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573B1 -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573B1
KR101808573B1 KR1020160109448A KR20160109448A KR101808573B1 KR 101808573 B1 KR101808573 B1 KR 101808573B1 KR 1020160109448 A KR1020160109448 A KR 1020160109448A KR 20160109448 A KR20160109448 A KR 20160109448A KR 101808573 B1 KR101808573 B1 KR 101808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ubber
present
exhaust pip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술
김형진
김형준
남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6010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573B1/ko
Priority to PCT/KR2016/009751 priority patent/WO201803830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 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배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고, 배기관에서 발생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시키는 동시에, 주행 중 충격에 의한 행거의 변형을 방지하는 행거 러버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 따르면, 행거의 진동 및 변형을 억제하여 배기관의 진동 및 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주행 중 심한 충격에 의하여 배기관과 차체와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승차감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Bracket-type hanger rubber for fixing the exhaust pipe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배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고, 배기관에서 발생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시키는 동시에, 주행 중 충격에 의한 행거의 변형을 방지하는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실린더 내부로 흡입되어 연소되는 것에 의해 작동되며, 이때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배기관에는 엔진 및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이 진동에 의한 소음을 동반함에 따라 별도의 행거를 차체와 배기관 사이에 구비하여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배기관용 행거는 배기관을 차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배기관과 차체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행거는 배기관의 설치부위와 차체의 설치부위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그 내부에 두 대 이상의 설치공이 통공되고, 이 설치공과는 별도로 진동 및 소음을 방지시키기 위한 진동흡수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행거의 작동을 살펴보면, 배기관이나 차체에서 진동이 발생되면, 각 설치부위에 진동이 발생되고, 이 설치부위의 진동은 행거의 설치공 부위로 진동을 전달시키게 된다.
진동이 발생된 행거는 탄성을 갖고, 진동흡수홀의 공간에 의해 그 몸체에 변위가 발생되면서 진동을 감소시키게 되어 그에 따른 소음도 감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행거는 아이들링 상태에서 20 ~ 500 Hz의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진동 주파수를 감소 및 차단시켜야 되지만,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행거는 상기 진동 주파수 범위까지 진동 감소효과를 기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됨에 다라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비용 및 내구성이 향상된 행거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을 간소화시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기관의 진동 및 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주행 중 충격에 의한 행거의 변형을 방지하여 배기관이 차체와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행거 러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솔레이터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121)이 중앙에 형성된 내부몸체(123)와, 상기 내부몸체(123)와 이격되면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몸체(124)와, 상기 내부몸체(123)와 외부몸체(124)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는 몸체부(120)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120)가 삽입(insert)되는 결합공(111)이 형성된 행거 프레임(110)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배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행거 러버(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121)과 이격되면서 감싸도록 형성된 이너 링(140)이 구비되어 하중 및 충격에 의한 몸체부(12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부(125)의 양측으로 공간부(122,122-1)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내부몸체(123) 및 외부몸체(124)와 연결되는 양측 끝단부보다 중심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내부몸체(123)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몸체(124)의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의 형성은 "z"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 내주면에는 상기 아이솔레이터 핀의 축방향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1)의 중심축 방향인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13)가 결합공(11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외부몸체(124) 외주면을 감싸는 이너 튜브(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시(bush)(150)가 구비되어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결합되되, 상기 이너 튜브(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12)에 끼워지는 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150)가 상기 행거 프레임(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150)는 금형에 상기 이너 튜브(130)와 이너 링(140)을 구비시키고 인서트 성형으로 상기 몸체부(120)를 형성시켜 상기 이너 튜브(130)와 몸체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이너 튜브(130)와 이너 링(14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2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행거 러버(100)는 금형에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상기 이너 링(140)을 구비시키고 인서트 성형으로 상기 몸체부(120)를 형성시켜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몸체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 따르면, 행거의 진동 및 변형을 억제하여 배기관의 진동 및 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주행 중 심한 충격에 의하여 배기관과 차체와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승차감 및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프레임의 사시도(A)와 평면도(B),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이너 튜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부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프레임의 사시도(A)와 평면도(B)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이너 튜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부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의 제작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배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행거 러버(100)는 행거 프레임(110)과 몸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행거 프레임(110)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20)가 삽입(insert)되는 결합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 내주면에는 상기 아이솔레이터 핀(미도시)의 축방향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1)의 중심축 방향인 내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13)가 결합공(11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0)는 배기관에 연결된 아이솔레이터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121)이 중앙에 형성된 내부몸체(123)와, 상기 내부몸체(123)의 외주면과 이격되면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몸체(124)와, 상기 내부몸체(123)와 외부몸체(124)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124)와 내부몸체(123)는 연결부(125)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몸체부(12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행거 러버(100)는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기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에 상기 몸체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몸체(123)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21)에 의해 아이솔레이터 핀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에 고정되는 행거 러버(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탄성체인 내부몸체(123)로 진동원인 아이솔레이트 핀의 외주면을 감싸 배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연결부(125)의 양측으로 공간부(122,122-1)가 각각 형성된다.
즉, 내부몸체(123)의 외주면과 연결부(125)의 일측면에 의해 공간부(122-1)가 형성되며, 외부몸체(124)의 내주면과 연결부(125)의 타측면에 의해 또 다른 공간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20)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내부몸체(123) 및 외부몸체(124)와 연결되는 연결부(125)의 양끝보다 중심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내부몸체(123)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몸체(124)의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의 형상은 "z"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20)에 형성된 공간부(122,122-1)와 불균일 두께를 가지는 연결부(125)에 의해서 충격에 의한 몸체부(120)의 변형을 방지하며, 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121)과 이격되면서 감싸도록 이너 링(1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너 링(140)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40)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내구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이너 링(14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PA) 또는 PA-GF(glass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외부몸체(123) 외주면을 감싸는 이너 튜브(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시(bush)(150)가 구비되어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결합된다.
즉, 상기 부시(150)가 상기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이너 튜브(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행거프레임(110)의 결합홈(112)에 끼워지는 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150)가 상기 행거 프레임(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공(111) 내에서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부시(150)는 상기 행거 프레임(110)의 스토퍼(113)에 의해 일측이 막혀 결합공(111) 내에 놓일 수 있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이너 튜브(1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PA) 또는 PA-GF(glass fi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행거 러버(100)에 의해서 아이솔레이터 핀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탄성체인 몸체부(120)로 감쇄시키고, 이너 튜브(130) 및 이너 링(140)으로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수명을 증가시켜 차체와 배기파이프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1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행거 프레임(110)과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진 이너 튜브(130) 및 이너 링(140)을 제작한다.
그리고 금형에 이너 튜브(130)와 이너 링(140)을 구비시켜 인서트 성형으로 몸체부(120)를 형성하여 부시(150)를 제작한 후, 제작된 부시(150)를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에 압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행거 아이솔레이터(1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행거 프레임(110)에 형성된 스토퍼(113)에 의해 부시(150) 압입 시 위치를 고정시켜 주며, 이너 튜브(130)의 돌기(131)가 결합홈(112)에 끼워짐으로써 조립방향을 고정하며, 부시(150)가 결합홈(112)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성이 간소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행거 러버(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 러버(1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행거 프레임(110)과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진 이너 튜브(130) 및 이너 링(140)을 제작한다.
그리고 금형에 행거 프레임(110)과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에 이너 링(140)을 구비시켜 인서트 성형으로 몸체부(120)를 형성함으로써 행거 러버(100)가 완성된다.
즉, 몸체부(120)와 행거 프레임(110)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구성이 간소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한 행거 러버 (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도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 프레임(110)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행거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일측으로 절개된 절개홈(114)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14)으로 볼트가 관통되어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행거 프레임(110)은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 외주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재(115)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115)의 소정의 위치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116)이 형성되어 볼트로 조립하여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행거 아이솔레이터 110 : 행거 프레임
111 : 결합공 112 : 결합홈
113 : 스토퍼 120 : 몸체부
121 : 관통홀 122 : 공간부
123 : 내무모체 124 : 외부몸체
125 : 연결부 130 : 이너 튜브(inner tube)
131 : 돌기 140 : 이너 링(ineer ring)
150 : 부시(bush)

Claims (9)

  1. 아이솔레이터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121)이 중앙에 형성된 내부몸체(123)와, 상기 내부몸체(123)와 이격되면서 감싸도록 배치된 외부몸체(124)와, 상기 내부몸체(123)와 외부몸체(124)를 연결하는 연결부(125)를 포함하는 몸체부(120)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120)가 삽입(insert)되는 결합공(111)이 형성된 행거 프레임(110)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배기관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행거 러버(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121)과 이격되면서 감싸도록 형성된 이너 링(140)이 구비되어 하중 및 충격에 의한 몸체부(12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부(125)의 양측으로 공간부(122,122-1)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내부몸체(123) 및 외부몸체(124)와 연결되는 양측 끝단부보다 중심부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행거 프레임(110)의 결합공(111) 내주면에는 상기 아이솔레이터 핀의 축방향으로 결합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외부몸체(124) 외주면을 감싸는 이너 튜브(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시(bush)(150)가 구비되어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결합되며,
    상기 이너 튜브(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12)에 끼워지는 돌기(131)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150)가 상기 행거 프레임(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25)는 상기 내부몸체(123)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몸체(124)의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의 형성은 "z"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의 양측에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150)는 금형에 상기 이너 튜브(130)와 이너 링(140)을 구비시키고 인서트 성형으로 상기 몸체부(120)를 형성시켜 상기 이너 튜브(130)와 몸체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1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러버(100)는 금형에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상기 이너 링(140)을 구비시키고 인서트 성형으로 상기 몸체부(120)를 형성시켜 상기 행거 프레임(110)과 몸체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14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2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러버.
KR1020160109448A 2016-08-26 2016-08-26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KR10180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48A KR101808573B1 (ko) 2016-08-26 2016-08-26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PCT/KR2016/009751 WO2018038302A1 (ko) 2016-08-26 2016-09-01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48A KR101808573B1 (ko) 2016-08-26 2016-08-26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573B1 true KR101808573B1 (ko) 2017-12-14

Family

ID=6095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448A KR101808573B1 (ko) 2016-08-26 2016-08-26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8573B1 (ko)
WO (1) WO20180383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8762B2 (en) 2018-12-03 2021-06-08 Hyundai Motor Company Elastic support for an exhaus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0970B4 (de) * 2019-02-11 2021-06-17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Abgasanlagenkomponente
EP4368819A1 (en) * 2022-11-09 2024-05-15 Cikautxo, S. Coop. Fixing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component to a second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4911B2 (en) * 2005-09-22 2010-01-12 The Pullman Company Isolator
KR100811622B1 (ko) * 2006-12-14 2008-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계통 행거러버
US8608117B2 (en) * 2011-01-19 2013-12-17 The Pullman Company Isolator having push and turn mounting
JP2015113754A (ja) * 2013-12-11 2015-06-22 スズキ株式会社 排気系部品の支持装置
KR20160076495A (ko) * 2016-06-01 2016-06-30 주식회사 디엠씨 행거 아이솔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8762B2 (en) 2018-12-03 2021-06-08 Hyundai Motor Company Elastic support for an exhau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302A1 (ko)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573B1 (ko) 자동차 배기관고정용 브랏켓트형 행거 러버
JP6532367B2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KR101748434B1 (ko) 자동차 배기관 고정용 행거
JP2003343625A (ja) 防振ブッシュ
JP2018062977A (ja) 防振装置
WO2005018904A1 (ja) 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4716387B2 (ja) 防振ブッシュ
CN112585376B (zh) 用于盲孔的支承套和用于车辆的转向机构悬置装置
US20210231187A1 (en) Assembly bearing
KR101887387B1 (ko) 절곡된 고정용 돌기를 가지는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WO2018070505A1 (ja) 防振装置
KR20140131486A (ko) 자동차 배기관용 행거
KR101927750B1 (ko) 조립이 용이한 자동차 배기관 고정용 행거
JP2004138212A (ja) ブッシュ
JP3543674B2 (ja) 防振ブッシュ
KR102283774B1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WO2019131512A1 (ja) 電気自動車用防振装置の配設構造
JP4833908B2 (ja) 防振ブッシュ
JP4358874B2 (ja) 防振ブッシュ
JP5829239B2 (ja) 防振装置
JPH08296681A (ja) 防振装置
KR20220026837A (ko) 모터 마운팅 시스템
JPH074459A (ja) 筒形防振ゴム及び防振装置
JP3456286B2 (ja) 筒型防振マウント
JP2000170837A (ja) ストッパ付き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