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94A -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94A
KR20220000194A KR1020200077845A KR20200077845A KR20220000194A KR 20220000194 A KR20220000194 A KR 20220000194A KR 1020200077845 A KR1020200077845 A KR 1020200077845A KR 20200077845 A KR20200077845 A KR 20200077845A KR 20220000194 A KR20220000194 A KR 20220000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body temperature
thermal sensor
gat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316B1 (ko
Inventor
김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메카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메카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메카씨앤씨
Priority to KR102020007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3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장치는, 카메라, 거리 측정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열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ODY TEMPERATURE OF A SUBJECT ENTERING OR EXITING A GATE}
본 발명은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온 측정 장치는 겨드랑이, 구강에 기기를 접촉시켜 체온을 감지하는 접촉식 체온 장치(contact thermometer device), 센서를 근거리 내로 위치시켜 고막 또는 이마에서 방출되는 파장을 감지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비접촉식 체온 장치(noncontact thermometer device), 및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체온을 측정하는 열화상 체온 측정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체온 장치는 예를 들면, 알코올, 및 수은 등을 이용하여 사람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비접촉식 체온 장치는 접촉식 체온계에 비해 주변 온도의 영향을 덜 받으므로, 온도 측정이 정확하고 신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일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체온 장치와 상기 비접촉식 체온 장치는 휴대가 용이한 점에서 편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온 측정 방법은 피사체는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검사자에게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파가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온 측정 및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시간 동안 검사자의 인근에 위치함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체온 측정 장치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겠으나,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은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외부 온도에 의해 정확한 체온을 획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탑재한 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탑재한 게이트를 사람들이 출입하는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출입하는 사람들의 체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게이트에 탑재하여 피사체의 체온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피사체의 크기(예: 키)가 다르거나, 또는 피사체가 모자 또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열 감지 센서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의 체온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장치는, 카메라, 거리 측정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열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장치는 카메라, 거리 측정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프로세서, 및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 상기 열 감지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방법은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게이트를 통해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때문에,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피사체가 검사자에게 접근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검사자의 건강상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온을 측정하는 검사자가 없어도,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트를 관리하는 업체측에서는 검사자 고용에 따른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를 통해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보다 빠르게 측정하기 때문에, 체온 측정을 위한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탑재한 게이트를 사람들이 출입하는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출입하는 사람들의 체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열 감지 센서의 방사 방향을 피사체의 키에 대응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의 체온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 제1 예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 제2 예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 제3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100)는 건물(예: 공항, 학교, 교회, 식당, 등)의 출입문(예: 현관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100)는 건물의 출입문 이외에, 사람들이 통행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100)는 야외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는 다양한 외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출입하는 사람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양 측면과 상면이 결합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100)는 수직 패널들(110, 120)과,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각각의 수직 패널들(110, 120)의 상단과 결합된 수평 패널(13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 및 상기 수평 패널(130)은 모듈로서 각각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 및 상기 수평 패널(130) 각각은 건물(예: 공항, 학교, 교회, 식당, 등)의 출입문(예: 현관문)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4a, 144b),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 용액을 분사하는 토출부(146), 및 인식부(147)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4a, 144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 용액을 분사하는 토출부(146), 및 인식부(147)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4a, 144b)는 상기 수직 패널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4a, 144b),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 용액을 분사하는 토출부(146), 및 인식부(147)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 패널(13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4a, 144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 상기 용액을 분사하는 토출부(146), 및 상기 인식부(147)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설계상 용이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패널(130)은 표시부(141), 센서부(145), 거리 측정 센서(142), 및 카메라(143)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 상기 센서부(145),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 및 상기 카메라(14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평 패널(130)의 전면, 후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100)는 카메라(143)를 통해 상기 게이트(100)를 출입하는 피사체(150)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150)의 크기(예: 키)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100)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100)는 상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150)의 체온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부(340)(예: 스피커(144a, 144b)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표시부(14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100)는 상기 피사체(150)의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143)를 통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150)의 이미지(예: 얼굴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는 하나의 수직 패널(180)일 수 있다. 상기 수직 패널(180)은 복수의 공간들(181, 182, 183, 184)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공간들(181, 182, 183, 184) 각각은 전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 카메라(143), 표시부(141), 및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170)는 도 3의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160)는 상기 복수의 공간들(181, 182, 183, 184)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장부(160)가 상기 복수의 공간들(181, 182, 183, 184) 각각에 포함됨으로써,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게이트는 전장부(160)를 포함하는 부재(190)가 상기 게이트의 상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재(19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피사체(150)(예: 출입하는 사람)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면서 상기 전장부(160)를 향하도록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장부(16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는 상기 피사체(150)의 체온을 측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온 측정을 위한 시스템은 복수 개의 게이트들(100, 210, 220)과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들(100, 210, 220)로부터 피사체의 식별자 및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들(100, 210, 220)과 서버(2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들(100, 210, 220) 각각은 출입하는 피사체(예: 사람)의 이미지(예: 얼굴 이미지), 및 상기 피사체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예: 게이트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PC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게이트들(100, 210, 220) 각각은 출입하는 모든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및 식별자를 상기 서버(230)으로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이상 체온이 감지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및 식별자만 상기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230)는 미리 결정된 시간(예: 40일)이 지나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상기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 및 식별자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230)는 이상 체온이 감지된 피사체의 이미지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음성 또는 팝업을 통해 상기 서버(230)의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300)는 입력부(320), 카메라부(330), 표시부(141), 인식부(147), 출력부(340), 메모리(350), 살균부(360), 통신부(370), 센서부(380), 및 프로세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체온 측정 장치(3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상기 체온 측정 장치(300)의 구성 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320)는 게이트(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된 다양한 정보를 프로세서(3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320)는 스위치, 버튼 등의 물리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하거나 터치 키,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전기적인 조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32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33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의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3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330)는 렌즈,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3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부(330)는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리뷰 이미지를 프로세서(31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30)는 게이트(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30)는 상기 프로세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41)는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상기 프로세서(310)에 의해 처리된, 처리중, 또는 처리될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다양한 기업들에서 제공되는 광고 또는 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이상 체온을 갖는 피사체가 이상 체온 여부를 알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141)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147)는 피사체가 입력하는 식별자(예: QR 코드, 바코드 등)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47)는 피사체(예: 출입하는 사람)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예: 스마트 폰)과 근거리 통신(예: RFID, NFC)을 통해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340)는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340)는 게이트(100)의 수직 패널 및 수평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상 체온을 갖는 피사체가 게이트(10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34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경고 메시지를 소리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3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350)는 게이트(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데이터, 프로그램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500)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350)는 게이트(100)의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또는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예: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획득된 정보, 측정된 정보, 제어 신호 등), 및 이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350)는 카메라(143)에서 획득된 피사체의 이미지, 및 피사체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살균부(360)는 용액을 분사하는 토출부(146), 및 용액을 저장하는 용액 저장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36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상기 게이트(100)를 통과하는 피사체로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살균부(360)는 프로세서(310)의 제어 하에, 이상 체온을 갖는 피사체로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370)는 인접한 다른 게이트(210, 220), 및 관리자의 서버(23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70)는 인접한 다른 게이트(210, 220), 및 관리자의 서버(23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신호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1320)는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비콘(Beacon))에 기반하여 인접한 다른 게이트(210, 220), 및 관리자의 서버(23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380)는 피사체의 체온 또는 열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 및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 감지 센서(145)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감지 센서(145)는 피사체(150)의 피부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열 감지 센서(145)는 구동부의 제어에 기반하여,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는 상기 게이트(100)의 수평 패널(130)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100)의 전면에 위치한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의 ToF 카메라는 카메라부(33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ToF 카메라는 피사체(150)로 레이저를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레이저가 상기 피사체를 통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는 상기 ToF 카메라 이외에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상기 프로세서(31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입력부(320), 카메라부(330), 표시부(141), 인식부(147), 출력부(340), 메모리(350), 살균부(360), 통신부(370), 및 센서부(380))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유선 통신 또는 상기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입력부(320), 카메라부(330), 표시부(141), 인식부(147), 출력부(340), 메모리(350), 살균부(360), 통신부(370), 및 센서부(38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350)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35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부(141)(예: 터치 스크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입력부(320), 카메라부(330), 표시부(141), 인식부(147), 출력부(340), 메모리(350), 살균부(360), 통신부(370), 및 센서부(38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른 구성 요소의 동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프로세서(310)(예: 제어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상기 프로세서(310)에서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카메라(143)를 통해 게이트(100)를 출입하는 피사체(150)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 간의 거리,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와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의 체온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부(3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의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2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230)는 자신과 연결된 모든 게이트(100, 110, 120)으로부터 출입하는 피사체의 이미지 또는 각 피사체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피사체 자신으로부터 입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인식부(147)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각각의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3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메모리(350)에 저장된 식별자 및 이미지를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삭제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380)는 복수의 열 감지 센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은 프로세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복수의 열 감지 센서 모듈들 각각은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와 상기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380)의 제1 열 감지 센서 모듈은 제1 열 감지 센서(401a), 및 상기 제1 열 감지 센서(401a)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열 감지 센서(401a)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 구동부(401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열 감지 센서 모듈은 제2 열 감지 센서(402a), 및 상기 제2 열 감지 센서(402a)의 각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열 감지 센서(402a)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 구동부(40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80)는 제3 열 감지 센서 모듈(403a) 내지 제8 열 감지 센서 모듈(408a)와, 상기 제3 열 감지 센서 모듈(403a) 내지 제8 열 감지 센서 모듈(408a)의 각각에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3 구동부(403b) 내지 제8 구동부(408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열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된 피사체의 체온은 프로세서(31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80) 내의 복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380) 내의 복수의 열 감지 센서 모듈은 만곡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b에서의 설명은 도 4a에서의 설명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예: 프로세서(310)는 카메라(143)를 통해 피사체(150)의 이미지를 획득 및 저장할 수 있다(S510). 상기 프로세서(310)는 게이트(100)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카메라부(330)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43)를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메모리(35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게이트(100)를 통과하는 각각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43)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는 두 개의 수직 패널들(110, 120)과 상기 두 개의 수직 패널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패널(13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43)는 두 개의 수직 패널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수평 패널(130)의 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는 상기 게이트(10)를 출입하는 피사체(예: 사람)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는 인식부(147)를 피사체(예: 사람)의 키에 대응되는 위치(예: 수직 패널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47)를 통해 출입하는 피사체의 식별자는 메모리(3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350)는 출입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메모리(350)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식별자를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예: 40일)에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S512). 상기 프로세서(31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식별된 피사체(150)의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게이트(100)의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142)를 통해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적어도 하나의 거리 측정 센서(142)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신호가 상기 피사체(150)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출력된 신호의 출력 시각 및 상기 반사 신호의 수신 시각을 통해 게이트(100)과 상기 피사체(15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법선을 기준으로 신호가 출력되는 각도와, 상기 출력된 신호가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각도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150)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S514). 상기 프로세서(310)는 거리 측정 센서(142)를 통해 게이트(100)와 피사체 간의 거리, 및 지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의 위치와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각도에 기반하여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카메라(143)를 통해 획득된 피사체의 이미지, 거리 측정 센서(142)를 통해 측정한 피사체와의 거리, 및 지면에서 상기 카메라(143)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142)가 위치한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예: 키)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150)의 크기(예: 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S516).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150)의 크기(예: 키)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의 방사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는 센서부(380)의 만곡된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만곡된 부재 상에 배치된 각각의 열 감지 센서는 열을 감지하기 위해 전송하는 신호의 방사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150)의 키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예: 10cm)를 차감한 값에 해당되는 신체 부위(예: 이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 패널들(110, 12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수평 패널(13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피사체의 신체 부위(예: 이마)로 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가 수평 패널(130)에 배치되는 경우에서의 방사 각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가 수평 패널(130)에 배치되는 경우에서의 방사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S518).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로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15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사체(150)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빈도수를 높이고, 상기 피사체(150)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빈도수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피사체(150)와 상기 게이트(100) 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예: 1m 이내)인지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거리 측정 센서(142)를 통해 게이트(100)와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게이트(100)와 상기 피사체(150)와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예: 1m) 이내인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145)를 식별(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S520).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150)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게이트(100)의 수직 패널 및 수평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에서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는 각 수직 패널(110, 1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는 수평 패널(13)의 외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에서의 체온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는 상기 피사체(150)와 상기 게이트(100) 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예: 1m 이내)이면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사체(150)와 상기 게이트(100) 간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예: 1m 이내)인 경우에도, 상기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에서의 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는 비활성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지 식별할 수 있다(S522).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에서 측정된 체온과 미리 결정된 온도(예: 36.50C)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예: 36.50C)보다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는 35.50C 내지 37.50C의 범위 내의 온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S524).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로부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예: 36.50C)보다 높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피사체(150)가 현재 이상 체온임을 상기 피사체(150)로 하여금 알 수 있도록,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출력부(340)(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거나, 또는 표시부(141)(예: 스크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된 피사체(150)의 이미지 및 이상 체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526).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로부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예: 36.50C)보다 높은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310)는 카메라(143)를 통해 획득한 피사체(150)의 이미지, 및 상기 피사체(150)의 신체 일부(예: 이마, 얼굴 등)에서 측정한 체온에 대한 정보를 서버(예: 관리자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100)를 출입하는 사람들의 이상 체온 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상 체온을 갖는 사람의 출입 여부를 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세서(310)는 상기 획득된 피사체(150)의 이미지 및 이상 체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관리자의 컴퓨터(또는 서버)의 표시부(미도시)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게이트 141: 표시부
142: 거리 측정 센서 145: 열 감지 센서
147: 인식부 310: 프로세서
320: 입력부 330: 카메라부
340: 출력부 350: 메모리
360: 살균부 361: 용액 저장부
370: 통신부 380: 센서부

Claims (19)

  1.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거리 측정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열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 간의 거리,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와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의 체온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피사체의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는 만곡된 부재 상에 배치되며, 방사 방향이 서로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측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메모리; 및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각각의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자 및 이미지를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삭제하도록 설정된 체온 측정 장치.
  10.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거리 측정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프로세서; 및
    상기 카메라, 상기 거리 측정 센서, 상기 열 감지 센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체온 측정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 간의 거리,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장치.
  13. 게이트 타입의 체온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는 과정;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사체의 체온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 간의 거리,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위치와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위치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거리 및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크기를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조절된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의 방사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에서의 체온을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와의 거리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게이트와 상기 식별된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 이내인 경우,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피사체의 신체 일부의 높이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감지 센서를 식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의 체온 상태를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체온이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피사체의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각각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이미지를 미리 결정된 시간 이후에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체온 측정 방법.
KR1020200077845A 2020-06-25 2020-06-25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8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45A KR102389316B1 (ko) 2020-06-25 2020-06-25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45A KR102389316B1 (ko) 2020-06-25 2020-06-25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94A true KR20220000194A (ko) 2022-01-03
KR102389316B1 KR102389316B1 (ko) 2022-04-25

Family

ID=79348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845A KR102389316B1 (ko) 2020-06-25 2020-06-25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3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554A (ko) * 2017-01-26 2018-08-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KR20200041458A (ko) *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8554A (ko) * 2017-01-26 2018-08-0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안면 인식 보안 시스템
KR20200041458A (ko) * 2018-10-12 2020-04-22 센시(주)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316B1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112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US827541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KR101898897B1 (ko) 환자의 내부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0360728B2 (en) Augmented reality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afety
KR101111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열화상 촬영 장치 및 방법
US20230043342A1 (en) Non-contact temperature measurement in thermal imaging systems and methods
KR101754407B1 (ko)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102268431B1 (ko) 열화상 카메라 체온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이용 시스템
KR102212773B1 (ko) 체온측정을 겸비한 영상감시장치 및 그 방법
US1101754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2014048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행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11262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장애물 거리 측정 단말기
JP202012032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照合方法
KR101558728B1 (ko) 방문자 감시장치 및 이를 포함한 방문자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9316B1 (ko) 게이트를 출입하는 피사체의 체온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2582075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算法的疫情防控智能系统及其检测方法
KR20120088320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물인식 및 보행안내 장치
KR20130031423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움직임센서 및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촉각신호로 변환되는 시스템
JP2012043069A (ja) 警報システム
US20230067950A1 (en) Non-contact body temperature system and method
KR102472815B1 (ko) 입출입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361488B1 (ko) 서라운드 아이피 카메라
CN212486642U (zh) 一种多功能对讲设备
CN113532650A (zh) 一种具有红外测体温装置的防疫终端
Khalapure et al.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Contactless Fast Body Temperature Imaging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