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406B1 -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 Google Patents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406B1
KR101807406B1 KR1020160060619A KR20160060619A KR101807406B1 KR 101807406 B1 KR101807406 B1 KR 101807406B1 KR 1020160060619 A KR1020160060619 A KR 1020160060619A KR 20160060619 A KR20160060619 A KR 20160060619A KR 101807406 B1 KR101807406 B1 KR 101807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roller
scraper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073A (ko
Inventor
이원근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이원근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근, 이동규 filed Critical 이원근
Priority to KR102016006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4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교박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면 상에 위치하며, 구름작동에 의해 비계장치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하부에 파이프 부재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가 구성된 가이드 패널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와, 상기 고정 파이프의 단부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비계장치의 바닥부를 이루는 지지 파이프 및 상기 고정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상기 비계장치의 강성을 보강하는 상기 보강 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상기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적층되며, 블라스팅 공법에 의해 분사되는 각각의 매체들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패널; 및 상기 이송장치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매체 및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 수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Scaffolding equipment for bridge maintenance}
본 발명은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교의 상하부면 및 옆면에 대한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수거가 가능함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강교 박스의 하부에 이동 가능한 비계 작업대를 설치함으로써, 이동하면서 표면처리 및 재도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해체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구간으로 쉽게 이동하여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비계틀을 재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비계장치의 원가절감 및 안전관리가 어려운 고소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비계장치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강교를 보수하거나 도장 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강교의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공법이 시행되고 있다.
블라스팅, 도장작업이 끝나면 사용했던 비계틀을 해체하고 다음 작업 구간에 다시 비계틀을 설치하여 블라스팅, 도장작업을 시행한다.
현재 비계틀의 길이는 약 10m 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 길이다.
예를 들면 인천대교의 경우, 주탑과 주탑의 거리가 800m이고, 양측의 길이가 260m되는 것으로, 총 거리는 260m +800m + 260m= 1,320m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천대교의 경우, 현재의 비계틀 방식으로는 132회의 비계틀을 설치, 또는 해체작업이 이루어져야 공사를 끝낼 수 있게 되어 비계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막대한 예산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졌고, 또한 비계 설치 작업을 시행하는 동안에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작업이 완료되면, 비계장치를 철거해야만 하고, 다음 시공시에 철거한 비계장치를 다시 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54666호에는, 교각 고핑, 강재박스 거더 및 콘크리트 슬래브를 포함하는 강교 교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에 있어서, 상기의 크로스 빔에는 그 하부에 영구 앵커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의 영구 앵커는 상단앵커 체결클립과 앵커고리 지지대가 체결볼트로 고정되고, 상기의 앵커고리 지지대에는 종방향 비계 파이프가 비계 파이프 체결클립로 고정되며, 상기의 종방향 발판 비계 파이프에는 상부에 횡방향 발판 비계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의 횡방향 발판 비계 파이프에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안전 난간대가 형성되며, 상기의 횡방향 발판 비계 파이프에는 하측에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버팀대가 설치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교량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영구비계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르면,버팀대의 구조적 결합관계가 미약하여 작업시 안전사고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들의 수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환경오염을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KR 20-0254666 Y1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든 교량에 설치가 가능한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교의 하부면 및 옆면에 대한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수거가 가능함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교 박스의 하부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교 박스의 하부에 이동 가능한 비계 작업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해체 및 고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한 구간씩 옮겨가면서 작업 수행을 진행하고 전체구간이 끝나면 해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계장치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교박스에 설치되어있는 가이드바 위에 설치되어있는 10m 전체비계장치푸레임의 이송은 전체비계장치푸레임 양쪽에 로프를메고 이로프를 강교 위 도로상 양쪽에 두 대의 5ton트럭에다 로프를 메고 도장작업을 하기위한 다음 구간으로 이동한다 .가이드바 위에 로라에 의한 구름이송이므로 이송은 아주 쉽게 이루워진다.
본 발명은 강교박스의 상부에 구성되어 비계장치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교량난간; 상기 교량난간과 연결되어 비계장치의 외면을 이루는 외벽 프레임; 강교박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면 상에 위치하며, 구름작동에 의해 비계장치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하부에 파이프 부재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가 구성된 가이드 패널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와, 상기 고정 파이프의 단부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비계장치의 바닥부를 이루는 지지 파이프 및 상기 고정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상기 비계장치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부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상기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적층되며, 블라스팅(Blasting) 공법에 의해 분사되는 각각의 매체들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패널; 및 상기 이송장치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매체 및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 수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롤러는 양측부에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이 더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와 가이드 패널을 연결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 파이프에는 외주면에 상기 보강 파이프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와,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가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연결 클램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 파이프에는 바닥부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바닥 파이프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파이프, 보강 파이프 및 바닥 파이프의 형상은 환봉, 원형 파이프, 또는 사각 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염물 수거막은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밀폐수단과, 상기 외벽 프레임의 외측면과 지지 파이프의 하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폐수단의 상부면에 접합 구성되어 비계장치의 내부를 밀폐시켜 미세먼지가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염물 수거막에는 상기 밀폐수단을 외벽 프레임의 내측면과 바닥패널의 상부에 각각에 접합시키는 접합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바는 시공되는 도로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계장치의 외면을 이루고, 교량난간에 고정 결합되는 외벽 고정파이프와, 외벽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외벽 보강파이프로 이루어진 외벽 프레임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 프레임의 외면을 감싸도록 오염물 수거막을 구성하여 강교박스의 하부 및 측면부에서 블라스팅을 실시할 때 미세한 먼지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 고정파이프와, 외벽 보강파이프를 교량난간에 설치한 후, 그 내측면에는 합판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패널을 고정하고, 외측면에는 시트부재를 부착하여 오염물 수거막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든 교량에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비계장치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교의 하부면에 대한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수거가 가능함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교 박스의 하부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교 박스의 하부에 이동 가능한 비계 작업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해체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비계장치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의 이송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의 측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의 이송장치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의 측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계장치(200)는 강교박스(102)의 하부 및 옆면에 설치되어 강교의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강교박스(102)의 상부에 구성되어 비계장치(20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교량난간104)이 구성되고, 강교박스(102)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바(210)와, 가이드바(210)에 구름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강교박스(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바(210)와 함께 비계장치(200)의 이송을 하기위해서는 전체비계푸레임의 양쪽에 로프를 묶어 강교상부의 도로 양쪽에 5ton 트럭 을 배치하여 이 로프를 5ton 트럭에다 묶어서 필요한 장소에 이송가이드 하는 것으로 구름이송은 로라에 의한 이송이므로 아주 간단하게 이송될수있다.
교량난간(104)은 가이드바(210)와 함께 비계장치(200)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강교박스(102)의 상부에 구성되는 레일부(104a)와, 이 레일부(104a)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104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량난간(104)은 이동브라켓(104b)의 외측 단부에 비계장치(200)의 외면을 이루는 외벽 프레임(280)이 구성된다.
여기서, 외벽 프레임(280)은 비계장치(200)의 외면을 이루고, 바닥패널(270)의 하부에 구성되는 지지 파이프(250)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동브라켓(104b)과 고정 결합되는 외벽 고정파이프(282)와, 이 외벽 고정파이프(282)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외벽 프레임(280)의 강성을 보강하는 외벽 보강파이프(284)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벽 프레임(280)에는 그 외면을 감싸도록 오염물 수거막(300)을 구성하여 강교박스(102)의 하부 및 측면부에서 블라스팅을 실시할 때 미세한 먼지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외벽 프레임(280)은 외벽 고정파이프(282)와, 외벽 보강파이프(284)를 결합하여 가이드 교량난간에 설치한 후, 그 내측면으로 합판 등으로 이루어진 오염물 수거막(300)의 밀폐수단(310)을 접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벽 고정파이프(282)의 외부쪽에는 오염물 수거막(300)의 시트부재(320)를 부착하는 방법을 통해 오염물 수거막(300)을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바(210)는 강교박스(102)의 일측 하단부와 타측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며, 강교박스(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이송장치(220)가 원활한 구름 작동에 의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통상의 H-빔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바(210)는 강교박스(102)와 태그용접 방식, 또는 볼트 체결방식에 의해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바(210)는 강교박스(102)의 설치되는 배열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구성되어 이송장치(220)의 이송을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4차선의 도로가 시공되는 경우, 강교박스(102)는 4열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가이드바(210)는 1열의 강교박스(102)와 4열의 강교박스(102)에만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16차선의 도로가 시공되는 경우에는 가이드바(210)를 4열의 형태로 강교박스(102)에 각각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이드바(210)는 시공되는 도로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강교에 이동대차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대차의 H-빔을 가이드바(210)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송장치(220)는 가이드바(210)의 하부, 또는 양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강교의 표면처리 및 도장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장치(220)는 가이드바(210)의 하부면 상에 위치하며, 구름작동에 의해 이송장치(220)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롤러(222)가 구성되고, 이 가이드롤러(222)의 회전을 지지하는 가이드 패널(224)이 구성된다.
또한, 이송장치(220)에는 가이드 패널(224)의 하부에 서로 교차되게 연결 구성되는 파이프 부재 및 작업자 및 작업도구를 이송하는 바닥패널(270)이 구성된다.
가이드롤러(222)는 가이드바(210)의 하부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구름 작동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양측부에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222a)이 구성된다.
가이드 패널(224)은 가이드 롤러(222)와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여 가이드 롤러(222)의 구름 작동시 파이프 부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222)의 회전축(222a)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롤러(222)와 가이드 패널(224)을 연결하는 회전 지지부(226)가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패널(224)에는 하부면에 파이프 부재 중, 고정 파이프(230)와 결합하여 가이드 패널(224)과 파이프 부재가 연결되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부(228)가 구성된다.
즉, 가이드 패널(224)은 가이드 롤러(22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 롤러(222)의 이동 방향으로 파이프 부재가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파이프 부재는 가이드 패널(224)의 파이프 연결부(228)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230)와, 고정 파이프(230)의 단부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비계장치(200)의 바닥부를 이루는 지지 파이프(250) 및 복수 구성되는 고정 파이프(230)들을 연결하여 비계장치(20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파이프(260)로 이루어진다.
고정 파이프(230)는 상단부가 파이프 연결부(228)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가이드 패널(224)과 일체를 이루며, 하단부에는 지지 파이프(250)와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 클램프(240)가 구성된다.
또한, 고정 파이프(230)는 가이드바(210)에 설치되는 가이드 패널(224)에 따라 복수 구성되며, 이 복수의 고정 파이프(230)들이 보강 파이프(26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고정 파이프(230)들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보강 파이프(260)의 양측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232)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 파이프(250)는 고정 파이프(23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비계장치(200)의 바닥부를 구성하여 작업자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그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연결 클램프(240)에 의해 고정 파이프(230)와 직교를 이루도록 구성되되, 비계장치(200)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결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 파이프(250)는 바닥부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바닥 파이프(252)를 더 촘촘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지지 파이프(250)는 외벽 프레임(280)과 직각으로 구성되며, 연결 클램프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외벽 프레임(280)과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비계장치(200)에는 지지 파이프(250)의 상부면으로 바닥패널(270)을 적층 시공함으로써, 블라스팅 공법에 의해 분사되는 각각의 매체들(스틸볼, PS볼, 모래)이 비계장치(200)의 바닥면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바닥패널(270)과 지지 파이프(250) 및 바닥 파이프(252)는 용접 등에 의해 서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닥패널(270)은 각각의 단위 패널들로 복수 구성되어 지지 파이프(250)의 상부에 개별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부면으로 시트부재(320)가 구성되어 미세먼지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이송장치(220)는 가이드롤러(222)를 통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가이드 패널(224)과 연결되는 파이프 부재 및 바닥패널(270) 상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강교의 표면처리 및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강교의 표면처리시, 스틸볼, PS볼, 모래 등을 이용하여 블라스팅 공법(blasting method)에 의해 강교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때, 부식된 녹 등이 비산하면서 산업 폐기물을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수거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오염물 수거막(300)이 구성된다.
오염물 수거막(300)은 외벽 프레임(280)의 외면, 지지 파이프(250)의 하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바닥패널(270)의 상부면에 구성되어 미세 먼지들이 외부로 세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염물 수거막(300)은 외벽 프레임(28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일측 선단부가 일측부에 구성된 외벽 프레임(280)의 상부에 구성된 교량난간(104)에 고정되고, 타측 선단부가 지지 파이프(250)의 하부면과 반대편에 구성된 외벽 프레임(280)의 외면을 감싸면서 반대편에 위치한 교량난간(10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오염물 수거막(300)은 표면처리 작업시 매체들이 비계장치(200)의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미세먼지들이 바닥패널(270)측으로 수거되도록 밀폐시키는 밀폐수단(310)이 구성된다.
밀폐수단(310)은 합성수지 및 목재와 같은 합판재질로 이루어져 외벽 프레임(280)의 내측면과 바닥패널(270)의 상부에 각각 접합부재(330)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접합부재(330)는 일면이 접착제 , 청테이프 등으로 접합되어 바닥패널(270)과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오염물 수거막(300)에는 밀폐수단(310)의 상부면, 그리고 외벽 프레임(28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접합부재(330)에 의하여 접합되어 비계장치(200)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천막지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부재(320)가 더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강교의 하부면에 대한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수거가 가능함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표면처리 및 도장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강교 박스의 하부에 이동 가능한 비계 작업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해체 및 고정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비계장치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2: 강교 박스 104:교량난간
200: 비계장치 210: 가이드바
220: 이송장치 222: 가이드 롤러
224: 가이드 패널 230: 고정 파이프
240: 연결 클램프 250: 지지 파이프
260: 보강 파이프 270: 바닥패널
300: 오염물 수거막 310: 밀폐수단
320: 시트부재

Claims (7)

  1. 강교박스의 상부에 구성되어 비계장치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강교박스의 상부에 구성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브라켓으로 구성된 교량난간;
    상기 교량난간과 연결되어 비계장치의 외면을 이루며, 바닥패널의 하부에 구성되는 지지 파이프와 직각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과 고정 결합되는 외벽 고정파이프와, 상기 외벽 고정파이프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외벽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하는 외벽 보강파이프를 포함하는 외벽 프레임;
    강교박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면 상에 위치하며, 구름작동에 의해 비계장치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을 지지하며, 하부에 파이프 부재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가 구성된 가이드 패널과, 상기 파이프 연결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고정 파이프와, 상기 고정 파이프의 단부에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비계장치의 바닥부를 이루는 지지 파이프와, 상기 고정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상기 비계장치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파이프로 이루어진 파이프 부재와, 상기 고정 파이프에 구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보강 파이프의 단부가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와, 상기 고정 파이프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지지 파이프가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연결 클램프와, 상기 바닥부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바닥 파이프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상기 지지 파이프의 상부에 적층되며, 각각의 단위 패널들로 복수 구성되어 블라스팅 공법에 의해 분사되는 각각의 매체들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패널; 및
    상기 외벽 프레임 및 이송장치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밀폐수단과, 상기 외벽 프레임의 외측면과 지지 파이프의 하부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밀폐수단의 상부면에 접합 구성되어 비계장치의 내부를 밀폐시켜 미세먼지가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시트부재와, 상기 밀폐수단을 상기 외벽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에 각각에 접합시키는 접합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매체 및 오염물을 수거하는 오염물 수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양측부에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이 더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패널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롤러와 가이드 패널을 연결하는 회전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시공되는 도로의 형태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KR1020160060619A 2016-05-18 2016-05-18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KR10180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619A KR101807406B1 (ko) 2016-05-18 2016-05-18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619A KR101807406B1 (ko) 2016-05-18 2016-05-18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73A KR20170130073A (ko) 2017-11-28
KR101807406B1 true KR101807406B1 (ko) 2017-12-11

Family

ID=6081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619A KR101807406B1 (ko) 2016-05-18 2016-05-18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79B1 (ko) * 2023-03-23 2023-07-24 주식회사 임성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4746B (zh) * 2020-03-26 2024-03-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全钢附着升降脚手架导向防倾翻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623A (ja) * 1999-08-09 2001-02-20 Takeda Goshin Shoten:Kk H鋼アーム足場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9623A (ja) * 1999-08-09 2001-02-20 Takeda Goshin Shoten:Kk H鋼アーム足場及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279B1 (ko) * 2023-03-23 2023-07-24 주식회사 임성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73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20138A1 (en) Modular platform system
JP4403579B2 (ja) 跨道橋の既設橋脚撤去方法
CN201843074U (zh) 检修立交桥匝道桥的平行移动仓
JP6786070B2 (ja) 橋梁点検用恒久足場の無足場設置工法
KR100987297B1 (ko) 교량 보수 점검 장치
CN202767491U (zh) 建筑施工悬挑式移动落料平台
KR101807406B1 (ko) 강교 보수용 비계장치
JP2011058266A (ja) 高架橋における作業ステージの仮設方法
JP3318549B2 (ja) 既設橋梁の作業足場
CN210289067U (zh) 机器人升降作业平台
CN216476193U (zh) 一种模块化移动式钢构件安装操作平台
KR101067696B1 (ko) 판넬 이송장치
JP2008050811A (ja) 移動式吊り足場装置
KR101732681B1 (ko) 교량 캔틸레버부의 슬래브타설용 거푸집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CN214652865U (zh) 一种拼接式加装旧楼电梯钢结构井架
JP2005232677A (ja) 吊り足場の組立方法、解体方法およびこれらに用いる移動式吊り治具
JP2009161259A (ja) コンベア用自立式支持架構
CN210316439U (zh) 一种用于高空管道设备安装的移动操作平台
KR20140023496A (ko) 형강 설치를 위한 비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형강 설치방법
US5634528A (en) Mobile work station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JP4425611B2 (ja) 橋桁補修塗装作業用足場の設置方法および橋桁補修塗装作業用足場装置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2017128907A (ja) 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兼雨養生治具及びこの治具を用いた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