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336B1 - 감압 복층 유리 패널 - Google Patents

감압 복층 유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336B1
KR101809336B1 KR1020157018440A KR20157018440A KR101809336B1 KR 101809336 B1 KR101809336 B1 KR 101809336B1 KR 1020157018440 A KR1020157018440 A KR 1020157018440A KR 20157018440 A KR20157018440 A KR 20157018440A KR 101809336 B1 KR101809336 B1 KR 101809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ass
less
solar
dielectr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802A (ko
Inventor
다이스케 이나오카
요시후미 기지마
데츠오 미나아이
Original Assignee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22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with adjustable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은, 실외측 판유리 및 실내측 판유리가 그 사이에 공극부가 유지되도록 일체화되고, 공극부가 감압 상태로 밀폐되어 있다. 여기서, 실외측 판유리의 실외 공간측의 유리면을 제1면, 공극부측의 유리면을 제2면으로 한다. 제2면에는 Low-E막이 형성되어 있다. (Low-E막의 방사율 ε)≤0.067, 31%≤(제1면에 있어서의 일사 반사율 RG (solar))≤40%, (48-RG (solar))%≤(제1면에 있어서의 일사 흡수율 AG(solar))≤17%, AG(solar)≤{18.3-(0.07*RG (solar))+(20*ε)}%, 일사열 취득율 SHGC≤0.50, 열관류율 U값≤1.2W/m2·K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단열성 및 차열성을 가지고, 일사를 받아도 휨의 발생하기 어려운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압 복층 유리 패널{REDUCED PRESSURE DOUBLE GLAZED GLASS PANEL}
본 발명은, 건물의 창유리 등에 이용하는데 최적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창유리의 차열성을 높이는 수단으로서, 열선 흡수 유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는, 특수한 금속 산화물의 조합에 의한 열선 흡수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차열성뿐만 아니라, 단열성도 겸비하는 복층 유리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는, 실외측에 착색 열선 흡수 유리를 설치하고, 실내측에 클리어계 유리를 설치하며, 실외측의 착색 열선 흡수 유리의 내측면에 저방사성막을 형성한 복층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복층 유리에서는,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외측 유리와 실내측 유리 사이의 공기층(혹은, 아르곤 등의 가스층)의 두께로서 6mm 이상의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층 유리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예를 들어, 실외측 유리 및 실내측 유리의 두께가 각각 3mm이며, 공기층의 두께가 6mm인 경우, 복층 유리 전체의 두께는 12mm로 두꺼워지므로, 일반 가옥의 섀시에 사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양 유리 사이의 공기층을 대신하여, 양 유리 사이에 두께가 0.2mm 정도의 매우 얇은 진공층을 설치한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 있어서, 실외측에 착색 열선 흡수 유리를 설치하고, 이 착색 열선 흡수 유리의 내측면에 저방사성막을 형성하면, 얇은 유리 패널을 이용하면서, 여름의 낮의 강한 햇볕이 실내에 진입하는 것을 완화시켜, 여름의 야간에 있어서도 실외로부터의 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감압 복층 유리 패널로는, 여름에 있어서의 냉방 효율뿐만 아니라, 겨울에 있어서의 난방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통상의 복층 유리 패널에서는, 실링 재료에 연질 재료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비해,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서는 저융점 유리, 금속 핸더 등의 경질 재료를 실링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서는, 일사를 받아 실외측 유리와 실내측 유리의 온도차가 커지면, 열팽창량이 실링 재료의 변형으로 흡수되지 않아, 양 유리에 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섀시의 강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양 유리의 휨에 따라, 섀시에 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섀시에 휨이 발생하면, 창의 개폐를 부드럽게 행할 수 없게 됨과 더불어, 섀시들이 마찰하여 섀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일사를 받았을 때의 유리의 휨을 억제할 수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 6-94377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6-102557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2882728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2/092529호
그러나,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서는, 유리의 휨 및 이에 수반하는 섀시의 휨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충분한 단열성 및 차열성을 가지고, 일사를 받아도 휨이 발생하기 어려운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공극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판유리의 외연 전체둘레에 걸쳐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외주 밀폐부를 설치하여 상기 공극부가 감압 상태로 밀폐된,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나누기 위한 감압 복층 유리 패널로서,
상기 한 쌍의 판유리는, 상기 실내 공간측에 설치된 실내측 판유리와, 상기 실외 공간측에 설치된 실외측 판유리를 가지고,
상기 실외측 판유리는, 상기 실외 공간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면과, 상기 공극부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리면 상에는, 방사율 ε이 0.067 이하인 Low-E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일사 반사율 RG(solar)이 31% 이상 40%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일사 흡수율 AG(solar)이 (48-RG (solar))% 이상 17% 이하이고,
일사열 취득율 SHGC이 0.50 이하이며, 또한 열관류율 U값이 1.2W/m2·K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ow-E막(Low Emissivity막, 저방사막)의 방사율을 ε로 하고, 실외측 판유리에 대해,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한 일사 반사율을 RG (solar)로 함과 더불어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한 일사 흡수율을 AG(solar)로 하며,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 대해 측정한 일사열 취득율을 SHGC(Solar Heat Gain Coefficient)로 함과 더불어 열관류율을 U값으로 했을 때, ε≤0.067, 31%≤RG (solar)≤40%, (48-RG (solar))%≤AG(solar)≤17%, SHGC≤0.50, U값≤1.2W/m2·K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상기 관계식이 성립함으로써, 실외측 판유리와 실내측 판유리 사이의 온도차 ΔT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하절기 일사 조건(일사열량 700kcal/m2h(814W/m2), 실외 온도 35℃, 실내 온도 25℃의 조건)을 적용한 후술하는 측정에 의하면, 온도차 ΔT를 13.0℃ 이하로 할 수 있다. ΔT를 억제함으로써, 일사를 받았을 때의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의 휨은 작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단열성 및 차열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일사를 받았을 때의 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Low-E막의 적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유리면 일사 반사율과 유리면 일사 흡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막면 일사 반사율과 막면 일사 흡수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성분」은, 질량 기준으로 함유율이 가장 많은 성분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은, 실외측 판유리(2), 실내측 판유리(3) 및 공극부(4)가 일체화되고, 도시하지 않은 저융점 유리 또는 금속 핸더를 포함하는 경질의 실링 재료에 의해 구성된 외주 밀폐부에 의해, 실외측 판유리(2) 및 실내측 판유리(3)의 외연 전체둘레에 걸쳐 실링되어 있으며, 공극부(4)를 감압 상태로 밀폐하고 있다.
실외측 판유리(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 공간측에 설치된 판유리이며, 실내측 판유리(3)는, 실외측 판유리(2)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실내 공간측에 설치된 판유리이다.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에는, 감압 상태로 밀폐된 공극부(4)가 형성되어 있다. 실외측 판유리(2)는, 실외 공간측에 설치된 제1면(2a)과, 공극부(4)측에 설치된 제2면(2b)을 가지고 있다. 실내측 판유리(3)는, 공극부(4)측에 설치된 제3면(3a)과, 실내 공간측에 설치된 제4면(3b)을 가지고 있다. 실외측 판유리(2)의 제2면(2b)에는, Low-E막(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제조하려면, 우선 재료가 되는 플로트 유리 등의 실외측 판유리(2) 및 실내측 판유리(3)를 준비하고, 실외측 판유리(2)의 제2면(2b) 상에 Low-E막(5)을 반응성 스패터링 등에 의해 형성한다. 다음에,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에 스페이서(6)(도 1 참조)를 사이에 끼워 넣는다. 스페이서(6)는, 압축 강도가 4.9×108Pa 이상의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SUS304)을 사용하고, 직경이 0.3mm~1.0mm 정도이며, 높이가 0.15mm~1.0mm 정도의 원기둥형이 바람직하며, 또, 각 스페이서 사이의 간격은, 2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6)를 사이에 끼워 넣어 샌드위치형상으로 한 2매의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외주 전체둘레에 걸쳐, 저융점 유리 등에 의해 실링하여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에 공극부(4)를 형성한다. 그 후에, 공극부(4)의 공기를 흡인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감압 밀폐하고, 예를 들어 1.33Pa 이하의 감압 환경을 나타내는 상태로 구성한다.
제1면(2a)측으로부터 측정된 실외측 판유리(2)의 가시광 반사율 RG( vis )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면(2a)측으로부터 측정된 실외측 판유리(2)의 L*a*b* 표색계로 나타냈을 때의 반사색 a*이 10 이하이며, 반사색 b*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1면(2a)측으로부터 측정된 실외측 판유리(2)의 L*a*b* 표색계로 나타냈을 때의 반사색 a*이 -5 이상 5 이하이며, 반사색 b*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Low-E막(5)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면(2b) 상에,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이 중 금속층(8)에 사용하는 금속으로서는 은이 추장되는데, 그 외, 은에 팔라듐, 금, 인듐, 아연, 주석,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 다른 금속을 도프한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측 유전체층(7) 및 상측 유전체층(10)에 사용하는 재료의 주성분은, 아연, 주석, 티타늄, 인듐, 및 니오브의 각 산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측 유전체층(7) 및 상측 유전체층(10)의 적어도 한쪽을,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해도 된다. 이 적층체는, 실리콘, 알루미늄 및 티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질화물층 또는 산질화물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Low-E막(5)은, 방사율 ε이 0.067 이하, 바람직하게는 0.063 이하이다.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실외 공간측을 향하는 제1면(2a)측으로부터 측정된 일사 반사율 RG (solar)은, 31% 이상, 바람직하게는 3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3% 이상이다. 제1면(2a)측으로부터 측정된 일사 반사율 RG (solar)은,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제1면(2a)측으로부터 측정된 일사 흡수율 AG(solar)은, (48-RG (solar))% 이상 17%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범위를 만족함과 더불어 14% 이상이다. 또한, 일사 반사율 RG(solar)이 31% 이상 40% 이하인 경우, 일사 흡수율 AG(solar)은, 8% 이상 17% 이하가 된다. 또, 일사 흡수율 AG(solar)+일사 반사율 RG (solar)+일사 투과율 T(solar)=100%이므로, 실외측 판유리(2)의 일사 투과율 T(solar)은, 52% 이하이다. 또,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은, 그 일사열 취득율 SHGC이 0.50 이하이며, 또한 그 열관류율 U값이 1.2W/m2·K 이하이다. 일사 흡수율 AG(solar)은, 바람직하게는, {18.3-(0.07*RG (solar))+(20*ε)}% 이하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절기 일사 조건에서의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를 13.0℃ 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일사를 받아도 실외측 판유리(2) 및 실내측 판유리(3)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일사 흡수율 AG(solar)은, 더 바람직하게는, {17.3-(0.07*RG(solar))+(20*ε)}% 이하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하절기 일사 조건에서의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를 12.5℃ 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해지며, 휨의 발생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희생층(9)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층(8)과 상측 유전체층(10) 사이에 형성되고, 반응성 스패터링에 의해 상측 유전체층(10)을 형성할 때에, 또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의 제조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에 있어서, 희생층(9) 자신이 산화함으로써 금속층(8)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희생층(9)을 구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티탄, 아연, 니켈, 크롬, 아연/알루미늄 합금, 니오브 및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및 이들의 합금 혹은 이들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희생층(9)은, 티탄, 아연, 니켈, 크롬, 니오브 및 스테인리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금속 재료, 또는 상기 금속 재료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층(8)은, 은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희생층(9)은, 티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유전체층(7) 및 상측 유전체층(10)은,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비정질층과, 1개 또는 복수의 결정질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측 유전체층(7)의 두께는, 5nm 이상 4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nm 이상 3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8)의 두께는, 11nm 이상 16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유전체층(10)의 두께는, 30nm 이상 7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3nm 이상 60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높은 차열 성능과 낮은 가시광 반사율을 양립시키기 위함이다.
희생층(9)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nm 이상 15nm 이하이며, 2nm 이상 1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nm 이상 8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2nm 이상 6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Low-E막(5)에 있어서의 광흡수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Low-E막(5)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된, Low-E막(5)이 형성된 실외측 판유리(2)의 가시광 흡수율 AF( vis )은,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 흡수율 AF(vis)은, Low-E막(5)의 표면(막표면)측으로부터 입사한 가시광이 Low-E막(5) 및 실외측 판유리(2)에 의해 흡수되는 비율이다. 희생층(9)으로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희생층(9) 위에 상측 유전체층(10)을 형성할 때, 희생층(9)의 일부가 산화되므로, 금속층(8)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희생층(9)의 산화의 정도가 크면, 가시광 흡수율 AF( vis )이 작아진다. 가시광 흡수율 AF( vis )이 12% 이하로 작은 경우, 실외측 판유리(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ow-E막(5)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된, Low-E막(5)이 형성된 실외측 판유리(2)의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은,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은, 실외측 판유리(2)의 광학 특성에 관계없이 Low-E막(5)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간주할 수 있다.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이 14% 이하로 작은 경우, 실외측 판유리(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하측 유전체층(7)은,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복수의 비정질층과, 1개 또는 복수의 결정질층을 포함한다. 금속층(8)은, 하측 유전체층(7)에 포함되는 결정질층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측 유전체층(7)에 포함되는 결정질층은, 이 층 위에 직접 형성되는 금속층(8)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Low-E막(5)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결정질층만으로 이루어지는 하측 유전체층(7)을 두껍게 형성하면, 결정질층의 결정 입자가 커짐과 더불어 결정질층의 표면의 요철이 커지며, 이에 수반하여 금속층(8)의 결정성이 저하한다. 이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하측 유전체층(7)에 비정질층을 포함시키면 된다. 비정질층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매끄러워지기 때문에, 비정질층 상에 형성되는 결정질층의 표면의 요철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측 유전체층(10)은, 바람직하게는, 1개 또는 복수의 비정질층과, 1개 또는 복수의 결정질층을 포함하는 층이다. 상측 유전체층(10)의 가장 외측(유리면과 반대측)에는 비정질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층은, 일반적으로, 결정질층보다 딱딱하고, 상측 유전체층(10)의 내부로의 수분의 침입의 방지에 적절하다. 이로 인해, 비정질층이 최외층으로서 배치된 상측 유전체층(10)은, Low-E막(5)의 내구성의 향상에 적절하다.
하측 유전체층(7)은, 예를 들어, 비정질의 제1 주석 아연 산화물층, 결정질의 제1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상측 유전체층(10)은, 예를 들어, 결정질의 제2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비정질의 제2 주석 아연 산화물층,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이 층 구성에 있어서, 하측 유전체층(7)의 두께는, 10nm 이상 3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질의 제1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의 두께는, 상기 서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3nm 이상 9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층(8)은, 두께가 13nm 이상 16nm 이하가 되는 은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희생층(9)은, 두께가 2nm 이상 6nm 이하가 되는 티탄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유전체층(10)은, 두께가 43nm 이상 6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질의 제2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은, 상기 서술한 낮은 광흡수율 AF (400)에 관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두께가 4nm 이상 1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은, 상기 서술한 내구성에 관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두께가 6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질의 제1 주석 아연 산화물층 및 비정질의 제2 주석 아연 산화물층의 두께는, 각각, 하측 유전체층(7) 및 상측 유전체층(10)의 두께가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되도록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유전체층(7)의 다른 막 구성으로서, 비정질의 제1 주석 아연 산화물층을 대신하여,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이용해도 된다.
또, 상측 유전체층(10)의 다른 막 구성으로서는, 결정질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과,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이, 결정질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 중 1층을 사이에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막 구성의 구체예에서는, 하측 유전체층은, 비정질의 제1 주석 아연 산화물층, 결정질의 제1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상측 유전체층은, 결정질의 제2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비정질의 제2 주석 아연 산화물층, 비정질의 제1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 결정질의 제3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비정질의 제2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이 층 구성에 있어서도, 상측 유전체층(10)은, 두께가 43nm 이상 6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질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은, 상기 서술한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에 관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합계의 두께가 4nm 이상 1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질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의 각각의 두께는, 상측 유전체층(10)의 두께가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되도록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은, 상기 서술한 내구성에 관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측 유전체층(10)의 가장 외측의 표면에 적층되는 층의 두께가 6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유전체층(10)의 가장 외측의 표면에 적층되는 층 이외의 두께에 대해서는,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의 각각의 두께는, 상측 유전체층(10)의 두께가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되도록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또 다른 상세한 막 구성으로서는, 하측 유전체층(7)의 두께가, 10nm 이상 25nm 이하이고, 금속층(8)의 두께가, 11nm 이상 13nm 이하이며, 희생층(9)의 두께가, 2nm 이상 10nm 이하이고, 상측 유전체층(10)의 두께가, 35nm 이상 45nm 이하여도 된다.
변형예로서, 실외측 판유리(2)의 제1면(2a) 상에는, Low-E막(5)이 형성된 실외측 판유리(2)의 광학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능성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능성막으로서는, 발수성막, 저보수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발수성막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알킬사슬을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 건조하여 형성된 막을 들 수 있다. 저보수 코팅으로서는, 제1면(2a)에 두께가 5nm 이상 15nm 이하가 되는 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 두께가 2nm 이상 5nm 이하가 되는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층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외측 판유리(2)의 제1면(2a) 상에, Low-E막(5)이 형성된 실외측 판유리(2)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층으로서, 반사층(11)을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반사층(11)을 형성하면, 실외측 판유리(2)의 제1면(2a)에 있어서의 일사의 반사가 증대하고,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의 일사의 흡수가 감소하므로, 실외측 판유리(2)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반사층(11)의 나트륨 램프 광원의 휘선에 있어서의 굴절률 nd이 1.8 이상이며, 반사층(11)의 두께가 14nm 이상 5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사층(11)은, 조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에,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개시하여 본 발명의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의 성능을 설명한다.
(실시예 1)
Low-E막(5)이 형성된 두께 3.1mm의 실외측 판유리(2)를 소정 치수로 절단하여, 실내측 판유리(3)용으로서 두께 3.1mm의 플로트 유리를 준비하고, 이 2매의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에, 직경이 0.5mm 또한 높이가 0.2mm의 스테인리스제 원기둥형 스페이서(6)를 사이에 끼워 넣고, 저융점 유리로 실외측 판유리(2) 및 실내측 판유리(3)의 외주 전체둘레에 걸쳐 실링하며, 그 후, 공극부(4)를 감압 배기하여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제작했다.
Low-E막(5)은, 실외측 판유리(2)의 제2면(2b) 상에 반응성 스패터링에 의해 형성했다. Low-E막(5)은, 표 1에 기재하는 재료로 구성되고, 표 1에 기재하는 두께가 되도록,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했다. 상세하게는, 하측 유전체층(7)은, 주석 아연 산화물(ZnSnO, 비정질층), 주석 도프 산화아연(ZnO:Sn, 결정질층)의 순서대로 적층한 층이다. 금속층(8)은, Ag층이다. 희생층(9)은, 산화티탄(TiOx)(0≤x≤2)층이다. 상측 유전체층(10)은, ZnO:Sn, ZnSnO, 알루미늄 도프 질화규소(SiN:Al, 비정질층)의 순서대로 적층한 층이다.
[표 1]
Figure 112015066539975-pct00001
상기에 의해 완성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하기의 조건으로 평가했다.
조건(1);일사열량이 700(814W/m2)kcal/m2h, 실외 온도 35℃, 실내 온도 25℃의 하절기 일사 조건이 되도록 실험 가옥의 조건을 설정하고, 측정 개시부터 10분 후에, 열관류율 U값(W/m2·K) 및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의 온도차 ΔT(℃)를 측정했다. 또,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측정된 가시광 투과율 T( vis )(%),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가시광 반사율 RG( vis )(%),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가시광 흡수율 AG( vis )(%),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투과율 T(solar)(%),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반사율 RG (solar)(%),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흡수율 AG(solar)(%),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가시광 반사율 RF(vis)(%),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가시광 흡수율 AF( vis )(%),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반사율 RF(solar)(%),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흡수율 AF (solar)(%), Low-E막(5)의 방사율 ε 및 일사열 취득율 SHGC은, 실외측 판유리(2) 및 실내측 판유리(3) 각각의 광학 특성 실측값의 결과로부터, 일본 공업규격(JIS) R 3106(판유리류의 투과율·반사율·방사율·일사열 취득율의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계산에 의해 구했다. 또,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L*a*b* 표색계로 나타냈을 때의 반사색 a* 및 반사색 b*은, JIS Z 8722(색 측정 방법 반사 및 투과 물체색) 및 JIS Z 8729(색 표시 방법 L*a*b* 표색계 및 L*u*v*표색계)에 의거하여 표준 일루미넌트 D65에 대한 값을 계산에 의해 구했다. 또한 실외측 판유리(2)의 휨량에 대해서는,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의 온도차 ΔT(℃)≤12.5(℃)일 때, 휨량은 소라고 판정하고, 12.5<ΔT(℃)≤13.0(℃)일 때, 휨량은 중이라고 판정하며, ΔT(℃)>13.0(℃)일 때, 휨량은 대라고 판정했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표 2]
Figure 112015066539975-pct00002
실시예 1에서는, 가시광 투과율 T( vis )이 77.6%이다. 가시광 반사율 RG( vis )이 18.2%이다. 가시광 흡수율 AG( vis )이 4.2%이다. 일사 투과율 T(solar)이 51.6%이다. 일사 반사율 RG (solar)이 33.9%이다. 일사 흡수율 AG(solar)이 14.5%이다. 반사색 a*이 -0.1이다. 반사색 b*이 -16.3이다. 가시광 반사율 RF( vis )이 15.3%이다. 가시광 흡수율 AF( vis )이 7.1%이다.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이 9.0%이다. 일사 반사율 RF(solar)이 39.0%이다. 일사 흡수율 AF (solar)이 9.4%이다. 방사율 ε이 0.046이다. 일사열 취득율 SHGC이 0.49이다. 열관류율 U값이 1.2W/m2·K이다.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 사이의 온도차 ΔT가 11.8℃이다. ΔT≤12.5℃이므로, 휨량이 소이다. 따라서, (48-RG (solar))는, 14.1%이다. {18.3-(0.07*RG(solar))+(20*ε)}는, 16.8%이다. {17.3-(0.07*RG (solar))+(20*ε)}는, 15.8%이다. 즉, ε(=0.046)≤0.067, 31≤RG (solar)(=33.9)≤40, (48-RG (solar))≤AG(solar)(=14.5)≤17, T(solar)(=51.6)≤52, AG(solar)(=14.5)≤{17.3-(0.07*RG (solar))+(20*ε)}(=15.8), AF(vis)(=7.1)≤12, AF (400)(=9.0)≤14, SHGC(=0.49)≤0.50, U값(=1.2)≤1.2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관계식이 성립함으로써,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가 12.5℃ 이하로 작아지므로, 휨량도 작아진다. 또, RG( vis )(=18.2)≤30, -5≤a*(=-0.1)≤5, b*(=-16.3)≤10이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가시광을 투과하기 쉬워짐과 더불어, 건축물의 유리, 특히, 감압 복층 유리 패널에서 선호되는 옅은 청색을 중심으로 하는 무색으로부터 옅은 청록색 반사색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실시예 2~15)
실시예 2~15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제작했다. 실시예 2~15에서는,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의 층 구성, 각층의 재료 및 각층의 층두께를 상이하게 했다. 실시예 2~15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평가하고, 이들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2~17에서는, ε≤0.067, 31≤RG (solar)≤40, (48-RG (solar))≤AG(solar)≤17, T(solar)≤52, AG(solar)≤{17.3-(0.07*RG(solar))+(20*ε)}, AF( vis )≤12, AF (400)≤14, SHGC≤0.50, U값≤1.2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관계식이 성립함으로써,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가 12.5℃ 이하로 작아지므로, 휨량도 작아진다. 또, 실시예 3, 5, 7, 8, 10~13, 15에서는, RG( vis )≤30, -5≤a*≤5, b*≤10이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가시광을 투과하기 쉬워짐과 더불어,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반사색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실시예 16)
실시예 16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제작했다. 실시예 16에서는,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의 층 구성, 각층의 재료 및 각층의 층두께를 상이하게 했다.
또한, 실시예 16에서는, 실외측 판유리(2)의 제1면(2a)에, Low-E막(5)이 형성된 실외측 판유리(2)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능성 막인 저보수 코팅(일본국 특허 공표 2008-505842호 공보의 단락 002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6에서는, 저보수 코팅은, 산화규소(SiO2), 산화티탄(TiO2)의 순서대로 적층한 층이다. SiO2의 막두께는, 9nm이며, TiO2의 막두께는, 4nm이다. 즉, SiO2의 막두께가 5nm 이상 15nm 이하이며, TiO2의 막두께가 2nm 이상 5nm 이하이다.
실시예 16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평가하고, 이들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6에서는, ε≤0.067, 31≤RG(solar)≤40, (48-RG (solar))≤AG(solar)≤17, T(solar)≤52, AG(solar)≤{17.3-(0.07*RG (solar))+(20*ε)}, AF( vis )≤12, AF (400)≤14, SHGC≤0.50, U값≤1.2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관계식이 성립함으로써,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가 12.5℃ 이하로 작아지므로, 휨량도 작아진다. 또, RG( vis )≤30, -5≤a*≤5, b*≤10이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가시광을 투과하기 쉬워짐과 더불어,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반사색이 보다 용이하게 얻어진다.
(실시예 17~23)
실시예 17~23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제작했다. 실시예 17~23에서는,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의 층 구성, 각층의 재료 및 각층의 층두께를 상이하게 했다.
또한, 실시예 17~23에서는, 실외측 판유리(2)의 제1면(2a)에, Low-E막(5)이 형성된 실외측 판유리(2)의 광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사층(11)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7~23에서는, 반사층(11)은, 조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데, 실시예 16의 산화규소(SiO2), 산화티탄(TiO2)의 순서로 적층한 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반사층(11)은, 굴절률이 1.8 이상이며, 두께가 14nm 이상 55nm 이하이다. 이러한 반사층(11)을 형성함으로써, 실외측 판유리(2)의 제1면(2a)에 있어서의 일사의 반사가 증대하고,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의 일사의 흡수가 감소한다.
실시예 17~23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평가하고, 이들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8~25에서는, ε≤0.067, 31≤RG(solar)≤40, (48-RG (solar))≤AG(solar)≤17, T(solar)≤52, AG(solar)≤{17.3-(0.07*RG(solar))+(20*ε)}, AF( vis )≤12, AF (400)≤14, SHGC≤0.50, U값≤1.2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관계식이 성립함으로써,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가 12.5℃ 이하로 작아지므로, 휨량도 작아진다. 또, RG( vis )≤30, -5≤a*≤5, b*≤10이 되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이에 의해,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가시광을 투과하기 쉬워짐과 더불어,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반사색이 보다 용이하게 얻어진다.
(비교예 1~8)
비교예 1~8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제작했다. 표 1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Low-E막(5)을 형성했다. 비교예 1~8은, 하측 유전체층(7), 금속층(8), 희생층(9) 및 상측 유전체층(10)의 층 구성, 각층의 재료 및 각층의 층두께를 상이하게 했다. 비교예 1~8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을 평가했다. 이들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비교예 1~8에서는, (48-RG (solar))%≤AG(solar)≤17%, AG(solar)≤{18.3-(0.07*RG (solar))+(20*ε)}%가 되는 관계식이 성립하지 않는다. 비교예 1, 3~8에서는, 상기 관계식이 성립하지 않음으로써, 실외측 판유리(2)와 실내측 판유리(3)의 온도차 ΔT가 13.0℃보다 커지므로, 휨량이 커진다. 비교예 2에서는, 휨량이 작으나, 이는, 일사열 취득율 SHGC이 0.58로 매우 커, 감압 복층 유리 패널(1)의 차열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 비교예 1~3, 5, 6에서는, -5≤a*≤5, b*≤10이 되는 관계식이 성립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실외측 판유리(2)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바람직한 반사색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반사율 RG (solar)과, 제1면(2a)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흡수율 AG(solar)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4에 도시한다. 실시예의 AG(solar)(도 4에 흰원 도형으로 나타낸다)는, 31≤RG (solar)≤40, (48-RG (solar))≤AG(solar)≤17, AG(solar)≤{17.3-(0.07*RG (solar))+(20*ε)}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영역(도 4에 도시하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비교예의 AG(solar)(도 4에 검은 사각 도형으로 나타낸다)는, 상기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반사율 RF(solar)과, Low-E막(5)의 막면에 있어서 측정된 일사 흡수율 AF (solar)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5에 도시한다. 실시예의 AF(solar)(도 5에 흰원 도형으로 나타낸다) 및 비교예의 AF (solar)(도 5에 검은 사각 도형으로 나타낸다)는, (48-RF(solar))≤AF(solar)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영역(도 5에 도시하는 AF (solar)=48-RF(solar)의 그래프보다 우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실외측 판유리(2) 및 실내측 판유리(3)는,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두께 3.1mm의 판유리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두께의 판유리 또는 두께 치수가 상이한 판유리를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또, 판유리의 종별은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형판 유리, 불투명 유리(표면 처리에 의해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한 유리), 망입 유리, 선입 유리, 강화 유리, 배강도 유리, 고투과 판유리나, 그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유리의 조성에 대해서는, 붕규산 유리나, 알루미노규산 유리나, 각종 결정화 유리 등이어도 된다.
또, 스페이서(6)는,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테인리스강제의 스페이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철,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니켈, 크롬, 티탄 등의 금속, 또는 탄소강, 크롬강, 니켈강, 니켈크롬강, 망간강, 크롬망간강, 크롬몰리브덴강, 규소강, 놋쇠, 두랄루민 등의 합금, 혹은 세라믹스, 유리 등이어도 되고, 외력을 받아 양쪽 판유리가 접하는 않도록 변형하기 어려운 것이면 된다. 스페이서(6)의 형상도 원기둥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형상이나 각기둥 등이어도 되고, 각 스페이서 사이의 간격에 대해서도, 적당히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감압 복층 유리 패널은, 건축용에 한정되지 않고 일사를 받는 다종의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탈 것용(자동차의 창유리, 철도 차량의 창유리, 선박의 창유리), 옥외에 설치되는 냉장고, 보온 장치의 개폐창이나 벽부재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공극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판유리의 외연 전체둘레에 걸쳐 상기 한 쌍의 판유리 사이에 외주 밀폐부를 설치하여 상기 공극부가 감압 상태로 밀폐된,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나누기 위한 감압 복층 유리 패널로서,
    상기 한 쌍의 판유리는, 상기 실내 공간측에 설치된 실내측 판유리와, 상기 실외 공간측에 설치된 실외측 판유리를 가지고,
    상기 실외측 판유리는, 상기 실외 공간측에 배치되는 제1 유리면과, 상기 공극부측에 배치되는 제2 유리면을 가지며, 상기 제2 유리면 상에는, 방사율 ε이 0.067 이하인 Low-E막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일사 반사율 RG(solar)이 31% 이상 40%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일사 흡수율 AG(solar)이 (48-RG(solar))% 이상 {18.3-(0.07*RG(solar))+(20*ε)}% 이하이고,
    일사열 취득율 SHGC이 0.50 이하이며, 또한 열관류율 U값이 1.2W/m2·K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사 흡수율 AG(solar)이 {17.3-(0.07*RG(solar))+(20*ε)}%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ow-E막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Low-E막이 형성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가시광 흡수율 AF(vis)이 12%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ow-E막의 표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Low-E막이 형성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흡수율 AF (400)이 14%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ow-E막은, 상기 공극부측에 설치되는 유리면 상에, 하측 유전체층, 금속층, 희생층, 상측 유전체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상기 하측 유전체층 및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비정질층과, 1개 또는 복수의 결정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상기 하측 유전체층에 포함되는 상기 결정질층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ow-E막은 두께가 11nm 이상 16nm 이하인 금속층을 포함하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가시광 반사율 RG(vis)이 30%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L*a*b* 표색계로 나타냈을 때의 반사색 a* 및 반사색 b*이, 각각 10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L*a*b* 표색계로 나타냈을 때의 반사색 a*이 -5 이상 5 이하이며,
    상기 제1 유리면측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실외측 판유리의 L*a*b* 표색계로 나타냈을 때의 반사색 b*이 10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ow-E막은, 상기 제2 유리면 상에, 하측 유전체층, 금속층, 희생층 및 상측 유전체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상기 금속층은, 은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희생층은, 티탄, 아연, 니켈, 크롬, 니오브 및 스테인리스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금속 재료, 또는 상기 금속 재료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상기 하측 유전체층 및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각각, 1개 또는 복수의 비정질층과, 1개 또는 복수의 결정질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유전체층의 두께가 5nm 이상 40nm 이하이며,
    상기 금속층의 두께가 11nm 이상 16nm 이하이고,
    상기 희생층의 두께가 0.5nm 이상 15nm 이하이며,
    상기 상측 유전체층의 두께가 30nm 이상 70nm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은, 티탄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하측 유전체층의 두께가 10nm 이상 30nm 이하이며,
    상기 희생층의 두께가 2nm 이상 10nm 이하이고,
    상기 상측 유전체층의 두께가 43nm 이상 60nm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유전체층은, 비정질의 제1 주석 아연 산화물층, 결정질의 제1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결정질의 제2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비정질의 제2 주석 아연 산화물층,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결정질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과,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의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이, 상기 결정질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2 이상의 층 중 1층을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측 유전체층은, 비정질의 제1 주석 아연 산화물층, 결정질의 제1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며,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결정질의 제2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비정질의 제2 주석 아연 산화물층, 비정질의 제1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 결정질의 제3의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비정질의 제2 질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유전체층의 두께가 10nm 이상 25nm 이하이고,
    상기 금속층의 두께가 11nm 이상 13nm 이하이며,
    상기 희생층의 두께가 2nm 이상 10nm 이하이고,
    상기 상측 유전체층의 두께가 35nm 이상 45nm 이하인,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면에, 굴절률이 1.8 이상이며, 두께가 14nm 이상 55nm 이하인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조성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면에, 두께가 5nm 이상 15nm 이하가 되는 산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과 두께가 2nm 이상 5nm 이하가 되는 산화티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되어 있는, 감압 복층 유리 패널.
KR1020157018440A 2012-12-28 2013-12-25 감압 복층 유리 패널 KR101809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7386 2012-12-28
JP2012287386 2012-12-28
PCT/JP2013/007584 WO2014103301A1 (ja) 2012-12-28 2013-12-25 減圧複層ガラス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802A KR20150095802A (ko) 2015-08-21
KR101809336B1 true KR101809336B1 (ko) 2017-12-14

Family

ID=5102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440A KR101809336B1 (ko) 2012-12-28 2013-12-25 감압 복층 유리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56692B2 (ko)
EP (1) EP2939988B1 (ko)
JP (1) JP5989802B2 (ko)
KR (1) KR101809336B1 (ko)
CN (1) CN104884404B (ko)
WO (1) WO2014103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86067A (en) * 2015-01-28 2021-06-18 Agc Inc Glass plate with stacked film and double glazing glass
US10662109B2 (en) * 2016-03-31 2020-05-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Glass panel unit and glass window
CN106761237A (zh) * 2016-12-23 2017-05-31 钦州市中玻玻璃有限责任公司 一种夹层复合玻璃
CN107668975A (zh) * 2017-10-16 2018-02-09 北京海尔云厨科技有限公司 具有屏蔽门体的存储装置
JP7142644B2 (ja) * 2017-11-10 2022-09-2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及びガラスパネルにおける吸引孔の規定方法
EP3794201B1 (en) 2018-05-14 2024-01-03 AGC Glass Europe Asymmetrical vacuum-insulated glazing unit
JP7071639B2 (ja) * 2018-08-30 2022-05-19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窓ガラス用断熱性三層複層ガラス
JP7221658B2 (ja) * 2018-11-12 2023-02-1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体の評価方法
CN113795646A (zh) * 2019-03-19 2021-12-14 旭硝子欧洲玻璃公司 非对称真空隔热玻璃窗单元
US20220065027A1 (en) * 2019-03-19 2022-03-03 Agc Glass Europe Asymmetrical vacuum-insulated glazing unit
KR20210137529A (ko) 2019-03-19 2021-11-17 에이쥐씨 글래스 유럽 비대칭적인 진공-절연 글레이징 유닛
JP7388983B2 (ja) 2020-06-22 2023-11-29 株式会社京都製作所 箱詰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2529A1 (fr) * 2001-05-15 2002-11-21 Nippon Sheet Glass Co., Ltd. Panneau de verre de protection et d'isolation thermiqu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8110B1 (en) 1990-11-26 1996-06-26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Infrared and ultraviolet ray absorbing glass
JPH0694377B2 (ja) 1990-12-25 1994-11-2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赤外線紫外線吸収ガラスおよびその製法
JPH06102557B2 (ja) 1990-11-26 1994-12-1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赤外線紫外線吸収ガラスおよびその製法
JP2882728B2 (ja) 1993-06-29 1999-04-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熱遮断ガラ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複層ガラス
JPH10236848A (ja) 1997-02-26 1998-09-08 Sun Tec Corp Kk 低放射率板ガラス
JP2002012455A (ja) 2000-04-27 2002-01-15 Central Glass Co Ltd 低圧複層ガラス
AU2001292316A1 (en) 2000-09-29 2002-04-08 Cardinal Ig Company Transparent laminate having low emissivity
FR2818272B1 (fr) * 2000-12-15 2003-08-29 Saint Gobain Vitrage muni d'un empilement de couches minces pour la protection solaire et/ou l'isolation thermique
JP4003921B2 (ja) 2001-09-27 2007-11-0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熱線遮蔽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複層ガラス
JP4109491B2 (ja) * 2002-05-07 2008-07-0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透光性ガラスパネル
JP2004352567A (ja) 2003-05-29 2004-12-16 Nippon Sheet Glass Co Ltd 断熱・遮熱性ガラスパネル
JP2008505842A (ja) 2004-07-12 2008-02-2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低保守コーティング
FR2898123B1 (fr) * 2006-03-06 2008-12-05 Saint Gobain Substrat muni d'un empilement a proprietes thermiq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2529A1 (fr) * 2001-05-15 2002-11-21 Nippon Sheet Glass Co., Ltd. Panneau de verre de protection et d'isolation therm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03301A1 (ja) 2017-01-12
JP5989802B2 (ja) 2016-09-07
EP2939988A1 (en) 2015-11-04
CN104884404B (zh) 2018-07-27
US9856692B2 (en) 2018-01-02
EP2939988B1 (en) 2018-08-08
KR20150095802A (ko) 2015-08-21
EP2939988A4 (en) 2016-08-31
WO2014103301A1 (ja) 2014-07-03
US20150354264A1 (en) 2015-12-10
CN104884404A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336B1 (ko) 감압 복층 유리 패널
JP5792623B2 (ja) 少なくとも1つの反射防止膜を組み込む多重窓ガラスユニット及び多重窓ガラスユニットにおける反射防止膜の使用
US10323453B2 (en) Multiple-glazed glass unit and glass pane for multiple-glazed glass unit
JP7228640B2 (ja) 複層ガラスユニット
EP2560926B1 (en) Coated article having low-e coating with absorber layer(s)
US9708215B2 (en) Substrate provided with a multilayer coating having thermal properties, which includes high-refractive-index layers
KR102356221B1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기능성 층의 스택으로 코팅된 기판
EA038987B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стеклопакет
US10393934B2 (en) Multi-pane window with a low emissivity layer and a photochromic glass
WO2002092529A1 (fr) Panneau de verre de protection et d'isolation thermique
EP2517877B1 (en) Spandrel panel
US20220010610A1 (en) Insulated glass units with low cte center panes
JP2020055736A (ja) 窓ガラス用断熱性三層複層ガラス
JP7266020B2 (ja) 複層ガラスパネル
WO2018003619A1 (ja) 遮熱ガラス部材および遮熱ガラス部材の製造方法
EP3887151A1 (en) Insulated glass units with low cte center panes
JP7071639B2 (ja) 窓ガラス用断熱性三層複層ガラス
US20190352224A1 (en) Low-emissivity coating, and functional building material for windows and doors comprising low-emission coating
JP2020083685A (ja) 窓ガラス用断熱性三層複層ガラス
JP2001303860A (ja) 窓構造
Bizoňová Current state of glazing systems desig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