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613B1 -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613B1
KR101807613B1 KR1020160005571A KR20160005571A KR101807613B1 KR 101807613 B1 KR101807613 B1 KR 101807613B1 KR 1020160005571 A KR1020160005571 A KR 1020160005571A KR 20160005571 A KR20160005571 A KR 20160005571A KR 101807613 B1 KR101807613 B1 KR 10180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bers
tire cord
polyester fiber
treatmen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882A (ko
Inventor
한석종
안덕중
박진경
유성중
박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6000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613B1/ko
Priority to CN201780005345.8A priority patent/CN108431328B/zh
Priority to PCT/KR2017/000146 priority patent/WO2017122964A1/ko
Priority to TR2018/07702T priority patent/TR201807702T1/tr
Publication of KR2017008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9Aldehyde resins; Ketone resins; Polyacetals
    • D06M15/41Phenol-aldehyde or phenol-ketone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8Tyre cor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95Isocya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5Epoxy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46Tire cor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 D10B2505/02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for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 및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공중합체와 비닐피리딘라텍스와 스타이렌-부타디엔 라텍스를 포함하는 친환경적인 2차 처리액으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타이어 코드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 코드의 접착력, 내열성 및 내피로성을 향상시켜, 타이어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고무와 섬유의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성능 타이어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POLYESTER FIB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TIRE COR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Ricobond 7004,이하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이라 함)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2차 처리액으로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착제는 레소시놀, 포르말린, 암모니아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접착제이며 이를 사용함에 따라서 타이어 코드의 접착력, 내열성 및 내피로성을 향상시켜, 타이어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고무와 섬유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성능 타이어 코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이하 폴리에스테르)로 대표되는 타이어 보강재는 고무보강재가 가져야 할 중요한 특성인 우수한 기계적 강도, 탄성 계수, 치수 안정성 및 내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무 합성재, 예를 들어 타이어, 벨트 또는 호스 등을 위한 보강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고성능화, 주행 도로의 발전, 고무 합성재 사용조건의 가혹화 등에 따라서 더욱 고성능화된 보강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져 왔다. 그러나 폴레에스테르 섬유의 표면이 불활성이기 때문에 고무와의 접착력이 좋지 않으므로 에폭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섬유의 표면에 처리하여 고무에 대한 섬유의 접착성을 개량하는 방법이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접착방법에는 에폭시 및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파라 클로로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진 1차 처리액으로 섬유를 처리한 후, 일반적인 레소시놀-포르말린 라텍스(이하에서 ‘’라 한다)로 2차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RFL의 경우에는 레소시놀과 포르말린을 반응시켜 레소시놀-포르말린 수지를 만들기 위하여 가성소다 촉매 하에서 일정시간동안 반응이 필요하며, 레소시놀-포르말린 수지와 고무라텍스의 반응을 통하여 RFL을 조제하기 위해서 24시간 정도의 반응숙성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온도 또는 습도 등의 외기조건에 따라서 반응정도가 달라지게 되거나, 유제나 섬유 특성에 따라서 RFL의 도포상태가 달라지게 되어 최종 타이어코드 물성의 불균일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레소시놀, 포르말린, 암모니아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물질을 사용한 접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 2014/0308864 A1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에폭시와 블로킹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혼합액으로 1차 처리하고 폴리알콜과 방향족 폴리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레소시놀-포르말린 수지를 대체하여 RFL을 조제하여 2차 처리하여 접착력을 부여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존 레소시놀, 포르말린 등의 환경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인 접착액을 조제할 수는 있으나, 사용된 폴리알콜과 방향족 알데히드가 물에 용해가 되지 않음으로써 아세트산, 에탄올 등의 유기용제에 접착액을 조제하여야 하며, 또한 접착액 반응을 위한 시간도 길어지며, 폴리페놀과 방향족 알데히드의 반응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접착액으로 처리된 타이어 코드의 접착력도 낮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국제 특허 WO 2014/091429 A1에서는 폴리글리세롤 에폭시(RASCHIG社 GE100)를 사용하고 폴리아민을 사용함으로써 레소시놀-포르말린 수지를 대체하는 접착액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아라미드 섬유와 같이 표면이 극히 불활성이고, 결정화도가 매우 높아 에폭시의 내부침투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에 과량의 에폭시를 묻혀 접착력을 발현하는 방법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에폭시 침투량이 높아지게 되어 강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정성 저하, 내피로도 저하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접착고무의 특성에 따라 접착력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국제 특허 WO2014/091376 A1에서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BASF社, Acrodur 950)와 글리세롤 에폭시(Nagase Chemtex社, EX-313)를 사용하여 레소시놀-포르말린 수지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접착액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은 아크릴 수지와 에폭시의 반응에 의해 나일론66, 레이온과 같은 반응기를 가진 섬유의 경우에 낮은 Dip Pick Up(DPU)에서도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이 표면이 불활성인 경우 접착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조제 시에 pH를 염기성으로 민감하게 조절하여야 하며, pH 조절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라텍스와 반응에 의하여 응집물(Coagulum)이 발생하여 접착액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2차 처리액인 RFL 조제시, 환경 유해 물질인 레소시놀, 포르말린, 암모니아 등을 사용하고 있다. 포르말린은 1차 발암물질로 등록되어 있으며, 암모니아는 악취 등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유럽 및 미국 등 전 세계적으로 REACH등의 규제에 의거하여 2019년 레소시놀 및 포르말린 사용을 금지할 예정으로 있으며, 이런 환경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2차 처리액의 개발이 요구되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64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098516호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표면에 환경 친화적인 접착액을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에 관한 것으로, 반응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표면에 반응성을 부여하여 고무와 섬유 간의 접착력을 높이고, 타이어 코드의 강성을 낮추고 내열성 및 내피로성을 향상시켜, 타이어 고속 주행시 발생되는 고무와 섬유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성능 타이어 코드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킹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연사코드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1차 처리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처리액을 통과한 섬유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2차 처리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처리액을 통과한 섬유를 건조시키고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는 중량비로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하기의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도 제공한다.
(1) H-테스트로 측정된 고무와의 초기 접착력이 16kgf 이상이며, 내열 접착력이 10kgf 이상, (2) 디스크 유형의 피로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로 시험 실시 후 섬유의 강력잔존율이 60%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2차 처리액으로 고무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 및 고무 라텍스와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고무라텍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높은 내열 접착력과 고무 커버리지 및 우수한 내열특성, 내피로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성능 타이어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차 처리액은 혼합 후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응 숙성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처리액 제조 시에 환경규제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외부 환경에 따른 영향도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처리액의 부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공정성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품질 균일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처리액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2차 처리액의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Ricobond 7004)의 화학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은 블록킹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연사코드에 인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1차 처리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처리액을 통과한 섬유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2차 처리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처리액을 통과한 섬유를 건조시키고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고무와의 접착을 위하여 블록킹된 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를 주성분으로 하는 1차 처리액을 사용한다. 이후에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공중합체의 혼합액에 고무 라텍스를 첨가하여 고무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2차 처리액을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처리한다.
먼저, 1차 처리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차 처리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블록킹된 디이소시아네이트 0.5 내지 4.0중량%, 에폭시 화합물 0.3 내지 1.5중량%, 비닐피리딘라텍스 0.5 내지 1.5중량%, 내열첨가제 0.3 내지 0.6중량% 및 나머지는 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2차 처리액은 고무 라텍스와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1차 처리액 및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및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와 라텍스로 구성된 2차 처리액을 처리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사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연사 및 제직한 후, 열처리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된 타이어 코드용 원사를 다이렉트 연사기를 이용하여 Z방향으로 하연, S방향으로 상연 2합으로 연사한 후 제직기(Weaving Machine)를 이용하여 제직함으로써 생지(Raw Fabric)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타이어 코드용 생지는 열처리공정 중에서 블로킹된 이소시아네이트와 에폭시로 구성된 1차 처리액으로 처리된다. 이후에 건조영역에서 수분이 제거되며 건조온도는 140 내지 180℃가 바람직하며, 20 내지 150초 동안 건조된다. 이후에 160 내지 250℃ 온도에서 20 내지 150초 동안 열처리를 통하여 블록킹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해리되어 반응성을 가짐으로 에폭시와 화학반응을 통하여 섬유 표면에 반응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후, 2차 처리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2차 처리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 0.5 내지 10중량%,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 0.1 내지 3중량%, 비닐피리딘라텍스 15 내지 20중량%, 스타이렌-부타디엔 라텍스 0 내지 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는 고무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는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노블락과 에피클로로히드린, 또는 레졸과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 합성된 에폭시수지에 고분자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에 결합시키고 부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하여 합성된 액상 에폭시수지에 노블락 또는 레졸 등을 부가중합하여 고분자의 에폭시를 합성한 이 후 레소시놀, 페놀, 카플로락탐 등으로 블록킹된 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에 결합시키고 부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합성 방법은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하여 노볼락 또는 레졸 형태의 에폭시를 합성한 이 후 레소시놀 또는 레소시놀-포르말린 수지를 말단에 결합시키고 유기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합성방법 이외에도 노볼락 또는 레졸 형태의 에폭시와 페놀 수지를 물, 조용매(Co-solvent), 분산제와 함께 혼합한 후 가열하면서 매우 강한 전단력을 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 혼합액은 작은 입자상태로 균일한 분산성을 가지게 되며 냉각과정에서 분산제에 의해 안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조용제(Co-solvent)로는 알콜류 또는 에테르 글리콜(Glycol Ether)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는 2차 처리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0.5 내지 1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섬유에 충분한 반응성을 부여하여 고무와의 접착력을 발현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강성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저하되고 코드의 내피로 특성이 저하되며 제조비용도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공중합체는 중량비로 1:1 내지 5:1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충분한 접착력이 발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성이 너무 높아 타이어 코드의 주요 요구 특성 중 하나인 내피로성이 떨어지게 되어 타이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비닐피리딘 라텍스의 함량은 1차 처리액 100중량%를 기준으로 15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비닐피리딘 라텍스의 함량이 15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고무와의 충분한 접착력을 발현할 수 없으며, 2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초기접착력은 상승되지만 라텍스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고온에서 라텍스층에서의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높은 부착량으로 인하여 강성이 증가하게 되어 내피로성이 저하되며, 또한 열처리 설비 롤러에 라텍스가 부착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최종 제품의 불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고무와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 및 고무 라텍스와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고무라텍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Maleic Anhydride-Polybutadiene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높은 내열 접착력과 고무 커버리지 및 우수한 내열특성, 내피로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성능 타이어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차 처리액은 혼합 후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응 숙성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처리액 제조 시에 환경규제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타이어코드 친환경 접착액이며 외부 환경에 따른 영향도를 최소화하여 균일한 처리액의 부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조공정성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품질 균일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섬유용 처리액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한 형태를 예시하는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차 처리액은 물 96.5중량%, 에폭시 화합물 0.5중량%, 디이소시아네이트 1.0중량%, 비닐피리딘라텍스 1.5중량% 및 내열첨가제 0.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2차 처리액은 조성물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여 제조하였다. 타이어코드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1500데니어 2ply를 상연수 37(Twist/10cm), 하연수 37(Twist/10cm) 으로 하여 생산된 연사코드를 0.1g/d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1차 처리액에 침지시켜 통과시키고, 건조영역에서 160℃로 2분간 건조시키고 245℃로 열처리하였다. 상기 열처리과정을 거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다시 2차 처리액인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Allnex社 VPW-1942) 및 비닐피리딘라텍스와 스타이렌-부타디엔 라텍스 및 상기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와 고무라텍스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Cray Valley社의 Ricobond 7004) 혼합물로 구성된 접착제 용액에 함침된 후에 160℃ 온도에서 건조하고, 245℃ 온도에서 안정화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2 및 3
2차 처리액 조성물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타이어 코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실시예 1 실시예 2

2차액
조성
(중량%)
76.5 75.0 77.5 76.5 77.5
가성소다 0.1 0.4 - - -
레소시놀 2.4 3.0 - - -
포르말린 0.8 1.2 - - -
에폭시화
페놀수지
- - 2.5 2.5 4.0
Ricobond 7004 - - - 1.0 1.0
비닐피리딘라텍스 20.0 17.5 20.0 17.5 15.0
SBR 라텍스 - 2.5 - 2.5 2.5
암모니아 0.2 0.4 - - -
실험예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의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 접착력(kgf) 평가방법: H-테스트(H-Test)
열처리 코드와 고무의 접착력을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코드를 고무블럭에 넣어 160℃, 20분(초기) 또는 170℃, 60분(내열)으로 50kgf/cm2의 압력으로 가류한 이후에, 인스트롱사의 저속 신장형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200m/min로 접착력을 측정한다. 같은 시험을 10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 외 방법은 ASTM D4776-98에 따라 시행되었다.
(b) 내피로성 평가방법
열처리 코드의 외부 응력에 대한 저항값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타이어 주행조건을 모사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크 내피로도 평가는 우에시마社(Ueshima Seisakusho Co., Ltd.) FT-6110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피로시험 조건은 인장 6%, 압축 12%로 실시하였으며 2500rpm으로 120℃에서 8시간 피로를 가한 이후에 코드를 채취하여 강력을 측정하여 피로 전 원강력에 대한 강력잔존율을 측정한다. 코드 강력 측정 방법은 ASTM D885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3 실시예 1 실시예 2
DPU (%) 2.7 3.1 2.5 2.6 2.8
초기접착력
(Pull-out, kgf)
16.5 17.0 18.0 19.0 17.5
내열접착력
(Pull-out, kgf)
9.5 10.0 11.8 12.3 11.5
내피로도 (%)
Disk
62.3 60.1 69.1 74.7 70.0
상기 표 2의 시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실시예1,2)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는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 공중합체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하여 접착력 및 내피로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블록킹된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1차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에스테르 연사코드에 인장강력을 가하면서 상기 1차 처리액에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1차 처리액을 통과한 섬유를 건조 및 열처리하는 단계;
    에폭시화된 페놀 수지 및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폴리부타디엔(Maleic Anhydride-Polybutadiene)이 중량비 1:1 내지 5:1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2차 처리액에 상기 열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처리액을 통과한 섬유를 건조시키고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하기의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
    (1) H-테스트로 측정된 고무와의 초기 접착력이 17.5 내지 19.0kgf 이며, 내열 접착력이 11.5 내지 12.3kgf 이내,
    (2) 디스크 유형의 피로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로 시험 실시 후 섬유의 강력잔존율이 70.0 내지 74.7% 이내
KR1020160005571A 2016-01-15 2016-01-15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KR101807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571A KR101807613B1 (ko) 2016-01-15 2016-01-15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CN201780005345.8A CN108431328B (zh) 2016-01-15 2017-01-05 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所述聚酯纤维的轮胎帘线
PCT/KR2017/000146 WO2017122964A1 (ko) 2016-01-15 2017-01-05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TR2018/07702T TR201807702T1 (tr) 2016-01-15 2017-01-05 Polyester elyaf, bunu ve bunu içeren lastik kordunu hazırlama yöntem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571A KR101807613B1 (ko) 2016-01-15 2016-01-15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882A KR20170085882A (ko) 2017-07-25
KR101807613B1 true KR101807613B1 (ko) 2017-12-11

Family

ID=5931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571A KR101807613B1 (ko) 2016-01-15 2016-01-15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07613B1 (ko)
CN (1) CN108431328B (ko)
TR (1) TR201807702T1 (ko)
WO (1) WO2017122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7744A (zh) * 2018-04-19 2019-10-29 北京化工大学 一种纤维骨架材料浸胶液、制备方法及浸渍方法
CN109082893B (zh) * 2018-08-16 2020-11-17 联新(开平)高性能纤维有限公司 一种环保型纤维骨架材料浸胶液及其制备工艺和应用
US20220010102A1 (en) * 2018-11-22 2022-01-13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CN112176729A (zh) * 2019-07-03 2021-01-05 北京化工大学 一种纤维表面处理的纳米强化环保浸渍体系、制备方法及浸渍方法
CN114921861A (zh) * 2020-12-22 2022-08-19 南通新帝克单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性能优异的高dpf聚酯工业丝
CN112725911B (zh) * 2020-12-22 2022-06-28 南通新帝克单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用高dpf聚酰胺工业丝及其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0569A (en) 1990-08-21 1994-04-05 Ricon Resins, Inc. Adhesive rubber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475A (ja) * 1996-07-25 1998-02-17 Teijin Ltd ポリエステル繊維の処理方法
CN1188455C (zh) * 1999-08-23 2005-02-09 帝人株式会社 生产粘合剂处理的聚酯纤维帘子线的方法
WO2005113609A1 (en) * 2004-05-14 2005-12-01 Sartomer Technology Co., Inc. Method for adhering fabric to rubber, treated fabric, and fabric-rubber composites
WO2010125992A1 (ja) * 2009-04-28 2010-11-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有機繊維コード用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ゴム補強材、タイヤおよび接着方法
KR20110078152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효성 폴리에스테르 타이어코드의 제조 방법
JP6163721B2 (ja) * 2012-09-12 2017-07-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タイヤインナーライナー用シート及びタイヤ
KR20150113745A (ko) * 2014-03-31 2015-10-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무 보강 소재용 접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0569A (en) 1990-08-21 1994-04-05 Ricon Resins, Inc. Adhesive rubber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882A (ko) 2017-07-25
WO2017122964A1 (ko) 2017-07-20
CN108431328B (zh) 2021-11-16
CN108431328A (zh) 2018-08-21
TR201807702T1 (tr)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613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CN1981083A (zh) 橡胶加强用聚酯帘线及其制造方法
JPS63264972A (ja) ゴム―繊維材料複合体
JP2009174105A (ja) 有機繊維コード用接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有機繊維コード用接着剤組成物及びゴム製品の製造方法
JP2006274528A (ja) ポリエステルタイヤキャッププライコ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53469A (ja) 補強用繊維の製造方法
KR101594147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KR101898520B1 (ko) 셀룰로오스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코드
KR101602390B1 (ko)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래디얼 타이어
JP2006274530A (ja) ゴムとの接着性の改善されたポリエステル繊維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046210A (ja) ゴム補強用繊維の製造方法
JP2006037251A (ja) ゴム・繊維接着用の処理液及びゴム補強用繊維材料の製造方法
WO2007072703A1 (ja) ポリエステルタイヤキャッププライコ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2083A (ja) タイヤキャッププライコード用ポリエステル繊維材料の製造方法
JP3891357B2 (ja) ゴム補強用ポリエステルコ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16536A (ko) 접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처리된 고무 보강 섬유
KR100995603B1 (ko) 섬유의 표면 처리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처리된 고무보강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JP2003306874A (ja) ゴム補強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方法及び繊維強化ゴム複合材料
JP6089676B2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繊維
JP2011241513A (ja) ゴム補強用繊維の製造方法
JP7303018B2 (ja) ゴムホース補強用アラミド繊維コード
JPH05148770A (ja) ゴム補強用ポリエステル繊維の処理方法
JPH0442415B2 (ko)
KR100995604B1 (ko) 고무 보강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330626A (ja) ゴム補強用合成繊維コー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