따라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 발생 시 현장의 정확한 인원 파악으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어록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어록의 제2실시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10)은, 도어록(100) 및 보안서버(200)를 포함한다.
도어록(100)은,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며, 해당 인식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안면인식데이터를 보안서버(200)로 전송하며, 보안서버(200)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잠금해제신호에 따라 잠금을 해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록(100)은, 아다부스트(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며, 특히, LBP(Local Binary Pattern)기법을 통해 변환 영상을 산출하고, 설정단위로 스캐닝하여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아다부스트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로서, 기본적인 개념은 약한 분류기(weak classifier)를 선형적으로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높은 검출 성능을 가진 강한 분류기(strong classifier)를 생성하는 것이다. 강한 분류기는 계층적인 체계를 이룬다. 이것은 기존의 다른 방법들이 하나의 복잡한 마스크 형태의 분류기를 이용한 것과 달리 간단한 마스크를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한 것이다. 기존의 분류기들은 실제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는데 복잡한 마스크와의 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계산량이 많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다부스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 계층적 분류기는 앞쪽 부분에 간단하면서도 얼굴을 가장 잘 검출하는 것을 배치하고 뒤쪽 부분에 잘못 검출된 것을 제거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실시간 검출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보안서버(200)는, 도어록(100)으로부터 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안면인식데이터에 따라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도어록(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잠금해제요청신호를 도어록(100)으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보안서버(200)는,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해 둔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들의 얼굴윤곽정보와 비교한 후, 도어록(100)로부터 수시된 안면인식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해 둔 얼굴윤곽정보가 기 설정된 수치(예를 들어, 80% 내지 90% 이상 등) 이상의 유사점을 가진 경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로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들의 얼굴윤곽정보를 사용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300)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300)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10)은,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도어록(100) 및 보안서버(200) 사이의 통신 접속을 수행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에 가서 손가락을 대고 지문을 등록해 두어야 하므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문인식센서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여 지문정보가 외부인에게 누출되거나 지문인식센서가 오염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도어록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록(100)은, 촬영부(110), 잠금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도어록(100)의 본체 케이스의 전면에 장착 설치되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며, 해당 촬영한 얼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잠금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전달받을 시 해당 전달받은 잠금해제신호에 대응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제어부(130)는, 촬영부(1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영상데이터에서 안면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추출한 안면정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안면인식데이터를 보안서버(200)로 전송하며, 보안서버(200)로부터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잠금해제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신호를 생성하며, 해당생성한 잠금해제신호를 잠금부(12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촬영부(110)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을 시 해당 전달받은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동화상 여부를 판독(예를 들어, 눈의 깜빡임 등을 인식 등)하며, 해당 사용자의 얼굴이 동화상인 경우에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안면인식데이터를 보안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영상데이터에서 눈 깜박임의 빈도수 또는 입 여닫음의 빈도수가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실물로 인식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각 얼굴영상에서 감지되는 눈동자의 크기 또는 아이 라인의 상하부 간격을 이용하여 감은 눈 및 뜬 눈을 감지함으로써 눈 깜박임을 검출하며, 또한, 각 얼굴영상에서 감지되는 마우스 라인의 상하부 간격을 이용하여 열린 입 및 닫힌 입을 감지함으로써 입 여닫음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에서 사용자의 얼굴이 정지화상(예를 들어, 사진 또는 태블릿PC의 액정화면 등)인 경우, 사용자 얼굴의 재인식을 요청하기 위한 재인식요청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재인식요청신호를 촬영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촬영부(110)는, 제어부(130)로부터 재인식요청신호를 전달받을 시 해당 전달받은 재인식요청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며, 해당 촬영한 얼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영상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어록(100)은, 얼굴 인식 기술과 함께, 키의 휴대나 분실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함과 동시에 보안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출입 관리를 통해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도어록의 제2실시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록(100)은, 촬영부(110), 잠금부(120), 제어부(130) 및 온도감지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부(110), 잠금부(120) 및 제어부(13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온도감지부(140)는,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며, 해당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열화상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열화상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온도감지부(140)는, 도어록(100)에 촬영부(110)를 대신하여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촬영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데이터가 동화상인 경우에도 온도감지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데이터가 인체의 체온의 범위 내인 경우(예를 들어, 36.5℃ 내지 37℃ 등)에 한하여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보안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어록(100)은, 촬영조절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조절부(150)는, 촬영부(110)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제어부(130)로부터 촬영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촬영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부(1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온도감지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데이터에서 인체의 정상체온 범위에 해당하는 열을 발생하고 있는 물체를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열을 발생하고 있는 물체를 촬영부(110)에서 촬영하고 있는 영상의 중앙에 오도록 촬영부(110)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촬영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촬영제어신호를 촬영조절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린아이(예를 들어, 4세 내지 5세의 영유아 등)에 해당할 경우, 일반적인 화각의 도어록용 카메라의 경우에는 촬영화각의 밖에 있어 얼굴뿐만 아니라 영상 자체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온도감지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열화상데이터를 통해 화각의 아래쪽에 정상체온의 범위에 해당하는 열을 발생하고 있는 물체(즉, 이 경우에는 해당 어린아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아래쪽에 있는 어린아이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촬영부(110)의 촬영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촬영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촬영조절부(150)로 전달함으로써, 촬영각도의 범위 밖에 있는 물체의 영상도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어록(100)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가능한 촬영부(110)를 사용자의 신장에 대응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얼굴을 보다 선명하고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20)은, 도어록(100), 보안서버(200) 및 사용자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록(100) 및 보안서버(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단말기(4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며, 해당 인식한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하는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보안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단말기(400)는, 데이터 파일을 생성,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는 통신 가능한 단말기(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PDA), 스마트폰, 게임기, MP3 등)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단말기(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서버(200)에 접속한 다음에, 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앱다운로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 후에, 보안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 앱을 다운로드해 설치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단말기(400)는, 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 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안면 촬영 요청에 따라 구비된 촬영수단(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 등)을 통해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안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400)에 설치하기 위한 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 앱 데이터를 저장해 두며,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앱다운로드요청신호를 수신받을 시 해당 수신받은 앱다운로드요청신호에 따라 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 앱 데이터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한 안면 인식 보안 서비스 앱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안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400)로부터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원격안면인식데이터에 따라 도어의 잠금해제를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시키기 위한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도어록(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어록(100)은, 보안서버(200)로부터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해당 수신받은 잠금해제대기요청신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대기상태로 진입하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사용자판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보안서버(200)로 전송하며, 보안서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20)은, 사용자가 장을 보고 귀가할 경우, 차량에서 사용자단말기(400)(즉, 스마트폰 등)를 통해 도어록(100)의 잠금해제를 예약하도록 한 후, 잠금해제의 대기상태에 있는 도어록(100)에 접근한 후 별도의 비밀번호 입력이나 키패드 터치 등의 액션이 없는 경우에도 활성화된 촬영부(110)를 통한 안면인식만으로 도어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도어록
110: 촬영부
120: 잠금부
130: 제어부
140: 온도감지부
150: 촬영조절부
200: 보안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전송하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록; 및
    상기 도어록으로부터 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아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기 위한 보안서버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들의 얼굴윤곽정보를 사용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이에 대응하는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부;
    잠금해제신호를 전달받을 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아 안면정보를 추출한 후 이에 대응하는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보안서버로부터 잠금해제요청신호를 수신받을 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잠금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전달받을 시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판독하여 사용자의 얼굴이 동화상인지 여부를 판독하며, 동화상인 경우에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한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여 이에 대응하는 열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데이터가 동화상인 경우에도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열화상데이터가 인체의 체온의 범위 내인 경우에 한하여 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촬영부의 일측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촬영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부의 촬영 각도를 조절해 주기 위한 촬영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원격안면인식데이터를 수신받은 경우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도어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보안서버로부터 잠금해제대기요청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대기상태로 진입하며,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출입이 허용된 사용자 여부를 판독하기 위한 사용자판독요청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보안서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받아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KR1020170012599A 2017-01-26 2017-01-26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KR20180088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99A KR20180088554A (ko) 2017-01-26 2017-01-26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99A KR20180088554A (ko) 2017-01-26 2017-01-26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554A true KR20180088554A (ko) 2018-08-06

Family

ID=6325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99A KR20180088554A (ko) 2017-01-26 2017-01-26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855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6260A (zh) * 2019-07-11 2019-09-17 江苏赛博宇华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虹膜识别型门锁
CN110930577A (zh) * 2019-12-06 2020-03-27 深圳惟远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门禁数据分析未登记但实际入住人员的方法
CN111063081A (zh) * 2019-12-12 2020-04-24 唐灶虎 一种基于大数据技术的智能楼宇安防系统
CN112070949A (zh) * 2020-08-21 2020-12-11 淮北市盛世昊明科技服务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智能化门禁识别系统
KR102207071B1 (ko) * 2020-05-13 2021-01-22 윤영복 안면 인식 체온 측정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면 인식을 통한 개폐형 도어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KR20210030525A (ko) 2019-09-09 2021-03-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인식 기반 병원 진료 자동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병원 진료 안내 방법
KR20210100866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00194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비즈메카씨앤씨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913637A (zh) * 2022-06-07 2022-08-16 深圳市思特佳图科技有限公司 一种单元楼栋使用的人脸识别门禁
US20230019104A1 (en) * 2020-10-01 2023-01-19 Black Sesame Technologies Inc.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 fused with facial identification in an access constro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62Y1 (ko) 2006-07-13 2006-10-09 (주)에버넷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KR200457974Y1 (ko) 2009-10-14 2012-01-16 주식회사 이랜시스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162Y1 (ko) 2006-07-13 2006-10-09 (주)에버넷 왼손 또는 오른손 사용이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KR200457974Y1 (ko) 2009-10-14 2012-01-16 주식회사 이랜시스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6260A (zh) * 2019-07-11 2019-09-17 江苏赛博宇华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虹膜识别型门锁
KR20210030525A (ko) 2019-09-09 2021-03-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인식 기반 병원 진료 자동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병원 진료 안내 방법
CN110930577A (zh) * 2019-12-06 2020-03-27 深圳惟远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门禁数据分析未登记但实际入住人员的方法
CN111063081A (zh) * 2019-12-12 2020-04-24 唐灶虎 一种基于大数据技术的智能楼宇安防系统
KR20210100866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07071B1 (ko) * 2020-05-13 2021-01-22 윤영복 안면 인식 체온 측정기, 그리고 이를 이용한 안면 인식을 통한 개폐형 도어 시스템의 제어 시스템
KR20220000194A (ko) * 2020-06-25 2022-01-03 주식회사 비즈메카씨앤씨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2070949A (zh) * 2020-08-21 2020-12-11 淮北市盛世昊明科技服务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智能化门禁识别系统
CN112070949B (zh) * 2020-08-21 2022-02-15 淮北市盛世昊明科技服务有限公司 基于语音识别的智能化门禁识别系统
US20230019104A1 (en) * 2020-10-01 2023-01-19 Black Sesame Technologies Inc.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 fused with facial identification in an access constrol system
US11610432B2 (en) * 2020-10-01 2023-03-21 Black Sesame Technologies Inc.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 fused with facial identification in an access control system
CN114913637A (zh) * 2022-06-07 2022-08-16 深圳市思特佳图科技有限公司 一种单元楼栋使用的人脸识别门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8554A (ko)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CN206515931U (zh) 一种人脸识别系统
CN107093243A (zh) 一种门锁验证报警方法及系统、终端
KR101668958B1 (ko)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 및 안면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KR20150126851A (ko) 원격 모니터링을 구비한 전자 자물쇠
CN107633580A (zh) 一种智能锁及其控制方法、智能保险箱
CN107170084B (zh) 一种利用指纹远程开锁的方法及系统、终端
KR100965428B1 (ko) 2개의 지능카메라를 이용한 인증자입장 자동검증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08986281A (zh) 基于人脸识别的家庭成员智能认证系统
CN207867580U (zh) 具有人脸识别功能的智能门
CN207817817U (zh) 一种基于互联网的人像识别门禁设备
CN109636957A (zh) 防盗安全门智能控制系统
CN210721598U (zh) 智能门锁
CN204303055U (zh) 嵌入式智能门锁控制装置
CN206115526U (zh) 一种面部识别智能锁
CN109147108A (zh) 一种门禁管理的方法和设备
CN109671200B (zh) 基于物联网的指纹识别门锁系统
CN206193971U (zh) 一种基于无线通信的门禁实时控制系统
CN218848821U (zh) 一种防转租的门锁联网系统
CN111915765A (zh) 基于智能锁和传感器联动的人员安全监护的方法和系统
CN214335806U (zh) 一种基于树莓派的智能门锁装置
CN206075375U (zh) 一种手机控制门锁
CN107958525A (zh) 一种基于互联网的人像识别门禁设备
CN108961507A (zh) 一种智慧视频门禁管理系统
KR20070110152A (ko) 화상 잠금개폐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